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5510Y1 - 학생용 책상 - Google Patents

학생용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5510Y1
KR200245510Y1 KR2020010015204U KR20010015204U KR200245510Y1 KR 200245510 Y1 KR200245510 Y1 KR 200245510Y1 KR 2020010015204 U KR2020010015204 U KR 2020010015204U KR 20010015204 U KR20010015204 U KR 20010015204U KR 200245510 Y1 KR200245510 Y1 KR 2002455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late
desk
wood
stud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52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정용
Original Assignee
송정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정용 filed Critical 송정용
Priority to KR20200100152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5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5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510Y1/ko

Link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학교에서 학생들이 수업을 할 시에 사용하는 학생용 책상의 제조원가를 절감함과 동시에 내구성 증대, 그리고 상판을 전후로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데 주안점을 둔 학생용 책상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학생용 책상(1)은 기존 목재로 이루어진 책상용 상판(2)을 합성수지재의 상판프레임(6)상에 목재로 이루어진 판재(7)를 조립식으로 결합하여 사용토록 함으로서 낭비되는 목재를 최소화하여 자원절감에 크게 일조할 수 있으며, 상판(2)을 구성하는 판재(7)는 상판프레임(6)으로부터 상하 교환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판재(7)의 손상이나 흠집이 발생하여도 상하 위치교환으로 책상을 장기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프레임(3) 부위 중 무게하중을 집중적으로 받는 수평부(3a)의 단부인 밴딩부(3b)에 보강리브(3c)를 형성하여 내구성 증대 및 수명연장 효과를 득할 수 있고, 서포터(5)를 사각 봉재를 사용함으로서 환봉재의 프레임(3)과 용접작업상의 편의성 향상으로 작업성을 대폭 증대하여 생산성 향상 효과를 득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학생용 책상{A desk for student}
본 고안은 학생용 책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학교에서 학생들이 수업을 할 시에 사용하는 학생용 책상의 제조원가를 절감함과 동시에 내구성 증대, 그리고 상판을 전후로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데 주안점을 둔 학생용 책상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학교에서 학생들이 사용하는 책상은 철재로 이루어진 프레임 상부에 수납함을 형성하고, 상기 수납함 상부에 상판을 결합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한 상판은 주로 재생목(이하 '목재'라 칭함) 등을 활용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목재를 학생용 책상의 상판 규격(450×650mm)에 맞게 절단하여 사용할 경우 버려지는 여분이 너무 많아 목재의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판은 학생들이 사용 중 상면부에 낙서를 하여 더러워지거나 흠집 등이 발생하여 사용상에 어려움이 발생할 경우에는 부득이 상판 전체를 교환하여야 하므로 상당히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었던 것이다.
또한 프레임 부위 중 수납함 전측을 지지하는 수평단부는 개략 L형으로 밴딩되어 다리부와 일체형성되는바, 이러한 프레임 구조는 학생들이 책상을 사용 중 후측 부위에 주로 팔을 괴고 필기나 학업을 행하기 때문에 무게하중이 집중적으로 상기 프레임의 수평단부에 작용을 하게 되어 상기 수평단부의 밴딩부위가 파손되는 경우가 많아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수단이 절실히 요구되었으며,
