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417B1 - 구조 개선된 상품 뽑기 게임장치 - Google Patents

구조 개선된 상품 뽑기 게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4417B1
KR101624417B1 KR1020140142257A KR20140142257A KR101624417B1 KR 101624417 B1 KR101624417 B1 KR 101624417B1 KR 1020140142257 A KR1020140142257 A KR 1020140142257A KR 20140142257 A KR20140142257 A KR 20140142257A KR 101624417 B1 KR101624417 B1 KR 101624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obot arm
guide
bracket
st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22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6432A (ko
Inventor
남남기
Original Assignee
남남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남기 filed Critical 남남기
Priority to KR10201401422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417B1/ko
Publication of KR20160046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 개선된 상품 뽑기 게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품 선택을 위해 로봇팔이 장착된 로봇팔 구동부, 및 상품이 적재되며 로봇팔에 의해 일단이 접촉되면 소정의 동작에 따라 상품이 낙하되게 하는 적재부를 포함하는 상부 영역; 및 상기 상부 영역의 하부를 형성하며, 레버 및 버튼이 구비된 조작부, 코인부, 배출구가 제공되어, 상기 로봇팔 구동부의 제어 및 상품 배출을 제공하는 하부 영역으로 이루어진 본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상품 뽑기 게임장치와 다른 구조를 제공하고 있어 보다 입체적이고 동적(動的)인 작동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매 욕구를 충족시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구조 개선된 상품 뽑기 게임장치{AN GOODS EXTRACTING GAME APPARATUS WITH IMPROVED CONSTITUTION}
본 발명은 게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로봇팔을 이용하여 상품이 적재된 적재 프레임을 동작시켜서 상품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구조 개선된 상품 뽑기 게임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인형과 같은 경품 등을 뽑는 게임장치들이 널리 보급되어 있고, 주로 토이 크레인(toy crane)이라 불리는 게임장치가 큰 인기를 끌고 있다.
토이 크레인 게임장치는, 코인 또는 지폐를 투입하는 코인기와, 코인기로부터 판독된 금액에 따라 게임 횟수를 결정하고, 키 조작부의 키 조작신호에 따라 집게의 이동 및 집게의 파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또한, 집게는 수평면상에서의 직교방향 및 상하방향에 대해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래서 집게를 이동시켜 게임 장치 내에 수납된 인형들 중 사용자가 원하는 인형을 파지하여 인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주로 케이스의 전방 양측에 장착된 레버를 조작하면 X,Y축에 장착된 3발 집게가 전,후진 및 양측으로 이동되어 원하는 인형의 상부에 위치되었을 때 버튼을 눌러주면 집게가 하강하고, 그 상태에서 인형을 집은 후 다시 상승시켜서 투입구를 통해 인형을 배출시키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게임장치는 인형 뽑기 과정이 입체적으로 이루어져 가시적인 흥미 유발의 효과가 크고 또한 인형을 가질 수 있는 확률도 높으므로, 그 이용대상이 유년층으로부터 장년층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특히 최근에는 상당히 활성화되어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의 게임장치는 레버를 조작하여 단순하게 집게를 전,후진 및 양측으로만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집게가 수평이동에 의하여 원하는 경품의 상부에 도달되도록 하는 매우 단순한 작동을 한다.
또한 집게를 움직이는 작동 방식은 아주 오랜 시간 동안 이용되는 방식이다. 때문에 이용자들 대부분은 다른 작동 방식을 원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집게를 이용하는 게임 장치는 집게가 인형을 파지한 후 들어 올릴 때 인형의 무게가 무겁거나 또는 집게의 파지력이 약할 경우 인형을 들어 올리지 못할 뿐 아니라 들어올리는 도중 인형을 놓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그만큼 사용자가 게임장치에 대해 불만을 나타내고 있고 이는 곧 매출 감소로 이어진다.
뿐만 아니라, 인형을 파지하고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구조가 대부분 테이블 형태로 이루어진 게임장치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이미 싫증난 상태로서 다른 구조의 게임 장치를 원하고 있다.
한편, 인형 등을 획득하는 다른 오락 예는 장난감 총으로 인형을 맞춰 떨어뜨리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고전 방식이고 단순히 장난감 총을 사용한다는 점에서 흥미 유발이 낮다.
