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0101B1 - 소음감소기를 갖는 방음벽 - Google Patents

소음감소기를 갖는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0101B1
KR100930101B1 KR1020090003387A KR20090003387A KR100930101B1 KR 100930101 B1 KR100930101 B1 KR 100930101B1 KR 1020090003387 A KR1020090003387 A KR 1020090003387A KR 20090003387 A KR20090003387 A KR 20090003387A KR 100930101 B1 KR100930101 B1 KR 100930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wall
noise
absorbing body
noise redu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상철
이명규
김승준
곽형주
이진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용마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용마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용마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900033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01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0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01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94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constructions for generation of phase shift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상단부의 풍하중이 원활히 해소되도록 하면서 흡음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고 소음감소기의 차량에 대한 충돌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설치 후에 심미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소음감소기를 갖는 방음벽이 개시된다. 상기 방음벽은 지주와, 상기 지주의 사이에 설치되는 방음벽체와, 상기 방음벽체의 상단에 도로를 향해 절곡되게 형성되는 절곡벽체와, 상기 절곡벽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소음감소기를 포함하는 소음감소기를 갖는 방음벽에 있어서, 상기 소음감소기는, 상기 절곡벽체의 상단에 다수개가 불규칙하게 적층되는 상태로 상호 장착되고, 상기 절곡벽체의 정면에서 볼 때 원형이나 삼각형 또는 사각형의 입방체로 형성되며, 상기 절곡벽체의 전후 폭과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작은 길이로 구비되는 흡음체와; 상기 흡음체의 정면 중앙에서 배면 중앙까지 상기 흡음체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이면서 상대적으로 작게 관통되어 형성되는 풍하중저감통공과; 상기 흡음체의 외부면 및 상기 풍하중저감통공이 형성된 내부면에 배열되게 다수개로 형성되는 소음을 흡수하는 소음흡수홈을; 포함한다.
방음벽, 방음, 소음감소기, 소음, 풍하중

