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611Y1 - 굴절형 방음판넬 - Google Patents

굴절형 방음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611Y1
KR200331611Y1 KR20-2003-0024312U KR20030024312U KR200331611Y1 KR 200331611 Y1 KR200331611 Y1 KR 200331611Y1 KR 20030024312 U KR20030024312 U KR 20030024312U KR 200331611 Y1 KR200331611 Y1 KR 2003316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action
sound
soundproof panel
sound absorbing
absorb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43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춘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창닛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창닛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창닛케이
Priority to KR20-2003-00243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6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6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6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3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undulated surf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9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with porous surfaces, e.g. concrete with porous fi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굴절형 방음판넬에 관한 것으로서, 도로변에 설치되는 지주(4)에 다단으로 설치되어 소음을 흡수하도록 한 방음판넬(10)에 있어서, 상기 방음판넬(10)은 전면에 40∼60mm의 돌출높이를 갖고, 폭 60∼80mm이 등간격지게 형성되며, 두께 1∼3mm를 갖는 굴절부(20)가 마련되고, 상기 굴절부(12)의 면적에 대해 60∼80%의 기공율을 갖는 개구공(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소음흡수는 차량의 진행방향에 의한 소음발생이 일차적으로 다수 돌출되게 배열되면서 개구공이 천공된 굴절부를 통해 점차적으로 감쇠되고, 굴절부 내부에 설치된 제1흡음재, 굴절부와 후면부 사이에 설치된 제2흡음재로서 흡음감소 기능을 다중으로 실현함으로써, 흡음율의 기준치 이상의 수치에 적법하도록 하여 소음으로부터의 파생되는 생활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굴절형 방음판넬{Refraction type soundproofing Pannel}
본 고안은 굴절형 방음판넬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방음판넬을 굴절형으로 개선하여 현저한 방음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음벽의 시공은 도로변, 절도 및 지하철, 경전철, 고속도로, 공장주변, 아파트 단지의 주거지와 도로의 경계에 설치되어 소음을 흡수시켜 생활환경의 오염을 방지하고자 하는데 있다.
통상, 방음벽을 형성하기 위한 담장은 벽돌을 적층하되, 전면으로부터 소정깊이의 개구부를 두어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도록 한 형태가 기본적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일정간격의 지주를 세우고, 그 사이에 소정높이와 길이, 폭을 갖는 방음판넬을 삽입 고정하는 형태로 방음판넬이 적층되는 높이에 따라 방음벽을 형성함으로써 그 주변에서 발생되는 자동차 소음, 경적소리 등을 현저히 낮은 데시벨(dB)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생활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종래 방음벽을 형성하기 위한 방음판넬(10)의 구조를 살피면, 첨부된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체로 전면부(1)와 후면부(2)로 구분되며, 상기 전면부(1)에는 슬릿(1a)이 다수개 배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면부(1)와 후면부(2) 사이에 마련되는 공간에는 흡음재(3)가 삽입되어 상기 슬릿(1a)을 통해 전달되는 소음을 흡음시킬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음판넬에 있어, 소음을 흡수하는 슬릿의 형태는 소음이 방음판넬의 전면부로부터 반사되는 공간이 적지 않는 관계로 그 내부에 흡음재가 설치되어 있더라도, 소음흡수율이 요구하는 기준치 이하로 나타나 설치기준에 적합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은 방음판넬의 전면부에 마련한 슬릿의 형태가 설치되는 상태에서 지면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특히 도로변으로 지나는 차량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감쇠 반응이 약하게 나타나는 것이다.
특히 도로변에서 차량의 진행방향에 대한 소음 감쇠반응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로, 2002. 12. 03일자로 개정된 환경부고시 제2002-184호에서 정하고 있는 방음벽의 음향성능 및 재질기준을 살피면, "제6조(투과손실)①방음벽의 방음판 투과손실은 수음자 위치에서 방음벽에 기대하는 회절 감쇠치에 10dB을 더한 값 이상으로 하거나, 500Hz의 음에 대하여 25dB이상, 1000Hz의 음에 대하여 30dB이상을 표준으로 한다.
②제1항의 규정에 의한 투과손실 측정방법은 KS F 2808에 의한다.
제7조(흡음율)① 흡음형 방음판의 흡윰율은 시공직전 완제품 상태에서 250, 500, 1000 및 2000Hz의 음에 대한 흡음율의 평균이 70%이상인 것을 표준으로 한다.
②제1항의 규정에 의한 흡음율 측정방법은 KS F 2805에 의한다" 라고 명시되어 있다.
