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04039A - 삼각기둥 프리즘 형상의 프레스 다이를 이용한 미세타공 흡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 - Google Patents

삼각기둥 프리즘 형상의 프레스 다이를 이용한 미세타공 흡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04039A
KR20200004039A KR1020180076975A KR20180076975A KR20200004039A KR 20200004039 A KR20200004039 A KR 20200004039A KR 1020180076975 A KR1020180076975 A KR 1020180076975A KR 20180076975 A KR20180076975 A KR 20180076975A KR 20200004039 A KR20200004039 A KR 20200004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absorbing plate
microporous sound
plate
micropor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6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3689B1 (ko
Inventor
이영제
권영봉
황성호
정수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경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경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경시스템
Priority to KR1020180076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3689B1/ko
Publication of KR20200004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3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3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 B21D22/04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for dim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6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sheets or flat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227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screens ; Arrangements of sound-absorbing elements, e.g. baff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57Solid slabs or blocks
    • E04B2001/8461Solid slabs or blocks layer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2001/8457Solid slabs or blocks
    • E04B2001/8476Solid slabs or blocks with acoustical cavitie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 E04B2001/848Solid slabs or blocks with acoustical cavities, with or without acoustical filling the cavities opening onto the face of the el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미세타공 흡음판 및 이를 이용한 흡음장치는 다수의 삼각기둥 프리즘 형상을 일렬로 구비한 금속 재질의 삼각기둥 프레스 다이를 소정의 기울기로 기울여 표면에 지그재그 방식으로 프레스하여, 삼각뿔 형상의 복수 열을 지그재그 형태로 구비하는 복수의 삼각뿔 프레스열 및 상기 복수의 삼각뿔 프레스열마다 중앙 모서리에 삼각형 형태의 타공을 형성하는 복수의 미세 타공열을 포함하는 미세타공 흡음판과 이를 이용한 흡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삼각기둥 프리즘 형상의 프레스 다이를 이용한 미세타공 흡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MICRO-HOLE NOISE ABSORBING PLATE USING TRIGONAL PRISM SHAPE PRESS DIE AND MULTI-LAYERED MICRO-HOLE NOISE ABSORB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소음을 흡입하여 저감시키는 미세타공 흡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삼각기둥 프리즘 형상의 프레스 다이를 이용한 미세타공 흡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실내 마감재로서 내부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외부 소음이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흡음재가 사용된다. 또한 도로변이나 건물 공사 현장에 설치되어 차량 소음이나 공사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할 목적으로 흡음장치를 설치하게 되며, 흡음장치에는 방음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흡음판이 부착된다.
종래의 흡음판이나 흡은 장치는 대체로 철판으로 이루어진 정면판과 배면판 사이에 스티로폼, 암면 등의 흡음재가 배치되고, 상기 정면판, 흡음재 및 배면판이 볼트 또는 리벳에 의해 결합되어 있어, 비교적 중량이 많이 나가고 부피가 크며 교체나 수리 비용이 높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소재 또는 인체에 유해한 소재가 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가 있어 환경공해 차원에서 문제를 야기하거나 재활용 자체가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흡음판에 자주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폼은 화재에 취약하기 때문에 안전성 측면에서 밀폐된 공간에서의 사용을 금하고 있다 폴리에스터도 화재와 내구성과 내습성에 취약한 점이 있으며, 우천시나 물청소시 흡음재가 물을 흡수하므로 발수시까지는 흡음기능을 전혀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최근에 고속도로등 사고에 의한 화재로 방음벽이 불에 타면서 섬유계 흡음재의 난연성능이 문제가 되어 이에 대한 품질을 강화하려는 추세이며, 내구연한이 지난 기존방음판은 건설폐기물로 처리 시 비용이 많이 든다. 