Description

소음감소기를 갖는 방음벽{SOUNDPROOFING WALL WITH NOISE REDUCER}
본 발명은 도로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단부의 풍하중이 원활히 해소되도록 하면서 흡음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고 소음감소기의 차량에 대한 충돌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설치 후에 심미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소음감소기를 갖는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변의 방음벽은 차량 소음이 발생되는 도로와 주거지 등의 사이에 소정높이의 벽을 형성하여 음파가 벽을 넘어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음파의 이동거리를 길게 하거나 흡음기능을 하는 방음벽체를 사용하여 소음을 감소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방음벽은 금속재 방음벽, 금속재 컬러형 방음벽, 플라스틱재 방음벽, 목재 방음벽과 같은 흡음형 방음벽과, 콘크리트재 방음벽, 투명 방음벽과 같은 반사형 방음벽과, 소음감소기, 캄존과 같은 간섭형 방음벽과, VESS PANEL, 방음블럭과 같은 공명형 방음벽으로 분류된다.
도 7은 일반적인 소음감소기를 갖는 방음벽을 도시한 것으로, 소음이나 먼지의 차단이 필요한 구간에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여 타설되는 다수의 지주(100)와, 상기 지주(100)에 상하방향으로 끼워맞춤되어 설치되는 방음벽체(200)와, 상기 방음벽체(200)의 상단에 도로측으로 절곡되게 형성되는 절곡벽체(300)와, 상기 절곡벽체(300)의 상단을 따라 설치되는 원통형의 소음감소기(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방음벽체(200)는 아파트가 고층화되고 도로의 폭이 넓어지면서 건물의 중간층 이상의 소음차단 효율이 떨어짐에 따라 흡음재의 개선과 함께 그 높이를 높게 하고 있다.
상기 절곡벽체(300)는 방음벽체(200)의 상단을 도로쪽으로 절곡되게 하여 음파의 직선도달 공간을 줄임과 동시에 반사효과의 개선을 꾀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소음감소기(400)는 절곡벽체(300)의 상단에서 반사음의 회절에 따라 생성되는 회절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방음벽은 절곡벽체의 상단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소음감소기가 바람을 통과시키지 못하는 폐쇄 구조이므로, 그 구조상 풍하중을 증대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소음감소기에 가해지는 풍하중을 원활히 해소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방음벽은 그 상단부와 소음감소기가 연속되게 형성되어 상기 소음감소기를 통한 회절음에 대한 흡음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방음벽은 소음감소기가 절곡벽체의 상단에서 도로측으로 돌출 됨으로써, 상기 소음감소기에 차량이 빈번하게 충돌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단부의 풍하중이 원활히 해소되도록 하면서 흡음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고 소음감소기의 차량에 대한 충돌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설치 후에 심미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소음감소기를 갖는 방음벽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음감소기를 갖는 방음벽은 지주와, 상기 지주의 사이에 설치되는 방음벽체와, 상기 방음벽체의 상단에 도로를 향해 절곡되게 형성되는 절곡벽체와, 상기 절곡벽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소음감소기를 포함하는 소음감소기를 가지며, 상기 소음감소기에는 상기 절곡벽체의 상단에 다수개가 불규칙하게 적층되는 상태로 상호 장착되고, 상기 절곡벽체의 정면에서 볼 때 원형이나 삼각형 또는 사각형의 입방체로 형성되며, 상기 절곡벽체의 전후 폭과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작은 길이로 구비되는 흡음체가 포함되는 방음벽에 있어서, 상기 흡음체의 정면 중앙에서 배면 중앙까지 상기 흡음체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이면서 상대적으로 작게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흡음체의 정면에 가해지는 풍하중을 저감시키면서 동시에 내부로 전파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풍하중저감통공과; 상기 흡음체의 외부면 및 상기 풍하중저감통공이 형성된 내부면에 배열되게 다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풍하중저감통공의 내부로 전파되는 소음을 흡수하면서 동시에 상기 흡음체와 흡음체의 사이로 전파되는 소음을 흡수하는 소음흡수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단부의 풍하중이 원활히 해소되고, 흡음이 원활히 이루어져 소음도의 증가를 막으면서 소음저감치가 증대되며, 소음감소기의 차량에 대한 충돌이 방지되고, 설치된 후에 심미감을 가질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음벽은 지주(10)와, 상기 지주(10)의 사이에 설치되는 방음벽체(20)와, 상기 방음벽체(20)의 상단에 도로를 향해 절곡되게 형성되는 절곡벽체(30)와, 상기 절곡벽체(30)의 상단에 설치되는 소음감소기(40)를 포함한다.
상기 소음감소기(40)는 절곡벽체(30)의 상단에 장착되는 다수의 흡음체(41)와, 상기 흡음체(41)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풍하중저감통공(42)과, 상기 흡음체(41)의 외부면 및 내부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소음흡수홈(43)을 포함한다.
상기 흡음체(41)는 절곡벽체(30)의 상단에 다수개가 불규칙하게 적층되는 상태로 상호 장착되고 상기 절곡벽체(30)의 정면에서 볼 때 원형의 입방체로 형성되 는 것이다. 상기 흡음체(41)가 절곡벽체(30)의 상단에 장착되면서 동시에 불규칙하게 적층되도록 상호 장착됨으로써, 본 방음벽의 상단의 선형으로 곡선화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본 방음벽의 심미감이 증진된다.
상기 풍하중저감통공(42)은 흡음체(41)의 정면 중앙에서 배면 중앙까지 상기 흡음체(41)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이면서 상대적으로 작게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흡음체(41)의 정면에 가해지는 풍하중을 저감시키면서 동시에 내부로 전파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소음흡수홈(43)은 흡음체(41)의 외부면 및 풍하중저감통공(42)이 형성된 상기 흡음체(41)의 내부면에 배열되게 다수개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풍하중저감통공(42)의 내부로 전파되는 소음을 흡수하면서 동시에 상기 흡음체(41)와 흡음체(41)의 사이로 전파되는 소음을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소음흡수홈(43)은 흡음체(41)의 외부면 및 내부면을 통과하는 소음을 불규칙하게 반사시킴으로써, 상기 소음흡수홈(43)에 의해 반사된 소음이 서로 상쇄거나 상기 흡음체(41)를 통해 흡수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음감소기(40)인 흡음체(41)는 그 전면에서 배면까지 관통되게 형성되는 풍하중저감통공(42)을 통해 본 방음벽의 상단부를 통해 상대적으로 크게 가해지는 풍하중(W)을 원활히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흡음체(41)는 절곡벽체(30)의 전후 폭(A)과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작은 길이(B)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흡음체(41)가 상기 절곡벽체(30)의 전방측 으로, 즉 도로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소음감소기(40)인 흡음체(41)와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 간의 충돌의 원활히 방지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부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흡음체(41)는 그 중앙에 동일한 형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풍하중저감통공(42)과, 상기 흡음체(41)의 외부면 및 내부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소음흡수홈(43)을 포함한다.
상기 흡음체(41)는 다수개가 불규칙하게 적층되는 상태로 상호 장착되는 것으로, 본 방음벽의 정면에서 볼 때 삼각형의 입방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부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흡음체(41)는 그 중앙 동일한 형상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풍하중저감통공(42)과, 상기 흡음체(41)의 외부면 및 내부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소음흡수홈(43)을 포함한다.
상기 흡음체(41)는 다수개가 불규칙하게 적층되는 상태로 상호 장착되는 것으로, 본 방음벽의 정면에서 볼 때 사각형의 입방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요부 사시도,
도 7은 종래의 방음벽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주 20 : 방음벽체
30 : 절곡벽체
40 : 소음감소기
41 : 흡음체 42 : 풍하중저감통공
43 : 소음흡수홈

