KR101888039B1 - 개구부 차폐용 갱폼 방음블록 - Google Patents

개구부 차폐용 갱폼 방음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8039B1
KR101888039B1 KR1020170115832A KR20170115832A KR101888039B1 KR 101888039 B1 KR101888039 B1 KR 101888039B1 KR 1020170115832 A KR1020170115832 A KR 1020170115832A KR 20170115832 A KR20170115832 A KR 20170115832A KR 101888039 B1 KR101888039 B1 KR 101888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proof
block
soundproofing
opening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5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병수
Original Assignee
(주)신일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일산업 filed Critical (주)신일산업
Priority to KR1020170115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80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8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8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for temporarily closing door or window op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404Sound-absorbing elements block-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구부 차폐용 갱폼 방음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갱폼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하부층 내부 해체작업으로 발생하는 소음 및 분진이 개구부(오프닝)를 통해 외부로 전달되는 소음 및 분진을 차단하되, 그 방음블록을 적층조립 가능한 단위블록으로 형성하여 개구부 크기에 맞춰 연결하고, 내부 공기층 의해 소음의 전달을 차단하며, 재질을 투명 또는 반투명한 합성수지로 형성하여 채광효과와 더불어 개구부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기층으로 소음을 차단하도록 방음공간이 형성된 방음본체와, 상기 방음본체의 상면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레일결합턱과, 상기 방음본체 하면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레일결합턱이 삽입되어 복수의 방음본체를 적층시키는 레일결합홈과, 상기 방음본체를 상측과 하측으로 분할 폐쇄하도록 방음본체의 중앙 양측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시켜 내부에 오목방음공간이 형성되는 방음홈으로 구성된 상기 방음본체(10)를 적층시켜 완성된 방음블록(1)의 전,후방을 경사지게 절단한 경사절단부(13)를 형성시켜 삼각형상블록(60)으로 구성되고, 이렇게 이루어진 4개의 삼각면체의 양단부를 부착시켜 개구부를 차폐하는 사각면체를 이루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 차폐용 갱폼 방음블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개구부 차폐용 갱폼 방음블록{Soundproofing block for closing the opening}
본 발명은 개구부 차폐용 갱폼 방음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 시공을 위해 설비된 갱폼을 해체하는 과정에서 하부층 내부 해체작업으로 발생하는 소음 및 분진이 개구부(오프닝)를 통해 외부로 전달되는 소음 및 분진을 차단하되, 그 방음블록을 적층조립 가능한 단위블록으로 형성하여 개구부 크기에 맞춰 연결하고, 내부 공기층 의해 소음의 전달을 차단하며, 재질을 투명 또는 반투명한 합성수지로 형성하여 채광효과와 더불어 개구부 내부를 투시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 차폐용 갱폼 방음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또는 빌딩과 같은 건축물은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서 갱폼(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시켜 시공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양생한 층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부층을 시공하기 위해 상부에 갱폼을 설치하는데 이때 하부층의 내부에 설치된 갱폼은 다른 설비시공을 위해서 해체하는 과정에서 소음과 분진이 발생하게 되고, 이렇게 발생한 소음과 분진은 개방된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오는 주변 건물 이용자들에게 약영향을 끼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갱폼해체 작업시 해당 층 개구부를 폐쇄 및 차단하여 소음 및 분진이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기술이 필수적으로 갖추고 있으며,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종래의 선행기술로는 특허등록 제1562672호(명칭: 가설용 조립식 창호 갱폼)이 공개되었으며, 그 구성은, 고층 건축물의 외벽시공을 위한 갱폼의 거푸집 개구부 및 상기 거푸집 설치층의 하부층 골조 개구부 구간에 외기의 차단 및 단열, 방음, 채광, 환기, 작업자 통행을 위한 가설용 조립식 창호에 있어서, 상기 갱폼의 거푸집 개구부 가장자리의 사면에 설치, 고정되는 창틀;과 상기 창틀에 끼워지는 창문틀과 상기 창문틀에 설치, 고정되는 복층투과창및 상기 갱폼의 거푸집에 설치되는 다수의 수직재에 창틀 고정부재를 연결, 고정하는 다수의 상부브라켓과 상기 창틀고정부재를 갱폼의 하부케이지에 연결, 고정하는 다수의 하부브라켓과 상기 창틀 고정부재에 연결, 고정되는 상기 창틀과 상기 창틀에 끼워지는 상기 창문틀과 상기 창문틀에 고정되는 상기 복층투과창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갱폼의 거푸집부와 상기 갱폼의 거푸집부 설치층의 하부층 골조 개구부를 간편하게 창호를 설치하여 외기의 차단 및 단열, 방음, 채광, 환기를 할 수 있는 작용효과를 얻는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선행기술은 건축물 시공시 크기가 각각 다르게 형성되는 개구부에 맞춰 복층투과창을 제작해야 하는 불편함과 더불어 제조비용 및 운반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건축물에 형성되는 개구부는 베란다 및 창틀과 같이 크기가 다르게 형성되기 때문에 그 크기에 맞춰 복층투과층을 각각으로 제조해야 하고, 크게 형성된 복층투과층은 운반의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복층투과창은 고른 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음이 전달되면 서로 상쇄되지 않고 진동에 의해 큰 소음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도 있었던 것이다.
