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5195Y1 - 수동변속차량의시동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수동변속차량의시동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5195Y1
KR200245195Y1 KR2019970034835U KR19970034835U KR200245195Y1 KR 200245195 Y1 KR200245195 Y1 KR 200245195Y1 KR 2019970034835 U KR2019970034835 U KR 2019970034835U KR 19970034835 U KR19970034835 U KR 19970034835U KR 200245195 Y1 KR200245195 Y1 KR 2002451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shift lever
neutral position
vehicle
gear shi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48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1338U (ko
Inventor
엄태관
Original Assignee
정주호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주호,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주호
Priority to KR20199700348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5195Y1/ko
Publication of KR199900213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3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51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51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7Details of the switching means in starting circuits, e.g. relays or electronic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2200/00Parameters used for control of starting apparatus
    • F02N2200/08Parameters used for control of starting apparatus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vehicle or its components
    • F02N2200/0802Transmission state, e.g. gear ratio or neutral st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Abstract

수동변속차량의 시동제어장치는 운전자가 초기 시동을 걸기위해 시동스위치를 이용하여 스위치를 온시키게 되면 현재의 기어변속레버의 위치가 중립의 위치에 있는가를 감지하여 감지결과 현재의 기어변속레버의 위치가 중립의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릴레이 및 스타트모터를 동작시켜 시동을 걸게 되는 것이고, 반대로 기어변속레버가 각단중 임의의 단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 중립위치인식스위치는 오프되어 릴레이 및 스타트모터가 구동되지 않아 차량의 시동은 걸리지 않게 되어 운전자로 하여금 반드시 기어변속레버의 위치를 중립으로 전환한 후, 차량의 시동을 걸게 함으로써, 초기시동시 급출발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동변속차량의 시동 제어장치
본 고안은 수동변속차량에서 변속레버가 중립의 위치에 있을 때에만 차량의 시동이 걸리도록 한 수동변속차량의 시동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변속레버가 중립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수동변속차량의 시동 제어 자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가 주행을 하기 위하여 시동키를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을 걸게 되는데 보통의 경우에는 기어변속레버를 중립의 위치로 하여 시동키를 이용하여 차량의 시동을 거는게 보통의 경우이다.
그러나, 운전자마다 기어변속레버의 위치에 관계없이 현재의 기어변속레버의 위치에서 시동을 걸게 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주행을 마치고 주차를 하였을 시 주차한 곳의 도로상황이 일정각도 경사진도로인 경우 운전자는 기어변속레버의 위치를 중립으로 한 상태로 차량을 주차하지 않고 주차브레이크가 풀릴 수 있는 위험을 대비하여 후진 또는 1단으로 기어변속레버를 위치시킨 후 주차를 하게 되는 것이 대부분의 운전자들의 운전습관일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운전자가 다시 주행을 하기 위하여 시동을 걸 때, 현재의 기어변속레버의 위치를 중립으로 하고 시동을 걸게 되는 경우와 현재의 기어변속레버이 위치를 그대로 두고 시동을 걸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두가지의 경우 모두 수동변속차량의 경우에는 기어변속레버의 위치에 관계없이 시동이 걸리게 되는데 자동변속차량의 경우에는 항상 “P” 또는 “N” 상태에서만이 시동이 걸리게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동변속차량의 시동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동변속차량이 시동장치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1도를 참조하여 그 구성을 살펴보면, 차량의 시동을 걸기위한 스위칭신호를 제공하는 시동스위치(10)와; 시동스위치(10)의 스위칭에 따라 구동되는 릴레이(11)와, 릴레이(11)의 구동에 따라 동작되어 연료펌프를 구동시키는 스타트모터(1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동변속차량의 시동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운전자가 시동키를 이용하여 시동키를 스타트(Start) 위치로 돌려 시동스위치를 온시키게 되면 배터리(미도시)에서 공급되는 전원(B+)에 의해 릴레이(11)가 구동된다.
릴레이(11)의 구동에 따라 스타트모터(12)가 구동되어 차량의 시동을 걸기위한 초기종작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스타트모터(12)가 구동되면, 엔진에 연료를 공급시키기 위하여 연료펌프를 작동시킨 후에 시동키를 온위치로 돌리게 되면 차량이 시동이 걸리게 되는 것이다. 즉, 초기에 엔지의 실린더내로 연료를 분사시켜 시동스위치를 작동시키려면 연료펌프를 구동시켜야 한다. 이때, 연료펌프를 구동시키기 위하여는 상기 스타트모터(12)가 구동이 되어야만 되는 것이다.
