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0402Y1 - 다수의버튼을갖는버튼집합체 - Google Patents

다수의버튼을갖는버튼집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0402Y1
KR200230402Y1 KR2019980001863U KR19980001863U KR200230402Y1 KR 200230402 Y1 KR200230402 Y1 KR 200230402Y1 KR 2019980001863 U KR2019980001863 U KR 2019980001863U KR 19980001863 U KR19980001863 U KR 19980001863U KR 200230402 Y1 KR200230402 Y1 KR 2002304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thin film
protrusion
molding
button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18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9611U (ko
Inventor
영 수 한
Original Assignee
양윤홍
주식회사 유일전자
영 수 한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윤홍, 주식회사 유일전자, 영 수 한,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윤홍
Priority to KR20199800018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0402Y1/ko
Publication of KR9800096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9611U/ko
Priority to JP10367568A priority patent/JPH11250754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04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0402Y1/ko

Links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튼의 사출성형시 박판필름의 굴곡부분에 플래쉬가 형성되지 않게하여 버튼의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고, 버튼의 사출성형 후 수축에 의해 접촉돌기가 변형하는 것을 방지하여 접촉돌기와 택트스위치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다수의 버튼을 갖는 버튼 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버튼 집합체는 버튼성형공간을 갖는 돌출부가 복수개 배열형성된 단일의 박판필름과, 박판필름의 각 버튼성형공간 내에 성형되고 스위치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접촉돌기를 갖는 버튼으로 이루어진다. 버튼은 살빼기홈에 의해 형성되는 측벽을 구비하되 측벽은 돌출부의 아래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진다.