한편, 종래 기술은 소음성능에 있어서, 흡음기능은 전적으로 내부흡음재의 두께 및 밀도에 의존하고 있으며, 도로 교통 소음의 문제 주파수 대인 200Hz~2500Hz의 소음을 확실하게 소진시키지 못하였고, 일반적인 섬유계 다공성 흡음재의 성능이 저주파수 대역에서는 크게 떨어지고, 고속철도시방의 CEN규격은 125Hz의 저주파수대역 및 4000Hz의 고주파수대역에서의 흡음율도 큰비중을 두기 때문에 기존의 흡음재로는 관련 규격의 성능기준을 만족시키기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제조가 간단하며 적은 제조 비용이 들며, 형태와 구조가 간단하고 가벼우며, 소재의 재활용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이면서도, 소음의 주파수 흡음률 특성이 뛰어나고, 원하는 특성의 주파수 흡음률을 갖도록 손 쉽게 제작할 수 있는 미세타공 흡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타공 흡음판은 다수의 삼각기둥 프리즘 형상을 일렬로 구비한 금속 재질의 삼각기둥 프레스 다이를 평평한 금속판에 소정의 기울기로 기울여, 상기 금속판의 표면에 지그재그 방식으로 프레스하여, 삼각뿔 형상의 복수 열을 지그재그 형태로 구비하는 복수의 삼각뿔 프레스열; 및 상기 복수의 삼각뿔 프레스열마다 중앙 모서리에 삼각형 형태의 타공을 형성하는 복수의 미세타공열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판의 후면에서 상기 복수의 미세타공열이 형성된 부분에 엠보싱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타공 흡음판은 상기 복수의 미세타공열에서 각 타공의 높이가 0.05 내지 0.4 mm이고, 폭이 0.5 내지 0.8 mm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타공 흡음판은 상기 미세타공 흡음판은 개구율이 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는 앞서 설명한 미세타공 흡음판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하나 또는 복수의 미세타공 흡음판; 및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미세타공 흡음판과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후면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미세타공 흡음판 및 상기 후면판은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져 적층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는 상기 복수의 미세타공 흡음판은 서로 다른 개구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는 앞서 설명한 미세타공 흡음판과 동일한 구조로 구비되되 일부가 접힌 형태를 갖는 끼움 미세타공 흡음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끼움 미세타공 흡음판은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미세타공 흡음판 및 상기 후면판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는 앞서 설명한 미세타공 흡음판과 동일한 구조로 구비된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 및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과 95mm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후면판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 및 상기 후면판은 적층 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은 두께가 1mm이고 개구율이 1.4 내지 1.6%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는 앞서 설명한 미세타공 흡음판과 동일한 구조로 구비된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 및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 및 상기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과 50mm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후면판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 상기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 및 상기 후면판은 순차적으로 적층 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과 상기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은 서로 45mm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은 두께가 1mm이고 개구율이 1.4 내지 1.6% 이고, 상기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은 두께가 0.4mm이고 개구율이 0.5 내지 0.7%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는 앞서 설명한 미세타공 흡음판과 동일한 구조로 구비된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 제1, 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 및 상기 제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과 30mm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후면판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 상기 제1, 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 및 상기 후면판은 순차적으로 적층 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과 상기 제1 중간 미세타공 흡은판은 서로 35mm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 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은 서로 30mm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은 두께가 1mm이고 개구율이 1.4 내지 1.6% 이고, 상기 제1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은 두께가 0.4mm이고 개구율이 0.8 내지 1.0% 이며, 상기 제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은 두께가 0.4mm이고 개구율이 0.5 내지 0.7%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는 앞서 설명한 미세타공 흡음판과 동일한 구조로 구비된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 제1, 2 중간 미세타공 흡은판; 상기 제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과 30mm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후면판; 및 앞서 설명한 미세타공 흡음판과 동일한 구조로 구비되 일부가 접힌 상태로,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과 상기 제1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 사이, 상기 제1, 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 사이, 상기제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과 상기 후면판 사이에 각각 구비되는 끼움 미세타공 흡음판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 상기 제1, 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 및 상기 후면판은 순차적으로 적층 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과 상기 제1 중간 미세타공 흡은판은 서로 35mm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 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은 서로 30mm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은 두께가 1mm이고 개구율이 1.4 내지 1.6% 이고, 상기 