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19610A - 투명 물질층을 이용한 흡음판 - Google Patents
투명 물질층을 이용한 흡음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00019610A KR20100019610A KR1020080078264A KR20080078264A KR20100019610A KR 20100019610 A KR20100019610 A KR 20100019610A KR 1020080078264 A KR1020080078264 A KR 1020080078264A KR 20080078264 A KR20080078264 A KR 20080078264A KR 20100019610 A KR20100019610 A KR 2010001961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und absorbing
- material layer
- transparent material
- absorbing plate
- nois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5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11358 absorb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20000058 polyacrylat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187 foam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29920002037 poly(vinyl butyra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DQXBYHZEEUGOBF-UHFFFAOYSA-N but-3-enoic acid;ethene Chemical compound C=C.OC(=O)CC=C DQXBYHZEEUGOB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038 ethylene vinyl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200 poly(ethylene-vinyl acet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93 Polystyr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13 adhesive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125 extru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 for exampl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223 poly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33 Thermoplastic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6 build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51 engineering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88 foam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53 texti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803 thermoplastic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83 yel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layer of regularly- arranged cells, e.g. a honeycomb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57—Solid slabs or blocks
- E04B2001/8461—Solid slabs or blocks layere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57—Solid slabs or blocks
- E04B2001/8476—Solid slabs or blocks with acoustical cavitie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 E04B2001/848—Solid slabs or blocks with acoustical cavitie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the cavities opening onto the face of the element
- E04B2001/849—Groove or slot type open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흡음효과를 강화시키고 다양한 무늬를 표현하여 심미감을 주며 무게가 가벼운 투명한 물질층을 이용한 흡음판을 제공한다. 외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받아들이는 투과홀이 형성되고 투명한 물성을 가진 투명 물질층과, 투명 물질층에 접합되며 소음의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공간이 형성된 흡음구조체를 포함하는 흡음 물질층 및 흡음 물질층에 접합되며 흡음구조체를 통과하는 소음을 반사시키는 후면 물질층을 포함한다.
흡음, 투명, 흡음구조체, 소음
Description
본 발명은 흡음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유리와 같이 투명한 물질층을 이용하여 흡음의 특성을 개선시키고 동시에 심미감을 부여하는 흡음판에 관한 것이다.