결국,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동변속차량이 시동장치는 기어변속레버의 위치에 관계없이 시동스위치만을 작동시키게 되면 차량의 시동은 걸리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수동변속차량의 시동장치에서 운전자 시동을 걸 때, 수동변속기의 기어변속레버이 위치를 확인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때, 종래에는 기어변속레버의 위치에 관계없이 시동스위치만을 작동시키게 되면 차량의 시동은 걸리게 되기 때문에 만약, 기어변속레버의 위치가 1단 또는 2단의 위치에 있을 경우 시동을 걸게되면 차량이 급출발하게 되어 추돌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추돌사고로 이한 인사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커다란 문제점이 제거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수동변속차량의 시동을 걸 때, 기어변속레버의 위치를 감지하여 그 위치가 중립의 위치에 있을 경우에만 차량의 시동이 걸리게 함으로써, 급출발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수동변속차량의 시동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의 시동장치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동변속차량의 시동 제어장치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중립인식스위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3(a)도는 변속레버가 중립위치에 있을시 중립인식스위치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제3(b)도는 변속레버가 변속위치에 있을시 중립인식스위치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점화스위치 21 : 중립위치인식스위치
22 : 릴레이 23 : 스타트모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수동변속차량의 시동 제어장치는 기어변속레버와 커넥팅로드를 구비한 수동변속차량의 시동을 걸기위한 스위칭 신호를 제공하는 시동스위치와, 상기 수동변속차량의 기어변속레버의 위치가 중립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감지하여 중립의 위치에 있을 경우에만 스위칭되어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하는 중립위치인식스위치와, 상기 중립위치스위치와 시동스위치가 온되었을 경우에만 구동되는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의 구동에 따라 차량의 시동을 위한 초기구동을 하는 스타트모터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중립위치인식스위치는; 상기 커넥팅로드에 장착되어 있는 링과; 상기 링 상측에 장착되어 상기 커넥팅로드의 진선운동에 따라 상기 링에서 탈거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슬라이딩로드와; 상기 배터리의 전원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전극과; 상기 슬라이딩로드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입력전극과 접촉 또는 이탈되도록 장착된 출력전극과; 상기 입력 전극과 상기 출력전극간의 접촉 및 이탈을 유지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수동변속차량의 시동 제어장치이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동변속차량의 시동 제어장치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중립인식스위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제3(a)도는 변속레버가 중립위치에 있을 시 중립인식스위치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제3(b)는 변속레버가 변속위치에 있을 시 중립인식스위치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수동변속차량의 시동 제어장치의 구성을 살펴보면 차량의 시동을 걸기위한 스위칭신호를 제공하는 시동스위치(20)와, 수동변속차량의 기어변속레버(25)의 위치가 중립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감지하여 중립의 위치에 있을 경우에만 스위칭되어 배터리(미도시)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하는 중립위치인식스위치(21)와, 상기 중립위치스위치(21)와 시동스위치(20)가 온되었을 경우에만 구동되는 릴레이(22)와, 릴레이(22)의 구동에 따라 차량의 시동을 위한 초기구동을 하는 스타트모터(2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중립위치인식스위치(21)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팅로드(24)에 링(24a)이 장착되고, 링(24a) 상측에는 커넥팅로드(24)의 진선운동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슬라이딩로드(21d)가 구비된다.
그리고, 배터리의 입력전원에 입력전극(21a)이 연결되고, 슬라이딩로드(21d)의 상하이동에 따라 상기 입력전극(21a)과 접촉 및 이탈되도록 출력전극(21b)이 설치되며, 입력전극(21a)과 출력전극(21b)의 접촉 및 이탈을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슬라이딩로드(21d) 상측과 케이스(21e) 일면 사이에는 압축스프링(21f)이, 상기 출력전극(21b) 하측과 케이스(21e)의 타면 사이에는 인장스프링(21c)이 각각 장착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수동변속차량의 시동 제어장치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운전자가 기어변속레버(25)를 1단 또는 각단에 위치시킨 후, 시동을 끄게 되면, 제2도에 도시된 중립위치인식스위치(21)는 제3(b)도와 같이 스위칭이 오프된다. 즉, 기어변속레버(25)를 예를 들어 1단의 위치로 선택하게 되면 커넥팅로드(24)가 직선운동을 하게 되면서 커넥팅로드(24)의 상부의 일측에 장착된 링(24a)으로부터 슬라이딩로드(21d)는 이탈되게 된다. 즉, 슬라이딩로드(21d)에 장착된 스프링(21f)의 스프링력에 의해 슬라이딩로드(21d)가 하측으로 이탈되게 된다.
따라서, 출력전극(21b)는 스프링(21c)의 스프링력에 의해 입력전극(21a)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결국, 스위치는 오프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중립위치인식스위치(21)가 오프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시동스위치(20)를 온시키게 되면 릴레이(22)의 구동이 차단되어 스타트모터(23)의 구동이 정지되어 차량의 시동은 걸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이와 같이 기어변속(25)의 위치를 각 단에서 중립의 위치로 시프팅하게 되면 커넥팅로드(24)가 반대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게 되어 제3(a)도와 같이 슬라이딩로드(21d)가 커넥팅로드(24)의 상부에 장착된 링(24a)의 상부로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딩로드(21d)의 이동에 따라 슬라이딩로드(21d)에 장착된 출력전극(21b) 역시 상부로 이동되어 입력전극(21a)과 부착되게 되는 것이다. 즉, 중립위치인식스위치(21)가 온되어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릴레이(22)의 코어부에 인가되는 것이다.