예컨대, 순간적으로 발생하여 전달된 동일한 데시벨을 갖는 소음이 복층투과창의 고른 면에 부딪히면서 진동이 발생하게 되고, 그 소음을 서로 상쇄하기 위해서는 면을 불규칙 또는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시켜 전달되는 소음과 회귀하는 소음이 상호 충돌하여 상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러한 형상을 갖추지 못한 종래의 복층투과창은 소음차단을 효과적으로 이루어지 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개구부를 차폐하는 방음블록을 적층조립 가능하게 구성하여 크기가 다른 각각의 개구부에 맞춰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소음이 매개체에 의해 전달되지 못하도록 내부의 공기층을 이용하여 방음 효과를 향상시키며, 더불어 방음블록의 외면 형상을 달리 형성시켜 전달된 소음이 서로 상쇄되거나 또는 방음블록에 설치되는 방음재에 의해 흡수 및 흡착되도록 하는 개구부 차폐용 갱폼 방음블록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내부에 공기층으로 소음을 차단하도록 방음공간이 형성된 방음본체와, 상기 방음본체의 상면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레일결합턱과, 상기 방음본체 하면 양측에 상기 레일결합턱이 삽입되어 복수의 방음본체를 적층시키는 레일결합홈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내부에 공기층으로 소음을 차단하도록 방음공간이 형성된 방음본체와, 상기 방음본체의 상면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레일결합턱과, 상기 방음본체 하면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레일결합턱이 삽입되어 복수의 방음본체를 적층시키는 레일결합홈과, 상기 방음본체를 상측과 하측으로 분할 폐쇄하도록 방음본체의 중앙 양측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시켜 내부에 오목방음공간이 형성되는 방음홈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일결합턱이 레일결합홈에 삽입되어 적층 고정된 방음블록의 상측,하측 및 양측이 삽입 고정되어 폐쇄하도록 "ㄷ"형상으로 이루어진 ㄷ찬넬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질로 이루어져 상기 양측에 형성된 방음홈 중 개구부와 대응하는 일측 방음홈에 끼움 고정되는 방음재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음본체를 적층시켜 완성된 방음블록의 전,후방을 절단한 경사절단부를 구성시켜 전체를 삼각형상블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방음본체를 적층시켜 완성된 방음블록의 전,후방을 절단한 경사절단부를 구성시켜 전체를 사다리꼴형상블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사각형으로 연통하는 상기 방음홈에 억지 끼움으로 고정되어 지지력 제공과 소음 및 분진을 차단하도록 하는 사각연결방음재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방음블록을 구성하는 방음본체 내부에 방음공간을 형성하여 방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방음본체 상면과 하면에 슬라이드 결합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개구부의 크기에 맞춰 복수의 방음본체를 서로 연결시켜 차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는, 방음본체 중앙에 오목한 방음홈을 형성함으로써, 전달된 소음과 방음홈에 안내되어 개구부 방향으로 회귀하는 소음이 상호 충돌하면서 상쇄되어 방음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음본체 또는 방음홈 내부에 수평리브 또는 수직리브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그 형상을 유지하도록 지지하여 방음블록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방음홈에는 방음재를 끼워 결합함으로써, 개구부 내부에서 발생한 소음은 차단시키고 분진은 흡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적층 연결된 방음블록의 외곽 사방을 ㄷ찬넬로 마감함으로써, 내부의 방음공간으로 침투한 소음이 외부로 빠져나오지 못하게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층 연결된 방음본체의 전,후방에 경사절단부를 형성하여 삼각형상블록을 형성하고, 이를 서로 부착시켜 사각형의 방음블록을 형성함으로써, 상하좌우 방향에서 전달되는 외력을 지탱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더불어 방음본체의 설치방향 즉,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방음홈이 비대칭으로 형성시켜 소음이 서로 충돌하여 상쇄되는 효과가 있다.
