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0772B1 - 흡음 천장 구조물 - Google Patents

흡음 천장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0772B1
KR101650772B1 KR1020140194336A KR20140194336A KR101650772B1 KR 101650772 B1 KR101650772 B1 KR 101650772B1 KR 1020140194336 A KR1020140194336 A KR 1020140194336A KR 20140194336 A KR20140194336 A KR 20140194336A KR 101650772 B1 KR101650772 B1 KR 101650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ortion
ceiling plate
ceiling
main
w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4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1113A (ko
Inventor
김성훈
김경호
김규식
안은영
류종관
이종인
김용민
전인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140194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0772B1/ko
Publication of KR20160081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1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0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0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1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provisions for heat 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 슬래브의 하면 일부에 위치되는 우물 천장판부; 상기 우물 천장판부에 대응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우물 천장판부의 하측에 위치되는 메인 천장판부; 상기 우물 천장판부와 상기 메인 천장판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우물 천장판부와 상기 메인 천장판부를 연결하고, 타공부가 형성된 단차 측벽부; 및 상기 메인 천장판부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되어 삽입 공간을 형성하고, 프레임 타공부가 형성된 박스 프레임부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천장판부 및 상기 우물 천장판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면에는 흡음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천장 구조물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흡음 천장 구조물은 천장 슬래브에 가해진 충격에 의한 층간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흡음 천장 구조물{ACOUSTIC ABSORPTION CEILING STRUCTURE}
본 발명은 천장 슬래브의 하측에 위치되어 특정 공간에서 천장을 형성하는 천장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천장 슬래브에 가해지는 충격으로 인한 층간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흡음 천장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천장 구조물은 천장 슬래브의 하면에서 40㎜ 내지 50㎜ 이격되어 설치된 석고보드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천장 슬래브와 석고보드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되었다. 이로 인해, 건축물의 층간 소음이 차단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었다.
한편,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2008. 12. 15)에서는 11층 이상인 특정 소방대상물의 경우 전층에 스프링 쿨러가 설치되도록 하였다. 또한, 건축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2002. 2)에서는 100세대 이상 공동주택에 대해 자연환기 설비 또는 강제환기 설비 설치가 의무화되었다. 이로 인해, 공동주택에서는 천장에 스프링 쿨러 및 환기유닛의 덕트가 설치되기 위해서는 천장 슬래브의 하면에는 180㎜ 이상 이격된 석고보드가 위치된 천장 구조물이 설치되고 있고, 천장 슬래브와 석고보드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된다.
또한, 180㎜ 이상인 천장 슬래브와 석고보드 사이의 공기층은 천장 슬래브에 가해진 충격에 대한 에어 스프링(air spring) 효과를 제공하여 저주파 공진 현상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천장 슬래브에 가해진 충격에 의한 층간 소음이 발생하고, 오히려 종래에 비해 층간 소음의 크기는 증가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3-0058999호 (2013. 06. 05.)