하지만,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의 대부분 시공되어 있는 방음판넬은 상기와 같이 기준치 이상으로 적합한 흡음율을 기대할 수 없다는 점이 단점으로 방음판넬을 시공하는 시공사 및 수음자에게 만족 시켜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방음판넬에 있어 소음에 대한 흡음율의 기준치 이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방음판넬이 갖는 구조와 그 형상에 따라 부가되는 구성요소의 수치를 한정적으로 제한함으로써 현저한 방음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도로변에 설치되는 지주에 다단으로 설치되어 소음을 흡수하도록 한 방음판넬에 있어서, 상기 방음판넬은 전면에 40∼60mm의 돌출높이를 갖고, 폭 60∼80mm이 등간격지게 형성되며, 두께 1∼3mm를 갖는 굴절부(20)가 마련되고, 상기 굴절부(12)의 면적에 대해 60∼80%의 기공율을 갖는 개구공(22)이 형성된 굴절형 방음판넬이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방음벽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방음벽이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굴절형 방음벽을 도시한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방음벽의 횡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방음벽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굴절부에 형성된 개구공의 수치를 도시하기 위한 도 3의 A부분 확대도.
도 9는 본 고안 방음판넬의 흡음율 시험에 의한 측정결과를 도시한 그래프도,
도 10은 본 고안 방음판넬의 음향투과손실 시험에 의한 측정결과를 도시한 그래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방음판넬 20: 굴절부
21-1: 전면 21-2: 측면
22: 개구공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3은 본 고안인 굴절형 방음벽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방음벽의 횡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방음벽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굴절부에 형성된 개구공의 수치를 도시하기 위한 도 3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로변에 설치되는 지주(4)에 다단으로 설치되어 소음을 흡수하도록 한 방음판넬(10)에 있어서, 상기 방음판넬(10)은 전면에 40∼60mm의 돌출높이를 갖고, 폭60∼80mm이 등간격지게 형성되며, 두께 1∼3mm를 갖는 굴절부(20)가 마련되고, 상기 굴절부(12)의 면적에 대해 60∼80%의 기공율을 갖는 개구공(22)이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굴절부(20)는 전면에 대하여 양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전면에 대하여 일측면이 일방향으로만 경사지게 형성된 사다리꼴형, 또는 전면으로부터 측면이 일체로 둥글게 형성되는 라운드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굴절부(20)에 천공되는 개구공(22)에 있어, 전면에 형성되는 개구공은 Φ6∼7직경으로 그 간격(Pitch)은 9mm로 형성되며, 상기 굴절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공에 대해 측면에 천공되는 개구공은 Φ4∼5직경으로 그 간격(Pitch)은 7mm로 형성된다.
상기 방음판넬(10)의 굴절부(20)는 폴리프로필렌(PP) 또는 알루미늄(AL) 소재로서 1∼3mm의 두께로 형성되고, 상기 후면부는 아연도강판(HGI)으로 그 두께는 1.6∼3mm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방음판넬(10)의 상면 길이방향에 연속 적층을 위한 위치돌기(10a)가 형성되고, 하측 길이방향에 안내홈(10b)이 형성되며, 상기 후면부(12)의 길이방향에 내측으로 소정깊이의 지지턱(12a)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굴절부(20)내에 폴리에스테르 소재의 제1흡음재(30)가 삽입되며, 굴절부(20)와 후면부(12)사이에는 폴리에스테르 소재의 제2흡음재(40)가 상기 후면부(12)의 지지턱(12a) 사이에 삽입 설치된다.
상기 굴절부(20)의 돌출높이 높이에 해당하는 상부면, 하부면은 밀폐되어 이부분에는 별도로 개구공이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제1흡음재(30) 및 제2흡음재(40)는 본 고안의 방음판넬이 설치되는 지역의 특성상, 제2흡음재(40)만이 방음판넬 내부에 설치되고, 굴절부(20)내에 상기 제1흡음재(30)는 설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달리 제1흡음재(30)와 제2흡음재(40)가 일체로 합쳐진 하나의 흡음재 형태로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소재와 형상구조를 갖는 본 고안인 굴절형 방음판넬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의 방음판넬은 도로변에 설치된 지주(4)에 그 하단부터 적층되되, 적층은 각 방음판넬(10)의 상면에 형성된 위치돌기(10a)와 그 하부에 형성된 안내홈(10b)부분이 재차 세팅되는 또 하나의 방음판넬에 순차적으로 상기 안내홈(10b)이 위치돌기(10a)에 안내되어 수직상태로서 적층된다.
