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0994A - 책상 및 그 책상의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책상 및 그 책상의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0994A
KR20170020994A KR1020150115202A KR20150115202A KR20170020994A KR 20170020994 A KR20170020994 A KR 20170020994A KR 1020150115202 A KR1020150115202 A KR 1020150115202A KR 20150115202 A KR20150115202 A KR 20150115202A KR 20170020994 A KR20170020994 A KR 20170020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s
upper plate
leg
desk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5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석
조성하
Original Assignee
(주)멘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멘퍼스 filed Critical (주)멘퍼스
Priority to KR1020150115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20994A/ko
Publication of KR20170020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09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상 및 그 책상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한 크기로 이루어진 평판재의 상판과, 상기 상판이 상면에 고정되도록 하여 상판을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유지시키도록 바닥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다리부가 구비된 책상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일정 두께 및 강도를 갖는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재질로 성형되고, 상기 다리부는 그 내부가 빈 중공형 각재 또는 원형 튜브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리부의 상단 양측 및 후방측에는 전후 및 좌우 다리부 상호간을 연결하도록 다리부의 최상단에서 상기 상판의 두께와 동일한 높이의 하단 위치 또는 상판의 두께보다 다소 아래의 위치에 보조연결대가 설치되고, 각 다리부를 연결하는 상기 보조연결대의 상면에 상기 상판이 안착되어지되, 상기 상판의 모서리부에는 복수개의 다리부에 의해 형성되는 일정한 공간 내측에 상판이 위치되면서 상판의 좌우 및 전후 유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일정한 형상 및 크기의 절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 다리부의 상단에는 중공형의 내부를 밀폐하는 마감 캡이 조립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책상 및 그 책상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책상 및 그 책상의 조립방법{A Desk and its assembly method}
본 발명은 책상 및 그 책상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책상의 상판을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 수지로 제작하여 사용시 인체에 유해한 환경호르몬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이용자의 건강을 유지 및 향상시키고, 책상의 내구성 향상은 물론 폐기시에 재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 환경오염 및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책상 및 그 책상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은 학교에서 학생용으로 사용되거나 사무실에서 사무용으로 사용되는 책상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이하에서는 학생용 책상을 일 실시예로 하여 그 설명을 한다.
일반적으로 학교에서 학생들 책상으로 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학생용 책상은 그 상판이 목질재(木質材) 계통이 주로 사용되고, 상판을 받쳐주는 프레임 및 다리는 금속제로 구성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특히, 상판의 경우 목재칩을 접착제와 함께 혼합하여 고온, 고압으로 압착 성형하여 일정 두께로 생산된 MDF(Medium Density Fiberboard, 중밀도 섬유판)라고 칭하는 재료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학생용 책상의 일 실시예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학생용 책상(10)의 상판(5)으로 사용되는 MDF는 매끄러운 표면을 얻을 수 있고, 가공이 용이하며, 원목보다 저렴하면서 더 강한 특성을 갖고 있는 장점은 있으나, 물이나 습기에 변형이 잘되고 접착제가 사용되어 인체에 유해한 환경호르몬이 배출되며, 특히 많은 시간을 밀폐된 교실에서 많은 학생들이 함께 생활하는 현실을 감안할 경우 인체에 미치는 상판에서 배출되는 각종 유해한 환경호르몬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더욱 크다 할 수 있다.