또는, 적층 연결된 방음본체의 전,하방에 경사절단부를 형성하여 사다리꼴형상블록으로 형성하여 부착시키고 내부 공간에 온전한 방음본체를 부착함으로써, 외력을 좀더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는 효과와 더불어 방음홈이 복잡한 비대칭으로 형성되어 소음차단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삼각형상블록 또는 사다리꼴형상블록에서 사각으로 연통 된 방음홈에 일체로 형성된 사각연결방음재를 고정함으로써, 방음블록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접착제 없이도 견고한 고정을 발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갱폼의 수직파이프에 방음블록이 설치되어 개구부를 차폐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음블록을 구성하는 방음본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본체에 방음홈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방음본체를 적층하여 방음블록을 완성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전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공간에 수직리브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전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완성된 방음블록을 ㄷ찬넬로 마감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완성된 방음블록에 방음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전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방음본체를 적층하여 이루어진 방음블록과 그 방음블록의 전,후방을 경사지게 절단하여 이루어진 삼각형상블륵올 도시한 측면도
도 11은 도 10의 삼각형상블록을 부착하여 사각면체를 이룬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2는 도 11의 방음홈에 사각연결방음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사다리꼴형상블록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4는 도 13의 사다리꼴형상블록만을 부착한 상태에서 방음블록으로 중앙 관통부를 폐쇄한 상태의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서 사각연결방음재를 설치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방음블록(1)은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크게, 방음본체(10)와 그 방음본체(10) 상면에 형성되는 레일결합턱(21)과 하면에 형성되는 레일결합홈(22)으로 구성되고 또한, 상기 방음본체(10) 양측면 중앙에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방음홈(30)이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우선, 상기 방음블록(1)은 첨부된 도면 도 1과 같이, 건축물 시공시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 설치되는 갱폼(110)에서 하부로 연장된 수직파이프(111)에 고정되는 것으로써, 방음블록(1)이 하부층 개구부(100)를 폐쇄하여 그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분진이 외부로 빠져나와 확산 됨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방음블록(1)의 몸체를 구성하는 방음본체(10)는 첨부된 도면 도 2와 같이, 빛을 투과시키거나 개구부(100) 내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체로 형성되고, 또한 소음 및 진동이 외부로 전달되기 위해 필요한 매개체를 제거하도록 상기 방음본체(10) 내부에 공기층을 가둬 소음이 외부로 전달됨을 방지하는 방음공간(1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방음본체(10)의 상면 양측에는 "┓┏"의 형상으로 돌출 절곡 형성된 레일결합턱(21)이 각각 형성되고, 하면 양측에는 상기 레일결합턱(21)이 삽입 고정되는 "┖ ┙"형의 레일결합홈(22)이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복수의 방음본체(10)를 레일결합턱(21)과 레일결합홈(22)의 결합을 통해 적층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되는 방음본체(1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건축물 시공시 그 크기가 각각 다양한 개구부(100)의 길이 예컨대 좌,우폭 길이에 맞게 절단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되고, 개구부(100)의 상,하 높이는 방음본체(10)를 적절한 높이로 적층시켜 차폐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복수의 방음본체(10)가 적층되어 개구부(100)를 차폐하는 방음블록(1)은 내부에서 전달되는 소음 및 분진이 방음본체(10) 내측면과 맞닿아 진동이 소음 진동이 발생하지만 방음공간(11)에 진동을 전달매개체가 없음으로써 소음이 상쇄될 수 있고, 분진은 내측면이 차단함으로써 소음 및 분진을 차폐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으며, 더불어 외부 햇빛이나 조명의 광원은 투명 또는 반투명체로 형성된 방음본체(10)를 그대로 투과되어 채광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방음공간(11)에는 적층된 방음본체(10)에 가해지는 하중을 극복하여 형상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그 방음공간(11)으로 침투한 소음 및 진동을 차단하는 수직리브(12)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음본체(10)가 보다 효과적으로 소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방음본체(10) 중앙 양측에 내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방음홈(30)이 구성된다.