본 발명은 천장 슬래브에 가해진 충격에 의한 층간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흡음 천장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천장 슬래브의 하면 일부에 위치되는 우물 천장판부; 상기 우물 천장판부에 대응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우물 천장판부의 하측에 위치되는 메인 천장판부; 상기 우물 천장판부와 상기 메인 천장판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우물 천장판부와 상기 메인 천장판부를 연결하고, 타공부가 형성된 단차 측벽부; 및 상기 메인 천장판부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되어 상기 천장 슬래브 쪽으로 돌출된 삽입 공간을 형성하고, 프레임 타공부가 형성된 박스 프레임부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 공간은 상기 메인 천장판부에 수직한 면과 상기 메인 천장판부에 수평한 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 타공부는 상기 수직한 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천장 구조물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흡음 천장 구조물은, 상기 우물 천장판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우물 천장판부의 상면에 위치되어 상기 우물 천장판부를 상기 천장 슬래브에 연결하는 우물 반자틀부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천장 구조물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흡음 천장 구조물은, 상기 천장 슬래브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메인 천장판부의 상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메인 달대부들; 및 상기 메인 천장판부의 상면에 위치되어, 상기 메인 달대부들을 연결하는 메인 반자틀부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천장 구조물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단차 측벽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천장 슬래브와 상기 메인 천장판부 사이의 공기가 소통되고 이물질의 소통이 차단되도록 상기 타공부에 대응되는 필터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천장 구조물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박스 프레임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천장 슬래브와 상기 메인 천장판부 사이의 공기가 소통되고 이물질의 소통이 차단되도록 상기 프레임 타공부에 대응되는 프레임 필터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천장 구조물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흡음 천장 구조물은 상기 메인 천장판부 및 상기 우물 천장판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면에 위치되는 흡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천장 구조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음 천장 구조물은 우물 천장판부, 메인 천장판부, 단차 측벽부 및 박스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천장 슬래브의 하면에 설치된다. 단차 측벽부에 형성된 타공부 및 박스 프레임부에 형성된 프레임 타공부를 통해 공기가 유동하기에, 공기층에 의한 에어 스프링 효과가 감소되고, 천장 슬래브와 흡음 천장 구조물 사이에서는 에어 스프링 효과에 따른 저주파 공진 현상이 저감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천장 슬래브에 가해진 충격에 따른 충격음이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우물 천장판부와 메인 천장판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면에는 흡음부가 설치된다. 흡음부는 천장 슬래브의 상면에 가해진 충격을 흡수하여, 충격에 따른 충격음 및 공기 전달음을 차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흡음 천장 구조물은 천장 슬래브에 가해진 충격에 의한 층간 소음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음 천장 구조물이 천장 슬래브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흡음 천장 구조물을 선 A-A를 따라 절개한 모습의 일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음 천장 구조물(100)이 천장 슬래브(10)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흡음 천장 구조물(100)을 선 A-A를 따라 절개한 모습의 일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장 구조물(100)은 우물 천장판부(101), 메인 천장판부(102), 단차 측벽부(103) 및 박스 프레임부(104)를 포함하고, 천장 슬래브(10)의 하면에 설치된다.
우물 천장판부(101)는 천장 슬래브(10)의 하면 일부에 위치된다. 이때, 우물 천장판부(101)의 상면에는 흡음부(101a)가 설치된다. 여기서, 우물 천장판부(101)의 상면에 위치한 흡음부(101a)는 흡음재 또는 흡음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음재의 두께는 1㎜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5㎜,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일 수 있고, 흡음재의 밀도는 10K 내지 120K, 바람직하게는 10K 내지 48K일 수 있다. 상기 흡음재는 예를 들어, 글라스 울(glass wool), 폴리에스터 및 미네랄 울 등 다양한 종류의 흡음재일 수 있다.
메인 천장판부(102)는 우물 천장판부(101)에 대응되는 개구부(110)를 형성하도록 우물 천장판부(101)의 하측에 위치된다. 이때, 메인 천장판부(102)는 소방 및 건축물 관련 법령에 따르면, 바람직하게는 천장 슬래브(10)의 하면으로부터 180㎜ 이상만큼 이격된다. 또한, 우물 천장판부(101)는 천장 슬래브(10)의 하면에 직접 부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메인 천장판부(102)는 우물 천장판부(101)와 조합하여 천장 슬래브(10)의 하면 전체를 폐쇄한다.
한편, 메인 천장판부(102)는 개구(110)가 형성된 1 개의 판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고, 개구부(110)가 형성되도록 복수 개의 판들이 조립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메인 천장부(102)의 상면에도 흡음부(102a)가 설치될 수 있다. 메인 천장부(102)의 상면에 위치한 흡음부(102a)는 흡음재 또는 흡음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음재의 두께는 1㎜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5㎜,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일 수 있고, 흡음재의 밀도는 10K 내지 120K, 바람직하게는 10K 내지 48K일 수 있다. 상기 흡음재는 예를 들어, 글라스 울(glass wool), 폴리에스터 및 미네랄 울 등 다양한 종류의 흡음재일 수 있다.
