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0221Y1 - 오락기용 상품인출장치 - Google Patents

오락기용 상품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0221Y1
KR200240221Y1 KR2020010012328U KR20010012328U KR200240221Y1 KR 200240221 Y1 KR200240221 Y1 KR 200240221Y1 KR 2020010012328 U KR2020010012328 U KR 2020010012328U KR 20010012328 U KR20010012328 U KR 20010012328U KR 200240221 Y1 KR200240221 Y1 KR 2002402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present
frame
electromagnet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23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규
Original Assignee
이민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규 filed Critical 이민규
Priority to KR20200100123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02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02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0221Y1/ko

Links

Landscapes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품이 인출되는 상품인출 오락기의 인출구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자석과 스프링을 이용하여 상품인출장치의 인출구가 평상시에는 닫혀 있다가 상품을 인출하는 과정에서 인출구가 열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 인출구를 통해 상품이 인의적으로 인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오락기용 상품인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고안인 오락기용 상품인출장치는, 4면을 감싸며 전면부에 개구부(11)를 갖는 프레임(12)과; 상기 프레임 중 양측면 프레임(12a)의 내측에 힌지결합된 인출구(14)와; 상기 인출구(14)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양측 프레임의 내측간에 힌지결합된 힌지구(13)와; 상기 측면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외면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승하강이동구(15)에 끼움 결합된 스프링(16)과; 상기 승하강이동구의 저부에 구성되어 권취된 코일(17a)의 내부로 왕복승하강 운동되는 접지구(15a)와; 그리고, 상기 접지구의 하부에 코일이 귄취된 전자석917)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락기용 상품인출장치{PRIZE DRAWOUT DEVICE FOR GAME}
본 고안은 시용자기 놀이도 즐기면서 게임이 끝난후에는 상품도 받을 수 있는 상품을 인출하는 오락기용 상품인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품이 인출되는 인출구가 전자석에 의해 상품의 인출시에만 개구될 수 있도록 된 오락기용 상품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락게임기라 함은, 각종의 스포츠나 격투기등을 프로그램화한 소프트웨어를 내장하여 이를 조작버튼으로 작동시켜 점수를 높이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오락게임기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
최근들어, 오락게임기를 전술한 부분에만 한정하여 개발하지 않고 다양한 기능을 하여 사용자가 게임을 즐겁게 할 수 있도록 한 오락게임기가 개발되고 있으며, 일예로 오락기 본체의 내부에 수용된 상품, 예를 들어 인형 또는 악세사리 등을 인출할 수 있도록 개발된 상품인출 오락기가 있다.
이 상품인출 오락기는, 동전(coin)을 투임한 후에 조작버튼 및 조작레버로 위치설정 수단을 구동시켜 파지수단의 위치가 파지할 상품과 수직으로 일직선이 되게 하고, 승하강 수단을 구동시켜 상품 가까이 근접되도록 파지수단을 하강시키며, 파지수단으로 상품을 파지한 후에 최종적으로 핑거위치 설정수단, 승하강 수단 및 파지수단을 적당하게 구동시켜 파지된 상품을 상품 인출구에 투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파지수단은, 수개의 집게를 힌지를 매개로 하여 바아상으로 벌린후에 상품을 파지한 후에 다시 집게를 원위치로 복귀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승하강 수단은 구동모터와 이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풀리와 이 풀리에 권취되는 로우프로 구성하여 출링 로우프가 풀리거나 감김에 따라 파지수단이 승하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상품인출 오락기는, 원하는 상품을 선택하여 파지수단을 이용하여 파지한 후, 원하는 상품을 인출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상품을 인출하는 과정에서 스릴을 느낄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상기 파지된 상품이 인출되는 인출구가 항상 개구되어 있음에 따라, 이 개구된 인출구에 손을 집어 넣고 수용된 상품을 빼내가는 문제점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상품이 