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2175Y1 - 빗살을 갖춘 파 세절기 - Google Patents

빗살을 갖춘 파 세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2175Y1
KR200232175Y1 KR2020010005141U KR20010005141U KR200232175Y1 KR 200232175 Y1 KR200232175 Y1 KR 200232175Y1 KR 2020010005141 U KR2020010005141 U KR 2020010005141U KR 20010005141 U KR20010005141 U KR 20010005141U KR 200232175 Y1 KR200232175 Y1 KR 2002321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
gearbox
wave
power transmission
bu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51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수
김옥자
Original Assignee
김동수
김옥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수, 김옥자 filed Critical 김동수
Priority to KR20200100051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21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21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2175Y1/ko

Links

Landscapes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빗살을 갖춘 파 세절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 세절편을 아래로 유도하여 파 세절편의 감김방지 및 잔유물을 제거하는 빗살이 기어박스를 분해하지 않고 기어박스로부터 분리가능하여 유지/보수(A/S)가 용이하도록 된 빗살을 갖춘 파 세절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기어박스(420)가 기어박스커버(470)와 결합되고, 상기 기어박스에 격판(490)이 결합되며, 상기 기어박스와 격판의 사이에는 외부의 회전력을 소정각도로 방향전환하여 전달함과 더불어 평행하게 2열로 전달되는 동력전달부(430, 440)가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격판과 기어박스커버의 사이에는 칼날뭉치(460)가 상기 동력전달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파 세절기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와 격판 및 기어박스커버의 측면에 소정각도로 형성된 빗살뭉치안착홈(423, 424, 475, 476, 492, 493)으로 암/숫가락지고정바(481, 482)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이 암가락지고정바(481)에는 칼날뭉치의 원형칼날(462)사이로 다수개의 빗살(483)이 끼워져 배치되도록 각각의 빗살이 밀착되면서 회동하지 못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빗살을 갖춘 파 세절기{SPRING ONION SLIDER FOR THE TEETH COMB}
본 고안은 파 세절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파 세절편을 아래로 유도하여 파 세절편의 감김방지 및 잔유물을 제거하는 빗살뭉치가 기어박스를 분해하지 않고 기어박스로부터 분리가능하여 유지/보수(A/S)가 용이하도록 된 빗살을 갖춘 파 세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 세절기는 파를 투입하여 가늘고 길게 세절하는 기계를 말하는 것으로 병렬로 된 다수의 원형칼날로 이루어진 칼뭉치가 상하로 교차 설치되어 파를 세절하는 구성으로 된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파 세절기는 상측에 병렬로 형성된 칼날뭉치에서부터 파를 투입하여 하부 병렬로 형성된 칼날뭉치로 배출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칼날뭉치를 이루는 다수의 원형칼날들 사이로 세절된 파가 끼거나 말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빗살이 설치된다.
즉, 파 세절시 파 세절편이 칼날뭉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막으면서 아래로 유도하며 칼날뭉치에 감기는 것을 방지하고 칼날에 잔류하는 잔류물 및 파즙을 제거하는 별도의 빗살을 설치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파 세절기는 대한민국특허청에 실용90-2573호로 출원되었다. 도 25는 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11)에 끼워지는 다수개의 칼날(12)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간격유지링(13)이 끼워짐과 더불어, 이 간격유지링(13)의 외주면에 빗살(14)이 끼워져 축(11)에 체결되는 너트(15)로 조립함으로써 칼날뭉치(10, 10')가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풀리(20)로 회전력이 전달되면 기체(40, 40')와 격판(50)에 의해 수용되도록 설치된 구동기어부(30, 30')가 회전하게 되고, 이 구동기어부(30, 30')에 전달된 회전력은 상기 칼날뭉치(10, 1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칼날뭉치(10)를 감싸도록 격판(50)과 지지볼트(60) 및 헤더(70)에 의해 설치된 커버(80)의 상부에 설치된 호퍼(90)로 파를 밀어넣으면, 상기 칼날뭉치(10, 10')의 칼날(12, 12')에 의해 파가 길고 가늘고 절단된다.