단차 측벽부(103)는 우물 천장판부(101)와 메인 천장판부(102) 사이에 위치되어, 우물 천장판부(101)와 메인 천장판부(102)를 연결한다. 이때, 천장 슬래브(10)와 흡음 천장 구조물(100) 사이에는 공기층이 형성되고, 스프링 쿨러 및 환기 유닛의 덕트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단차 측벽부(103)에는 타공부(131)가 형성된다. 공기는 타공부(131)를 통해 유동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천장 슬래브(10)와 흡음 천장 구조물(100) 사이의 공기도 단차 측벽부(103)를 통해 유동가능하다. 또한, 단차 측벽부(103)의 내측면에는 필터부(133)가 설치된다. 필터부(133)는 타공부(131)에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천장 슬래브(10)와 메인 천장판부(102) 사이의 공기는 소통시키지만, 이물질의 소통은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이로 인해, 공기는 필터부(133)를 통해 유동가능하지만, 이물질은 공기보다 큰 입자 크기를 갖기 때문에 필터부(133)를 통과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흡음 천장 구조물(100)의 내부(즉, 천장 슬래브(10)와 흡음 천장 구조물(100) 사이의 공기층)의 이물질은 필터부(133)를 통과하지 못하여, 흡음 천장 구조물(100)이 설치된 공간에 흡음 천장 구조물(100) 내부의 이물질에 의해 오염되는 것이 방지되기도 한다.
박스 프레임부(104)는 메인 천장판부(102)의 가장자리 일부에 위치되어 삽입 공간(104a)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삽입 공간(104a)은 공동주택에서 발코니와 거실이 만나는 부위에서 커튼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의미한다. 또한, 박스 프레임부(104)에는 프레임 타공부(141)가 형성된다. 이때, 박스 프레임부(104)의 내측면에는 프레임 필터부(143)가 설치되고, 프레임 필터부(143)는 프레임 타공부(141)에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천장 슬래브(10)와 메인 천장판부(102) 사이의 공기는 소통시키지만, 이물질의 소통은 차단한다. 프레임 타공부(141) 및 프레임 필터부(143)는 박스 프레임부(104)에 설치된 구성요소이나, 단차 측벽부(103)의 타공부(131) 및 필터부(133)와 동일한 기능을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박스 프레임부(104)는 메인 천장판부(102)의 일측 가장자리의 전체에 위치된 것으로 도시되고 있다. 하지만, 박스 프레임부(104)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메인 천장판부(102)의 일측 또는 양측의 일부에 위치될 수 있고, 메인 천장판부(102)의 가장자리 전체를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즉, 박스 프레임부(104)는 메인 천장판부(102)의 가장자리에서 다양한 크기로 위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천장 슬래브(10)에 충격이 가해질 때, 천장 슬래브(10)와 흡음 천장 구조물(100) 사이의 공기층에는 에어 스프링(air spring) 효과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흡음 천장 구조물(100)에서는 단차 측벽부(103)의 타공부(131) 및 박스 프레임부(104)의 프레임 타공부(141)를 통해 공기가 유동하기에, 공기층에 의한 에어 스프링 효과가 감소되고, 천장 슬래브(10)와 흡음 천장 구조물(100) 사이에서는 에어 스프링 효과에 따른 저주파 공진 현상이 저감될 수 있다. 따라서, 단차 측벽부(103)의 타공부(131) 및 박스 프레임부(104)의 프레임 타공부(141)는 천장 슬래브(10)에 가해진 충격에 따른 충격음이 흡음 천장 구조물(100)을 통해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우물 천장판부(101) 및 메인 천장판부(102) 중 어느 하나의 상면에는 흡음부(101a, 102a)가 설치된다. 흡음부(101a, 102a)는 천장 슬래브(10)의 상면에 가해진 충격을 흡수하여, 충격에 따른 충격음 및 공기 전달음을 차단한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흡음 천장 구조물(100)은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천장 슬래브에 가해진 충격에 의한 층간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음 천장 구조물(100)은 우물 반자틀부(105)들, 메인 달대부(106)들 및 메인 반자틀부(107)들을 포함한다.