현대 문명생활에서 피할 수 없이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고 흡수를 위해 다양한 노력들이 진행되어 왔다. 즉, 각 주택건설현장, 도로 주변의 공간, 산업현장 등에서도 소음을 차단하고 줄이기 위한 각종 차음재 및 흡음재가 채용되어져 왔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음 소재로서는 목재, 콘크리트와 같은 일반적인 건축소재,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합성수지재에서 스티로폴, 금속 타공판과 같은 소재까지 다양한 제품들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차음, 흡음효과가 뛰어나고 시공이 용이하며 가격이 저렴하고 불연성, 내열성을 모두 만족하는 알루미늄 발포 패널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알루미늄 발포 패널은 알루미늄 용탕을 증점제로 증점시키고 이어서 용탕에 발포제를 투여하고 고속으로 교반하여 발포시켜 고형물을 얻는다. 고형물 중 발포가 가장 적절하게 잘 이루어진 부분을 중심으로 적절한 두께, 예컨대 13.5㎜로 절단하여 압연율 약 40%로 압연하여 얻은 약 9㎜ 두께의 패널을 사용하였다. 이렇게 압연을 하는 이유는 압연을 통해 발포 알루미늄 고형체에 미세한 크랙이 가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압연에 의해 발생한 크랙은 발포된 발포공과 더불어 소리에너지를 흡수하여 열에너지로 변환시켜 소리에너지를 소멸시킨다. 또한 압연을 통하여 패널의 밀도를 높여 패널 자체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흡음판은 금속인 알루미늄을 사용하므로 패널에 투명성이 확보되지 않아 다양한 무늬를 표현할 수 없어 외관이 조악하다. 또한, 금속을 사용하는 흡음판은 소음이 큰 곳에 적용하기에는 아직 부족한 점이 많다. 나아가 금속을 사용하는 흡음판은 무게가 상대적으로 무거우므로, 이를 설치하거나 설계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흡음효과를 강화시키고 다양한 무늬를 표현하여 심미감을 주며 무게가 가벼운 투명한 물질층을 이용한 흡음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흡음판의 하나의 실시예는 외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받아들이는 투과홀이 형성되고 투명한 물성을 가진 투명 물질층과, 상기 투명 물질층에 접합되며 소음의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공간이 형성 된 흡음구조체를 포함하는 흡음 물질층 및 상기 흡음 물질층에 접합되며 상기 흡음구조체를 통과하는 소음을 반사시키는 후면 물질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흡음판에 있어서, 상기 투명 물질층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유리 중에 선택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층 또는 상기 층들이 조합된 복합층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투과홀은 원형, 사각형, 육각형, 사다리꼴 및 무정형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면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투명 물질층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과홀은 상기 흡음판이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상기 단면과 상기 경사면을 상기 흡음판의 위치에 따라 달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음 물질층은 고분자 또는 종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음판에 있어서, 상기 흡음구조체는 발포에 의한 다공 또는 원형, 사각형, 육각형, 사다리꼴 및 무정형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면을 가진 홀에 의해 상기 소음에너지를 감소시키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흡음구조체는 상기 흡음 물질층의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을 가진 그루브 형태로 상기 구조체의 밑면에는 흡음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상기 밑면에 대하여 수직하거나 찌그러진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흡음판에 있어서, 상기 투명 물질층 및 상기 흡음 물질층 사이에 직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흡음 물질층 및 상기 후면 물질층 사이에 직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흡음판의 다른 예는 외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받아들이는 투과홀이 형성되고 투명한 물성을 가진 투명 물질층과, 상기 투명 물질층에 접합되며 소음의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소음을 차단시키는 차단면이 형성된 흡음구조체를 포함하는 흡음 물질층 및 상기 흡음 물질층에 접합되는 후면 물질층을 포함한다.
상기 다른 예에 의한 흡음판에 있어서, 상기 흡음구조체는 발포에 의한 다공 또는 원형, 사각형, 육각형, 사다리꼴 및 무정형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면에 의해 상기 소음에너지를 감소시키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음구조체는 상기 흡음 물질층의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을 가진 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격벽은 상기 밑면에 대하여 수직하거나 찌그러진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투명 물질층을 이용한 흡음판에 의하면, 일차적으로 소음을 감소시키는 직물과 소음의 대부분의 제거하는 흡음 물질층을 둠으로써, 다양한 형태로 소음을 제거할 수 있으며, 특히 흡음 물질층의 흡음구조체는 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나아가 직물에 다양한 무늬를 도안하여 투명 물질층으로 표현되어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들은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어떤 재료에 입사한 소리의 에너지는 그 일부가 표면에서 반사되고 일부는 투과하며, 나머지는 재료 내에 흡수된다. 재료 내부의 소리 흡수는 다공성 재료인 경우에는 그 내부에서의 마찰이나 점성저항 또는 소섬유(小纖維)의 진동, 얇은 판이나 천인 경우에는 막진동, 입구가 좁은 항아리와 같은 경우에는 공명에 의하여 소리가 에너지를 상실하기 때문에 일어난다.