그러나 이러한 파 세절기는 칼날뭉치(10)의 빗살(14)을 유지/보수할 경우 상기 헤더(70)를 관통하여 상기 축(11)과 지지볼트(60)에 결합된 보울트등의 체결부재(71, 72)를 풀고, 상기 헤더(70)와 커버(80)를 해체한 다음, 빗살(14)을 분리하여 교환하거나 청소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파 세절편을 아래로 유도하여 파 세절편의 감김방지 및 잔유물을 제거하는 빗살이 기어박스를 분해하지 않고 기어박스로부터 분리가능하여 유지/보수(A/S)가 용이하도록 된 빗살을 갖춘 파 세절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 다른 목적은 유지/보수시에 빗살이 파손된 것만을 교환하는 것으로 유지/보수가 가능하도록 한 빗살을 갖춘 파 세절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파 세절기의 일부를 단면한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파 세절기의 일부를 단면한 측면도,
도 3은 도 1에서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도 2에서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파 세절기가 풀리에 의한 회전력을 받아 회전하도록 구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조립도,
도 6은 도 5의 A - A선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파 세절기의 기어박스커버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도 7의 B - B선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우측면도,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파 세절기의 기어박스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1은 도 10의 저면도,
도 12는 일부를 단면한 도 10의 우측면도,
도 13은 파 세절기의 칼뭉치를 나타내는 일부단면 조립도,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파 세절기의 빗살뭉치를 구성하는 암가락지고정바의 정면도,
도 15는 도 14의 평면도,
도 16은 도 14의 저면도,
도 17은 일부를 단면한 도 14의 우측면도,
도 18은 본 고안에 따른 파 세절기의 빗살뭉치를 구성하는 숫가락지고정바의 정면도,
도 19는 도 18의 평면도,
도 20은 도 18의 저면도,
도 21은 도 18의 좌측면도,
도 22는 본 고안에 따른 파 세절기의 빗살뭉치를 구성하는 빗살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3은 도 22의 평면도,
도 24는 본 고안에 따른 격판의 정면도,
도 25는 종래 기술에 따른 파 세절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케이스 200: 모터
300: 회전력전달수단 400: 하부세절부
410, 410': 동력전달축 420: 기어박스
423, 424, 475, 476, 492, 493: 빗살뭉치안착홈 430, 440: 동력전달부
460: 칼날뭉치 462: 원형칼날
470: 기어박스커버 480: 빗살뭉치
481: 암가락지고정바 482: 숫가락지고정바
483: 빗살 490: 격판
500: 상부세절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기어박스가 기어박스커버와 결합되고, 상기 기어박스에 격판이 결합되며, 상기 기어박스와 격판의 사이에는 외부의 회전력을 소정각도로 방향전환하여 전달함과 더불어 평행하게 2열로 전달되는 동력전달부가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격판과 기어박스커버의 사이에는 칼날뭉치가 상기 동력전달부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파 세절기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와 격판 및 기어박스커버의 측면에 소정각도로 형성된 빗살뭉치안착홈으로 암/숫가락지고정바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이 암가락지고정바에는 칼날뭉치의 원형칼날사이로 다수개의 빗살이 끼워져 배치되도록 각각의 빗살이 밀착되면서 회동하지 못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빗살을 갖춘 파 세절기는, 동력전달축(410, 410')의 일단을 지지하는 기어박스(420)가 기어박스커버(470)와 결합되고, 상기 기어박스 (420)에 격판(490)이 결합되며, 상기 기어박스(420)와 격판(490)의 사이에는 외부의 회전력을 소정각도로 방향전환하여 전달함과 더불어 평행하게 2열로 전달되는 동력전달부(430, 440)가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격판(490)과 기어박스커버(470)의 사이에는 칼날뭉치(460)가 상기 동력전달부(430, 44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동력전달축(410, 410')과 연동하도록 된 파 