제1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은 두께가 0.4mm이고 개구율이 0.8 내지 1.0% 이며, 상기 제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은 두께가 0.4mm이고 개구율이 0.5 내지 0.7% 이고, 상기 끼움 미세타공 흡음판은 두께가 0.4mm이고 개구율이 0.2 내지 0.4%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는 앞서 설명한 미세타공 흡음판과 동일한 구조로 구비된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 제1, 2, 3 중간 미세타공 흡은판; 상기 제3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과 30mm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후면판; 및 앞서 설명한 미세타공 흡음판과 동일한 구조로 구비되 일부가 접힌 상태로,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과 상기 제1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 사이, 상기 제1, 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 사이, 상기 제2, 3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 사이, 및 상기 제3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과 상기 후면판 사이에 각각 구비되는 끼움 미세타공 흡음판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 상기 제1, 2, 3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 및 상기 후면판은 순차적으로 적층 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과 상기 제1 중간 미세타공 흡은판은 서로 35mm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 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은 서로 30mm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 3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 은 서로 30mm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은 두께가 1mm이고 개구율이 1.4 내지 1.6% 이고, 상기 제1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은 두께가 0.4mm이고 개구율이 0.8 내지 1.0% 이며, 상기 제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은 두께가 0.4mm이고 개구율이 0.5 내지 0.7% 이고,상기 제3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은 두께가 0.4mm이고 개구율이 0.2 내지 0.4% 이고 상기 끼움 미세타공 흡음판은 두께가 0.4mm이고 개구율이 0.2 내지 0.4%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세타공 흡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는 그 제조방식 또는 방법이 간단하며 적은 제조 비용이 들고, 형태와 구조가 간단하고 가벼우며, 소재의 재활용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이며, 구조가 간단하여 교체 수리 시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타공 흡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는 소음의 주파수 대역별 흡음률 특성이 뛰어나고, 원하는 특성의 주파수 흡음률을 갖도록 손쉽게 제작할 수 있다.
도1a는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흡음판을 제작과정에서 프레스다이와 금속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b는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미세타공 흡음판을 제작과정에서 삼각기둥 프레스다이가 금속판에 프레스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c는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흡음판의 제작과정에서 프레스 다이에 의하여 금속판에 형성된 삼각뿔 프레스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타공 흡음판의 전면을 나타낸 확대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타공 흡음판의 후면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타공 흡음판의 측단면을 나타낸 확대 도면이다.
도5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의 측면 투시도 및 그에 따른 주파수 흡음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의 측면 투시도 및 그에 따른 주파수 흡음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5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의 측면 투시도 및 그에 따른 주파수 흡음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5d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의 측면 투시도 및 그에 따른 주파수 흡음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5e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의 측면 투시도 및 그에 따른 주파수 흡음률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타공 흡음판 및 이를 이용한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1a는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미세타공 흡음판을 제작과정에서 삼각기둥 프레스다이와 금속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b는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미세타공 흡음판을 제작과정에서 삼각기둥 프레스다이가 금속판에 프레스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1c는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미세타공 흡음판의 제작과정에서 삼각기둥 프레스 다이에 의하여 금속판에 형성된 삼각뿔 프레스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a, 도1b, 도1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타공 흡음판의 제작과정 또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상기 미세타공 흡음판의 원판인 금속 재질의 평평한 금속판(10) 및 상기 금속판(10)에 미세타공을 형성하기 위한 금속 재질로 구비된 다수의 삼각기둥 프리즘 형상을 일렬로 구비한 삼각기둥 프레스 다이(20)를 구비한다.
두번째로, 상기 삼각기둥 프레스 다이(20)를 상기 금속판(10)에 소정의 각도 기울기로 기우린 상태에서 상기 삼각기둥 프레스 다이(20)의 일측 끝단을 상기 금속판(10)의 전면에 프레스 가압하여 삼각뿔 형상(31a, 31b 등)을 각각 갖는 하나의 열을 구비하는 제1 삼각뿔 프레스열(31)을 상기 금속판(10)의 표면에 형성시킬 수 있다.