하부의 다리를 지지하는 서포터의 경우 환봉재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사용하는 관계로 다리부와 서포터를 정확히 센터를 맞추어 용접하는데 상당히 작업적으로 어려운 점이 많았고, 환봉재로 이루어진 다리와 서포터를 상호 용접하기 위해서는 프레임의 다리부위 중 용접단부를 서포터의 곡면에 맞게 곡면가공한 후 용접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상당히 난해한 문제점 등을 안고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기존 학생용 책상이 안고 있는 제품의 내구성 문제, 그리고 목재의 낭비, 그리고 용접작업 등에 따르는 작업의 난해성 등을 동시에 일소할 수 있는 학생용 책상을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학생용 책상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상판을 분해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상판의 저면부를 보인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상판 결합부를 발췌한 A-A 선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상판 결합부를 발췌한 B-B 선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책상 2:상판
3:프레임 3a:수평부
3b:밴딩부 3c:보강리브
4:수납함 5:서포터
6:상판프레임 7:판재
8:개방부 9:테두리부
10:탄력걸림편 11:걸림홈
12:피스 13:결합공
14:경유공 15:결합공
16:볼트 17:보강리브
18:필기구안치홈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학생용 책상(1)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2는 상판(2) 부위를 발췌한 분해 사시도 등으로서, 이하 첨부도면과 함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즉,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학생용 책상(1)은 환봉 타입의 철재로 이루어진 프레임(3)과, 상기 프레임(3)의 상부에 부착되는 수납함(4), 그리고 수납함(4) 상부에 결합되는 상판(2), 그리고 프레임(3)의 하부를 안정적으로 서포팅하는 사각 봉재로 이루어진 서포터(5)로 대분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3)은 수납함(4)이 고정되는 상부의 수평부(3a) 단부를 라운드형으로 밴딩하여 밴딩부(3b)를 형성하고, 상기 밴딩부(3b)의 하부에 보강리브(3c)를 일체로 용접 등의 방법으로 형성하여 밴딩부(3b)에 작용하는 무게하중에 대하여 내구성을 대폭 증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서포터(5)는 사각 봉재를 사용하여 환봉재로 이루어진 프레임(3)과 용접으로 고정할 시에 용접할 중심위치만 설정하여 용접에 의하여 상호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책상(1)에서 수납함(4) 상부에 고정되는 상판(2)의 구성은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상판프레임(6)상에 목재 등으로 구성되는 판재(7)를 강제끼움 및 피스 등의 나사조립에 의하여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바, 즉, 상판프레임(6)의 중앙에는 상하 개방된 개방부(8)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8)의 하단에 형성되는 테두리부(9)에는 사방으로 2개 정도씩 탄력걸림편(10)을 형성하여 상부에서끼움식으로 결합되는 판재(7)의 대응면에 형성된 걸림홈(11)에 탄력걸림될 수 있도록 한다.(도 4 참조)
그리고 상기 개방부(8)와 함께 상판프레임(6)상에 형성되는 요입끼움부에 판재(7)를 결합한 후에 임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판프레임(6)의 좌우 측방에서 피스(12)로 나사고정할 수 있도록 상판프레임(6)에는 결합공(13)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13) 상으로 피스(12)를 판재(7)와 나사결합 시 피스(12)가 경유할 수 있으며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통과시킬 수 있는 경유공(14)을 상판프레임(6)상에 동시에 형성토록 한다.(도 5 참조) 상기 결합공(13)은 도시한 바와 같이 테두리부(9) 상에 형성하여 판재(7)의 상부나 하부에서 선택적으로 피스(12)로 고정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판프레임(6)을 수납함(4)의 상부에 볼트(16)로서 결합하기 위하여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는 결합공(15)을 형성하되, 상기 결합공(15)은 대응하는 수납함(4)상에 천공되는 결합공과의 정확도가 일치하지 않더라도 어느 정도는 위치조절하여 볼트로 체결할 수 있도록 개략 십자형으로 형성하며, 상기 결합공(15)에 결합되는 볼트(16)는 두부(頭部)가 사각형 두부를 갖는 볼트(16)로 구성하여 볼트체결시 볼트(16)의 공회전으로 인한 체결상의 어려움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상판프레임(6)은 합성수지재를 사출성형방법으로 성형하므로 다수개보강리브(17)를 테두리부(9)의 저면부 외측으로 적절히 형성시키며, 상면 전측에는 필기구안치홈(18)도 형성하여 학생들이 사용할 시에 사용상의 편의를 일층 높이도록 한다.