따라서 게임 장치에 마련된 인형과 같은 경품을 다른 방식에 의해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 개선된 게임장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것이 현실이다. 즉 보다 입체적이고 동적(動的)인 작동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구매 욕구를 충족시키도록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한국공개특허 10-2008-0073278 (2008년 8월 8일, 물품 뽑기용 게임기)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 조작에 의해 로봇팔을 이용하여 인형과 같은 상품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여 소비자들의 다양한 구매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구조 개선된 상품 뽑기 게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품 선택을 위해 로봇팔이 장착된 로봇팔 구동부, 및 상품이 적재되며 로봇팔에 의해 일단이 접촉되면 소정의 동작에 따라 상품이 낙하되게 하는 적재부를 포함하는 상부 영역; 및 상기 상부 영역의 하부를 형성하며, 레버 및 버튼이 구비된 조작부, 코인부, 배출구가 제공되어, 상기 로봇팔 구동부의 제어 및 상품 배출을 제공하는 하부 영역으로 이루어진 본체를 구비하는 구조 개선된 상품 뽑기 게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로봇팔 구동부는, 사각형틀에 장착된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제공되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브라켓; 및 상기 이동 브라켓에 장착된 로봇팔을 포함하고, 상기 로봇팔은, 길이 연장이 가능한 프레임 바; 및 상기 프레임 바의 일단을 형성하는 집게를 포함한다.
상기 적재부는, 하나 이상의 적재 프레임; 및 상기 적재 프레임마다 제공되는 단위 적재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적재부는, 상기 단위 적재부를 형성하는 적재부 프레임; 및 상기 적재부 프레임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품을 적재하는 적재판을 포함한다.
상기 적재부 프레임은, 수직 가이드가 설치되는 소정 길이의 기둥부; 상기 기둥부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상측 프레임 및 하측 프레임; 상기 집게가 파지하는 걸이부의 걸이 프레임이 이동하도록 상기 상측 프레임에 구비되는 수평 가이드; 상기 기둥부와 연결되며, 상기 적재판을 수평 또는 경사되게 하도록 상기 걸이 프레임의 이동에 따라 대응되어 동작하는 안내 브라켓 및 보조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내 브라켓은, 일단이 상기 기둥부의 상측과 힌지 결합하며, 타단은 상기 적재판의 일부와 힌지 결합하고, 상기 보조 브라켓은, 일단은 상기 수직 가이드와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타단은 상기 적재판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걸이 프레임의 이동에 따라 상기 안내 브라켓과 상기 보조 브라켓의 협력에 의해 상기 적재판은 수평 상태 또는 기울어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 개선된 상품 뽑기 게임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수평 방향으로 위치한 적재판에서 그 적재판의 전방에 돌출된 걸이부를 로봇팔을 이용하여 파지하고 그 상태에서 당기는 동작을 하면 적재판이 일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적재판 위에 놓여진 상품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게 하는 구조의 상품 뽑기 게임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게임 장치에 비해 다른 구조의 게임 장치를 제안하고 있어, 입체적이고 동적(動的)인 작동을 구현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키면서 다양한 흥미를 부가할 수 있고, 반대로 상품 제공자는 구매 욕구 증가로 인해 판매 매출이 기재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품 뽑기 게임장치를 보인 개략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장착된 로봇팔 구동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적재부를 보인 전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적재부를 구성하는 단위 적재부의 사시도
도 5는 도 3의 단위 적재부가 기울어진 상태를 보인 예시도
본 발명은 기존의 인형 뽑기 장치에 비해 그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소비자가 더 흥미롭게 게임을 할 수 있음은 물론 상품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 상품 뽑기 게임장치를 제공함을 기본적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개선된 구조를 갖는 상품 뽑기 게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상품 뽑기 게임장치를 보인 개략 사시도이다.
도 1을 살펴보면, 상품 뽑기 게임장치(이하, '게임 장치'라 약칭함)는 외관과 골격이 대략 직육면체의 본체(100)로 구성된다.
본체(100)는 대략 2개의 부분으로 구획된다. 하나는 본체(100)의 하부를 형성하는 하부 영역(110)으로, 하부 영역(110)의 전면에는 레버 및 버튼이 구비된 조작부(112), 코인부(114), 배출구(116) 등이 구성된다. 아울러 하부 영역(110) 내부에는 게임장치를 제어하는 제어패널(미도시) 등이 장착되어 있다.