세절기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420)와 격판(490) 및 기어박스커버(470)의 측면에 소정각도로 형성된 빗살뭉치안착홈(423, 424, 475, 476, 492, 493)으로 암/숫가락지고정바(481, 482)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이 암가락지고정바(481)에는 칼날뭉치(460)의 원형칼날(462)사이로 다수개의 빗살(483)이 끼워져 배치되도록 각각의 빗살(483)이 밀착되면서 회동하지 못하도록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빗살뭉치안착홈(423, 475, 492)은, ㄱ자형상의 절취홈으로 형성되되 상기 암/숫가락지고정바(481, 482)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칼날뭉치(460)의 회전시 빗살(483)이 설치된 암/숫가락지고정바(481, 482)가 상부면으로 들어올려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입각도가 수평면을 기준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빗살뭉치안착홈(423, 475, 492)의 유입각도는 본 실시예에서 30도 정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이 적용된 파 세절기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라스틱재질로 성형되어 조립된 케이스(100)와, 이 케이스(100)의 내부에 도시되지 않은 전원에 의해 작동하도록 설치된 모터(200)와, 이 모터(20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력전달수단(300)과, 이 회전력전달수단(300)에 의해 회전하면서 채소를 세절하도록 된 하부세절부(400)와, 이 하부세절부(400)의 상부에 일정각도로 교차되어 설치됨과 더불어 하부세절부(400)에 의해 회전력이 전달되어 채소를 세절하도록 된상부세절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100)는, 상기 모터(200)를 감싸는 바디케이스(110)와, 이 바디케이스(110)에 설치되어 상기 하/상부세절부(400, 500)를 감싸도록 된 헤드케이스(120)와, 이 헤드케이스(120)의 상부에 끼워져 파등의 채소를 밀어넣을 수 있도록 안내하는 호퍼(130)와, 상기 바디케이스(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모터(200)를 지지하는 베이스(140)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력전달수단(300)은, 상기 모터(200)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발생하는 구동풀리(310)와, 이 구동풀리(310)에 일단이 감겨진 벨트(320), 이 벨트(320)의 타단이 감겨져 상기 구동풀리(310)의 회전력이 전달되는 종동풀리(330)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하부세절부(400)는, 상기 종동풀리(330)와 함께 회동되도록 설치된 동력전달축(410)과, 이 동력전달축(410)을 베어링등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기어박스(420)와, 이 기어박스(420)의 내부에 배치됨과 더불어 동력전달축 (410)과 함께 회전하도록 헬리컬기어부와 평기어부가 동시에 구비된 동력전달부 (43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축(410)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회동될 수 있으면서 상기 동력전달부(430)와 함께 맞물려 회전하도록 된 동력전달부(440)에 의해 동기회전하는 동력전달축(410')과, 상기 동력전달축(410, 410')의 타단에 연결축(461)이 끼워져 회전하면서 채소등을 세절하도록 설치된 칼날뭉치(460)와, 상기 기어박스(420)와 결합됨과 더불어 칼날뭉치(460)의 타단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어박스커버(470)를 포함한다.
또 상기 칼날뭉치(460)에서 세절된 파가 동력전달부(43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기어박스(420)를 밀폐하도록 체결되는 격판(490)과, 상기 기어박스(420)와 격판(490) 및 기어박스커버(470)의 측면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칼날뭉치(460)를 이루는 다수의 원형칼날들 사이로 세절된 파가 끼거나 말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빗살뭉치(480)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상부세절부(500)는, 상기 종동풀리(330)와 함께 회동되도록 설치된 동력전달축(410)이 동력전달축(410')과 동일한 길이로 된 것만 다를 뿐 다른 구성은 모두 동일함과 더불어, 상기 하부세절부(400)와 90도 각도로 교차되어 설치되어 있다.
또 W는 상기 기어박스커버(470)가 기어박스(420)와 결합된 상태로 이탈하지 않도록 체결하는 체결후크부재이다.