도면중의 부호 19는 학생용 가방 등을 걸어둘 수 있는 행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의 학생용 책상(1)은 우선 상판(2)이 합성수지재의 상판프레임(6)과 목재로 이루어진 판재(7)로 이루어지므로 판재(7)를 기존 학생용 책상의 규격에 맞추어 절단할 시에 버려지는 목재 낭비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판재(7)는 사용 중에 상면부가 낙서나 흠집 등으로 사용상에 어려움이 있을 경우에는 판재(7)를 상판프레임(6)과 측면 또는 상면이나 저면에서 고정하고 있는 피스(12)를 나사분리한 후 개방부(8)의 하부에서 판재(7)를 강제적으로 밀어내면 테두리부(9)에 형성된 탄력걸림편(10)이 판재(7)의 걸림홈(11)으로부터 탄력결합되어 있으므로 탄력걸림 상태가 이탈되면서 판재(7)가 상판프레임(6)으로부터 분리되고, 기존 사용되던 판재(7)의 저면부를 다시금 방향을 전환시켜 상면부로 위치되게 하여 판재(7)를 상판프레임(6)에 강제끼움식으로 조립하고 다시금 결합공(13)을 통하여 피스(12)로 판재(7)를 상판프레임(6)에 고정시켜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 상판(2)을 수납함(4)에 고정할 시에 사용되는 결합공(15)은 십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공(15)을 경유하여 볼팅되는 볼트(16)는 두부가 사각 두부로 형성된 것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수납함(4)과 상판(2)을 조립 시 결합공(15)과 대응하는 수납함(4)의 센터가 어느 정도 위치에서 어긋나더라도 십자형 결합공(15)에서 사방의 간격차이를 보상받을 수 있으며, 볼트(16)는 사각두부로 형성되어 별도로 렌치 등으로 클램핑하지 않아도 결합공(15) 상부에서 회전불가하게 고정되므로 상기 볼트(16)와 결합되는 너트(미도시)만 나사조임하면 간단히 볼트조립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책상(1)은 사용 중에 학생들이 팔 등을 책상 위에 올려서 필기나 학업 등을 할 경우 무게하중이 상판(2)의 후측에 집중적으로 작용하여 이러한 하중은 결국 책상(1) 전측의 프레임(3) 밴딩부(3b)상에 집중되는바, 본 고안은 상기 밴딩부(3b)에 보강리브(3c)가 형성되어 있어 이러한 무게집중으로 인한 밴딩부(3b)의 파손 등을 미연에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책상(1)의 내구성 증대와 함께 수명을 보다 장구히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책상을 제조 시에 프레임(3) 하단과 결합되는 서포터(5)가 사각타입의 봉재로 구성되므로 프레임(3)과 서포터(5)의 용접작업이 중심설정만 행한 후 바로 용접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의 간편성 및 신속성으로 생산성도 보다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학생용 책상(1)은 기존 목재 단일형으로 이루어진 책상용 상판(2)을 합성수지재의 상판프레임(6)상에 목재로 이루어진 판재(7)를 조립식으로 결합하여 사용토록 함으로서 낭비되는 목재를 최소화하여 자원절감에 크게 일조할 수 있으며, 상판(2)을 구성하는 판재(7)는 상판프레임(6)으로부터 상하 교환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판재(7)의 손상이나 흠집이 발생하여도 상하 위치교환으로 책상을 장기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프레임(3) 부위 중 무게하중을 집중적으로 받는 수평부(3a)의 단부인 밴딩부(3b)에 보강리브(3c)를 형성하여 내구성 증대 및 수명연장 효과를 득할 수 있으며, 서포터(5)를 사각 봉재를 사용함으로서 환봉재의 프레임(3)과 용접작업상의 편의성 향상으로 작업성을 대폭 증대하여 생산성 향상 효과를 득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고안이다.