셋번째로, 다시 상기 삼각기둥 프레스 다이(20)를 상기 제1 삼각뿔 프레스열(31)의 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일정 정도 이동시키되 상기 제1 삼각뿔 프레스 열(31)과 지그재그 방식으로, 상기 금속판(10)에 소정의 각도 기울기로 기우린 상태에서 상기 삼각기둥 프레스 다이(20)의 일측 끝단을 다시 상기 금속판(10)의 전면에 프레스 가압하여 삼각뿔 형상(32a, 32b 등)를 각각 갖는 또 하나의 열을 구비하는 제2 삼각뿔 프레스열(32)을 상기 금속판(10)의 표면에 형성시킬 수 있다.
네번째로, 앞서 설명한 동일한 방식인, 상기 삼각기둥 프레스 다이(20)를 상기 평평한 금속판(10)에 소정의 기울기로 기울여 표면에 지그재그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프레스하는 방식으로 제3 삼각뿔 프레스열(33) 등을 형성하면서, 결과적으로 삼각뿔 형상(31a, 31b, 32a, 32b, 33a, 33b 등)을 각각 갖는 복수 열을 지그재그 형태로 구비하는 복수의 삼각뿔 프레스열(30)을 형성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이 상기 삼각기둥 프레스 다이(20)을 이용하여 프레스 제조방식으로 미세타공 흡읍판을 제작함으로서 상기 복수의 삼각뿔 프레스열(30)을 적은 비용으로 그 형태는 균일하고 빠르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게 된다. 또한 추후 설명드리겠지만, 상기 복수의 삼각뿔 프레스열(30)의 각 삼각뿔에 형성되는 미세타공 역시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타공 흡음판의 전면을 나타낸 확대 평면도이다.
여기서, 도2를 참조하면, 상기 제1, 2, 3 삼각뿔 프레스열(31, 32, 33)에서 각각 구비되는 각 삼각뿔 형상(31a, 31b, 32a, 32b, 33a, 33b)의 중앙 모서리에는 삼각형 형태의 타공(41a, 41b 및 42a, 42b 및 43a, 43b 등)이 형성하는데, 이러한 타공들이 열을 이룬 것이 각각 제1, 2, 3 미세 타공열(41, 42, 43)이다. 상기 제1, 2, 3 미세 타공열(41, 42, 43)은 상기 삼각기둥 프레스 다이(20)을 상기 금속판(10)에 프레스하는 과정에서 상기 삼각기둥 프레스다이(20)에 형성된 삼각기둥의 끝 모서리를 통하여 상기 금속판(10)이 뚫리면서 형성되는 것으로 프레스되는 가압력의 크기에 따라 동일한 크기를 갖는 균일한 미세 타공열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복수의 삼각뿔 프레스열(30)에서 각 삼각뿔 형상의 중앙 모서리에는 복수의 미세 타공열(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미세 타공열(40)에서 각 타공(41a, 41b 및 42a, 42b 및 43a, 43b 등)의 크기를 평면도 상에서 측정하면, 각 타공의 높이가 0.05 mm 내지 0.4 mm이고, 폭이 0.5mm 내지 0.8 mm의 범위 내에 있는데, 이러한 각 타공의 크기는 상기 미세타공 흡음판이 흡음해야 하는 소리의 주파수 대역을 고려하여 각 주파수 대역에 따른 흡음률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는 타공의 크기를 고려하여 산정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타공 흡음판의 후면을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타공 흡음판의 측단면을 나타낸 확대 도면이다.