재료의 한쪽에 소리를 투사하고 그 쪽에서만 관찰하면 반사되어 오지 않는 소리는 재료에 흡수된 것과 투과한 것인데, 겉보기에는 그 재료에 흡수된 것으로 보이므로 이것을 흡음이라 하고, 입사한 소리의 에너지에 대하여 반사되지 않은 소리의 에너지 비율을 흡음률이라 한다. 흡음률은 소리의 주파수, 입사각, 재료 두께, 설치방식 및 그 뒷면의 상황 등에 따라 다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다공 또는 미세 기공 등(이하, 흡음구조체)을 가진 고분자 및 직물을 이용하여 흡음효과를 향상시키고, 도안이 디자인된 직물을 이용하여 심미감을 부여하도록 투명한 물질층을 이용한 흡음판을 개시한다. 여기서, 흡음구조체는 발포 또는 인위적으로 타공하거나 압출 및 사출 등의 성형공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는 먼저 다공성을 가진 투명한 물질층과 직물을 이용한 흡음판에 대해 설명하고 이어서 이를 확대하여 적용하는 사례를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투명한 물질층을 이용한 제1 흡음판(10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흡음판(100)은 후면 물질층(110), 흡음 물질층(130), 직물(140) 및 투명 물질층(160)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각각의 층은 접합필름들(120, 150)에 의해 접합된다. 여기서, 투명 물질층(160)은 외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받아들인다. 이때, 직물(140)은 후면 물질층(110)과 흡음 물질층(13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투명 물질층(160)은 제1 기판(161)에 소음이 통과하도록 타공된 복수개의 투과홀(162)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투과홀(162)은 소음이 통과되기에 충분한 크기, 모양 및 개수를 가진다. 예를 들어, 도로주변에 설치된 것과 가정용 흡음판의 경우에 투과홀(162)의 모양과 크기 및 개수를 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투명 물질층(160)은 투명한 물질이면 모두 가능하나,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와 같은 고분자 및 유리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분자 또는 유리 중에 선택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층 또는 상기 층들이 조합된 복합층일 수 있다. 투명한 고분자는,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등이 사용할 수 있으나,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아크릴레이트는 비결정질 고분자로서 투명한 투명 고분자이다. 또한 인장강도(㎏/㎝2)가 소위 엔지니어링 플라스 틱 중에서도 우수한 편이며, 충격강도(㎏, ㎝/㎝)는 다른 플라스틱보다 월등하게 크므로, 도로주변 등에 방음벽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또한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아크릴레이트는 투명한 재질이므로, 직물을 이용하여 방음벽에 다양한 무늬를 제공할 수도 있다.
직물(140)은 모든 섬유가 가능하며 상기 섬유로 이루어진 시트 또는 망사 형태의 기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직물(140)은 부직포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직물(140)은 투명하거나 불투명하는 것에 무관하나, 불투명한 것이 바람직하고 그 면상에 인쇄된 무늬에 의해 시각적으로 장식성을 가진다. 직물(140)은 제1 흡음판(100)에서 일차적인 흡음 기능을 한다. 즉, 투과홀(162)을 거친 소음이 직물(140)에 도달하면 소음이 가지는 에너지가 섬유와 마찰 또는 섬유에 의한 진동으로 감소하여 흡음의 효과가 있다.
흡음 물질층(130)은 제2 기판(231)에 형성된 흡음구조체(132)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흡음구조체(132)는 발포, 압출 및 사출 등의 성형공정 또는 인위적인 작업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는 흡음물질층(130)의 하나의 사례를 도시하였다. 흡음 물질층(130)은 다양한 형태의 흡음구조체(132)를 가질 수 있으며, 흡음구조체(132)의 형태에 따라 공명, 마찰 등에 의해 소음의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흡음이 일어난다. 이에 대해서는 도 3a 및 도 3d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흡음 물질층(130)은 모든 고분자 및 종이 구조물을 활용할 수 있다. 왜냐하면, 불투명한 직물(140)인 경우에 굳이 투명한 고분자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흡음 고분자층(130)이 제1 흡음판(1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고분자,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스틸렌 등을 사용할 수 있어서 제1 흡음판(100)을 제조하는 비용과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종이 구조물은 수분을 흡수하지 않은 환경이면 사용이 가능하므로, 상기 환경에는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후면 물질층(110)은 흡음구조체(132)를 지나온 소음을 반사하기 위하여 평판 형태를 가진다. 다시 말해, 흡음구조체(132)를 지나온 소음이 다시 흡음 물질층(130) 방향으로 반사시키기 위하여 평활한 표면을 가진다. 더하여, 후면 물질층(110)은 본 발명의 제1 흡음판(1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므로, 강성이 큰 물질, 예컨대 폴리카보네이트가 바람직하다. 나아가, 후면 물질층(110)은 제1 흡음판(100)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제1 흡음판(100)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투명 물질층(160)과 동일한 재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필름(120, 150)은 투명한 접착제, 예컨대 폴리비닐부티랄(PVB)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흡음판(100)의 가공방법에 따라 접착제의 종류를 달리할 수 있다. 접착제의 하나의 예로써, PVB 접합필름을 들 수 있다. PVB 접착필름은 투명 물질층(160)과 직물(130), 직물(130)과 흡음 물질층(130) 및 흡음 물질층(130)과 후면 물질층(110)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고온의 열과 압력에 의해 평면 또는 곡면의 제1 흡음판(100)으로 성형된다.
