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1310B1 -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1310B1
KR100391310B1 KR10-2000-0080810A KR20000080810A KR100391310B1 KR 100391310 B1 KR100391310 B1 KR 100391310B1 KR 20000080810 A KR20000080810 A KR 20000080810A KR 100391310 B1 KR100391310 B1 KR 100391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teering wheel
sprag
switch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0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1526A (ko
Inventor
조기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0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1310B1/ko
Publication of KR20020051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1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1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13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8/1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responsive to conditions relating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 B60K2028/003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inhibiting the starter motor, e.g. by controlling ignition or park lock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스티어링 휠이 소정각도 이상 회전된 상태에서는 쉬프트 락이 설정되게 하고 브레이크 감지신호와 스티어링 휠이 설정각이하로 감지된 경우에만 차량이 발진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브레이크 페달의 후단에 구비되어 브레이크의 작동상태에 따라 스위칭되는 브레이크 스위치와; 차량의 발진을 제어하기 위하여 스프래그를 스프래그 기어로부터 착탈시키는 스위칭을 행하는 시프트 락 스위치와; 스티어링 휠의 소정부에 구비되어 그 조향각을 검출하는 스티어링 휠 감지부와; 상기 브레이크 스위치와, 시프트 락 스위치와, 스티어링 휠 감지부로부터 인가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시키는 A/D 변환부와; 상기 브레이크 스위치와 스티어링 휠 감지부에서 검출된 조향각이 기설정각 이하로 검출되면 차량 발진 가능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차량발진 신호를 인가받아 스프래그 기어로부터 스프래그가 이탈될 수 있도록 스프래그를 구동시키는 스프래그 구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Device for preventing quick startng}
본 발명은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이 소정각도 이상으로 회전된 상태에서는 차량의 발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제어하는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자동차 산업의 발전으로 말미암아 차량의 보급율이 갈수로 증대되고 있으며 그로인해 일반 운전자의 경우에도 차량에서 소비하는 시간이 급증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보다 인간중심적이며, 보다 효율적인 차량의 각종 시스템 개발에 기술력이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를 사용하다 보면 운전자는 빈번하게 접촉사고 및 각종 사고의 위험에 노출되는 바, 차량의 사고중 차량의 주차 및 출발시에 의외로 많은 차량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차량의 출발시 발생되는 사고의 대부분은 차량의 급발진이 그 원인이며, 최근에는 이러한 차량의 급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제어기술도 출현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차량 자체의 결함이 아니더라도 운전자가 차량의 스티어링 휠을 일정 각도이상으로 위치시킨 다음, 후에 차량의 출발을 위하여 시동을 건 후 그 스티어링 휠의 회전각을 인식하지 못한 상태에서 급작스럽게 출발하게 되면 운전자가 소망하는 방향으로 차량이 이동되지 않으므로 운전자는 매우 당황하게 되거나, 운전 미숙자의 경우에는 접촉사고 발생 위험이 매우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차량의 스티어링 휠이 소정각도 이상 회전된 상태에서는 쉬프트 락이 설정되게 하고 브레이크 감지신호와 스티어링 휠이 설정각이하로 감지된 경우에만 차량이 발진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스프래그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의 회로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브레이크스위치, 8:스프래그,
12:스티어링휠 감지부, 14:시프트락 스위치,
18:A/D변환부, 20:제어부,
22:스프래그구동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브레이크 페달의 후단에 구비되어 브레이크의 작동상태에 따라 스위칭되는 브레이크 스위치와; 차량의 발진을 제어하기 위하여 스프래그를 스프래그 기어로부터 착탈시키는 스위칭을 행하는 시프트 락 스위치와; 스티어링 휠의 소정부에 구비되어 그 조향각을 검출하는 스티어링 휠 감지부와; 상기 브레이크 스위치와, 시프트 락 스위치와, 스티어링 휠 감지부로부터 인가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시키는 A/D 변환부와; 상기 브레이크 스위치와 스티어링 휠 감지부에서 검출된 조향각이 기설정각 이하로 검출되면 차량 발진 가능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차량발진 신호를 인가받아 스프래그 기어로부터 스프래그가 이탈될 수 있도록 스프래그를 구동시키는 스프래그 구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티어링 휠 감지부는 그 내부에 가변저항이 구비되어 스티어링의 조향각에 따라 전압차가 발생되어 조향각을 검출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시프트 락 스위치는 트랜지스터와 릴레이 스위치로 구성되며, 그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에는 상기 스티어링 휠 감지부와 연동되는 릴레이 스위치와, 상기 브레이크 스위치가 각각 직렬로 구성되어 두 스위치가 모두 턴 온(ON)된 상태에서만 차량의 발진이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스프래그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차량의 구동축 소정부에 구비된 스프래그 기어(10)가 고정 부착된 상태에서 그 스프래그 기어(10)의 하단 소정부에는 스프래그(8)가 삽입될 수 있는 스프래그 삽입홈(10a)이 형성되고, 그 스프래그(8)는 하단에 형성된 유동캠(6)의 회전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그 유동캠(6)은 브레이크 스위치(2)와 쉬프트 솔레노이드 스위치(4)의 스위칭동작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을 행하게 되는 바, 상기 브레이크 스위치(2)가 턴 온(ON)된 상태에서만 상기 쉬프트 솔레노이드 스위치(4)가 턴 온(ON)되고, 이어서 쉬프트 솔레노이드가 작동되어 상기 유동캠(6)을 하단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유동캠(6)이 하단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스프래그(8)의 삽입부는 상기 스프래그 삽입홈(10a)으로부터 이탈되게 되어 구동축의 구동력이 휠로 전달될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참조부호 12는 스티어링 휠의 소정부에 형성되어 그 각도를 검출하는 스티어링 휠 감지부를 나타내는 바, 상기 스티어링 휠 감지부(12)는 그 내부에 가변저항이 구비되어 스티어링 휠의 각도변화에 대한 전압차가 발생되도록 하여 스티어링 휠의 각도를 감지할 수 있게 한다.