또한, MDF재질로 이루어진 상판(5)이 사용되는 학생용 책상의 경우, 필기구나 다른 학습보조용구의 사용시 그 표면이 쉽게 오염되고 지저분해지며 칼이나 다른 예리한 도구에 의해 그 표면이 쉽게 훼손되는 단점이 있어서 일정기간 사용하여 표면이 오염되거나 훼손된 책상을 교체하는 경우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사용 후 폐기되는 책상의 경우, 그 재활용을 하기 위해 금속재의 다리부(7)와, 플라스틱재질의 연결구(6)나 캡 등은 그 재활용이 가능하나, 상판(5)의 경우 목질계의 MDF로 이루어져 그 재활용이 어려워 소각 처리되나, 그 소각처리시에도 각종 유해한 환경호르몬이 배출되어 대기를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목질계의 상판(5)을 제작하기 위해 많은 목재가 사용되어야 하므로, 벌목에 따른 산림 황폐화로 인해 지구의 허파 역할을 하는 산림의 훼손을 더욱 가속화시키는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 학생용 책상의 경우 폐기시에 그 재활용율이 낮은 편이고, 상판의 소각폐기로 인한 환경오염은 물론 신규 제작을 위한 목재의 이용에 따른 산림의 파괴로 지구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종래의 MDF 재질의 상판에 대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MDF상판 표면에 우레탄 도장을 하여 각종 필기구나 학습용보조용구의 사용시 상판 표면이 오염되거나 쉽게 지저분해지는 단점을 해결하고, 지저분해지더라도 쉽게 닦을 수 있으며, 물이나 습기에 강해 쉽게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학색용 책상이 안출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우레탄이 도장된 상판의 경우, 그 사용이 편리하고 상판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사용후 그 재활용성은 종래의 MDF보다 더 나빠서 이의 폐기시에 많은 환경오염물질을 발생시키면서 여전히 목재의 사용이 불가피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245510호(등록일: 2001.08.25, 고안의 명칭: 학생용 책상) -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66126호(공개일: 2011.06.16, 발명의 명칭 : 조립식 간이 테이블)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431374호(등록일: 2006.11.10, 고안의 명칭: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책상)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책상이 갖는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책상 이용시 상판에서 인체에 유해한 환경호르몬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책상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건강에 위해를 주지 않도록 하는 책상 및 그 책상의 조립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사용 후 폐기시에 책상을 구성하는 각 재료들 전부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 자원낭비를 방지하면서 재활용에 따른 각종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책상 및 그 책상의 조립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은 일정한 크기로 이루어진 평판재의 상판과, 상기 상판이 상면에 고정되도록 하여 상판을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유지시키도록 바닥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다리부가 구비된 책상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일정 두께 및 강도를 갖는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재질로 성형되고, 상기 다리부는 그 내부가 빈 중공형 각재 또는 원형 튜브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리부의 상단 양측 및 후방측에는 전후 및 좌우 다리부 상호간을 연결하도록 다리부의 최상단에서 상기 상판의 두께와 동일한 높이의 하단 위치 또는 상판의 두께보다 다소 아래의 위치에 보조연결대가 설치되고, 각 다리부를 연결하는 상기 보조연결대의 상면에 상기 상판이 안착되어지되, 상기 상판의 모서리부에는 복수개의 다리부에 의해 형성되는 일정한 공간 내측에 상판이 위치되면서 상판의 좌우 및 전후 유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일정한 형상 및 크기의 절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 다리부의 상단에는 중공형의 내부를 밀폐하는 마감 캡이 조립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상판은 저독성 난연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되고, 상기 보조연결대의 상면에 안착된 상기 상판은 복수개의 중공형 다리부 내측 상단에서 다리부 외측방향으로 결합되는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체결구가 결합된 각 다리부의 상부로 상기 마감 캡이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책상을 조립하는 방법으로, 좌우 일정간격이 유지되어 바닥면에 대해 수평상태가 유지되면서 상호간에 평행하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받침부재를 배치하고(S1); 상기 받침부재의 전후 상면에 동일한 높이를 갖는 복수개의 다리부 하단을 각각 결합시켜 바닥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복수개의 다리부를 조립하고(S2); 좌우 및 전후방에 수직으로 세워진 다리부의 좌우 양측과 후방측에서 각 다리부 사이에 연결되어 각 다리부의 상호간을 구속하도록 보조연결대를 설치하되, 설치될 상판의 두께만큼 각 다리부의 최상단에서 하향된 위치에 보조연결대를 설치하고(S3); 상기 보조연결대의 상면으로 일정 크기와 모양으로 절단된 상판을 안착시키고, 보조연결대의 상면에 안착된 상기 상판을 다리부와 고정시키기 