접착제의 다른 예로써, 공기나 온도 등에 따른 산화황변 현상이 없고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지 않고 높은 투명도를 가진 열가소성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접 합필름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약 두께 15∼120㎛의 EVA(Ethylene-vinyl Acetate) 접합필름도 가능하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접합필름(120, 150)은 EVA, 폴리비닐부티랄(PVB) 및 폴리우레탄(Polyurethane)을 사용할 수 있다.
접합필름(120, 150)은 소음이 통과되도록 접착되는 층에 맞추어 가공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물질층(160)에 접합되는 접합필름(150)은 투명 물질층(160)의 투과홀(162)에 대응하여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방법적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투명 물질층(160)에 접합필름(150)을 부착한 후에 동시에 홀을 제조할 수 있다. 물론, 제1 흡음판(100)의 구조에 따라 다른 방법으로도 제조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d는 도 1의 투명 물질층(160)의 변형예를 Ⅱ-Ⅱ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이때, 설치된 제1 흡음판(100)을 기준으로 지면에 가까운 부분을 하측이라고 하고, 지면에서 먼 부분을 상측이라고 한다.
도 2a 내지 도 2d를 참조하면, 투과홀(162)은 평면적으로 보아 다양한 모양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원형, 사각형, 육각형, 사다리꼴 및 무정형 등의 단면을 가질 수 있고, 투명 물질층(160)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거나 같거나 넓어질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도 2a와 같이, 상측부분은 바깥 쪽 위 방향으로 하측부분은 바깥 쪽 아래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투과홀(162)을 편의상 제1 투과홀이라고 한다. 또한 투과홀(162)은 도 2b와 같이, 투과홀(162)의 상측부분은 경사가 없으나 하측부분은 바깥 쪽 아래방향으로 경사진 제2 투과홀일 수 있다. 나아가, 상측부분과 하측부분이 모두 바깥 쪽 아래 방향으로 경사진 도 2c의 제3 투과 홀도 가능하며, 도 2d처럼 도 2c에서 경사도를 달리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범주에서 다양한 형태의 투과홀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투과홀(162)은 제1 흡음판(100)이 적용되는 것에 따라 모양, 크기 및 개수를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로의 주변에 설치되는 흡음판이라면, 하측부분은 거의 수평하게 소음이 전달되므로 상기 제1 투과홀이 바람직할 것이고, 상측부분은 아래로부터 소음이 전달되므로 상기 제2 내지 제4 투과홀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따라, 투과홀의 크기 및 개수를 달리하면 본 발명의 제1 흡음판(100)의 흡음 기능을 최대화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d는 도 1의 흡음 물질층(130)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들이다. 여기서는 흡음 물질층(130)에 형성된 흡음구조체(132)를 다양한 형태로 변형한 예를 제시한 것이다. 흡음구조체(132)는 평면적으로 보아 다양한 모양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원형, 사각형, 육각형, 사다리꼴 및 무정형 등의 단면을 가질 수 있고, 흡음 물질층(130)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거나 같거나 넓어질 수도 있다.