상기 방음홈(30)은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방음본체(10)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되, 그 내부는 방음공간(11)을 상,하부로 각각 분할되도록 폐쇄시켜 자연히 형성되는 오목방음공간(31)이 구성된다.
즉, 상기 방음본체(10)의 양측면은 평탄한 면으로 형성시켜 소음이 전달되면 반사되면서 소음 차단효과가 저하될 수 있지만 상기 방음본체(10)에 다른 형상의 방음홈(30)을 형성함으로써, 방음본체(10)에 전달된 소음이 오목한 부분을 통해 회귀 되거나 난반사 되면서 평면부분에 도달한 파동과 서로 부딪혀 상쇄시켜 방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마찬가지로 방음홈 내부에 형성된 오목방음공간(31)은 방음공간(11)의 크기와 형상이 달리 형성되어 내부로 침투한 소음 및 진동이 서로 난반사 되어 상쇄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여기서, 상기 방음홈(30)은 방음본체(10)를 사출성형하는 과정에서 오목한 부분은 고열과 냉각하는 과정에서 열변형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목방음공간(31)에는 양측에 형성된 방음홈(30) 내부를 지지하는 수평리브(32)가 구성되어 열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방음본체(10)를 적층 고정하여 완성된 방음블록(1)의 상,하측 및 양측을 통해 소음이 빠져나갈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그 사방을 ㄷ찬넬(40)로 마감하여 극복할 수 있다.
상기 ㄷ찬넬(40)은 첨부된 도면 도 7과 같이, 방음본체(10)의 폭이 삽입될 수 있는 "ㄷ"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써, 적층된 방음본체(10)와 볼트로 고정시켜 마감하고, 그 ㄷ찬넬(40)과 갱폼(110)을 구성하는 수직파이프(111)를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으로 고정시켜 개구부(100)를 차폐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방음본체(10)와 방음홈(30)의 이종형상으로 소음을 상쇄시킬 수도 있으나 비교적 소음이 크게 발생하는 작업에서는 방음효과와 방진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방음재(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방음재(50)는 첨부된 도면 도 8 및 도 9와 같이, 자체 신축력을 갖는 연질의 스폰지 형태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방음홈(30)에 끼워져 고정된다.
따라서, 방음재(50)로 전달된 소음은 흡수되어 상쇄될 수 있고, 방음재(50)에 침투하여 모여진 분진은 방음재(50)를 교체함으로써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방음재(50)는 별도의 접착제와 같은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도 용이하게 방음홈(30)에 고정될 수 있도록 방음홈(30)의 크기(l)보다 방음재(50)의 크기(L)를 크게 형성시켜 연질의 방음재(50)를 방음홈(30)에 억지 끼움으로 견고하게 고정하거나 또는 손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음재(50)는 방음본체(10)의 측면보다 돌출(P)되게 형성시켜 건축물 외벽면과 방음블록(1)이 상호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이유는 갱폼(110) 해체과정에서 수직파이프(111)에 고정된 방음블록(1)은 임의로 움직여 건축물 외벽면과 부딪혀 외벽면에 스크래치 등의 훼손이 발생할 수 있으나, 돌출된 방음재(50)가 방음블록(1)과 외벽면 사이에서 쿠션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방음본체(10)에서 돌출된 방음재(50)의 길이는 약 1mm ~ 5mm 정도로 이루어 개구부(100)와 방음블록(1)의 사이가 크게 이격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소음 및 분진이 외부로 빠져나오는 현상을 차단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첨부된 도면 도 10 내지 도 12와 같이, 상기 방음본체(10)를 적층시켜 완성된 방음블록(1)의 전,후방을 경사지게 절단하여 이루어지는 경사절단부(13)로 형성시켜 방음블록(1)의 전체 형상이 삼각형을 이루는 삼각형상블록(60)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삼각면체를 이루는 상기 삼각형상블록(60)은 4개를 구비하고, 그 양단부를 접착제로 각각 부착시켜 사각면체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부와 하부의 삼각형상블록(60)은 방음홈(30)이 수평으로 배치되면 양측의 삼각형상블록(60)의 방음홈(30)은 수직으로 배치되어 방음홈(30)이 상호 연통 됨으로써, 전달된 소음이 불규칙한 면에 난반사 되어 상쇄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는, 첨부된 도면 도 13 내지 도 15와 같이, 상기 방음본체(10)를 적층시켜 완성된 방음블록(1)의 전,후방을 경사지게 절단하여 이루어지는 경사절단부(13)로 구성시켜 방음블록(1)의 전체 형상이 중앙부분이 관통된 사다리꼴형상을 갖춘 사다리꼴형상블록(70)으로 구성된다. 이는 삼각형상블록(60)과 마찬자지로 4개의 블록을 양단부를 접착제로 부착시켜 이루어지되, 사다리꼴형상블록(60)은 내부에 관통된 사각형상을 갖게 된다.