먼저, 상기 기어박스커버(470)는 도 4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연결축(461)의 일단이 끼워지는 축지지홈(471, 471')과, 상기 기어박스(420)의 후술하는 T돌기가 삽입되는 T돌기수용부(472, 472')와, 이 T돌기수용부(472, 472')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체결후크부재(W)에 의해 체결되는 체결부(473, 47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축지지홈(471')과 연통되도록 형성된 나사부(474)와, 상기 체결부(473, 473')의 상부에 ㄱ자형상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져 형성된 빗살뭉치안착홈 (475)과, 상기 체결부(473, 473')의 하부에 ㄱ자형상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져 하부에도 빗살뭉치(48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 빗살뭉치안착홈(476)을 포함한다.
또 상기 기어박스(420)는 도 4 내지 도 6 및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동력전달부(430, 440)가 수용되도록 내부에 형성된 동력전달부수용부 (421)와, 이 동력전달부수용부(421)의 외측면 소정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T돌기수용부(472, 472')에 삽입되는 T돌기(422, 422')와, 이 T돌기(422, 422')의 상부에 ㄱ자형상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져 형성된 빗살뭉치안착홈(423)과, 상기 T돌기(422, 422')의 하부에 ㄱ자형상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져 하부에도 빗살뭉치 (48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 빗살뭉치안착홈(42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부수용부(421)의 일측하부에는 개구되어 회전력을 90도 각도로 변환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개구부(425)와, 상기 동력전달부수용부(421)의 내측벽과 외측벽에 베어링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형성된 베어링설치홈(426, 427)과, 이 베어링설치홈(426, 427)을 관통하여 상기 동력전달축(410, 410')의 일단이 지지되는 관통구멍(428)과, 상기 동력전달부수용부(421)의 좌우측에 형성되어 상기 격판(490)을 고정하기 위한 나사홈(429)이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421a는 안내돌기로 헬리컬기어를 안내하도록 돌출된 것이다.
한편 상기 칼날뭉치(460)는 도 5와 도 6 및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동력전달축(410, 410')에 일단이 결합되어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한 동력전달머리부 (461a)와 타단에는 상기 기어박스커버(470)에 지지되어 회전하도록 된 축지지부 (461b)를 갖는 연결축(461)이 구비된다.
또한 이 연결축(461)에 끼워진 다수개의 원형칼날(462)과, 이 원형칼날(462)의 사이사이에 끼워진 간격유지와셔(463)와, 상기 연결축(461)의 나사부(461c)에 체결되어 상기 원형칼날(462)과 간격유지와셔(463)를 가압하는 너트(464)를 포함한다.
또 상기 빗살뭉치(480)의 암가락지고정바(481)는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면과 우측면 및 상부면이 개구된 단면 ㄴ형상의 블록편(481a)과, 이 블록편(481a)의 하부면에 일정길이로 돌출되어 상기 빗살뭉치안착홈(423, 424, 475, 476, 492, 493)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안착되는 안착돌기(481b)와, 상기 블록편(481a)의 상부면에 상부로 일정길이 돌출됨과 더불어 중앙에는 일정깊이의 원형홈이 형성된 원통부(481c)와, 상기 블록편(481a)의 배면에 돌출되어 반쪽의 숫나사가 형성된 체결부(481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빗살뭉치(480)의 숫가락지공정바(482)는 도 18 내지 도 2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면과 좌측면 및 상부면이 개구된 단면 ㄴ형상의 블록편(482a)과, 이 블록편(482a)의 하부면에 일정길이로 돌출되어 상기 빗살뭉치안착홈(423, 424, 475, 476, 492, 493)에 선택적으로 끼워져 안착되는 안착돌기(482b)와, 상기 블록편(482a)의 상부면에 상부로 일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원통부(481c)의 원형홈에 삽입되는 원형돌기(482c)와, 상기 블록편(482a)의 배면에 돌출되어 반쪽의 숫나사가 형성된 체결부(482d)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빗살뭉치(480)의 빗살(483)은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암숫가락지고정바(481, 482)의 블록편(481a, 482a)내측에 지지되어 회전하지 못하도록 형성된 4각형상의 블록지지부(483a)와, 이 블록지지부(483a)와 연장되어 상기 원형칼날(462)의 사이로 배치되는 빗살부(483b)와, 상기 블록지지부(483a)의 소정위치에 암가락지고정바(481)의 원통부(481c)에 끼워지도록 관통형성된 원형구멍(483c)과, 상기 블록지지부(483a)의 일측면에 일정높이 돌출되게 설치된 간격유지부(483d)를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격판(490)은 도 6 및 도 2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일정두께의 판재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축(461)이 끼워지도록 된 관통구멍(491)과, 상기 빗살뭉치안착홈(423, 424, 475, 476)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빗살뭉치안착홈(492, 493)과, 상기 기어박스(420)에 형성된 나사홈(429)과 연통되는 연결부(494)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200)에 도시되지 않은 스위치의 조작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모터(200)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회전력전달수단(300)의 구동풀리(310)와 벨트(320) 및 종동풀리(330)를 통해 하부세절부(400)로 회전력이 전달된다.