도 3a는 변형예 중의 하나인 발포 고분자(134)를 제시한다. 발포 고분자(134)는 통상적인 발포 고분자이면 모두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발포 고분자는 폴리염화비닐, 폴리올레핀,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및 폴리카보네이트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발포 고분자는 자체로 흡음의 효과가 있으며, 개구율(%)과 개구 깊이를 조절하여 흡음의 효과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b는 변형예 중의 하나인 육각형의 흡음구조체(135)가 형성된 흡음 물질층(130)이다. 육각형의 흡음구조체(135)는 음파를 공명하여 제거하는 데 유리한 구 조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육각형의 흡음구조체(135)를 둠으로써 외부로부터 흡음구조체(135)로 들어오는 소음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면 물질층(110)과, 후면 물질층(110)과 흡음 물질층(130)의 사이의 접합필름(120) 및 후면 물질층(110)의 흡음구조체(135)의 공명을 일으키는 구조를 가진다. 위와 같은 공명구조는 외부로부터 들어온 소음의 공명을 일으켜 소음의 에너지를 크게 줄여 흡음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소음의 일부는 위의 층들과 부딪힌 마찰에 의해 소음이 감소시키기도 한다.
도 3c는 흡음물질층의 다른 변형예로써, 한쪽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그루브(136) 형태를 가진 것이다. 이때 그루브(136)의 격벽은 도 3d와 같이 찌그러진 모양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136)의 밑면에는 흡음홀(137)이 형성되어 있어 도 3b에서 설명한 공명효과를 더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흡음판(100)은 일차적으로 소음을 감소시키는 직물(140)과 소음의 대부분의 제거하는 흡음 물질층(130)을 둠으로써, 다양한 형태로 소음을 제거할 수 있으며, 특히 흡음 물질층(130)의 흡음구조체(135)는 소음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나아가 직물(140)에 다양한 무늬를 도안하여 투명 물질층(160)으로 표현되어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1 흡음판(100)에서 직물(140)을 두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제1 흡음판(100)은 투명 물질층(160), 흡음 물질층(130) 및 후면 물질층(110)이 접합필름(120, 150)에 의해 적층된 구조이다. 이 경우에는 제1 흡음판(100)에 직물(140)이 없으므로,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고 단지 흡음의 효과만을 강조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투명한 고분자를 이용한 제2 흡음판(20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 제2 흡음판(200)은 제1 흡음판(100)에서 흡음 물질층(230) 및 흡음 물질층(230)과 후면 물질층(210) 사이의 접합필름(220)에 차이가 있다. 이때, 투명 물질층(270), 접합필름(260), 직물(250), 접합필름(240) 및 후면 물질층(210)은 각각 도 1의 투명 물질층(160), 접합필름(150), 직물(140), 접합필름(120) 및 후면 물질층(110)과 그 구조 및 재질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에 의하면, 제2 흡음판(200)은 투명 물질층(270), 접합필름(260), 직물(250), 접합필름(240), 흡음 물질층(230), 접합필름(220) 및 후면 물질층(110)이 적층된 구조를 가진다. 이때, 흡음 물질층(230)은 제1 흡음판(100)의 흡음 물질층(130)과 동일하게 소음이 통과하는 구조를 갖거나, 상기 흡음 물질층(130)에서 후면 물질층(110)으로 향하는 곳에 소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면이 형성된 것일 수도 있다.