Description

다수의 버튼을 갖는 버튼 집합체 {Button Assembly Having Plural Buttons}
본 고안은 다수의 버튼이 배치된 버튼 집합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은 전화기의 버튼 구조에 사용하며 다수의 버튼이 단일의 박판필름에 일체로 성형된 버튼 집합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기와 같은 제품에는 케이스 내의 PCB 기판 상에 배열설치된 복수개의 택트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조작하기 위한 버튼 집합체가 설치되어 있다. 버튼 집합체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02) 상에 배열설치된 택트스위치(104)와 각각 대응하는 복수개의 버튼(106)이 구비되어 있고, 이 버튼(106)은 단일의 박판필름(108)에 일체로 성형된다.
그리고 버튼(106)은 케이스(110)에 형성된 관통구멍(110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고, 외부에서 누를 수 있도록 케이스 표면 위로 돌출한다. 따라서 박판필름(108)은 버튼(106)의 성형위치에 버튼성형공간(112a)을 갖는 돌출부(112)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112)의 버튼성형공간(112a)에 버튼(106)을 일체로 사출성형하게 된다.
또한 버튼(106)은 택트스위치(104)와 대면하는 수평면(106a)에 택트스위치(104)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접촉돌기(106b)를 형성하고 있다. 이 접촉돌기(106b)는 버튼(106)을 누르면 택트스위치(104)와 접촉한다.
이와 같이 박판필름(108)에 일체로 성형되는 버튼(106)은 통상 ABS투명수지, 아크릴수지, PC수지, SAN수지 등으로 사출성형된다.
도5는 상술한 버튼 집합체를 제조하기 위해 박판필름(108)에 버튼(106)을 성형하는 사출금형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사출성형금형(120)은 상,하의 가동측금형(122)과 고정측금형(124)을 구비한다. 가동측금형(122)에는 버튼(106)을 성형하기 위한 공간(122a)이 구비되어 있다. 고정측금형(124)에는 버튼(106)의 접촉돌기(106b)를 성형하기 위한 공간(124a)이 마련되어 있다. 이 공간(124a)과 연결되어 금형 내에 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런너(Runner, 126)와 게이트(Gate, 128)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사출성형금형(120)에 의한 버튼 집합체(100)의 성형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버튼성형공간(112a)을 구비하도록 돌출부(112)가 형성된 박판필름(108)을 미리 제작하여 가동측금형(122)의 공간(122a)에 필름(108)의 돌출부(112)를 삽입한다. 가동측금형(122)을 이동시켜 사출성형금형(120)을 닫은 후, 런너(126)와 게이트(128)를 통하여 수지를 공급한다. 수지가 공급되면 박판필름(108)의 돌출부(112)에 의해 형성된 버튼성형공간(112a) 및 고정측금형(124)의 공간(124a)에 수지가 충전된다. 버튼(106)의 성형을 완료한 후, 가동측금형(122)을 이동시켜 금형을 열고 고정측금형(124) 붙어 있는 버튼 집합체(100)를 분리한다.
그러나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버튼 구조를 성형함에 있어서, 미리 제조되는 박판필름(108)의 돌출부(112)의 아래쪽 모서리의 반지름(r)은 가동측금형(122)의 아래쪽 모서리의 반지름(R)보다 작은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이 차이로 인해 틈새(a)가 생긴다. 수지의 공급시 도6에 도시한 화살표방향으로 작용하는 수지의 압력에 의해, 약 0.1∼0.2㎜의 얇은 두께로 제조되는박판필름(108)은 쉽게 변형되어 가동측금형(122)에 밀착된다.
따라서 박판필름(108)의 굴곡부분(108a)이 고정측금형(124)으로부터 이격되어 벌어지게 되고, 이 벌어진 틈새로 수지가 공급되므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판필름(108)의 굴곡부분(108a)에서 박판필름(108)의 수평면쪽으로 향하는 플래쉬(Flash)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박판필름(108)의 굴곡부분(108a) 근처에 플래쉬가 형성되면, 굴곡부분(108a) 근처의 두께가 그 만큼 두꺼워진다. 이로써 버튼(106)을 누르면 굴곡부분(108a)에서는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을 정도로 유연성을 상실하게 되고, 누르는 힘이 두꺼워진 부분을 통해 인접한 버튼으로 전달되므로 오동작이 발생할 수 도 있다.
또한, 도7을 참조하면, 종래의 버튼 구조는 버튼(106)의 상단이 케이스(110)의 표면으로 노출되어야 하는 것이므로, 버튼(106)의 두께(H)가 두껍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의 사출성형은 두께가 두꺼운 부분에서 수축이 많이 이루어지므로 버튼(106)의 수평면(106a)과 접촉돌기(106b)가 접하는 부분에서 수축이 가장 심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도7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돌기(106b)가 어느 한 쪽으로 변형되어 기울어져 버튼(106)마다 접촉돌기(106b)와 택트스위치(104)와의 간격(h)이 일정하지 않게 될 수도 있다. 또한, 과도한 수축으로 인해 버튼(106)의 접촉돌기(106b)와 택트스위치(104) 사이의 거리가 설계치수보다 멀어질 수도 있다. 이로써 각 버튼(106)마다 누르는 느낌이 다르게 되고, 간격(h)이 좁은 경우는 의도적으로 누르는 것이 아닌 상태에서도 쉽게 오동작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버튼의 사출성형시 박판필름의 굴곡부분에 플래쉬가 형성되지 않게 하여 버튼의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는 버튼 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버튼의 사출성형 후 수축에 의해 접촉돌기가 변형하는 것을 방지하여 접촉돌기와 택트스위치와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버튼 집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버튼 집합체의 일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도1에 도시한 버튼 집합체를 성형하기 위한 사출금형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3은 도2의 A부 상세도
도4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버튼 집합체의 일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도5는 도4에 도시한 버튼 집합체를 성형하기 위한 사출금형의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6은 도5의 B부 상세도
도7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버튼 집합체의 불량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버튼 집합체 16: 택트스위치
18: 버튼 18a: 수평면
18b: 접촉돌기 18c: 살빼기홈
20: 박판필름 22: 돌출부