본체(100)의 상부 영역으로 상품 적재유닛(120)이 구성된다. 상품 적재유닛(120)은 전면 및 좌,우측면을 포함하는 3면에 투시창(121)이 형성되며, 도어식으로 전면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품 적재 유닛(120)을 상부 영역이라 하여 설명하기도 한다.
한편 상부 영역(120)과 하부 영역(110)의 경계 면(A)은 상품 적재유닛(120)에서 떨어지는 상품이 배출구(116)로 용이하게 이송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예컨대, 깔때기 구조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면 될 것이다.
상품 적재유닛(120)에는 상품 선택을 위해 로봇팔이 장착된 로봇팔 구동부(130)와, 상품이 적재되며 로봇팔에 의해 일단이 접촉되면 소정의 동작에 따라 상품이 낙하되게 하는 적재부(140)를 포함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품 적재유닛(12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장착된 로봇팔 구동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봇팔 구동부(130)에는 대략 사각형틀(132)에 장착된 가이드 레일(134)이 제공된다. 사각형틀(132)은 본체(100) 전면과 대응되는 크기로서 고정되게 장착된다.
가이드 레일(134)은 이동 브라켓(136)이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즉 가이드 레일(134)에 그 가이드 레일(134)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브라켓(136)이 연결된다. 이동 브라켓(136)은 사용자에 의해 발생하는 조작 명령에 따라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모터 등과 같은 구동수단이 내장된다.
이동 브라켓(136)에는 로봇팔(137)이 장착된다. 즉 이동 브라켓(136)이 이동하면 로봇팔(137)이 함께 이동하는 것이다. 로봇팔(138)은 대략 바(bar) 형상의 프레임 바(138)와 그 프레임 바(138)의 일단에 손 모양의 집게(139)로 구성된다. 이때 프레임 바(138)는 일 측 방향으로 인출되어 전체 길이가 변경될 수 있는 구조이다. 따라서 프레임 바(138)의 일단에 구비된 집게(139)가 적재부(140) 방향으로 전진하거나 후퇴하게 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적재부를 보인 전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적재부를 구성하는 단위 적재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을 보면, 적재부(140)에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적재 프레임(141)이 제공된다. 적재 프레임(141)은 상품 적재유닛(120)에 제공되는 하나의 고정 틀(142) 내에서 세로 방향으로 서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러한 적재 프레임(141)의 개수는 게임장치의 전체적인 크기 등에 비례하여 결정될 것이다. 예컨대 게임장치의 상부 영역을 형성하는 상품 적재 유닛(120)의 높이가 클 경우 그만큼 적재 프레임은 더 많이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하나의 적재 프레임(141)에는 복수 개의 단위 적재부(200)가 구성된다. 실시 예 도면에서는 하나의 적재 프레임(141)마다 3개 ~ 5개의 단위 적재부가 구성됨을 예시하고 있다. 즉 적재 프레임(141)마다 단위 적재부(200)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개수를 상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단위 적재부(200)는 도 4를 참조하기로 한다.
단위 적재부(200)는, 전체적인 형상은 적재부 프레임(210) 및 적재부 프레임(210)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품을 적재하는 적재판(300)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적재부 프레임(210)은 소정 길이의 기둥부(222)와, 기둥부(222)의 상단과 하단에서 직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측 프레임(230) 및 하측 프레임(240)으로 구성된다. 상측 프레임(230)에는 그 내부에 수평 가이드(231)가 설치된다. 수평 가이드(231)에는 외측에 걸이부(220)가 형성된 걸이 프레임(221)이 끼워지는 구조를 제공하며, 이에 걸이 프레임(221)이 수평 가이드(231)를 따라 전진 및 후퇴 동작을 하게 된다. 하측 프레임(240)은 적재판(3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경우에 따라서 하측 프레임(300)은 적재 프레임(141)과 결합하여 단위 적재부(200)의 전체를 고정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기둥부(222)에는 걸이 프레임(220)의 이동과 대응되어 적재판(300)을 수평 상태 또는 기울어진 상태가 되게 하는 구성들이 조합되어 제공된다. 즉, 기둥부(222)는 전면이 개방된 상태이고, 일단은 기둥부(222)의 상측에 힌지(223) 결합하며 타단은 적재판(300)의 일부와 힌지 결합하는 안내 브라켓(241)이 설치된다. 아울러 안내 브라켓(241)의 일부는 절개부(242)가 형성된다. 절개부(242)를 통해 보조 브라켓(250)의 일단이 적재판(300)과 연결된다. 또한 보조 브라켓(250)의 타단은 기둥부(220) 내에 설치된 수직 가이드(도면 미도시)와 연결된다. 그래서, 걸이부(220)가 최초 위치에 있는 경우, 안내 브라켓(241) 및 보조 브라켓(250)은 거의 수직 위치를 유지하며, 이에 안내 브라켓(241)과 힌지 결합하는 적재판(300)은 수평 상태를 유지한다. 반면 집게(139)가 걸이부(220)를 파지하고 잡아당기는 동작이 이루어지면, 기둥부(222)의 보조 브라켓(250)은 수직 가이드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적재판(300)을 전방으로 밀게 된다. 그 결과 안내 브라켓(241)도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적재판(300)은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한편, 적재판(300)에서 상품이 이탈되면, 보조 브라켓(250)은 수직 가이드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적재판(300)을 당기게 되고, 이에 안내 브라켓(241)도 함께 이동하게 되어 초기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물론 걸이 프레임(221)도 수평 가이드(231)를 따라 이동하여 초기 위치로 돌아간다.