만일, 흡음 물질층(230)이 소음이 통과하는 구조를 가지면, 접합필름(220)이 소음을 차단하도록 평활한 차단면을 가진다. 만일 소음을 차단하는 면을 가져도 접합필름(220)은 평활한 면으로 이루어져 흡음 물질층(230)과 후면 물질층(210)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한편 흡음 물질층(230)에는 흡음구조체(232)가 형성되어 있어, 흡음구조체(132)에 의해 제1 흡음판(100)과 동일한 과정을 통하여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3a의 발포 고분자의 경우에는 접합필름(220)이 차단면의 역할을 하며, 도 3b 내지 도 3d의 경우에는 접합필름(220)에 접합되어 있는 흡음구조체(232)는 평활한 차단면을 이루고 있다. 이에 따라 외부에서 들어온 소음은 상기 차단면에서 반사되어 공명, 마찰 등에 의해 그 에너지가 감소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투명한 고분자를 이용한 제3 흡음판(300)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 제3 흡음판(300)은 제1 흡음판(100)에서 직물(330)을 더 추가하는 데에 차이가 있다. 이때, 투명 물질층(380), 접합필름(370), 직물(360), 접합필름(340), 흡음 물질층(350) 및 후면 물질층(210)은 각각 도 1의 투명 물질층(160), 접합필름(150), 직물(140), 접합필름(120), 흡음 물질층(130) 및 후면 물질층(110)과 그 구조 및 재질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3 흡음판(300)은 투명 물질층(380), 접합필름(370), 직물(360), 접합필름(340), 흡음 물질층(350), 부직포(330), 접합필름(320) 및 후면 물질층(310)이 적층된 구조를 가진다. 제3 흡음판(300)은 흡음 물질층(350)과 후면 물질층(310) 사이에 직물(360)을 더 부가함으로써, 흡음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직물(360)은 부직포를 포함하는 것이며, 나아가 한지와 같은 종이도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의 흡음판을 차량이 지나는 고속도로나 일반도로에 적용하는 방법이 다를 수 있다. 고속도로는 차량의 속도가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차에서 나는 소음은 타이어와 도로의 마찰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가장 크다. 따라서 타이어와 도로의 마찰에서 나오는 소음의 주파수를 간섭을 일으켜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주파수에서 맞추어 투과홀의 개수와 흡음구조체의 구조를 정할 수 있다. 또한 일반도로의 경우에 차량의 엔진이나 미션에서 나는 소음이 가장 크기 때문에 그 주파수에 맞추어 투과홀의 개수와 흡음구조체의 구조를 정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의한 투명한 물질층을 이용한 제1 흡음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도 1의 투명 물질층의 변형예를 Ⅱ-Ⅱ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도 1의 흡음 물질층의 변형예를 나타낸 사시도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투명한 고분자를 이용한 제2 흡음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투명한 고분자를 이용한 제3 흡음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제1 흡음판
110, 210, 310; 후면 물질층
130, 230, 350; 흡음 물질층
140, 250, 330, 360; 직물
160, 270, 380; 투명 물질층
Claims (14)
- 외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받아들이는 투과홀이 형성되고 투명한 물성을 가진 투명 물질층;상기 투명 물질층에 접합되며 소음의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공간이 형성된 흡음구조체를 포함하는 흡음 물질층; 및상기 흡음 물질층에 접합되며 상기 흡음구조체를 통과하는 소음을 반사시키는 후면 물질층을 포함하는 투명 물질층을 이용한 흡음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물질층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유리 중에 선택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층 또는 상기 층들이 조합된 복합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물질층을 이용한 흡음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홀은 원형, 사각형, 육각형, 사다리꼴 및 무정형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면을 가질 수 있고, 상기 투명 물질층 방향으로 폭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물질층을 이용한 흡음판.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홀은 상기 흡음판이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상기 단면과 상기 경사면을 상기 흡음판의 위치에 따라 달리 형성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물질층을 이용한 흡음판.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 물질층은 고분자 또는 종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물질층을 이용한 흡음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구조체는 발포에 의한 다공 또는 원형, 사각형, 육각형, 사다리꼴 및 무정형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면을 가진 홀에 의해 상기 소음에너지를 감소시키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물질층을 이용한 흡음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구조체는 상기 흡음 물질층의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을 가진 그루브 형태로 상기 구조체의 밑면에는 흡음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물질층을 이용한 흡음판.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밑면에 대하여 수직하거나 찌그러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물질층을 이용한 흡음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물질층 및 상기 흡음 물질층 사이에 직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물질층을 이용한 흡음판.