한편, 도 3,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타공 흡음판은 후면에서 상기 복수의 미세 타공열(40)이 형성된 부분에 상기 금속판(10)이 부풀어 오른 형태인 엠보싱(embossing) 구조(50)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엠보싱 구조(50)은 상기 삼각기둥 프레스 다이(20)를 상기 금속판(10)에 프레스 하는 과정에서 금속 재질의 연성에 의하여 미세 타공(41a, 41b, 42a, 42b, 43a, 43c 등)이 형성되는 것과 동시에 형성되는 것이므로, 미세타공이 형성되는 위치마다 엠보싱 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미세 타공열(40)에 구비된 엠보싱 구조(50)는, 도 4를 참조하여, 소리에 의한 공기 흐름에서 살펴보면, 상기 미세타공 흡음판의 전면으로부터 소리에 의한 공기 흐름이 유입되는 경우, 공기가 넓은 공간에서 좁은 공간으로 흐르기 때문에 속도가 빨라지면서 마찰저항이 커지므로써 마찰에 의한 소리 에너지 소산 즉, 소음의 제거가 더 효과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더욱이 소리 공기 흐름에서 보다 복잡한 구조를 만들어 와류를 발생시킴으로써 에너시 소산을 더 크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타공 흡음판은 개구율을 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갖는데, 여기서 개구율은 상기 금속판(10)의 평면도에서 측정된 상기 금속판(10)의 전체 면적 대비 상기 복수의 미세 타공열(40)에 의한 타공의 총 크기의 비율에 의하여 계산된 것으로, 상기 미세타공 흡음판에 의해서 흡음될 소리의 주파수 대역에서 효과적인 개구율을 측정하여 얻은 수치가 3% 이하로 산정된 것이다.
이하에서는 앞서 설명드린 미세타공 흡음판을 이용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특히, 아래의 설명에서 '미세타공 흡음판'을 포함하여 지칭되는 구성요소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세타공 흡음판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타공 흡음판과 같은 방식으로 구비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미세타공 흡음판, 및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미세타공 흡음판과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평평한 후면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미세타공 흡음판 및 상기 후면판은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져 적층 형태를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는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타공 흡음판과 같은 방식으로 구비되되 일부가 접힌 형태를 갖는 끼움 미세타공 흡음판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끼움 미세타공 흡음판은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미세타공 흡음판 및 상기 후면판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끼움 미세타공 흡음판은 사이 공간에 추가 설치됨에 따라 흡음률을 보강하여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에서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미세타공 흡음판 각각의 두께와 개구율에 따라 흡음 장치 전체의 주파수 대역별 흡음율의 차이를 보일 수 있으며, 다음의 실시예 1 내지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원하는 흡음율의 주파수 대역에 따라 선택이 가능하며 효과적인 각 미세타공 흡음판의 스펙을 정할 수 있다.
[실시예1 -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
도5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의 측면 투시도 및 그에 따른 주파수 흡음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는 평평하게 구비된 후면판(100a) 및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타공 흡음판과 같은 방식으로 구비되는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200a)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200a) 및 상기 후면판(100a)는 적층 형태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200a)와 상기 후면판(100a)는 서로 95 mm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100a)는 두께가 1 mm이고 개구율이 1.4 내지 1.6% 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는 도5a와 같은 소리 주파수 대역에 따른 흡음률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2 -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
도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의 측면 투시도 및 그에 따른 주파수 흡음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는 평평하게 구비된 후면판(100b) 및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타공 흡음판과 같은 방식으로 구비되는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200b)와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300b)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200b), 상기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300b), 및 상기 후면판(100b)는 적층 형태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200b)와 상기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300b)는 서로 45 mm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300b)는 상기 후면판(100b)와 서로 50 mm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200b)은 두께가 1mm이고 개구율이 1.4 내지 1.6% 이고, 상기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300b)은 두께가 0.4mm이고 개구율이 0.5 내지 0.7% 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는 도5b와 같이 소리 주파수 대역에 따른 흡음률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3 -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
도5c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의 측면 투시도 및 그에 따른 주파수 흡음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5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는 평평하게 구비된 후면판(100c) 및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타공 흡음판과 같은 방식으로 구비되는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200c), 제1, 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300c, 400c)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200c), 상기 제 1, 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300c, 400c), 및 상기 후면판(100c)는 순차적으로 적층 형태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200c)와 상기 제1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300c)는 서로 35 mm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1, 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300c, 400c)는 서로 30 mm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400c)는 상기 후면판(100c)와 서로 30 mm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200c)은 두께가 1mm이고 개구율이 1.4 내지 1.6% 이고, 상기 제1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300c)은 두께가 0.4mm이고 개구율이 0.8 내지 1.0% 이고, 상기 제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400c)은 두께가 0.4mm이고 개구율이 0.5 내지 0.7% 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는 도5c와 같이 소리 주파수 대역에 따른 흡음률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4 -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