참조부호 14는 상기 브레이크 스위치(2)가 턴 온(ON)되어 인가된 신호에 의해 스위칭되어 시프트 락을 해제시키기 위한 시프트 락 스위치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18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키는 A/D 변환부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20은 상기 브레이크 스위치(2)의 스위칭 신호가 인가되며, 상기 스티어링 휠 감지부(12)로부터 감지된 스티어링 휠의 각이 소정각(예컨대 90°이하)이 되고, 상기 시프트 락 스위치(14)가 턴 오프(OFF)되면 차량의 발진 가능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나타낸다.
참조부호 22는 상기 제어부(20)로부터 차량의 발진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스프래그(8)가 상기 스프래그 기어(10)로부터 이탈될 수 있도록 하강시키는 스프래그 구동부(도 1에서의 캠, 쉬프트 솔레노이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의 회로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차량의 배터리(B+)는 브레이크 스위치(2)와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브레이크 스위치(2)의 일단은 상기 스티어링 휠 감지부(12)와 접속된 제 1 트랜지스터(24)와 연계된 제 1 릴레이 스위치(26)와 접속된다.
동 도면에서, 상기 제 1 릴레이 스위치(26)의 타단은 제 2 트랜지스터(28)의 베이스단과 접속되며, 상기 제 2 트랜지스터(28)의 컬렉터단은 상기 시프트 솔레노이드 스위치를 나타내는 제 2 릴레이 스위치(4)의 일단과 접속된다.
또한,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4)는 상기 스프래그 구동부(22)와 접속된다.
미설명부호 30은 역류방지 다이오드이며, 기타 저항은 해당 트랜지스터의 입력값을 조절해주기 위한 저항체이다.
상기한 구성으로 살펴보면, 상기 브레이크 스위치(2)가 턴 온(ON)된 상태에서, 상기 스티어링 휠 감지부(12)의 감지각도가 90°이하으로 검출되게 되면 상기 제 1 트랜지스터(24)의 베이스단에는 하이레벨의 신호가 인가되어 그 트랜지스터(24)는 도통된다.
상기 제 1 트랜지스터(24)의 도통으로 상기 제 1 릴레이 스위치(26)의 릴레이에 기전력이 유기되어 자화되면 제 1 릴레이 스위치(26)는 턴 온(ON)된다.