우물 반자틀부(105)들은 우물 천장판부(101)의 가장자리를 따라 우물 천장판부(101)의 상면에 위치되어 우물 천장판부(101)를 천장 슬래브(10)에 연결한다. 이때, 우물 반자틀부(105)들 사이에는 흡음부(101a)가 위치된다. 이로 인해, 우물 반자틀부(105)들은 우물 천장판부(101)와 조합하여, 흡음부(101a)를 수용한 패널의 형태로 천장 슬래브(10)의 하면에 부착된다.
메인 달대부(106)들은 천장 슬래브(10)의 하면으로부터 메인 천장판부(102)의 상면을 향하여 연장되고, 메인 반자틀부(107)들은 메인 천장판부(102)의 상면에 위치되어 메인 달대부(106)들을 연결한다. 이때, 메인 반자틀부(107)는 메인 달대부(106)의 하단면 또는 하단부에 연결된다. 이로 인해, 메인 천장판부(102)는 메인 달대부(106)들과 메인 반자틀부(105)들의 조합으로 천장 슬래브(10)의 하면에 설치된다.
한편, 천장 슬래브에 가해진 충격음에 대한 본 실시예에 따른 흡음 천장 구조물(100)의 흡음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이 실시되었다.
본 실험에서 비교예 1은 천장 슬래브만이 적용된 실험예이고, 비교예 2는 천장 슬래브의 상면에 완충재(EVA 300㎜ + 기포몰탈 40㎜ + 마감몰탈 40㎜)가 적용된 실험예이며, 비교예 3은 비교예 2에 천장 슬래브의 하면으로부터 200㎜만큼 이격된 천장판이 적용된 실험예이다. 또한, 실험예 1은 비교예 2에 본 실시예에 따른 흡음 천장 구조물을 적용한 실험예이고, 실험예 2는 비교예 3에 글라스 울(24K, 50㎜)이 적용된 실험예이며, 실험예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흡음 천장 구조물에 흡음부로서 글라스 울이 적용된 실험예이다.
본 실험에서는 임팩트 볼(Impact ball)을 충격원으로 사용하여 천장 슬래브의 상면에서 정 중앙 및 코너에서 일정한 간격만큼 떨어진 지점들에 충격을 가하였다. 이때, 천장 슬래부의 하측의 일정한 지점에서 소음측정기를 이용하여 충격음 레벨이 측정되었다. 또한, 결과값은 1/1옥타브밴드 주파수 및 단일수치 평가량으로 표현되었다. 실험 결과는 표 1과 같다.
1/1oct 충격음 레벨[㏈]
주파수[㎐]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험예 1 실험예 2 실험예 3
63 70.1 72.5 75.5 71.3 77.4 73.2
125 70.3 66.8 71.3 71.0 68.1 68.1
250 69.8 58.4 55.6 59.9 54.0 52.6
500 58.3 38.3 37.0 40.0 36.1 33.8
Li , Fmax , AW 58 50 52 52 51 49
* LiFmax , AW: 표준중량충격음의 단일수치 평가량(역 A 특성곡선에 의한 방법)
표 1에 나타난 측정된 충격음 레벨을 살펴보면, 천장 슬래브에 천장판이나 천장 구조물만이 설치된 비교예 3 및 실험예 1은 천장 슬래브와 천장판이나 천장 구조물 사이의 공간으로 인한 천장판이나 천장 구조물가 에어 스프링 효과가 유발됨에도 불구하고, 천장 슬래브에 의해 완충재만이 적용된 비교예 2와 비교하여 주파수에 따라 충격음 레벨의 증가 또는 감소가 이루어졌다. 따라서, 비교예 3 및 실험예 1은 어느 정도의 충격음 레벨의 감소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측가능하다.