상기 관통된 중앙부분은 온전한 상태 즉, 경사절단부(13)가 형성되지 않은 방음본체(10)가 적층된 방음블록(1)으로 마감하여 소음 및 분진을 차폐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사다리꼴형상블록(70)은 삼각형상블록(60)과 마찬가지로 방음홈(30)이 연통하여 동일한 효과를 얻는 동시에 중앙 관통된 부분에 경사절단부(13)가 형성되지 않은 방음블록(1)에 의한 다른 패턴이 적용됨으로써, 불규칙한 현상에 의한 소음 상쇄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작용효과를 갖는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소음 및 진동에 의한 파장은 평평한 단면에 전달되어 반사되는 파장은 그 파동이 동일함으로써, 진동으로 확산되어 큰 소음으로 나타나지만 그렇지 않고 곡면으로 회귀하는 소음 및 난반사 되는 소음이 서로 뒤섞여 충돌하게 되면서 작은 음으로 상쇄되는 소음상쇄 원리를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상기 삼각형상블록(60) 및 사다리꼴형상블록(70)에 의해 사각형으로 연통된 복수의 방음홈(30)과 대응하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사각연결방음재(80)가 설치된다.
상기 사각연결방음재(80)는 전술한 방음재(50)와 마찬가지로 연질로 이루어져 연통된 방음홈(30)에 억지 끼움으로 고정되어 동일한 작용효과를 갖으면서도 4개로 구성되는 삼각형상블록(60) 또는 사다리꼴형상블록(70)들을 접착제로 부착한 후, 사각연결방음재(80)를 억지 끼워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도 있고, 또는 억지끼움의 고정력에 의해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사각연결방음재(80)로만 견고하게 고정할 수도 있을 것이며, 그러함으로써 쉽고 간편하게 삼각형상블록(60) 또는 사다리꼴형상블록(70)을 해체할 수 있는 작용효과도 갖을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방음재(50) 또는 사각연결방음재(80)를 방음본체(10)에서 비교적 폭이 좁은 방음홈(30)에 끼움 고정하는 이유는 개구부(100) 내부로 방음본체(10)의 넓은 면을 통해 햇빛이나 조명의 광원이 스며들어 채광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방음본체(10)에 측면 전체에 방음재(50) 또는 사각연결방음재(80)를 고정하면 방음효과는 향상되겠지만 광이 투과할 수 없음으로써 채광효과는 저하되는 문제점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방음효과와 채광효과를 얻을 수 있는 최적한 부분인 방음홈(30)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방음블록(1)은 단위블록으로 적층 가능하게 구성된 방음본체(10)와 그 방음본체(10) 양측면에 형성된 방음홈(30)이 소음의 파동을 난반사하여 상쇄시킬 수 있고, 또는 방음본체(10)가 적층되어 이루어진 방음불록(1)을 절단하는 경사절단부(13) 각각 형성시켜 방음홈(30)이 사각으로 연통하는 삼각형상블록(60) 또는 사다리꼴형상블록(70)으로 구성시켜 상호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소음의 상쇄효과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사각형을 이루는 방음홈(30)에 사각연결방음재(80)를 끼워 고정함으로써, 접착제 없이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유용한 개구부 차폐용 갱폼 방음블록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방음블록: 1 방음본체: 10
방음공간: 11 수직리브: 12
경사절단부: 13 레일결합턱: 21
레일결합홈: 22 방음홈: 30
오목방음공간: 31 수평리브: 32
ㄷ찬넬: 40 방음재: 50
삼각형상블록: 60 사다리꼴형상블록: 70
사각연결방음재: 80 개구부: 100
갱폼: 110 수직파이프: 111

Claims (10)

  1. 건축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갱폼(110) 해체시 하부층에 형성된 개구부(100)를 통해 소음 및 분진 확산을 차폐하도록 갱폼(110)의 하부 수직파이프(111)에 설치되는 방음블록(1)에 있어서,