인출되는 상품인출 오락기의 인출구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자석과 스프링을 이용하여 상품인출장치의 인출구가 평상시에는 닫혀 있다가 상품을 인출하는 과정에서 인출구가 열릴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 인출구를 통해 상품이 인의적으로 인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오락기용 상품인출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오락기용 상품인출장치가 적용된 상품인출 오락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오락기용 상품인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오락기용 상품인출장치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정면도로서 인출구가 하강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오락기용 상품인출장치가 적용된 상품인출오락기의 내부 구성요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오락기용 상품인출장치가 적용된 상품인출오락기의 작동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고안인 오락기용 상품인출장치의 작동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투시창
3 : 조절레버 4 : 투입구
5 : 버튼스위치 10 : 인출장치
11 : 개구부 12 : 프레임
13 : 힌지구 14 : 인출구
15 : 승하강이동구 15a : 접지구
16 : 스프링 17 : 전자석
21 : 횡방향가이드봉 22 : 종방향가이드봉
23 : 슬라이더 24 : 작동부
25 : 로프 26 : 파지부
26a : 파지집게 27 : 모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오락기용 상품인출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내에 상품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이 수용부에 수용된 상품을 파지하는 파지수단 및 상기 파지수단을 조절하는 레버로 이루어진 상품인출오락기에 있어서,
4면을 감싸며 전면부에 개구부를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중 양측면 프레임의 내측에 힌지결합된 인출구와, 상기 인출구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양측 프레임의 내측간에 힌지결합된 힌지구와, 상기 측면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외면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승하강이동구에 끼움 결합된 스프링과, 상기 승하강이동구의 저부에 구성되어 권취된 코일의 내부로 왕복승하강 운동되는 접지구와, 그리고, 상기 접지구의 하부에 코일이 권취된 전자석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오락기용 상품인출장치는,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전자석에 의해 승하강이동구가 하강되며, 이 승하강이동구의 하강에 의해 인출구가 상승하게 되어 인출장치의 개구부를 막음으로써 인의적으로 상품이 인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한다.
이하, 본 고안인 오락기용 상품인출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오락기용 상품인출장치가 적용된 상품인출 오락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와, 이 본체(1)의 상부 및 측면부에 구성된 투시창(2)과, 상기 본체내의 수용부에 수용된 상품을 인출하기 위해 조절하는 조절레버(3)와, 파지된 상품을 밖으로 인출하는 인출장치로 구성된다.
도 2는 본 고안인 오락기용 상품인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오락기용 상품인출장치의 구성요부를 나타낸 측면도로 인출구가 하강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오락기용 상품인출장치(10)는, 전면부에 개구부(11)가 형성되고 4면을 감싸도록 이루어진 프레임(12)과, 상기 프레임(12) 중 양측면프레임(12a)의 내측면에 힌지구(13)에 의해 힌지결합된 인출구(14)와, 상기 측면 프레임(12a)의 외면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승하강이동구(15)에 연결된 스프링(16)과, 상기 승하강이동구(15)의 저부에 구성된 접지구(15a)와, 이 접지구(15a)의 하부에 전원이 인가되는 동안에 자력이 발생되는 전자석(1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인 오락기용 상품인출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가 일정금액을 상품인출 오락기의 전면부에 구성된 투입구(4)에 넣은 후, 오락기의 상부에 구성된 조절레버(3)를 작동하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의 내부에 구성된 횡방향가이드봉(21)과 종방향가이드봉(22)을 따라 슬라이더(23) 및 작동부(24)가 이동하게 되는 바, 사용자는 조절레버(3)를 조절하여 상기 작동부(24)의 하부에 로프(25)에 의해 연결된 파지부(26)를 원하는 상품의 위치에 오도록 한 후, 상기 본체(1)의 상부에 구성된 버튼스위치(5)를 누르게 되면, 상기 작동부(24)에 구성된 모터(27)가 구동되어 상기 파지부(26)가 로프(25)의 하강에 의해 하강되고, 하강된 파지부(26)의 하부에 구성된 다수개의 파지집게(26a)가 상품을 파지한다.