실험예 1은 일반 천장판이 적용된 비교예 3과 비교하여 보면, 63㎐ 및 125㎐에서 각각 4.2㏈ 및 0.3㏈의 충격음 레벨 감소가 이루어졌고, 250㎐ 및 500㎐에서 각각 4.3㏈ 및 3.0㏈의 충격음 레벨 증가가 이루어졌다. 한편, 실험예 2는 비교예 3과 비교하여 글라스 울의 적용으로 인해 63㎐에서 1.9㏈의 충격음 레벨 증가가 이루어졌으나, 125㎐, 250㎐ 및 500㎐에서 각각 2.8㏈, 1.6㏈ 및 0.9㏈의 충격음 레벨 감소가 이루어졌다. 또한, 실험예 2는 실험예 1와 비교하여 63㎐에서는 6.1㏈의 충격음 레벨 증가가 이루어졌으나, 125㎐, 250㎐ 및 500㎐에서는 각각 2.9㏈, 5.9㏈ 및 3.9㏈의 충격음 레벨 감소가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본 실시예에 따른 구조의 적용 및 흡음부의 적용이 각각 어느 정도의 충격음 레벨 감소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실험예 3은 실험예 1과 비교하여 63㎐에서 1.9㏈의 충격음 레벨 증가가 이루어졌으나, 125㎐, 250㎐ 및 500㎐에서 각각 2.9㏈, 7.3㏈ 및 6.2㏈의 충격음 레벨 감소가 이루어졌다. 또한, 실험예 3은 실험예 2와 비교하여 125㎐에서는 동일한 충격음 레벨을 가졌으나, 63㎐, 250㎐ 및 500㎐에서는 각각 4.2㏈, 1.4㏈ 및 2.3㏈의 충격음 레벨 감소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실험예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흡음 천장 구조물에 흡음부로서 글라스 울이 적용된 실험예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흡음 천장 구조물은 단차 측벽부의 타공부, 박스 프레임부의 프레임 타공부, 우물 천장판부의 흡음부, 및 메인 천장판부의 흡음부의 조합으로 인해 천장 슬래브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한 충격음을 흡음하여 층간 소음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중 괄호 내의 기재는 기재의 불명료함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권리범위는 괄호 내의 기재를 모두 포함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100: 흡음 천장 구조물
101: 우물 천장판부
101a: 우물 천장판부의 흡음부
102: 메인 천장판부
102a: 메인 천장판부의 흡음부
103: 단차 측벽부
131: 타공부
133: 필터부
104: 박스 프레임부
104a: 삽입 공간
141: 프레임 타공부
143: 프레임 필터부
105: 우물 반자틀부
106: 메인 달대부
107: 메인 반자틀부

Claims (6)

  1. 천장 슬래브의 하면 일부에 위치되는 우물 천장판부;
    상기 우물 천장판부에 대응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우물 천장판부의 하측에 위치되는 메인 천장판부;
    상기 우물 천장판부와 상기 메인 천장판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우물 천장판부와 상기 메인 천장판부를 연결하고, 타공부가 형성된 단차 측벽부; 및
    상기 메인 천장판부 가장자리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되어 상기 천장 슬래브 쪽으로 돌출된 삽입 공간을 형성하고, 프레임 타공부가 형성된 박스 프레임부를 포함하되,
    상기 삽입 공간은 상기 메인 천장판부에 수직한 면과 상기 메인 천장판부에 수평한 면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 타공부는 상기 수직한 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천장 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 천장 구조물은,
    상기 우물 천장판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우물 천장판부의 상면에 위치되어 상기 우물 천장판부를 상기 천장 슬래브에 연결하는 우물 반자틀부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천장 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 천장 구조물은,
    상기 천장 슬래브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메인 천장판부의 상면을 향하여 연장되는 메인 달대부들; 및
    상기 메인 천장판부의 상면에 위치되어, 상기 메인 달대부들을 연결하는 메인 반자틀부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천장 구조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 측벽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천장 슬래브와 상기 메인 천장판부 사이의 공기가 소통되고 이물질의 소통이 차단되도록 상기 타공부에 대응되는 필터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천장 구조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 프레임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천장 슬래브와 상기 메인 천장판부 사이의 공기가 소통되고 이물질의 소통이 차단되도록 상기 프레임 타공부에 대응되는 프레임 필터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천장 구조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 천장 구조물은
    상기 메인 천장판부 및 상기 우물 천장판부 중 적어도 하나의 상면에 위치되는 흡음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 천장 구조물.