이처럼 적재판(300)을 수평 또는 기울어진 위치로 하는 것은 기둥부(222) 내에 제공되는 복수 개의 구성들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예컨대 도르래 및 와이어 등의 구성이 제공되어 걸이 프레임(221)과, 안내 브라켓(241) 및 보조 브라켓(250)이 서로 상관되어 움직이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집게(139)가 걸이부(220)를 파지하는 동작에서부터 안내 브라켓(241) 및 보조 브라켓(250)의 운동에 따라 적재판(300)이 수평 또는 경사되게 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구성되어도 상관없는 것이다.
다음에는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게임장치의 동작 상태에 대해 위에서 설명한 도면과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사용자가 상품을 뽑기 위해 코인부(114)에 코인을 넣으면 제어 패널은 게임 시작을 알린다. 게임이 시작되더라도 이때는 모두 초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로봇팔(137)은 기 정해진 위치에 있고, 적재판(300)은 상품이 놓여질 수 있도록 수평 상태를 가진다.
사용자가 조작부(112)에 구비된 레버 및 버튼을 조작하고, 원하는 상품이 있는 위치로 로봇팔(137)을 이동시킨다. 이러한 이동은 사용자가 본체 내의 상품 적재 유닛(120)의 적재함(140)을 직접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로봇팔(137)이 가이드 레일(134)을 따라 적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일련의 동작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로봇팔(137)은 이동 브라켓(136)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부(112)의 조작 명령이 이동 브라켓(136)에 전달되는 것이다. 그러면 조작 명령에 의해 이동 브라켓(136) 내에 장착된 구동수단의 구동에 따라 이동 브라켓(136)은 가이드 레일(134)을 따라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고, 이는 결국 로봇팔(137)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상기한 과정에 따라 로봇팔(137)이 원하는 위치에 놓이게 되면, 사용자는 다시 레버나 버튼을 조작한다. 그러면 로봇팔(137)을 구성하는 프레임 바(138)는 그 프레임 바(138)에 구비된 다른 프레임 바가 일 방향, 즉 단위 적재부(200)의 적재판(230) 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 이때 전진되는 상기 프레임 바(138)의 길이는 로봇팔(137)의 집게(139)가 걸이부(220)를 충분히 파지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만큼 인출될 것이다. 물론 프레임 바(138)가 인출되는 길이를 적정하게 조절하는 기능도 추가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는 동안만 프레임 바(138)가 인출되게 하여 집게(139)가 걸이부(220)를 파지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그래서 버튼 조작이 잘못된 경우 집게(139)는 걸이부(220)를 파지할 수 없는 경우도 있고, 이때에는 상품을 획득하지 못하게 된다.
로봇팔(137)이 인출되어 집게(139)가 걸이부(220)의 위치에 도달하면, 사용자는 다시 조작부(112)를 조작하여 집게(139)가 걸이부(220)를 파지하게 한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다시 조작부(112)가 조작되면, 집게(139)는 걸이부(220)를 반대 방향, 즉 사용자가 있는 방향으로 잡아당긴다. 이에 로봇팔(137)은 후퇴 이동한다.