위해 각 다리부의 상단 내측에서 소정의 체결구를 결합하여 각 다리부와 상판을 결합시키고(S4); 상판이 설치된 후 중공형의 각 다리부의 상부를 밀폐하면서 상기 상판의 상면과 수평상태가 유지되거나 거의 유사한 높이를 갖도록 각 다리부의 상부에 마감 캡을 결합(S5)시키는 과정으로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은 상판이 보조연결대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다리부의 상단 내측으로 결합되는 체결구에 의해 다리부와 일체로 결합된 후에 마감 캡에 의해 다리부 상면이 밀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비교적 책상의 조립성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특히, 상판이 보조연결대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다리부의 내측 공간부에 위치되면서 사방에 형성된 절단부에 전후 및 좌우 유동이 방지되어 많은 체결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판을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은 그 상판이 폴리에틸렌(PE)이나 PET재질로 구성되어 상판에서 인체에 해로운 화학물질의 배출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학생들의 건강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판 표면이 쉽게 오염되지 않고, 그 오염시에는 간단하게 닦아내면 되므로 깨끗한 책상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사용 후 폐기시에 책상의 전체 구성품들이 모두 재활용 가능한 플라스틱 수지 또는 금속재로 구성되어 소각에 따른 환경오염배출을 줄일 수 있는 책상을 제공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학생용 책상의 외관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의 외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책상에서 상판의 분리상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의 조립상태도로서,
도 4는 상판의 안착상태도,
도 5 및 도 6은 보조연결대에 안착된 상판에 체결구가 결합되는 상태도 및 그 결합상태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다리부의 상부에 마감 캡이 조립되는 상태도 및 그 결합상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의 조립공정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은 종래의 책상, 특히 학교에서 학생용으로 사용되는 학생용 책상이나 사무용 책상의 상판 재질과 형상 및 그 조립구조를 변경한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즉, 상판의 재질로는 환경호르몬 배출이 없어 일반 식기용 재료나 음료용 용기의 재질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재질로 성형하여 그 표면이 깨끗하고 견고하며, 사용시 상판에서 인체에 유해한 환경호르몬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이 안전한 책상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은 상판과, 복수개의 다리부 상단에 연결되는 보조연결대의 상면에 안착된 후에, 상기 보조연결대가 결합된 다리부 외측면에 모퉁이부가 절단 형성된 자리맞춤부가 위치되어 상판이 임의로 좌우 또는 전후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되어 소량의 체결구만으로도 견고하게 조립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은 재활용이 용이한 플라스틱합성수지제의 상판과 ㄱ금속제의 다리부 및 기타 구성품으로 이루어져 사용 후 폐기시에 그 재활용율을 높여 소각에 따른 환경오염을 줄이고, 목재 사용에 따른 자연환경 파괴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통상의 책상에 대한 일반적인 구성 및 구조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간략하게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의 특징부 위주로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책상(50)의 외관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책상(50)에서 상판(20)이 분리된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책상(50)은 그 상면이 평탄한 일정 크기의 상판(20)과, 상기 상판(20)을 바닥면에서 일정 높이로 유지시키면서 상판(20)을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구성된 복수개의 다리부(40)와, 상기 다리부(40)의 상단측에서 전후 및 좌우 방향의 각 다리부에 연결되어 다리부(40)의 견고한 직립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보조연결대(35)와, 상기 다리부(40)를 바닥면에 대해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좌우 양쪽 전후 다리부(40)가 각각 결합되는 받침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다리부(40)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각 다리부(40)의 상호간을 연결 고정하는 상기 보조연결대(35)의 설치위치는 상기 각 다리부(40)의 최상단에서 하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 즉 설치될 상판(20)의 두께와 동일한 높이의 위치 또는 상판의 두께보다는 좀 더 낮은 높이로 다리부가 돌출되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보조연결대(35)의 상면으로 평판재의 상판(20)이 안착되는 경우 상판(20)의 상면과 다리부(40)의 상면이 수평상태를 이루거나 상판(20)의 상면이 다소 높게 위치되도록 조립되고, 상판(20)의 상면이 다리부(40)의 상단부보다 다소 높은 경우에는 상기 각 다리부(40)의 상부 내측으로 일정 높이의 마감 캡(24)이 설치되면서 상판(20)의 상면과 수평상태가 