이때 상기 종동풀리(330)와 일단이 고정된 동력전달축(410)이 회전하면서 기어박스(420)의 동력전달부수용부(421)에 수용된 동력전달부(430)를 회전시키게 됨과 동시에 일정간격을 두고 동력전달축(410')에 설치된 동력전달부(440)도 회전되면서 칼날뭉치(460)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한편 상기 동력전달부(430)의 헬리컬기어부가 상부에 직각으로 교차되도록 설치된 상부세절부(500)의 헬리컬기어부와 치합되어 하부세절부(400)와 같이 도시되지 않은 동력전달부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호퍼(130)로 파와 같은 채소를 밀어 넣게 되면 상기 호퍼(130)로안내된 채소가 상부세절부(500)와 하부세절부(400)의 칼날뭉치(460)와 빗살뭉치 (480)에 의해 가늘고 길게 세절되어 하부로 배출되게 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상부세절부(500)의 칼날뭉치(560)로 파등이 투입되면 도시안된 원형칼날이 회전하면서 파를 길고 가늘게 절단하면서 하부의 하부세절부(400)로 투입된다.
이후 상기 하부세절부(400)의 칼날뭉치(460)로 투입된 세절된 파는 상기 동력전달부(430, 440)와 동력전달축(410, 410')에 의해 칼날뭉치(460)의 연결축(461)과 원형칼날(462)이 회전하면서 일정길이로 절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원형칼날(462)의 사이사이에 배치된 상기 빗살(483)의 블록지지부 (483a)가 원통부(481c)에 끼워져 블록편(481a)에 의해 지지되면서 회동하지 않는 상태가 되므로, 파 세절편을 아래로 유도하여 파 세절편의 감김방지 및 잔유물을 제거하게 된다.
한편 상기 빗살(483)의 어느 한 곳이 파손되거나 또는 청소등이 필요한 경우에 상기 빗살뭉치(480)를 상기 빗살뭉치안착홈(423, 424, 475, 476, 492, 493)에서 천천히 돌려서 제거한 후에, 상기 암/숫가락지고정바(481, 482)의 체결부(481d, 482d)에 체결된 너트를 풀은 다음 암가락지고정바(481)에서 숫가락지고정바(482)를 분해하게 되면 상기 빗살(483)을 암가락지고정바(481)에서 분리가 가능하게 되므로 청소를 할 수 있다.
또한 이때 파손된 빗살(483)을 교환하기가 용이하게 된다.