상기 위치돌기(10a) 및 안내홈(10b)은 다층으로 적층되는 방음판넬을 일직선상으로 안정되게 적층시킴과 동시에, 판넬과 판넬사이의 이음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적층되는 방음판넬의 전면부측에 부착된 굴절부(20)는 도로방향을 향하여 적층되는데, 상기 굴절부(20)의 전면(21-1)과 측면(21-2)은 일차적으로 소음을 맴돌이시키는 현상을 일으켜 흡음시킴과 동시에, 그 전면과 측면에 천공된 개구공(22)을 통해 그 내부측에 삽입된 제1흡음재(30)에 의해 2차적으로 소음을 감쇠시키며, 굴절부(20)와 후면부(12) 사이에 개재된 제2흡음재(40)를 통해 다중의소음을 현저히 감쇠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로변에서 차량의 진행방향에 따른 소음발생구조는 설치된 방음판넬(10)의 굴절부(20) 일측부터 진행방향으로 점차 감소시키는 특징으로 다중적인 소음감쇠반응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른 환경오염의 주범이 되는 소음발생은 본 고안인 방음판넬로서 대처할 수 있기 때문에 도로주변, 도로와 밀접하는 주거지역의 생활환경을 쾌적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굴절부(20)에 형성된 개구공(22)은 두께 1∼3mm를 갖으면서 굴절부 전면에 대해 60∼80%로 형성되되, 그 전면(21-1)과 측면(21-2)에 형성되는 개구공 차이에 따라 소음감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는, 소음이 발생되어 접하는 전면(21-1)측 개구공을 Φ6∼7직경으로 그 간격(Pitch)은 9mm로 두고, 측면(21-2)측 개구공은 Φ4∼5직경으로 그 간격(Pitch)은 7mm로 형성되도록 한 이유는 전면과 측면의 개구공 직경을 달리 갖도록 함으로써 소음발생에 따른 소음진동 파장의 변화를 갖게 하여 소음감쇠작용을 갖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른 흡수율을 실시할 수 있음을 시험을 통해 알 수 있다.
시험방법은 잔향실 내의 흡음율 측정방법으로서 KS F 2805에 의해 아래 표 1에서와 같이 시험결과표와 같이 나타났다.
주파수[Hz] 흡음율 주파수[Hz] 흡음율
125 0.38 800 0.92
160 0.46 1000 0.86
200 0.72 1250 0.87
250 1.01 1600 0.84
315 0.97 2000 0.82
400 0.93 2500 0.80
500 0.92 3150 0.77
630 0.88 4000 0.71
즉, 잔향실 내의 흡음율 측정결과치 중에서 주파수 500Hz일 때 흡음율은 0.92이고, 2000Hz일 때 흡음율은 0.82로 측정되어 결국, 환산하면 방음벽의 음향성능 및 재질기준의 제7조 흡음율의 평균이 70%이상이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시험방법으로서 건물부재의 공기전달음 차단성능 실험실 측정밥업으로서 KS F 2808:2001에 의해 아래 표2에서 같이 측정치가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주파수[Hz] 음향감쇄계수(음향투과손실)[dB] 주파수[Hz] 음향감쇄계수(음향투과손실)[dB]
100 19.3 800 37.8
125 21.9 1000 37.0
160 19.1 1250 42.1
200 19.4 1600 40.5
250 25.6 2000 39.4
315 26.8 2500 39.5
400 31.2 3150 41.5
500 34.5 4000 44.1
630 36.4 5000 43.7
즉, 잔향실 내의 흡음율 측정결과치 중에서 주파수 500Hz일 때 음향투과손실은 34.5(dB)로 나타나고, 주파수 1000Hz일 때 음향투과손실은 37.0(dB)으로 측정되어 결국, 방음벽의 음향성능 및 재질기준의 제6조 방음판에 대한 음의 투과손실의 기준치(500Hz의 음에 대하여 25dB이상, 1000Hz의 음에 대하여 30dB이상)이상의 측정치가 나옴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험 결과표를 토대로 본 고안의 굴절형 방음판넬은 첨부된 도4내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굴절형태를 가지며, 특히 첨부된 도 5의 경우의 굴절형 방음판넬은 도로상에 설치됨에 있어, 굴절의 경사진 측면은 차량의 진행방향의 측면에서 소정의 각도상으로 마주할 수 있는 위치로 되어 소음 흡음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상기 방음판넬(10)에 있어, 굴절부(20)에 대한 개구공(22)이 차지하는 60∼60%의 기공율과, 돌출된 전면(21-1)으로부터의 측면(21-2)까지의 길이(40∼60mm)와, 그 굴절의 간격(60∼80mm)은 상기 시험 결과표를 토대로 이상의 굴절부가 갖는 수치를 초과하는 범위 내에서는 이상적인 흡음효과를 가질 수 없는 것으로, 상기 굴절부가 갖는 수치의 한정은 방음벽 설치기준에 매우 이상적이라 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방음판넬에 있어, 소음흡수는 차량의 진행방향에 의한 소음발생이 일차적으로 다수 돌출되게 배열되면서 개구공이 천공된 굴절부를 통해 점차적으로 감쇠되고, 굴절부 내부에 설치된 제1흡음재, 굴절부와 후면부 사이에 설치된 제2흡음재로서 흡음감소 기능을 다중으로 실현함으로써, 흡음율의 기준치 이상의 수치에 적법하도록 하여 소음으로부터의 파생되는 생활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도로변에 설치되는 지주(4)에 다단으로 설치되어 소음을 흡수하도록 한 방음판넬(10)에 있어서,