도5d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의 측면 투시도 및 그에 따른 주파수 흡음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5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는 평평하게 구비된 후면판(100d) 및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타공 흡음판과 같은 방식으로 구비되는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200d), 제1, 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300d, 400d), 및 끼움 미세타공 흡음판(600d)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끼움 미세타공 흡음판(600d)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타공 흡음판의 일부를 접어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200d), 상기 제 1, 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300d, 400d), 및 상기 후면판(100d)는 순차적으로 적층 형태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200d)와 상기 제1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300d)는 서로 35 mm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1, 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300d, 400d)는 서로 30 mm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400d)는 상기 후면판(100d)와 서로 30 mm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끼움 미세타공 흡음판(600d)는 일부가 접힌 상태로,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200d)과 상기 제1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300d) 사이, 상기 제1, 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300d, 400d) 사이, 및 상기 제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400d)과 상기 후면판(100d) 사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200d)은 두께가 1mm이고 개구율이 1.4 내지 1.6% 이고, 상기 제1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300d)은 두께가 0.4mm이고 개구율이 0.8 내지 1.0% 이고, 상기 제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400d)은 두께가 0.4mm이고 개구율이 0.5 내지 0.7% 이고, 상기 끼움 미세타공 흡음판(600d)는 두께가 0.4mm이고 개구율이 0.2 내지 0.4% 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는 도5d와 같이 소리 주파수 대역에 따른 흡음률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5 -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
도5e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의 측면 투시도 및 그에 따른 주파수 흡음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5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는 평평하게 구비된 후면판(100e) 및 앞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타공 흡음판과 같은 방식으로 구비되는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200e), 제1, 2, 3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300e, 400e, 500e), 및 끼움 미세타공 흡음판(600e)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끼움 미세타공 흡음판(600e)는 본 발명에 따른 미세타공 흡음판의 일부를 접어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200e), 상기 제 1, 2, 3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300e, 400e, 500e), 및 상기 후면판(100e)는 순차적으로 적층 형태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200e)와 상기 제1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300e)는 서로 35 mm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제1, 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300e, 400e)는 서로 30 mm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 3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400e, 500e)는 서로 30 mm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3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500e)는 상기 후면판(100e)와 서로 30 mm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끼움 미세타공 흡음판(600e)는 일부가 접힌 상태로,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200e)과 상기 제1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300e) 사이, 상기 제1, 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300e, 400e) 사이, 상기 제2, 3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400e, 500e) 사이, 및 상기 제3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500e)과 상기 후면판(100e) 사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200e)은 두께가 1mm이고 개구율이 1.4 내지 1.6% 이고, 상기 제1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300e)은 두께가 0.4mm이고 개구율이 0.8 내지 1.0% 이고, 상기 제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400e)은 두께가 0.4mm이고 개구율이 0.5 내지 0.7% 이고, 상기 제3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500e)은 두께가 0.4mm이고 개구율이 0.2 내지 0.4% 이고, 상기 끼움 미세타공 흡음판(600e)는 두께가 0.4mm이고 개구율이 0.2 내지 0.4% 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는 도5e와 같이 소리 주파수 대역에 따른 흡음률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세타공 흡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는 그 제조방식 또는 방법이 간단하며 적은 제조 비용이 들고, 형태와 구조가 간단하고 가벼우며, 소재의 재활용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이며, 구조가 간단하여 교체 수리 시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세타공 흡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는 소음의 주파수 대역별 흡음률 특성이 뛰어나고, 원하는 특성의 주파수 흡음률을 갖도록 손쉽게 제작할 수 있다.