그러면, 걸이 프레임(221)도 수평 가이드(231)를 따라 함께 이동하게 되고, 걸이 프레임(221)과 와이어 등으로 연결된 보조 브라켓(250)이 수직 가이드를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보조 브라켓(250)은 하방향으로 이동하는 거리만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적재판(300)도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적재판(300)은 안내 브라켓(241)과 일단이 힌지 결합된 상태이다. 그리고 안내 브라켓(241)도 보조 브라켓(250)의 이동에 따라 적재판(300)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보조 브라켓(250)이 이동할 때 안내 브라켓(241)도 함께 이동하게 되며 일정 위치에 도달하면 힌지 동작에 따라 적재판(300)을 일 방향으로 경사지게 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보면 도 4와 비교할 때 안내 브라켓(241) 및 보조 브라켓(250)이 전방으로 돌출된 상태이고 이에 따라 적재판(300)이 기울어진 상태가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적재판(300)이 기울어지면 그 적재판(300) 위에 놓여진 상품은 적재판(300)의 앞쪽으로 낙하하게 된다. 그리고 낙하하는 상품은 상부 영역(120)과 하부 영역(110)의 경계 면(A)을 통해 하부 영역(110)의 배출구로 이송된다. 이에 사용자는 상품을 획득하게 된다.
한편, 상품이 배출구(116)를 통해 배출되면, 제어패널은 집게(139)를 걸이부(220)에서 해제시켜 원위치시킨다. 그러면 안내 브라켓(241)과 보조 브라켓(250)도 다시 원래 상태로 복귀하고, 적재판(300)도 수평 상태가 된다. 즉 최초 상태로 복원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움직이는 로봇팔 및 상품 적재부의 구조, 또한 로봇팔의 집게 조작에 따라 상품이 낙하되게 하는 적재판의 구조를 종래의 인형 뽑기용 게임장치와는 전혀 다른 개선된 구조로 구성됨을 기술적 요지로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본체 110 : 하부 영역
112 : 조작부 114 : 코인부
116 : 배출구 120 : 상부 영역
121 : 투시창 130 : 로봇팔 구동부
137 : 로봇팔 140 : 적재부
141 : 적재 프레임 200 : 단위 적재부
210 : 적재 프레임 220 : 걸이부
221 : 걸이 프레임 222 : 기둥부
230 : 상측 프레임 231 : 수평 가이드
240 : 하측 프레임 241 : 안내 브라켓
250 : 보조 브라켓 300 : 적재판

Claims (6)

  1. 상품 선택을 위한 로봇팔이 장착된 로봇팔 구동부, 및 상품이 적재되며 로봇팔에 의해 일단이 접촉되면 소정의 동작에 따라 상품이 낙하되게 하는 적재부를 포함하는 상부 영역; 및
    상기 상부 영역의 하부를 형성하며, 레버 및 버튼이 구비된 조작부, 코인부, 배출구가 제공되어, 상기 로봇팔 구동부의 제어 및 상품 배출을 제공하는 하부 영역으로 이루어진 본체를 구비하되,
    상기 적재부는, 하나 이상의 적재 프레임과 상기 적재 프레임마다 제공되는 단위 적재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위 적재부는, 상기 단위 적재부를 형성하는 적재부 프레임과 상기 적재부 프레임의 전방에 위치하여 상품을 적재하는 적재판을 포함하며,
    상기 로봇팔 구동부는, 사각형틀에 장착된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에 제공되어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 브라켓; 및 상기 이동 브라켓에 장착된 로봇팔을 포함하고, 상기 로봇팔은, 길이 연장이 가능한 프레임 바; 및 상기 프레임 바의 일단을 형성하는 집게를 포함하며,
    상기 적재부 프레임은, 수직 가이드가 설치되는 소정 길이의 기둥부; 상기 기둥부의 상단과 하단에 형성된 상측 프레임 및 하측 프레임; 상기 집게가 파지하는 걸이부의 걸이 프레임이 이동하도록 상기 상측 프레임에 구비되는 수평 가이드; 상기 기둥부와 연결되며, 상기 적재판을 수평 또는 경사되게 하도록 상기 걸이 프레임의 이동에 따라 대응되어 동작하는 안내 브라켓 및 보조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구조 개선된 상품 뽑기 게임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브라켓은,
    일단이 상기 기둥부의 상측과 힌지 결합하며,
    타단은 상기 적재판의 일부와 힌지 결합하고,
    상기 보조 브라켓은,
    일단은 상기 수직 가이드와 연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며,
    타단은 상기 적재판과 결합하는 구조 개선된 상품 뽑기 게임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 프레임의 이동에 따라 상기 안내 브라켓과 상기 보조 브라켓의 협력에 의해 상기 적재판은 수평 상태 또는 기울어진 상태가 되는 구조 개선된 상품 뽑기 게임장치.