KR1020140194336A 2014-12-30 2014-12-30 흡음 천장 구조물 KR101650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336A KR101650772B1 (ko) 2014-12-30 2014-12-30 흡음 천장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4336A KR101650772B1 (ko) 2014-12-30 2014-12-30 흡음 천장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113A KR20160081113A (ko) 2016-07-08
KR101650772B1 true KR101650772B1 (ko) 2016-08-24

Family

ID=56503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4336A KR101650772B1 (ko) 2014-12-30 2014-12-30 흡음 천장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07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101A (ko) * 2019-10-21 2021-04-29 삼성물산 주식회사 바닥부 중량충격음 저감을 위한 마감천장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474B1 (ko) * 2019-01-30 2021-04-06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우물천장 구조물
KR102661116B1 (ko) * 2022-05-02 2024-04-25 이재학 설치가 간편한 우물천장 조립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6459A (ja) * 2005-05-11 2006-11-24 Takenaka Komuten Co Ltd 重量衝撃音低減用二重天井
KR100790221B1 (ko) * 2007-04-17 2008-01-02 임기태 내장재와 조립되는 공명흡음구조 몰딩 및 흡음 음향조절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323B1 (ko) 2011-11-28 2014-01-06 주식회사 케이씨씨 천장 구조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16459A (ja) * 2005-05-11 2006-11-24 Takenaka Komuten Co Ltd 重量衝撃音低減用二重天井
KR100790221B1 (ko) * 2007-04-17 2008-01-02 임기태 내장재와 조립되는 공명흡음구조 몰딩 및 흡음 음향조절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7101A (ko) * 2019-10-21 2021-04-29 삼성물산 주식회사 바닥부 중량충격음 저감을 위한 마감천장구조
KR102338176B1 (ko) * 2019-10-21 2021-12-09 삼성물산(주) 바닥부 중량충격음 저감을 위한 마감천장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1113A (ko)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0772B1 (ko) 흡음 천장 구조물
KR101347323B1 (ko) 천장 구조물
CN105097241B (zh) 变压器隔声减振罩
CA2910412C (en) An acoustic damping building material
KR101482904B1 (ko) 층간소음 방지장치 및 방법
KR101929628B1 (ko) 층간소음 차음재
KR101092992B1 (ko) 공기층을 가진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
KR101679672B1 (ko) 층간소음이 저감되고 화재시 안전한 피난경로가 구비된 복층형 공동주택의 설계구조
KR101492508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 차단 구조
KR200488126Y1 (ko) 통기성 몰딩을 포함하는 천장 구조물
KR200480772Y1 (ko) 방화문 및 방화벽용 단열패널
KR101809797B1 (ko) 층간소음방지장치
CA3155339A1 (en) Acoustical ceiling system
KR102133435B1 (ko) 바닥충격음 저감용 천장 및 벽체 패널과 이의 시공방법
KR20210047101A (ko) 바닥부 중량충격음 저감을 위한 마감천장구조
KR200421088Y1 (ko) 아파트 층간 슬라브 소음방지구조
KR20160064814A (ko) 방음 장치
KR20100049779A (ko) 바닥 충격음 차음 구조체
KR102216466B1 (ko) 층간 소음 방지 구조가 적용된 건축물
KR101589075B1 (ko) 다층 건물 층간 진동소음 차단구조장치.
JP2022157762A (ja) 部屋構造
JP5583059B2 (ja) 遮音性を改善する壁構造
KR100674376B1 (ko) 층간 진동 소음 방지구
JP5330085B2 (ja) 建物の吸音構造
KR101508723B1 (ko) 차ㆍ흡음 및 온열기능이 구비된 복합바닥판을 이용한 바닥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