10: 금속판 20: 삼각기둥 프레스 다이
30: 복수의 삼각뿔 프레스열 40: 복수의 미세타공열
50: 엠보싱 구조
100a, 100b, 100c, 100d, 100e : 후면판
200a, 200b, 200c, 200d, 200e :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
300b, 300c, 300d, 300e : 제1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
400c, 400d, 400e : 제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
500e : 제3중간 미세타공 흡음판
600d, 600e: 끼움 미세타공 흡음판

Claims (11)

  1. 다수의 삼각기둥 프리즘 형상을 일렬로 구비한 금속 재질의 삼각기둥 프레스 다이를 평평한 금속판에 소정의 기울기로 기울여, 상기 금속판의 표면에 지그재그 방식으로 프레스하여, 삼각뿔 형상의 복수 열을 지그재그 형태로 구비하는 복수의 삼각뿔 프레스열; 및
    상기 복수의 삼각뿔 프레스열마다 중앙 모서리에 삼각형 형태의 타공을 형성하는 복수의 미세타공열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판의 후면에서 상기 복수의 미세타공열이 형성된 부분에 엠보싱 구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타공 흡음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미세타공열에서 각 타공의 높이가 0.05 내지 0.4 mm이고, 폭이 0.5 내지 0.8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타공 흡음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타공 흡음판은 개구율이 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타공 흡음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구비된 하나 또는 복수의 미세타공 흡음판; 및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미세타공 흡음판과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후면판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또는 복수의 미세타공 흡음판 및 상기 후면판이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져 적층 형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미세타공 흡음판은 서로 다른 개구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구비되며 서로 다른 개구율을 가지는 복수의 미세타공 흡음판;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구비되되 일부가 접힌 형태를 갖는 끼움 미세타공 흡음판; 및
    상기 복수의 미세타공 흡음판과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후면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미세타공 흡음판 및 상기 후면판은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져 적층 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미세타공 흡음판 및 상기 후면판의 사이에 상기 끼움 미세타공 흡음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구비된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 및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과 95mm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후면판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 및 상기 후면판은 적층 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은 개구율이 1.4 내지 1.6%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구비된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 및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 및
    상기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과 50mm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후면판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 상기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 및 상기 후면판은 순차적으로 적층 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과 상기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은 45mm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은 개구율이 1.4 내지 1.6% 이고,
    상기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은 개구율이 0.5 내지 0.7%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구비된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 및 제1, 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 및
    상기 제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과 30mm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후면판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 상기 제1, 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 및 상기 후면판은 순차적으로 적층 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과 상기 제1 중간 미세타공 흡은판은 서로 35mm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 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은 서로 30mm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은 개구율이 1.4 내지 1.6% 이고,
    상기 제1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은 개구율이 0.8 내지 1.0% 이며,
    상기 제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은 개구율이 0.5 내지 0.7%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구비된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 및 제1, 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
    상기 제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과 30mm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후면판; 및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구비되되 일부가 접힌 상태로,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과 상기 제1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 사이, 상기 제1, 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 사이, 및 상기 제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과 상기 후면판 사이에 각각 구비되는 끼움 미세타공 흡음판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 상기 제1, 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 및 상기 후면판은 순차적으로 적층 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과 상기 제1 중간 미세타공 흡은판은 서로 35mm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 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은 서로 30mm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은 개구율이 1.4 내지 1.6% 이고,