- 제1항 또는 제9에 있어서, 상기 흡음 물질층 및 상기 후면 물질층 사이에 직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물질층을 이용한 흡음판.
- 외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받아들이는 투과홀이 형성되고 투명한 물성을 가진 투명 물질층;상기 투명 물질층에 접합되며 소음의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소음을 차단시키는 차단면이 형성된 흡음구조체를 포함하는 흡음 물질층; 및상기 흡음 물질층에 접합되는 후면 물질층을 포함하는 투명 물질층을 이용한 흡음판.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구조체는 발포에 의한 다공 또는 원형, 사각형, 육각형, 사다리꼴 및 무정형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면에 의해 상기 소음에너지를 감소시키는 공간을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물질층을 이용한 흡음 판.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구조체는 상기 흡음 물질층의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격벽을 가진 그루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물질층을 이용한 흡음판.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밑면에 대하여 수직하거나 찌그러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물질층을 이용한 흡음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78264A KR20100019610A (ko) | 2008-08-11 | 2008-08-11 | 투명 물질층을 이용한 흡음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78264A KR20100019610A (ko) | 2008-08-11 | 2008-08-11 | 투명 물질층을 이용한 흡음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19610A true KR20100019610A (ko) | 2010-02-19 |
Family
ID=42089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78264A KR20100019610A (ko) | 2008-08-11 | 2008-08-11 | 투명 물질층을 이용한 흡음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00019610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0250Y1 (ko) * | 2012-07-10 | 2013-12-06 |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 경량콘크리트 방음판 |
CN111218995A (zh) * | 2020-03-05 | 2020-06-02 | 河南科技大学 | 一种具有微通风换气的隔音板 |
-
2008
- 2008-08-11 KR KR1020080078264A patent/KR20100019610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0250Y1 (ko) * | 2012-07-10 | 2013-12-06 |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 경량콘크리트 방음판 |
CN111218995A (zh) * | 2020-03-05 | 2020-06-02 | 河南科技大学 | 一种具有微通风换气的隔音板 |
CN111218995B (zh) * | 2020-03-05 | 2021-04-30 | 河南科技大学 | 一种具有微通风换气的隔音板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2639795B (zh) | 声学面板、墙结构和路旁屏障 | |
EP2593614B1 (en) | An acoustic panel | |
KR102074045B1 (ko) | 방음 패널 및 방음 구조 | |
JP5956786B2 (ja) | 吸音パネル並びに吸音方法及び音響改善方法 | |
KR20110021843A (ko) | 방음 복합체 | |
EP1719113A1 (en) | Thermoformable acoustic product | |
US6793037B1 (en) | Structured molded parts for sound absorption | |
KR101443030B1 (ko) | 차량용 흡음성 차음재 | |
KR100796472B1 (ko) | 투광성 방음판 및 방음벽 | |
CA2285502A1 (en) | Sound-absorbing panel for interior decoration | |
KR20100019610A (ko) | 투명 물질층을 이용한 흡음판 | |
KR100665085B1 (ko) | 복합방음판 및 그의 제조방법 | |
KR200450881Y1 (ko) | 복합 방음 패널 | |
EP1342857A2 (en) | Coating element with high sound-absorbing properties | |
JP2000303412A (ja) | 透光性防音板及びこれを用いた防音壁 | |
KR20090003243U (ko) | 반사형 단열판 | |
KR101136031B1 (ko) | 방음벽용 흡음 패널 및 이를 구비한 방음벽 | |
KR20050117512A (ko) | 흡음형 방음판 구조물 | |
JP6466646B2 (ja) | 吸音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吸音方法 | |
JP2005155318A (ja) | 透光性防音板および防音壁 | |
KR20060026780A (ko) |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방음재 및 이를 이용하는 건물의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형성방법 | |
KR200386960Y1 (ko) | 복합방음판 | |
JPH0226973Y2 (ko) | ||
KR200498361Y1 (ko) | 엠보싱발포시트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 이중바닥구조 | |
KR200184713Y1 (ko) | 방음벽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