유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판(20)은 직사각형의 평판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재질은 합성수지, 특히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 수지로 성형되어 깨끗한 책상이 유지되도록 하고, 그 사용 후 폐기시에도 재활용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다리부(40)의 상단측 보조연결대(35)의 하부측에는 수납트레이(30)가 설치되어 상판(20)의 하부로 소정의 물건을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판(20)의 일측 하단에는 걸이구(32)가 마련되어 이용자의 물건을 걸어 놓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부인 상기 상판(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종 식품용기와 음료용 용기 및 식품포장 용기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PE)이나 폴리프로필렌(PP) 수지를 이용하여 제작됨으로써 사용시에 인체에 유해한 환경호르몬이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하고, 그 표면이 쉽게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여 깨끗한 상판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성장기의 학생들이나 사무실에 근무하는 사무원들이 하루종일 가장 가깝게 위치하고 있는 책상의 상판으로부터 건강을 해치는 유해한 환경호르몬에 장시간 무방비로 노출되어 원인 모를 각종 질병에 시달리는 현대인들에게 유익한 책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상판(20)으로 사용되는 폴리에틸렌(PE) 및 폴리프로필렌(PP) 수지에는 화재시 자연 연소가 방지되는 난연재가 첨가되어 각종 화재시 연소의 확대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폐기시에는 금속제의 다리부와 분리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원의 낭비 방지 및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판(20)은 복수개의 다리부(40)와 접촉되는 네 곳의 모퉁이 부분에양쪽면이 직각으로 절단된 자리맞춤부(22)가 각각 형성되어, 보조연결대(35)의 상면에 안착되면서 네 개의 자리맞춤부(22)가 네곳의 모퉁이에 구비된 각 다리부(40) 외측면을 일부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판(20)이 보조연결대(35)의 상면에 안착된 후에 좌우 또는 전후 유동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판(20)은 각 모퉁이에 형성된 자리맞춤부(22)의 절단면 깊이(ℓ)가 다리부(40)의 두께나 직경 또는 폭(t)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각 자리맞춤부(22)가 다리부(40)의 외측면에 위치되면서 조립되는 경우, 전후측 또는 좌우측 자리맞춤부 사이의 상판이 다리부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거나 다리부의 외측단과 수평상태가 유지되는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책상에 이용되는 복수개의 다리부(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의 각재 또는 원형 튜브형으로 이루어지는데, 다리부(40)의 개구된 상부에는 상기 상판(20)이 보조연결대(35)의 상면에 안착된 후에 마감 캡(24)이 결합되어 개방된 상부를 밀폐하면서 상판(20)의 상면과 다리부(40)의 상면이 상호 수평상태를 유지하거나 유사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다리부(40)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기 마감 캡(24)은 다리부(40)의 형상과 동일한 형태를 갖도록 이루어져 다리부 상단 중공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부(25)가 하향으로 일정 길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25)의 외주연 및 상기 다리부(40)의 상단 내주연에는 상호 대응하는 형상 및 구조를 갖는 이탈방지구(26,27)가 형성되어 다리부(40)에 마감 캡(24)이 결합된 후에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마감 캡(24)의 하단에 일정 길이 형성되는 상기 삽입부(25) 중 체결구(45)가 결합된 방향으로 다리부(40)의 중공부에 삽입되는 양쪽면에는 체결공을 통해 다리부의 내측에서 상판을 향해 결합된 체결구(45)의 머리부가 진입되어 마감 캡(24)을 다리부에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절단부(28)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더불어 상기 보조연결대(35)의 상면에 안착되는 상기 상판(20)을 다리부(4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 시키기 위해서, 각 다리부의 양쪽 상판이 접촉하는 방향의 내측면에 체결공(43)이 관통 형성되어 나사형 체결구(45)가 상기 체결공(43)을 관통하면서 각 다리부(40) 외측면에 접촉하고 있는 상판(20)과 결합됨으로써 다리부(40)에 상판(20)의 자리맞춤부(22)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4 내지 도 6에는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책상(50)의 조립상태가 단계별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바닥면과 접촉하는 좌우 양쪽 받침부(42)의 상면 전후단에 일정 길이를 갖는 다리부(40)가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고, 수직으로 설치된 각 다리부(40)의 사이, 즉 좌우 양쪽 전후 다리부 사이와 후방측 좌우 다리부 사이에 상술한 보조연결대(35)가 각각 설치되어 복수개의 다리부 상호간을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보조연결대가 설치되고, 상기 보조연결대의 하부로 수납트레이(30)를 설치함으로써 책상의 골조를 완성한다.