    상기 제1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은 개구율이 0.8 내지 1.0% 이고,
    상기 제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은 개구율이 0.5 내지 0.7% 이고,
    상기 끼움 미세타공 흡음판은 개구율이 0.2 내지 0.4%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구비된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 및 제1, 2, 3 중간 미세타공 흡은판;
    상기 제3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과 30mm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된 후면판; 및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구비되되 일부가 접힌 상태로,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과 상기 제1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 사이, 상기 제1, 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 사이, 상기 제2, 3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 사이, 및 상기 제3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과 상기 후면판 사이에 각각 구비되는 끼움 미세타공 흡음판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 상기 제1, 2, 3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 및 상기 후면판은 순차적으로 적층 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과 상기 제1 중간 미세타공 흡은판은 서로 35mm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1, 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은 서로 30mm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 3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은 서로 30mm 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전면 미세타공 흡음판은 개구율이 1.4 내지 1.6% 이고,
    상기 제1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은 개구율이 0.8 내지 1.0% 이며,
    상기 제2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은 개구율이 0.5 내지 0.7% 이고,
    상기 제3 중간 미세타공 흡음판은 개구율이 0.2 내지 0.4% 이고,
    상기 끼움 미세타공 흡음판은 개구율이 0.2 내지 0.4%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
KR1020180076975A 2018-07-03 2018-07-03 삼각기둥 프리즘 형상의 프레스 다이를 이용한 미세타공 흡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 KR102143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975A KR102143689B1 (ko) 2018-07-03 2018-07-03 삼각기둥 프리즘 형상의 프레스 다이를 이용한 미세타공 흡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975A KR102143689B1 (ko) 2018-07-03 2018-07-03 삼각기둥 프리즘 형상의 프레스 다이를 이용한 미세타공 흡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039A true KR20200004039A (ko) 2020-01-13
KR102143689B1 KR102143689B1 (ko) 2020-08-11

Family

ID=69153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975A KR102143689B1 (ko) 2018-07-03 2018-07-03 삼각기둥 프리즘 형상의 프레스 다이를 이용한 미세타공 흡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368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8636A (ja) * 2008-12-12 2010-06-24 Shinko Kenzai Ltd 吸音板および該吸音板の製造方法
KR20150001525U (ko) * 2013-10-11 2015-04-21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미세 타공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8636A (ja) * 2008-12-12 2010-06-24 Shinko Kenzai Ltd 吸音板および該吸音板の製造方法
KR20150001525U (ko) * 2013-10-11 2015-04-21 주식회사 에이브이티 미세 타공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3689B1 (ko) 202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5824B1 (ko) 흡음판넬
KR101718546B1 (ko) 방음 복합체
US6789646B2 (en) Tunable sound absorbing and air filtering attenuating device
US4425981A (en) Sound absorbing building component of synthetic resin sheeting
JP2006519710A (ja) 防音熱遮蔽体
JP2001003322A (ja) 吸音構造体
CA2352384A1 (en) Dual sonic character acoustic panel and systems for use thereof
KR100720639B1 (ko) 흡음 구조체
JP2004126487A (ja) ハニカム材層が空気層と発泡体層の複合構造層からなる吸音構造体
KR102074059B1 (ko) 미세 타공판
KR20200004039A (ko) 삼각기둥 프리즘 형상의 프레스 다이를 이용한 미세타공 흡음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형 미세타공 흡음장치
JPH0325108A (ja) 吸音壁体構造
JP4019820B2 (ja) 吸音構造体
JP4079851B2 (ja) 防音材
KR200480057Y1 (ko) 미세 타공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장치
AU2010233057A1 (en) An acoustic pane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coustic panels
WO1998036135A1 (fr) Panneau insonorisant
KR200473053Y1 (ko) 미세 타공판 및 이를 이용한 방음장치
KR200400107Y1 (ko) 흡음판넬
JP2002146727A (ja) 透光性防音板および防音壁
WO2004005636A1 (en) Sound-absorbing material
DE102019128209A1 (de) Schallabsorbierende Vorrichtung mit Noppenfolienverbund
JP6466646B2 (ja) 吸音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吸音方法
KR20100019610A (ko) 투명 물질층을 이용한 흡음판
JP2522885B2 (ja) 吸音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