이때, 운전자가 시동스위치를 온시키게 되었을 경우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은 시동스위치(20)를 통해 릴레이(22)의 스위치부에 공급됨에 따라 릴레이(22)가 구동되는 것이다. 결국, 릴레이(22)의 구동에 따라 스타트모터(23)가 구동되어 차량의 시동은 걸리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른 수동변속차량의 시동 제어장치이 동작을 간단하게 요약해보면, 운전자가 초기 시동을 걸기위해 시동스위치(20)를 이용하여 스위치를 온시키게 되면 현재의 기어변속레버(25)이 위치가 중립이 위치에 있는가를 감지하게 된다. 감지결과 현재의 기어변속레버의 위치가 중립의 위치에 즉, 제3(a)도와 같이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는 릴레이(22) 및 스타트모터(23)를 동작시켜 시동을 걸게 되는 것이고, 반대로 제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변속레버(25)가 각단중 일당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 중립위치인식스위치(21)는 오프되어 릴레이(22) 및 스타트모터(23)가 구동되지 않아 차량이 시동은 걸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운전자는 기어변속레버(25)이 위치를 중립으로 전환한 후, 차량의 시동을 걸어야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동변속차량의 시동 제어장치는 운전자가 차량의 초기시동을 걸게되는 경우 기어변속레버의 현재위치를 감지하여 현재의 기어변속레버의 위치가 중립이 아닌 경우에는 시동스위치를 온시켜도 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하고, 기어변속레버의 위치가 중립의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차량의 시동이 걸리도록 함으로써, 차량이 급출발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기어변속레버와 커넥팅로드를 구비한 수동변속차량의 시동을 걸기위한 스위칭 신호를 제공하는 시동스위치와, 상기 수동변속차량의 기어변속레버의 위치가 중립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감지하여 중립의 위치에 있을 경우에만 스위칭되어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공급하는 중립위치인식스위치와, 상기 중립위치스위치와 시동스위치가 온되었을 경우에만 구동되는 릴레이와, 상기 릴레이의 구동에 따라 차량의 시동을 위한 초기구동을 하는 스타트모터를 가진 수동변속차량의 시동제어장치에서, 상기 중립위치인식스위치는; 상기 커넥팅로드에 장착되어 있는 링과; 상기 링 상측에 장착되어 상기 커넥팅로드의 진선운동에 따라 상기 링에서 탈거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슬라이딩로드와; 상기 배터리의 전원에 연결되어 있는 입력전극과; 상기 슬라이딩로드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입력전극과 접촉 또는 이탈되도록 장착된 출력전극과; 상기 입력 전극과 상기 출력전극간의 접촉 및 이탈을 유지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수동변속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
KR2019970034835U 1997-11-29 1997-11-29 수동변속차량의시동제어장치 KR2002451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835U KR200245195Y1 (ko) 1997-11-29 1997-11-29 수동변속차량의시동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835U KR200245195Y1 (ko) 1997-11-29 1997-11-29 수동변속차량의시동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338U KR19990021338U (ko) 1999-06-25
KR200245195Y1 true KR200245195Y1 (ko) 2001-12-17

Family

ID=53897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4835U KR200245195Y1 (ko) 1997-11-29 1997-11-29 수동변속차량의시동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519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482B1 (ko) * 2006-03-31 2007-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 차량에서 시동 모터 제어장치
KR102586335B1 (ko) * 2019-05-08 2023-10-10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엔진 시동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338U (ko) 199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6617B2 (en) Engine starting assist system
KR200245195Y1 (ko) 수동변속차량의시동제어장치
KR20070092412A (ko) 차량용 버튼 시동장치
KR200167135Y1 (ko) 무선 시동장치의 안전장치
KR100323423B1 (ko) 변속기의 변속감 향상장치
KR100463069B1 (ko) 자동변속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KR200287023Y1 (ko) 자동변속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EP0377341A1 (en) Engine starting device
KR0181543B1 (ko) 차량용 수동변속기의 비중립상태시 원격시동장치 및 방법
KR100224164B1 (ko) 자동차의 언덕길 주행시 밀림방지장치
KR100350267B1 (ko) 대형 반자동 변속기 탑재 차량의 시동시 안전장치
KR0137499B1 (ko) 자동 클러치 제어장치
KR20010064614A (ko)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KR100302912B1 (ko) 자동차용오토클러치장치
JPH052347Y2 (ko)
KR19990021345U (ko) 수동변속차량의 시동 제어장치
KR0177078B1 (ko) 자동 주차 브레이크 작동장치
KR100309408B1 (ko) 자동클러치
KR960004324Y1 (ko) 기어걸림 경고장치
KR970045308A (ko) 차량의 안전 시동 장치 회로
KR0131174B1 (ko) 전기자동차용 후진등 작동장치
KR100391310B1 (ko)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KR920001767Y1 (ko) 자동해제 가능한 주차브레이크
KR970075333A (ko) 차량의 파킹 브레이크 해제시 엔진시동 불가장치
KR100456103B1 (ko) 자동변속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