완성된 책상의 골조에 일정 크기로 절단된 상판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연결대 상면으로 안착시킨다.
일정한 두께를 갖는 상기 상판은 각 모퉁이에 직각으로 절단된 내면을 갖는 자라맞춤부(22)가 형성되어 상기 자리맞춤부(22)가 각 다리부의 외측면을 향하도록 하여 보조연결대(35) 상면에 안착시킨다.
보조연결대 상면에 상판을 안착시킨 후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다리부(40)의 상부 중공부 내측에서 외측을 향하도록 각 다리부의 상단 양 측면에 형성된 체결공(43)에 체결구(45)를 결합시켜 각 다리부(40)와 상판(20)의 자리맞춤부(22) 사이를 고정한다.
이와 같이, 각 다리부의 상부 중공부를 통해 체결구(45)를 관통 결합하여 각 다리부(40)와 상판(20)의 자리맞춤부(22)의 결합된 상태의 단면이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수직절단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연결대(35)의 상면에 안착되어 다리부의 상단 중공부를 통헤 체결구가 결합되어 다리부와 결합된 상기 상판의 상면과 다리부의 상면을 수평상태를 유지하거나 상판의 상면이 다소 높게 조립될 수 있다.
도 6의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판(20)의 높이가 다리부(40)의 상단보다 다소 높게 조립된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와 같이 상판이 조립된 후 상기 다리부(40)의 상면으로 후술하는 마감 캡(24)이 끼움 결합되면서 마감 캡(24)의 상면과 상판의 상면이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상판(20)과 다리부(40)의 높이 차이는 다리부(40)의 상면에 결합되는 마감 캡(24)의 형상이나 높이에 따라 달리하여 구성될 수 있지만, 결국 마감 캡(24)의 상면과 상판(20)의 상면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조립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각 다리부(40)의 상단 내측 중공부를 통해 체결구(45)가 결합되어 상판(20)을 다리부(40)와 결합시킨 후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된 각 다리부(40)의 상부에 마감 캡(24)을 끼워 결합하면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의 조립이 완성된다.
그리고 도 8에는 상기 도 7의 B-B선에 따른 수직절단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다리부의 상단에 마감 캡이 결합되면 마감 캡의 상면과 상판의 상면이 수평상대를 유지하게 되어 책상 사용시 전체적으로 상판 상면이 수평상태가 유지되어 그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마감 캡은 그 하단으로 일정 길이의 삽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가 각 다리부의 상단 중공부에 삽입되어 마감 캡이 다리부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며, 특히 상기 삽입부의 외주연과 다리부의 상단 중공부 내측에는 상호 교합되거나 대응하는 구조 및 형상을 갖는 이탈방지구(26,27)가 형성되어 상호 교합된 상태로 결합되어져 상기 마감 캡의 이탈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한편, 도 9에는 상술한 구성 및 구조로 조립되는 본 발명의 책상에 대한 조립과정이 간략한 블럭도로 도시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책상(50)은 좌우 일정간격이 유지되어 바닥면에 대해 수평상태에서 상호간에 평행하게 일정 길이의 받침부재를 배치한다(S1).
배치된 상기 받침부재의 전후 상면에 동일한 높이를 갖는 복수개의 다리부를 수직으로 세워 그 하단을 각각 결합시켜 복수개의 다리부를 조립한다(S2).