이후 상기 빗살(483)의 교환과 유지/보수가 완료되면 상기 빗살(483)분해의역순으로 빗살뭉치(480)를 조립한 다음, 상기 원형칼날(462)의 사이로 빗살부 (483b)를 밀어넣으면서 빗살뭉치안착홈(423, 424, 475, 476, 492, 493)중에 필요한 곳으로 안착돌기(481b, 482b)를 천천히 밀어넣어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빗살뭉치안착홈(423, 424, 475, 476, 492, 493)은 상기 안착돌기(481b, 482b)가 안착되는 부분이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에 대해 일정각도 경사져 있어서 빗살뭉치(480)가 칼날뭉치(460)의 회전시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빗살(483)이 파손되거나 청소등의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에 빗살(483)이 설치된 빗살뭉치(480)를 기어박스(420)와 기어박스커버 (470)를 분해하지 않고도 파 세절기로부터 분리할 수가 있어, 간단히 빗살뭉치 (480)를 분해한 상태에서 빗살(483)을 분해하여 유지/보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파 세절편을 아래로 유도하여 파 세절편의 감김방지 및 잔유물을 제거하는 빗살이 기어박스를 분해하지 않고 기어박스로부터 분리가능하여 유지/보수(A/S)가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지/보수시에 기어박스로부터 분해한 빗살뭉치에서 파손된 빗살 만을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일측에 격판이 결합되고 내부에 동력전달부가 형성된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의 외부 일측을 감싸며 그 내부측과 상기 격판이 마주할 수 있도록 마련된 기어박스커버와, 상기 동력전달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기어박스커버의 내부에 설치되되 다수개의 원형칼날이 이격되어 적층된 양측이 서로 교합되도록 한 쌍의 칼날뭉치가 구비된 파 세절기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와 격판 및 기어박스커버의 측면에 소정각도로 형성된 빗살뭉치안착홈과, 상기 빗살뭉치안착홈으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암/숫가락지고정바와, 상기 암가락지고정바와 연결되어 상기 칼날뭉치의 원형칼날 사이로 다수개가 끼워져 배치되도록 빗살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살을 갖춘 파 세절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빗살뭉치안착홈은, 상기 암/숫가락지고정바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칼날뭉치의 회전시 빗살이 설치된 암/숫가락지고정바가 상부면으로 들어올려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기어박스와 격판 및 기어박스커버의 수직면과 수평면을 기준으로 유입각도가 소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살을 갖춘 파 세절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빗살뭉치안착홈의 유입각도는 수평면을 기준으로 3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빗살을 갖춘 파 세절기.
KR2020010005141U 2001-02-27 2001-02-27 빗살을 갖춘 파 세절기 KR2002321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141U KR200232175Y1 (ko) 2001-02-27 2001-02-27 빗살을 갖춘 파 세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5141U KR200232175Y1 (ko) 2001-02-27 2001-02-27 빗살을 갖춘 파 세절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2989A Division KR20010112768A (ko) 2000-06-15 2000-06-15 파 세절기용 빗살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2175Y1 true KR200232175Y1 (ko) 2001-07-19

Family

ID=73063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5141U KR200232175Y1 (ko) 2001-02-27 2001-02-27 빗살을 갖춘 파 세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217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3010B1 (ko) 슬라이스 야채절단기
RU2581540C2 (ru)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нарезки на куски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US20080156204A1 (en) Food processor appliance for cutting food articles into desired forms
KR101911941B1 (ko) 근채류 박피장치
KR20120035556A (ko) 고기세절기
KR20120118137A (ko) 음식물용 세절기
KR200232175Y1 (ko) 빗살을 갖춘 파 세절기
US11717114B2 (en) Multifunctional food processor
CN110978102A (zh) 滚筒刀具及滚筒式切菜器
KR100653934B1 (ko) 목재 파쇄 및 톱밥 제조기
KR101739237B1 (ko) 물결무늬 감자스틱을 제조하기 위한 감자절단장치
KR200242682Y1 (ko) 생육세절기
KR200199453Y1 (ko) 파 세절기
KR20010112768A (ko) 파 세절기용 빗살의 설치구조
KR200328514Y1 (ko) 세절기용 칼날뭉치의 간격 조절장치
JP4453065B2 (ja) 食品千切り器
KR20130005042A (ko) 작동이 용이한 수동조작수단을 갖는 야채절단기
KR200339941Y1 (ko) 버섯 절단장치
KR200260008Y1 (ko) 파세절기용 파세절편 안내가이드
KR100881216B1 (ko) 고속 육절기용 절단칼 및 이를 포함하는 고속 육절기
KR200412735Y1 (ko) 고추 세절기
CN211440188U (zh) 滚筒刀具及滚筒式切菜器
KR200203410Y1 (ko) 떡성형기용 떡절단기
WO2022033215A1 (zh) 碎冰装置
KR100324538B1 (ko) 파세절기의 파세절편 감김방지 및 낙하유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