상기와 같이 파지집게(26a)가 상품을 파지하게 되면 입력된 값에 의해 상기 파지부(26)가 상승되고, 이 파지부(26)와 로프(25)로 연결된 작동부(24)가 상기 종방향가이드봉(22) 및 횡방향가이드봉(21)에 의해, 본 고안인 오락기용 상품인출장치(10)로 파지된 상품을 위치시키게 되고, 인출장치(10)에 위치된 상품이 상기 인출장치내부로 낙하되어 본체 밖으로 상품을 인출됨에 따라 사용자는 상품을 얻을 수 있게된다.
본 고안인 오락기용 상품인출장치(10)는, 사용자가 게임을 하지 않을 때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구(14)가 개구부(11)를 막고 있기 때문에, 인의적으로 상품의 인출이 불가능하며, 사용자가 게임을 하여 상품을 파지한 후, 파지된 상품이 본 고안인 오락기용 상품인출장치로 이송되면, 전원이 인가되어 전자석(17)의 자력에 의해 접지구(15a) 및 이 접지구(15a)의 상부에 결합된 승하강이동구(15)가 하강하게 되고, 승하강이동구(15)가 하강됨에 따라 이 승하강이동구(15)와 힌지결합된 인출구(14)가 승강되어 상기 개구부(11)가 개구됨으로써 상품이 오락기 본체 밖으로 인출된다.
도 5는 본 고안인 오락기용 상품인출장치가 적용된 상품인출오락기의 작동을나타낸 작동회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인 오락기용 상품인출장기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 작동회로도이다.
상기 승하강이동구의 하부에 구성된 접지구의 재질로는 자력에 의해 전자석에 접합됨이 가능한 예컨대, 철재로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하강이동구(15)가 하강될 때에, 상기 인출구(14)의 상승운동이 가능한 이유는, 상기 인출구(14)의 저면에 구성된 힌지구(13)의 축이 상기 승하강이동구(15)의 축과 동일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품이 개구부(11)를 통해 인출된 이후에는, 본 고안인 오락기용 상품인출장치에 인가된 전원이 차단되어 상기 전자석(17)에 발생된 자력이 소멸됨에 따라, 상기 하강된 승하강이동구(15)는 다시 상승하게 되고, 이 승하강이동구(15)의 상승에 의해 상기 인출구(14)가 다시 하강하게 되어, 개구부(11)를 차단함으로써 게임이 끝나고 난 이후에, 이 개구부를 통해 인의적으로 상품이 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전자석(17)에 인가된 전원이 차단되어 접지구(15a)와의 접합력이 소멸될 때, 상기 승하강이동구(15)가 승강되는 것은, 이 승하강이동구(15)에 타단이 결합되고 일단이 측면 프레임(12a)에 연결된 스프링(16)의 복원력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즉, 상기 승하강이동구(15)가 전자석(17)의 자력에 의해 하강하게 되면, 이 승하강이동구(15)에 타단이 연결된 스프링(16)이 신장되고, 전자석(17)에 자력이 소멸되면 상기 접지구(15a)가 전자석(17)에 접합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신장된 스프링(16)은 원래 위치로 복원됨으로써 가능하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17a은 전자석에 전원을 인가하여 자력을 발생토록 하는 코일을 나타낸다.
상기, 파지된 상품이 본 고안인 오락기용 상품인출장치로 이송되는 동안에 상기 전자석에 전원이 공급되어 인출구가 상승됨에 따라 개구부가 개구되거나 또는 상품이 개구부를 통해 밖으로 인출된 후, 게임이 종료되어 상기 전자석에 공급된 전원이 차단되어 상기 인출구가 하강됨에 따라 개구부가 차단되도록 하는 수단은, 예컨대 리미트스위치를 구성하거나 또는 별도의 센서를 구성하여 사용하거나 하여도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오락기용 상품인출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고안인 오락기용 상품인출장치는, 전자석에 의해 인출장치의 인출구가 승하강되기 때문에, 게임을 진행하지 않는 동안에는 상기 인출장치의 개구부가 차단되어 오락기의 본체에 수용된 상품이 인의적으로 밖으로 인출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된다.