22a: 버튼성형공간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버튼성형공간을 갖는 돌출부가 복수개 배열된 박판필름과, 상기 박판필름의 각 버튼성형공간 내에 성형되고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한 접촉돌기를 갖는 다수의 버튼이 구비된 버튼 집합체에 있어서, 상기 버튼은 살빼기 홈에 의해 형성되는 측벽(19)을 구비하되, 상기 측벽은 상기 돌출부의 아래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집합체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전화기에 사용하기 위한 버튼 집합체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의 버튼 집합체는 전화기에 사용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에 따른 버튼 집합체는 스위치를 구동하기 위하여 다수의 버튼을 설치하여야 하는 장치라면 어느 곳이나 사용할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튼 집합체(10)는 전화기와 같은 케이스(12) 내의 기판(14) 상에 다수개 배열설치된 택트스위치(16)를 선택적으로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버튼집합체(10)는 이 택트스위치(16)와 대응하는 버튼(18)을 각각 구비하고 있으며, 이 버튼(18)은 단일의 박판필름(20)에 일체로 성형한다.
버튼(18)은 케이스(12)에 형성된 관통구멍(12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소정의 높이로 형성하며, 외부에서 누를 수 있도록 케이스(12) 표면 위로 돌출하도록 설치한다. 따라서, 박판필름(20)은 버튼(18)의 성형위치에 버튼성형공간(22a)을 갖는 돌출부(22)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돌출부(22)의 버튼성형공간(22a)에 버튼(18)을 일체로 사출성형한다.
버튼(18)은 박판필름(20)의 밑면(18a) 아래쪽으로 돌출하며, 그 말단이 스위치(16)와 일정간격을 유지하는 접촉돌기(18b)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접촉돌기(18b)는 버튼(18)의 누를 때 택트스위치(16)를 가압하여 조작한다.
또한 상기 버튼(18)의 밑면(18a)에는 접촉돌기(18b)의 바깥 둘레를 따라 소정 깊이의 살빼기홈(18c)을 형성하여 버튼(18)의 두께를 감소시킨다. 이때, 살빼기홈(18c)의 바깥쪽은 살빼기홈(18c)의 폭이 밑면(18a)쪽으로 갈수록 커지도록 경사지게 형성한다. 바꿔말하면, 살빼기홈(18c)에 의해 버튼(18)의 측벽(19)이 형성되며, 이 측벽(19)은 밑면(18a)으로 즉, 절곡부분(20a)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작아진다. 측벽(19)의 끝단은 박판필름(20)의 절곡부분(20a)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절곡부분(20a)에서 측벽(19)의 외면(19a)와 내면(19b)가 만나 모서리를 형성할 수도 있다(도 3 참조).
이와 같이 박판필름(20)에 일체로 성형되는 버튼(18)은 통상 ABS투명수지, 아크릴수지, PC수지, SAN수지 등으로 사출성형된다. 박판필름(20)은 플라스틱 수지로 이루어지며 두께는 0.1 내지 0.2㎜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버튼 집합체(10)를 제조하기 위해 박판필름(20)에 버튼(18)을 성형하는 사출금형의 일부를 도시한 것이다. 사출성형금형(30)의 가동측금형(32)에는 버튼(18)을 성형하기 위한 공간(32a)을 구비하고, 고정측금형(34)에는 버튼(18)의 살빼기홈(18c)을 형성하기 위한 살빼기를 위한 돌출부(34a) 및 버튼(18)의 접촉돌기(18b)를 성형하기 위한 공간(34b)을 마련한다.
이러한 사출성형금형(30)에 의한 버튼 집합체(10)의 성형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버튼성형공간(22a)을 구비하도록 돌출부(22)가 형성된 박판필름(20)을 미리 제작하여 가동측금형(32)의 공간(32a)에 돌출부(22)를 삽입한다. 가동측금형(32)을 이동시켜 금형을 닫은 후 런너(36)와 게이트(38)를 통하여 수지를 공급한다. 수지가 공급되면 박판필름(20)의 돌출부(22)에 의해 형성된 버튼성형공간(22a) 및 고정측금형(34)의 공간(34b)에 수지가 충전된다. 버튼(16)의 성형을 완료한 후, 가동측금형(32)을 이동시켜 금형을 열고 고정측금형(34)에 붙어 있는 버튼 집합체(10)를 분리한다.
상기와 같이 성형되는 버튼 조립체(10)의 버튼 구조에 의해서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튼(18)을 일체로 사출성형함에 있어서, 박판필름(20)의절곡부분(20a)의 외측에 공간(S)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박판필름(20)의 굴곡부분(20a)에 플래쉬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3을 참조하면, 가동측금형(32)의 모서리(R)와 박판필름(20)의 굴곡부분(20a)에 미소한 오차로 인해 틈새(S)가 형성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수지가 공급되면, 버튼(18)의 살빼기홈(18c)을 형성하기 위한 고정측금형(34)의 살빼기돌출부(34a)의 경사진 면과 박판필름(20)의 돌출부(22) 사이의 간격이 굴곡부분(20a)으로 갈수록 점점 좁아지는 형태이므로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굴곡부분(20a)으로 갈수록 수지의 압력은 점점 감소한다. 결국 굴곡부분(20a)에서는 수지의 압력이 최소화된다.
따라서 사출성형시 박판필름(20)의 굴곡부분(20a)이 변형되지 않고 굴곡부분(20a)에 플래쉬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때 사출압이 굴곡부분(20a)까지 미치지 않으면, 수지가 굴곡부분(20a)까지 충전되지 않게 되고, 이로써 그 끝부분에서 미성형부분이 생길 수도 있지만, 버튼(18)을 박판필름(20)에 일체로 성형하여 유지하는데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으며, 이러한 상태에서는 플래쉬가 발생할 수 없다.
또한 버튼(18)의 수평면(18a)에 형성한 살빼기홈(18c)에 의해서는 버튼(18)의 두께가 감소하므로 성형 후의 수축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불균일한 수축으로 인한 접촉돌기(18b)의 변형이 방지된다. 이로써 버튼(18)의 접촉돌기(18b)와 택트스위치(16)와의 간격을 버튼(18)마다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므로 버튼(18)마다의 누르는 조작감이 동일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버튼 집합체는, 버튼에 형성한 살빼기홈에 형성되는 측벽이 아래쪽으로 갈수록 얇게 형성된 것이므로 버튼의 사출성형시 박판필름의 굴곡부분에 플래쉬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로써 버튼을 누를 때 필름이 유연성이 유지되어 인접 버튼으로 누르는 힘이 전달되지 않게 됨으로써 오동작이 방지된다.
또한 본 고안의 버튼 집합체는 살빼기홈에 의해 버튼의 두께가 감소하므로 사출성형 후의 수축의 불균일성이 적어져 접촉돌기의 변형이 방지되고 치수가 안정된다. 이로써 접촉돌기와 택트스위치와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각 버튼마다 누름조작감이 동일하고, 쉽게 오동작되는 일이 없다.