    내부에 공기층으로 소음을 차단하도록 방음공간(11)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다양한 개구부의 길이에 맞게 절단하여 사용하는 방음본체(10)와, 상기 방음본체(10)의 상면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레일결합턱(21)과, 상기 방음본체(10) 하면 양측에 상기 레일결합턱(21)이 삽입되어 복수의 방음본체(10)를 적층시키도록 형성된 레일결합홈(22)으로 구성되며,
    상기 방음본체(10)를 적층시켜 완성된 방음블록(1)의 전,후방을 경사지게 절단한 경사절단부(13)를 형성시켜 삼각형상블록(60)으로 구성되고, 이렇게 이루어진 4개의 삼각면체의 양단부를 부착시켜 개구부를 차폐하는 사각면체를 이루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 차폐용 갱폼 방음블록.
  2. 건축물을 시공하는 과정에서 갱폼(110) 해체시 하부층에 형성된 개구부(100)를 통해 소음 및 분진 확산을 차폐하도록 갱폼(110)의 하부 수직파이프(111)에 설치되는 방음블록(1)에 있어서,
    내부에 공기층으로 소음을 차단하도록 방음공간(11)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다양한 개구부의 길이에 맞게 절단하여 사용하는 방음본체(10)와, 상기 방음본체(10)의 상면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레일결합턱(21)과, 상기 방음본체(10) 하면 양측에 상기 레일결합턱(21)이 삽입되어 복수의 방음본체(10)를 적층시키도록 형성된 레일결합홈(22)과, 상기 방음본체(10)를 상측과 하측으로 분할 폐쇄하도록 방음본체(10)의 중앙 양측 길이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시켜 내부에 오목방음공간(31)이 형성되는 방음홈(30)으로 구성되며,
    상기 방음본체(10)를 적층시켜 완성된 방음블록(1)의 전,후방을 경사지게 절단한 경사절단부(13)를 형성시켜 삼각형상블록(60)으로 구성되고, 이렇게 이루어진 4개의 삼각면체의 양단부를 부착시켜 개구부를 차폐하는 사각면체를 이루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 차폐용 갱폼 방음블록.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방음본체(10)를 레일결합턱(21)과 레일결합홈(22)를 이용하여 적층 고정된 방음블록(1)의 상측,하측 및 양측이 삽입 고정되어 폐쇄하도록 "ㄷ"형상으로 이루어진 ㄷ찬넬(40)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 차폐용 갱폼 방음블록.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방음공간(31)에는 수평으로 형성되어 양측 방음홈(30)을 내부에서 지지하도록 수평리브(12)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 차폐용 갱폼 방음블록.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공간(11)에는 수직으로 형성되어 방음본체(10)를 내부에서 지지하면서도 방음공간(11)으로 진입한 소음을 내부에서 차단하도록 하는 수직리브(12)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 차폐용 갱폼 방음블록.
  6. 제 2항에 있어서,
    연질로 이루어져 상기 양측에 형성된 방음홈(30) 중 개구부(100)와 대응하는 일측 방음홈(30)에 끼움 고정되어 개구부(100)의 소음차단 및 분진을 흡착하는 방음재(50)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 차폐용 갱폼 방음블록.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의 방음재(50)의 크기(L)는 방음홈(30)의 크기(l)보다 크게 형성되어 별도의 고정수단 없이 억지 끼워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 차폐용 갱폼 방음블록.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재(50)의 외측은 방음본체(10)의 일측면보다 외부로 돌출(P)되어 갱폼(110) 해체시 수직파이프(111)에 고정된 방음블록(1)이 흔들려 건축물 벽면과 닿을 때 충격을 흡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 차폐용 갱폼 방음블록.