상기 제 1 릴레이 스위치(26)가 턴 온(ON)되면 다시 상기 제 2 트랜지스터(28)의 베이스단에 하이레벨 신호를 인가하여 도통시키고, 그 토통으로 상기 제 2 릴레이 스위치(4)는 스위칭 온(ON)되어 상기 스프래그 구동부(22)를 구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스프래그(8)는 상기 스프래 그 기어(10)로부터 이탈되어 차량이 발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의 신호흐름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운전자가 키를 키홀더에 삽입하여 시동 모터(Start Motor)를 구동시킴으로써 엔진 시동이 이루어지면(제 1단계: ST-1), 상기 스티어링 휠 감지부(12)는 현재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을 검출하여 그 조향각이 90°이하가 되는 지를 판단한다.(제 2단계: ST-2)
판단 결과, 조향각이 90°이하가 되면, 현재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작동시켜 상기 브레이크 스위치(2)가 턴 온(ON)된 상태인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제 3단계: ST-3)
판단 결과, 브레이크 스위치(2)가 턴 온(ON)된 상태라면, 차량의 기어 조작으로 전/후진 신호가 인가되었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제 4단계: ST-4)
그 결과, 전/후진 신호가 인가되었으면 상기 스프래그 구동부(22)를 구동시켜 상기 스프래그(8)가 스프래그 기어(10)로부터 이탈되어(제 5단계: ST-5) 차량이 이동될 수 있게 한다.(제 6단계: ST-6)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가 단지 상기한 신호흐름에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상기 브레이크 스위치(2)가 턴 온(ON)된 상태에서 스프래그 기어(10)가 해제되게 하고, 그 후에 운전자의 기어 조작에 의해 차량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즉, 상기 스프래그 기어(10)가 차량의 발진 가능한 상태로 해제되기 위해서는 브레이크 스위치(2)의 턴 온과,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이 기설정각 이하만 되면 차량은 발진 가능한 상태로 스프래그 기어(10)가 해제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의 조향각에 둔감한 운전 미숙자나, 운전자의 실수로 차량의 타이어가 급격하게 회전된 상태에서 급발진이 이루어지게 될 때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사고를 스티어링 휠이 기 설정각도 이하에서만 차량의 발진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급발진으로 인한 각종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브레이크 페달의 후단에 구비되어 브레이크의 작동상태에 따라 스위칭되는 브레이크 스위치와;
    차량의 발진을 제어하기 위하여 스프래그를 스프래그 기어로부터 착탈시키는 스위칭을 행하는 시프트 락 스위치와;
    스티어링 휠의 소정부에 구비되어 그 조향각을 검출하는 스티어링 휠 감지부와;
    상기 브레이크 스위치와, 시프트 락 스위치와, 스티어링 휠 감지부로부터 인가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로 변환시키는 A/D 변환부와;
    상기 브레이크 스위치와 스티어링 휠 감지부에서 검출된 조향각이 기설정각 이하로 검출되면 차량 발진 가능한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차량발진 신호를 인가받아 스프래그 기어로부터 스프래그가 이탈될 수 있도록 스프래그를 구동시키는 스프래그 구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휠 감지부는 그 내부에 가변저항이 구비되어 스티어링의 조향각에 따라 전압차가 발생되어 조향각을 검출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락 스위치는 트랜지스터와 릴레이 스위치로 구성되며, 그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에는 상기 스티어링 휠 감지부와 연동되는 릴레이 스위치와, 상기 브레이크 스위치가 각각 직렬로 구성되어 두 스위치가 모두 턴 온(ON)된 상태에서만 차량의 발진이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KR10-2000-0080810A 2000-12-22 2000-12-22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KR100391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810A KR100391310B1 (ko) 2000-12-22 2000-12-22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810A KR100391310B1 (ko) 2000-12-22 2000-12-22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1526A KR20020051526A (ko) 2002-06-29
KR100391310B1 true KR100391310B1 (ko) 2003-07-12

Family

ID=27685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0810A KR100391310B1 (ko) 2000-12-22 2000-12-22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131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1526A (ko) 200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9155B2 (en) Vehicle transmission controller
US4807135A (en) Power supply control device for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system
EP1424255A1 (en) Electro mechanical brake,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s
US7191863B2 (en) Apparatus for preventing erroneous operation of electro-motion pedal device in automobile and methods of use thereof
KR100391310B1 (ko) 차량의 급발진 방지장치
US5498941A (en) Speed control device used for electric automobiles and method therefor
WO1998014702A1 (en) A system for the automatic cut off of a car's engine and its automatic restart
KR200167135Y1 (ko) 무선 시동장치의 안전장치
KR100295843B1 (ko) 수동 변속 차량의 밀림 방지 장치
KR100228988B1 (ko) 전기 자동차의 경사로 주행시 후진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JP3728868B2 (ja) 電動機駆動の産業車両
KR200245195Y1 (ko) 수동변속차량의시동제어장치
KR100783864B1 (ko) 경사로 주차브레이크 자동작동장치의 안전차단장치
KR100228987B1 (ko) 전기 자동차의 경사로 주행시 후진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KR200146972Y1 (ko) 시동시 'd'단 인식 방지 장치
KR970006407Y1 (ko) 차량출발시 경사감지 경고장치
JPS60248443A (ja) 自動変速機装着車両のエンジン始動装置
KR20030024203A (ko) 운전자의 오작동에 의한 급발진 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0132510Y1 (ko) 자동변속기 차량의 주차브레이크 릴리저
KR0178501B1 (ko) 차량의 이동방지 장치 및 방법
JPH01178030A (ja) 自動変速車の始動制御装置
KR0122076Y1 (ko) 자동변속기 차량의 엔진 브레이크 제어장치
KR100391215B1 (ko) 자동변속기 장착 차량의 엔진 브레이크 작동시 제동등작동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09149A (ko) 수동변속 차량의 시동 제어방법
JP3909114B2 (ja) 制動力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