Claims (2)

  1. 버튼성형공간(22a)을 갖는 돌출부(22)가 복수개 배열된 박판필름(20)과, 상기 박판필름(20)의 각 버튼성형공간(22a) 내에 성형되고 스위치(16)를 구동하기 위한 접촉돌기(18b)를 갖는 다수의 버튼 집합체에 있어서,
    상기 버튼(18)은 살빼기홈(18c)에 의해 형성되는 측벽(19)을 구비하되, 상기 측벽(19)은 상기 돌출부(22)의 아래쪽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집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19)은 돌출부(22)의 하부 절곡부분(20a)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집합체.
KR2019980001863U 1997-12-24 1998-02-13 다수의버튼을갖는버튼집합체 KR2002304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863U KR200230402Y1 (ko) 1998-02-13 1998-02-13 다수의버튼을갖는버튼집합체
JP10367568A JPH11250754A (ja) 1997-12-24 1998-12-24 ボタン集合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1863U KR200230402Y1 (ko) 1998-02-13 1998-02-13 다수의버튼을갖는버튼집합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611U KR980009611U (ko) 1998-04-30
KR200230402Y1 true KR200230402Y1 (ko) 2001-08-07

Family

ID=69712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1863U KR200230402Y1 (ko) 1997-12-24 1998-02-13 다수의버튼을갖는버튼집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040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611U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2932A (en) Push-button switch, keyto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keytop
US4997998A (en) Key cap for a keyboard
KR20000047574A (ko) 휴대폰용 키패드와 그 제작방법
KR200230402Y1 (ko) 다수의버튼을갖는버튼집합체
KR100397956B1 (ko) 다수의 버튼을 갖는 버튼집합체
JP3174368B2 (ja) 携帯電話の外側ケース
JP3977585B2 (ja) 基板収容ケース
US6888079B2 (en) Multifunctional pushbutton switch
KR200326795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입력부
CN107104013B (zh) 按键及电子产品
KR200358343Y1 (ko) 버튼 집합체
JPH0526654Y2 (ko)
KR200220809Y1 (ko) 박판 필름이 있는 케이스부품의 버튼장치(Button Device for Use with Case Unit Having Sheet Material)
KR100403449B1 (ko) 전기·전자 제품용 패널,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사출금형
KR101255010B1 (ko) 일체형의 키버튼부를 갖는 키패드 및 이를 구비한이동단말기
JP2727261B2 (ja) 防滴構造の押釦スイッチ
JP2570294Y2 (ja) Lcdの採光板
KR200210426Y1 (ko) 다수의버튼을갖는버튼집합체의성형용금형
JPH0193015A (ja) キートップ付ラバースイッチ
KR200226736Y1 (ko) 필름인서트키패드와아크릴키탑조합형키패드
JPH04169015A (ja) 押釦スイッチのキートップ
KR200238769Y1 (ko) 전기·전자 제품용 패널,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사출금형
KR200371189Y1 (ko) 통신 단말기의 버튼 조립구조
JP2001184983A (ja) スイッチ機構
KR19990020767U (ko) 세탁기의 조작패널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4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