    상기 방음판넬(10)은 전면에 40∼60mm의 돌출높이를 갖고, 폭 60∼80mm이 등간격지게 형성되며, 두께 1∼3mm를 갖는 굴절부(20)가 마련되고, 상기 굴절부(12)의 면적에 대해 60∼80%의 기공율을 갖는 개구공(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형 방음판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부(20)에 천공되는 개구공(22)에 있어, 굴절부(20)의 전면(21-1)에 형성되는 개구공은 Φ6∼7직경으로 그 간격(Pitch)은 9mm로 형성되고, 상기 굴절부(20)의 측면(21-2)에 천공되는 개구공은 Φ4∼5직경으로 그 간격(Pitch)은 7mm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형 방음판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부(20)는 전면에 대하여 양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전면에 대하여 일측면이 일방향으로만 경사지게 형성된 사다리꼴형, 또는 전면으로부터 측면이 일체로 둥글게 형성되는 라운드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형 방음판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판넬(10)의 상면 길이방향에 연속 적층을 위한 위치돌기(10a)가 형성되고, 하측 길이방향에 안내홈(10b)이 형성되며, 상기 후면부(12)의 길이방향에 내측으로 소정깊이의 지지턱(12a)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굴절부(20)내에 폴리에스테르 소재의 제1흡음재(30)가 삽입되며, 상기 전면부(11)와 후면부(12)에 폴리에스테르 소재의 제2흡음재(40)가 상기 후면부(12)의 지지턱(12a) 사이에 삽입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절형 방음판넬.
KR20-2003-0024312U 2003-07-28 2003-07-28 굴절형 방음판넬 KR2003316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312U KR200331611Y1 (ko) 2003-07-28 2003-07-28 굴절형 방음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4312U KR200331611Y1 (ko) 2003-07-28 2003-07-28 굴절형 방음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611Y1 true KR200331611Y1 (ko) 2003-10-30

Family

ID=49339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4312U KR200331611Y1 (ko) 2003-07-28 2003-07-28 굴절형 방음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61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92972B2 (ja) 吸音構造体
RU2345197C2 (ru) Звукопоглощающий блок и способ его сборки
KR200331611Y1 (ko) 굴절형 방음판넬
KR101251957B1 (ko) 방음벽용 소음 감쇠블럭체 및 이들로 구성되는 방음벽
KR102195355B1 (ko) 가설 방음판
KR102078507B1 (ko) 방음벽용 소음 감쇠기
KR200380479Y1 (ko) 방음터널
KR101177068B1 (ko) 굴절형 방음판
KR100400886B1 (ko) 흡음형 방음패널
EP0860553A2 (en) Noise barrier wall
JP3209661B2 (ja) 共鳴型吸音板
JP3159667B2 (ja) 道路用吸音構造体
JP3957128B2 (ja) 吸音機構
KR100372327B1 (ko) 도로용 방음판
KR200261486Y1 (ko) 양면방음패널
JP3301680B2 (ja) 吸音構造体
JP7306757B2 (ja) 吸音板ユニ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吸音装置
KR200343202Y1 (ko) 방음패널 및 그를 위한 다공판
KR102278057B1 (ko) 방음벽
KR100930101B1 (ko) 소음감소기를 갖는 방음벽
KR102107133B1 (ko) 어쿠스틱 단위블록으로 축조된 방음벽
KR200407112Y1 (ko) 흡차음 겸용 가설 방음판
KR200380491Y1 (ko) 도로용 회절음 방지판
KR100378634B1 (ko) 흡음벽
KR200364348Y1 (ko) 흡음 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