Claims (2)

  1. 철재로 이루어진 프레임(3) 하부에는 서포터(5)가 고정되고, 프레임(3)의 상부에는 수납함(4)과, 상기 수납함(4) 상부에 책상용 상판(2)이 결합되는 통상의 학생용 책상(1)에 있어서;
    상기 책상용 상판(2)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중앙에 개방부(8)와 이의 외곽으로 테두리부(9)를 갖는 상판프레임(6)과,
    상기 상판프레임(6)상에 강제끼움 후 피스(12)로 조립되는 목재로 이루어진 판재(7)를 결합하고,
    상기 상판프레임(6)의 테두리부(9)에는 수납함(4) 결합용 사각 두부를 갖는 볼트(16)를 결합할 수 있는 십자형의 결합공(15)과 판재(7) 고정용 피스(12)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공(13)을 형성하며,
    상기 테두리부(9)의 측면에는 탄력걸림편(10)을 형성하여 이에 대응하는 판재(7)상에 형성된 걸림홈(11)에 강제끼움식으로 걸림조립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피스(12)가 측방에서 판재(7)에 결합될 수 있는 경유공(14)을 갖는 결합공(13)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3)의 수평부(3a) 단부에 형성되는 밴딩부(3b)에는 보강리브(3c)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생용 책상.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5)는 사각 봉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생용 책상.
KR2020010015204U 2001-05-23 2001-05-23 학생용 책상 KR2002455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204U KR200245510Y1 (ko) 2001-05-23 2001-05-23 학생용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5204U KR200245510Y1 (ko) 2001-05-23 2001-05-23 학생용 책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5510Y1 true KR200245510Y1 (ko) 2001-10-29

Family

ID=73065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5204U KR200245510Y1 (ko) 2001-05-23 2001-05-23 학생용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51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077B1 (ko) 2008-03-19 2008-06-09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책상의 상판구조
KR20170020994A (ko) 2015-08-17 2017-02-27 (주)멘퍼스 책상 및 그 책상의 조립방법
KR20220055772A (ko) * 2020-10-27 2022-05-04 (주)가람 가구 상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6077B1 (ko) 2008-03-19 2008-06-09 듀오백코리아 주식회사 책상의 상판구조
KR20170020994A (ko) 2015-08-17 2017-02-27 (주)멘퍼스 책상 및 그 책상의 조립방법
KR20220055772A (ko) * 2020-10-27 2022-05-04 (주)가람 가구 상판
KR102529783B1 (ko) * 2020-10-27 2023-05-08 박희영 가구 상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45510Y1 (ko) 학생용 책상
JP2007254976A (ja) 壁面構造
JP2003013520A (ja) 間仕切壁へのアッパーボードの取り付け装置
JP4274066B2 (ja) 机上パネル装置
JP3863451B2 (ja) 脚装置を備えた家具
JP3839793B2 (ja) デスク天板及び引出しフレームの装着構造
JPH0773551B2 (ja)
JP2720719B2 (ja) 天板および脚柱の連結構造
JP3125473U (ja) 留め付け金具
JP3940347B2 (ja) 枠装置
JPH056340Y2 (ko)
KR102043676B1 (ko) 선반조립체
JP2003180470A (ja) カウンター及びその取付構造
JP3309180B2 (ja) 商品陳列用パネル板の接続装置
JP2534124Y2 (ja) 机とテーブルの連結装置
JP2553835Y2 (ja) 机におけるパネル取付構造
JP3062811B2 (ja) 枠定規および該枠定規を用いた開口枠取付け方法
JPH088663Y2 (ja) ブラケット装置
JP2556185B2 (ja) デスク
JPH07217181A (ja) 壁部化粧材取付構造
JP3046842U (ja) 枠材および枠材連結具
JPH0328241Y2 (ko)
KR200158228Y1 (ko) 개선된 도어 프레임용 힌지
JPH04289375A (ja) 押入中棚の取付具
JPS5843252Y2 (ja) 木製側板を有する音響機器の箱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