Claims (1)

  1. 지주(10)와, 상기 지주(10)의 사이에 설치되는 방음벽체(20)와, 상기 방음벽체(20)의 상단에 도로를 향해 절곡되게 형성되는 절곡벽체(30)와, 상기 절곡벽체(30)의 상단에 설치되는 소음감소기(40)를 포함하는 소음감소기를 가지며, 상기 소음감소기(40)에는 상기 절곡벽체(30)의 상단에 다수개가 불규칙하게 적층되는 상태로 상호 장착되고, 상기 절곡벽체(30)의 정면에서 볼 때 원형이나 삼각형 또는 사각형의 입방체로 형성되며, 상기 절곡벽체(30)의 전후 폭과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작은 길이로 구비되는 흡음체(41)가 구비된 방음벽에 있어서,
    상기 흡음체(41)의 정면 중앙에서 배면 중앙까지 상기 흡음체(41)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이면서 상대적으로 작게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흡음체(41)의 정면에 가해지는 풍하중을 저감시키면서 동시에 내부로 전파되는 소음을 저감시키는 풍하중저감통공(42)과;
    상기 흡음체(41)의 외부면 및 상기 풍하중저감통공(42)이 형성된 내부면에 배열되게 다수개로 형성되고, 상기 풍하중저감통공(42)의 내부로 전파되는 소음을 흡수하면서 동시에 상기 흡음체(41)와 흡음체(41)의 사이로 전파되는 소음을 흡수하는 소음흡수홈(4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감소기를 갖는 방음벽.
KR1020090003387A 2009-01-15 2009-01-15 소음감소기를 갖는 방음벽 KR100930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387A KR100930101B1 (ko) 2009-01-15 2009-01-15 소음감소기를 갖는 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387A KR100930101B1 (ko) 2009-01-15 2009-01-15 소음감소기를 갖는 방음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30101B1 true KR100930101B1 (ko) 2009-12-07

Family

ID=41683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387A KR100930101B1 (ko) 2009-01-15 2009-01-15 소음감소기를 갖는 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01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43536A (zh) * 2016-08-26 2019-04-16 富士胶片株式会社 防音结构体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6781A (ko) * 2003-02-26 2004-09-03 기승철 자동차용 폐공기청정기 여과재를 재활용한 소음방지용소음감소기
KR200436715Y1 (ko) * 2007-07-20 2007-09-27 에스에이 주식회사 풍압을 이용한 소음간섭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6781A (ko) * 2003-02-26 2004-09-03 기승철 자동차용 폐공기청정기 여과재를 재활용한 소음방지용소음감소기
KR200436715Y1 (ko) * 2007-07-20 2007-09-27 에스에이 주식회사 풍압을 이용한 소음간섭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43536A (zh) * 2016-08-26 2019-04-16 富士胶片株式会社 防音结构体
EP3506254A4 (en) * 2016-08-26 2019-11-27 FUJIFILM Corporation SOUNDPROOF STRUCTURE
US11332926B2 (en) 2016-08-26 2022-05-17 Fujifilm Corporation Soundproof structure
EP3506254B1 (en) * 2016-08-26 2024-04-24 FUJIFILM Corporation Soundproof structur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3008B1 (ko) 흡음 투명 방음판
KR100930101B1 (ko) 소음감소기를 갖는 방음벽
KR20160059506A (ko) 흡음 방음판
KR101251957B1 (ko) 방음벽용 소음 감쇠블럭체 및 이들로 구성되는 방음벽
KR101038276B1 (ko) 방음벽용 패널
CN101305154B (zh) 柜式家具
KR20150003817U (ko) 방음벽용 복합 소음저감장치
KR20100042703A (ko) 흡음봉을 구비한 방음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벽
KR101102189B1 (ko) 소음 흡수 효과가 뛰어난 방음패널
KR200405986Y1 (ko) 방음벽용 철판구조
KR101167090B1 (ko) 소음 감쇠기
KR200462433Y1 (ko) 투명방음판
KR200420185Y1 (ko) 소음감쇠기
KR100923513B1 (ko) 방음패널
KR100928568B1 (ko) 목재 프레임형 투명 방음판
KR101128390B1 (ko) 방음패널
KR100673623B1 (ko) 방음유닛, 방음벽 및 방음터널
KR20090011141A (ko) 방음판넬
KR200414179Y1 (ko) 방음벽용 회절음 감쇄구조
KR200202348Y1 (ko) 방음벽 소음제어판
KR200291869Y1 (ko) 도로용 방음벽
KR101246781B1 (ko) 방음판 구조체
KR200191496Y1 (ko) 방음벽
KR20160012840A (ko) 방음벽 패널
KR200386762Y1 (ko) 이중 방음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