KR1020140142257A 2014-10-21 2014-10-21 구조 개선된 상품 뽑기 게임장치 KR101624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257A KR101624417B1 (ko) 2014-10-21 2014-10-21 구조 개선된 상품 뽑기 게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2257A KR101624417B1 (ko) 2014-10-21 2014-10-21 구조 개선된 상품 뽑기 게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432A KR20160046432A (ko) 2016-04-29
KR101624417B1 true KR101624417B1 (ko) 2016-06-07

Family

ID=55915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2257A KR101624417B1 (ko) 2014-10-21 2014-10-21 구조 개선된 상품 뽑기 게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44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5230A (ko) 2017-02-17 2018-08-27 김문기 크레인을 이용한 발란스 방식 뽑기 게임기
KR20190067733A (ko) 2017-12-07 2019-06-17 김대훈 턴 테이블을 구비한 상품 뽑기 기계
KR102088112B1 (ko) 2018-10-05 2020-03-11 선우윤 상품 뽑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6957Y1 (ko) * 2016-02-01 2018-07-17 남남기 개선된 배출구를 갖는 게임장치
KR102213720B1 (ko) * 2019-10-17 2021-02-05 김인식 자판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4642A (ja) 2000-05-10 2001-11-13 Nippon Tmi Co Ltd 景品つかみ取りゲーム機
KR101141717B1 (ko) 2011-10-17 2012-05-07 주식회사 유영산업 상품인출 게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3278A (ko) 2008-07-21 2008-08-08 차희장 물품 뽑기용 게임기
KR20150001545U (ko) * 2013-10-14 2015-04-22 이지은 경품 게임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4642A (ja) 2000-05-10 2001-11-13 Nippon Tmi Co Ltd 景品つかみ取りゲーム機
KR101141717B1 (ko) 2011-10-17 2012-05-07 주식회사 유영산업 상품인출 게임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5230A (ko) 2017-02-17 2018-08-27 김문기 크레인을 이용한 발란스 방식 뽑기 게임기
KR20190067733A (ko) 2017-12-07 2019-06-17 김대훈 턴 테이블을 구비한 상품 뽑기 기계
KR102088112B1 (ko) 2018-10-05 2020-03-11 선우윤 상품 뽑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432A (ko) 2016-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4417B1 (ko) 구조 개선된 상품 뽑기 게임장치
US7080840B1 (en) Grabber machine with enhanced design
KR101719920B1 (ko) 파워볼 게임기
JP2006043286A (ja) 景品獲得ゲーム装置
US20180330577A1 (en) Vacuum crane game with perforated targets
KR101604550B1 (ko) 구조 개선된 상품 뽑기 게임장치
JP6410125B2 (ja) 景品取得ゲーム装置
KR101278607B1 (ko) 물품 뽑기 게임기
KR101292834B1 (ko) 경품용 아케이드 게임기
JP2010011987A (ja) 物品獲得ゲーム装置
KR200224903Y1 (ko) 2인용 인형뽑기 오락기
KR101759541B1 (ko) 상품진열대
JP2008123250A (ja) ゲーム装置付き自動販売機
JP3108272U (ja) つかみ取り式アーケードゲーム機
KR20110127949A (ko) 상품 인출 게임 장치
KR200377535Y1 (ko) 개선된 구조의 그래버 머신
KR20150001545U (ko) 경품 게임 장치
JP3118394U (ja) 商品選択販売機
KR200486956Y1 (ko) 경품게임장치의 적재 플레이트
KR101276436B1 (ko) 인간형 로봇을 이용한 자동 판매기용 자동토출 상품진열대
KR102088112B1 (ko) 상품 뽑기 장치
RU178836U1 (ru) Игровой автомат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контейнера для сбора игровых предметов для выдачи приза
KR101165578B1 (ko) 인간형 로봇을 이용한 자동 판매기
KR20110080273A (ko) 물품 뽑기 게임기
KR200228403Y1 (ko) 인형뽑기 오락기의 집게 이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