둘째, 본 고안인 오락기용 상품인출장치는, 인출구가 승하강되는 것이 전자석의 자력을 이용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에 의해 가능하여 생산단가가 절감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본 고안인 오락기용 상품인출장치는, 인출구에 의해 인의적으로 수용부에 수용된 상품을 인출할 수 없기 때문에, 불필요한 손해를 입는 것을 해결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본체와, 상기 본체내에 상품이 수용되는 수용부와, 이 수용부에 수용된 상품을 파지하는 파지수단 및 상기 파지수단을 조절하는 레버로 이루어진 상품인출오락기에 있어서,
    4면을 감싸며 전면부에 개구부(11)를 갖는 프레임(12)과;
    상기 프레임 중 양측면 프레임(12a)의 내측에 힌지결합된 인출구(14)와;
    상기 인출구(14)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양측 프레임의 내측간에 힌지결합된 힌지구(13)와;
    상기 측면 프레임 중 어느 하나의 외면에 일측이 결합되고 타측이 승하강이동구(15)에 끼움 결합된 스프링(16)과;
    상기 승하강이동구의 저부에 구성되어 권취된 코일(17a)의 내부로 왕복승하강 운동되는 접지구(15a)와; 그리고,
    상기 접지구의 하부에 코일이 권취된 전자석917)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기용 상품인출장치.
KR2020010012328U 2001-04-27 2001-04-27 오락기용 상품인출장치 KR2002402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328U KR200240221Y1 (ko) 2001-04-27 2001-04-27 오락기용 상품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328U KR200240221Y1 (ko) 2001-04-27 2001-04-27 오락기용 상품인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0221Y1 true KR200240221Y1 (ko) 2001-10-12

Family

ID=73065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2328U KR200240221Y1 (ko) 2001-04-27 2001-04-27 오락기용 상품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022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55374A (en) Crane game including vacuum and rotary table
US4718667A (en) Amusement device
KR101624417B1 (ko) 구조 개선된 상품 뽑기 게임장치
KR200240221Y1 (ko) 오락기용 상품인출장치
JP4464761B2 (ja) 景品獲得ゲーム装置
US10741014B2 (en) Adjustable prize chute
JP2008220878A (ja) 弾球遊技機
JP4104045B2 (ja) クレーンゲーム機
US20180330577A1 (en) Vacuum crane game with perforated targets
KR101278607B1 (ko) 물품 뽑기 게임기
JP2003210694A (ja) 遊技機
KR100496514B1 (ko) 경품 뽑기용 게임기
JP3096470U (ja) 捕獲ゲーム装置のクレーンアーム構造
JPH0615690U (ja) パチンコ機
JPH0548146B2 (ko)
KR100324888B1 (ko) 오락용 상품인출장치
KR101976825B1 (ko) 개별적으로 제어가 가능한 다지형 그리퍼 기계
KR101604550B1 (ko) 구조 개선된 상품 뽑기 게임장치
KR20210115140A (ko) 회전 이동형 인형뽑기 오락장치
KR200390954Y1 (ko) 물품 뽑기 오락기
JPH05285269A (ja) 娯楽用クレーン機の景品取得装置
JP2002204890A (ja) 景品捕獲ゲーム方法および装置
JP2613597B2 (ja) クレーン遊戯装置
KR200204441Y1 (ko) 경품오락기의 크레인 이동장치
KR200451711Y1 (ko) 골프공 리턴 기능을 갖는 퍼팅 연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