상기 받침부재의 상면에 결합된 좌우 양쪽의 전후 다리부 사이 및 후방측 좌우 다리부 사이에 연결되어 각 다리부 상호간을 구속하도록 보조연결대를 설치되되, 설치될 상판의 두께만큼 각 다리부의 최상단에서 하향된 위치에 보조연결대를 설치(S3)하여 책상의 골조를 완성한다.
완성된 책상의 골조를 구성하는 상기 보조연결대의 상면으로 일정 크기와 모양으로 절단된 상판을 안착시키고, 보조연결대의 상면에 안착된 상기 상판을 각 다리부의 상단 내측 중공부를 통해 소정의 체결구를 결합하여 각 다리부와 상판을 결합시킨다(S4).
상판을 고정 설치한 후 중공형의 각 다리부의 상부를 밀폐하면서 상기 상판의 상면과 수평상태가 유지되거나 거의 유사한 높이를 갖도록 각 다리부의 상부에 마감 캡을 결합(S5)시킴으로써 책상조립을 완성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책상은 상판이 식품용기 제작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재질로 이루어져 사용시 환경호르몬이 배출되지 않아 이용자들의 건강을 해치지 않도록 하고, 사용 후 폐기시에 분리되어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자원의 낭비와 산림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판을 다리부에 조립하거나 다리부에서 분리하는 경우, 상판의 네모퉁이에 형성된 자리맞춤부에 결합된 체결구의 분리, 결합을 통해 간단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책상의 조립과 분해가 간편하게 이루어져 책상의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5 : 상판 6 : 연결구
7 : 다리부 10 : 책상
20 : 상판 22 : 자리맞춤부
24 : 마감 캡 25 : 삽입부
26, 27 : 이탈방지구 28 : 절단부
30 : 수납트레이 35 : 보조연결대
40 : 다리부 42 : 받침부재
43 : 체결공 45 : 체결구
50 : 책상

Claims (4)

  1. 일정한 크기로 이루어진 평판재의 상판과, 상기 상판이 상면에 고정되도록 하여 상판을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유지시키도록 바닥면에 대해 수직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다리부가 구비된 책상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일정 두께 및 강도를 갖는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재질로 성형되고,
    상기 다리부는 그 내부가 빈 중공형 각재 또는 원형 튜브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개의 다리부를 상호 연결하도록 각 다리부의 최상단에서 상기 상판의 두께와 동일한 높이의 하단측 또는 상기 상판의 두께보다 다소 아래의 위치에 보조연결대가 설치되고,
    각 다리부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기 보조연결대의 상면에 상기 상판이 안착되어지되, 상기 상판의 모서리부에는 복수개의 다리부에 의해 형성되는 일정한 공간 내측에 상판이 위치되면서 상판의 좌우 및 전후 유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일정한 형상 및 크기의 절단부가 형성되며,
    상기 각 다리부의 상단에는 중공형의 내부를 밀폐하는 마감 캡이 조립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은 저독성 난연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되고,
    상기 보조연결대의 상면에 안착된 상기 상판은 복수개의 중공형 다리부 내측 상단에서 다리부 외측방향으로 결합되는 체결구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체결구가 결합된 각 다리부의 상부로 상기 마감 캡이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
  3. 좌우 일정간격이 유지되어 바닥면에 대해 수평상태가 유지되면서 상호간에 평행하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받침부재를 배치하고(S1);
    상기 받침부재의 전후 상면에 동일한 높이를 갖는 복수개의 다리부 하단을 각각 결합시켜 바닥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복수개의 다리부를 조립하고(S2);
    좌우 및 전후방에 수직으로 세워진 다리부의 좌우 양측과 후방측에서 각 다리부 사이에 연결되어 각 다리부의 상호간을 구속하도록 보조연결대를 설치하되, 설치될 상판의 두께만큼 각 다리부의 최상단에서 하향된 위치에 보조연결대를 설치하고(S3);
    상기 보조연결대의 상면으로 일정 크기와 모양으로 절단된 상판을 안착시키고, 보조연결대의 상면에 안착된 상기 상판을 다리부와 고정시키기 위해 각 다리부의 상단 내측에서 소정의 체결구를 결합하여 각 다리부와 상판을 결합시키고(S4);
    상판이 설치된 후 중공형의 각 다리부의 상부를 밀폐하면서 상기 상판의 상면과 수평상태가 유지되거나 거의 유사한 높이를 갖도록 각 다리부의 상부에 마감 캡을 결합(S5)시키는 과정으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조립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연결대의 상면에 안착되는 상판은 전후 및 좌우측 다리부 사이로 일정부분 돌출되면서 각 다리부에 의해 좌우 및 전후 유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각 다리부와 만나는 모퉁이에 일정한 형상의 자리맞춤부가 형성되어 조립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의 조립방법.