  9.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본체(10)를 적층시켜 완성된 방음블록의 전,후방을 경사지게 절단한 경사절단부(13)를 형성시켜 사다리꼴형상블록(70)으로 구성되고, 이렇게 이루어진 4개의 사다리꼴형상블록(70) 양단부를 부착시켜 내부가 관통된 사각틀형태를 이루게 하며, 그 관통된 중앙부분에는 사각면체를 이루는 복수의 방음본체(10)를 적층시켜 삽입 폐쇄하도록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 차폐용 갱폼 방음블록.
  10. 제 2항에 있어서,
    사각형으로 연통하는 상기 방음홈(30)에 억지 끼움으로 고정되어 지지력 제공과 소음 및 분진을 차단하도록 하는 사각연결방음재(80)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구부 차폐용 갱폼 방음블록.
KR1020170115832A 2017-09-11 2017-09-11 개구부 차폐용 갱폼 방음블록 KR101888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832A KR101888039B1 (ko) 2017-09-11 2017-09-11 개구부 차폐용 갱폼 방음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832A KR101888039B1 (ko) 2017-09-11 2017-09-11 개구부 차폐용 갱폼 방음블록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320A Division KR101810914B1 (ko) 2017-02-13 2017-02-13 개구부 차폐용 갱폼 방음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8039B1 true KR101888039B1 (ko) 2018-09-10

Family

ID=63594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5832A KR101888039B1 (ko) 2017-09-11 2017-09-11 개구부 차폐용 갱폼 방음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803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062B1 (ko) * 2008-01-14 2008-04-21 이정학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판넬구조
KR100891273B1 (ko) * 2008-09-26 2009-04-06 주식회사 누리플랜 방음패널
KR101038276B1 (ko) * 2008-08-04 2011-06-01 이우춘 방음벽용 패널
JP2017009658A (ja) * 2015-06-17 2017-01-1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結像光学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717451B1 (ko) * 2015-04-21 2017-03-17 (주)신일산업 갱폼용 방음패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062B1 (ko) * 2008-01-14 2008-04-21 이정학 건축용 갱폼시스템의 판넬구조
KR101038276B1 (ko) * 2008-08-04 2011-06-01 이우춘 방음벽용 패널
KR100891273B1 (ko) * 2008-09-26 2009-04-06 주식회사 누리플랜 방음패널
KR101717451B1 (ko) * 2015-04-21 2017-03-17 (주)신일산업 갱폼용 방음패널
JP2017009658A (ja) * 2015-06-17 2017-01-1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結像光学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1614Y1 (ko) 오염방지 및 내진 구조를 갖는 마감패널 조립체
RU2721615C1 (ru) Звукопоглощающая конструкция и звукоизолированное помещение
KR101810914B1 (ko) 개구부 차폐용 갱폼 방음블록
KR101888039B1 (ko) 개구부 차폐용 갱폼 방음블록
KR101492508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차단 구조
KR200433766Y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JP6812665B2 (ja) 遮音性を備えたダブルガラスパネル装置
JP2012202073A (ja) 通気防音ドア
KR100747744B1 (ko) 간섭슬릿이 구비된 흡음형 방음판
JP6722167B2 (ja) 換気および反応的で消散的な消音のためのパネルおよびパネル構造
KR200488126Y1 (ko) 통기성 몰딩을 포함하는 천장 구조물
KR101650772B1 (ko) 흡음 천장 구조물
JP6226687B2 (ja) 遮音床構造
KR101542547B1 (ko) 회절소음 감소를 위한 방음판넬 조립체
KR100675225B1 (ko) 차음성능 및 단열성능 향상을 위한 경량벽체 시스템 및 그설치방법
KR101044027B1 (ko) 방음패널
KR101177068B1 (ko) 굴절형 방음판
KR200480772Y1 (ko) 방화문 및 방화벽용 단열패널
JP7175734B2 (ja) 吸音パネル
KR101965315B1 (ko) 건축용 방음 내장재
KR101852009B1 (ko) 유지보수성, 차음성 및 흡음성이 우수한 방음벽용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KR101922186B1 (ko) 차음 성능이 향상된 건식경계벽용 스터드
KR101128390B1 (ko) 방음패널
KR100954388B1 (ko) 흡음블록
KR100825889B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