KR1020150115202A 2015-08-17 2015-08-17 책상 및 그 책상의 조립방법 KR201700209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202A KR20170020994A (ko) 2015-08-17 2015-08-17 책상 및 그 책상의 조립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5202A KR20170020994A (ko) 2015-08-17 2015-08-17 책상 및 그 책상의 조립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994A true KR20170020994A (ko) 2017-02-27

Family

ID=58315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5202A KR20170020994A (ko) 2015-08-17 2015-08-17 책상 및 그 책상의 조립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2099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808Y1 (ko) * 2017-03-17 2017-10-26 이창환 조립식 테이블 결합구조
CN108991745A (zh) * 2018-09-30 2018-12-14 嘉善县天凝小学 一种用于学校食堂的餐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510Y1 (ko) 2001-05-23 2001-10-29 송정용 학생용 책상
KR200431374Y1 (ko) 2006-09-08 2006-11-23 (주)에리트퍼니처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책상
KR20110066126A (ko) 2011-05-31 2011-06-16 김용관 조립식 간이 테이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5510Y1 (ko) 2001-05-23 2001-10-29 송정용 학생용 책상
KR200431374Y1 (ko) 2006-09-08 2006-11-23 (주)에리트퍼니처 상판의 양면 사용이 가능한 책상
KR20110066126A (ko) 2011-05-31 2011-06-16 김용관 조립식 간이 테이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808Y1 (ko) * 2017-03-17 2017-10-26 이창환 조립식 테이블 결합구조
CN108991745A (zh) * 2018-09-30 2018-12-14 嘉善县天凝小学 一种用于学校食堂的餐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03561A (en) Assembly made from dove tail panels and the method of assembling
US8904733B2 (en) Door lite frame with nestable frame components
CN103764506B (zh) 具有单件垫木配置支撑组件的托板及相关方法
US9826828B1 (en) Cabinet assembly system utilizing cooperating grooved components
US20100239795A1 (en) Modular Construction Units and Uses Thereof
JP2007509005A (ja) スナップ結合コネクタに対するパネルカバーアタッチメント
KR20170020994A (ko) 책상 및 그 책상의 조립방법
EP3687912A1 (en) Modular pallets
US9596937B2 (en) Seat core
KR102283655B1 (ko) 조립식 가구
US20070145873A1 (en) Drawer construction
KR101801228B1 (ko) 조립식 책상 및 의자
US10420330B2 (en) Connecting bracket and a frame assembly for constructing an aquarium
JP3227789U (ja) 衝立
KR102240372B1 (ko) 사무용 칸막이
US20210380312A1 (en) Transport and storage container
JP3031081U (ja) 高さ調節可能な立て机
KR100624842B1 (ko) 유골함 안치 유니트 및 그에 사용되는 유골함 케이스
KR20190105861A (ko) 수납함과 이의 제조방법
JP2020058746A (ja) 組立式の個室箱型ベッド
JP5099852B2 (ja)
KR200497465Y1 (ko) 조립식 싱크대 물막이
JP2008073467A (ja) サイドパネル付き机
US913062A (en) Chair.
JP3130471U (ja) 組立式机および組立式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