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809Y1 - 박판 필름이 있는 케이스부품의 버튼장치(Button Device for Use with Case Unit Having Sheet Material) - Google Patents

박판 필름이 있는 케이스부품의 버튼장치(Button Device for Use with Case Unit Having Sheet Materi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809Y1
KR200220809Y1 KR2019970043767U KR19970043767U KR200220809Y1 KR 200220809 Y1 KR200220809 Y1 KR 200220809Y1 KR 2019970043767 U KR2019970043767 U KR 2019970043767U KR 19970043767 U KR19970043767 U KR 19970043767U KR 200220809 Y1 KR200220809 Y1 KR 2002208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case body
button device
case
thi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37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5200U (ko
Inventor
한영수
Original Assignee
한영수
피닉스코리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영수, 피닉스코리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영수
Priority to KR20199700437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809Y1/ko
Publication of KR9800052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52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8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8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12Household appliance

Landscapes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조작에 의해 내부의 스위치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하는 버튼장치를 제공하며, 버튼장치의 제조에 필요한 시간 및 노동력을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버튼장치는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케이스본체와 케이스본체의 외면을 덮는 박판으로 이루어진 케이스부품에 형성된다. 버튼장치는 제1버튼과 제2버튼을 구비한다. 제1버튼은 케이스본체의 구멍에 대응하는 박판의 일부분이 외부로 볼록하게 돌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제2버튼은 케이스본체의 구멍 내에 위치하며, 케이스본체와 탄성지지부에 의해 연결된다. 제2버튼과 탄성지지부는 케이스본체와 일체로 성형된다.

Description

박판 필름이 있는 케이스부품의 버튼장치(Button Device for Use with Case Unit Having Sheet Material)
본 고안은 케이스부품의 버튼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버튼과 탄성지지부가 케이스본체와 일체로 성형된 버튼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전기제품에는 케이스부품에 구멍을 형성하고, 버튼 또는 노브를 설치하여 전기제품 내부의 회로기판에 설치된 스위치용 구동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버튼구조물 세탁기와 같이 물을 사용하는 전기제품에 적용하는데에 문제가 있었다. 물이 케이스와 버튼사이의 틈새로 흘러 들어가 회로의 단락이 일어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케이스부품의 구조가 제안되었다. 케이스부품(100)은 케이스본체(102)와 케이스본체(102)를 덮는 박판(106)으로 이루어진다. 케이스본체(102)의 일부분에는 원형 구멍(1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멍(110)과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박판(106)의 부분은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박판버튼부(112)를 형성한다. 이러한 케이스부품(110)은 사출성형금형의 가동측금형에 미리 절단되고 접착제가 도포된 박판재료를 위치시키고 사출성형금형을 닫고 케이스본체(102)를 사출함으로써 제조된다.
박판버튼부(112) 아래에는 스위치의 상부가 박판버튼부(112)와 인접하도록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된다. 그러나, 통상의 스위치는 그 스트로크가 매우 작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품의 버튼장치가 구성되면, 사용자가 박판버튼부(112)에 의도하지 않은 약간의 힘을 가하더라도 스위치가 동작할 수 있다. 즉, 제품은 오동작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박판버튼부(112)의 바로 아래에 별도의 버튼(도시하지 않음)을 설치할 수 있다. 그 방법으로는, 버튼을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하여 케이스본체(102)에 부착하거나, 회로기판에 고정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이러한 버튼을 제조하고 케이스부품이나 회로기판에 설치하는 데에는 별도의 시간과 노동력을 요구한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박판버튼을 갖는 전기제품의 스위치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하는 버튼장치용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버튼장치의 제조에 필요한 시간 및 노동력을 줄일 수 있는 버튼장치용 제공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튼 버튼장치용 갖는 케이스부품의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II-II 선을 따라 절단한 버튼장치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버튼장치와 케이스부품의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저면도.
제4도는 케이스부품의 성형과정에서 합성수지의 수축이 일어나기 전의 버튼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제5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케이스부품을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부품 12 : 버튼장치
14 : 케이스본체 16 : 박판
20 : 구멍 23 : 제1버튼
26 : 제2버튼 34 : 탄성지지부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은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케이스본체(14)와 케이스본체(14)의 외면을 덮는 박판(16)으로 이루어진 케이스부품(10)에 형성된 버튼장치(12)에 있어서, 상기 버튼장치(12)는 제1버튼(23)과 제2버튼(26)를 구비하되, 상기 제1버튼은 케이스본체(14)의 구멍(20)에 대응하는 박판(16)의 일부분이 외부로 볼록하게 돌출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상기 제2버튼은 케이스본체(14)의 구멍(20) 내에 위치하며, 상기 케이스본체(14)와 탄성지지부(34)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2버튼(26)과 상기 탄성지지부(34)는 상기 케이스본체(14)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세탁기의 버튼 구조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고안은 버튼 구조용 세탁기에 적용하는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버튼구조는 세탁기, 전기밥솥, 냉장고, 전자레인지등의 가전제품에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을 사용하는 곳에서 사용하는 산업용 전기제품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1을 참조하면, 세탁기의 패널을 형성하는 케이스부품(10)에는 본 고안에 따른 버튼장치(12)가 배치된다. 세탁기는 물을 사용하는 제품이므로, 물이 패널의 내부로 들어가, 회로의 단락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도록 케이스부품(10)의 버튼장치(12)는 박판으로 덮여 있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버튼장치(12)를 갖는 케이스 부품(10)은 케이스본체(14)와 케이스본체(14)를 덮는 박판(16)으로 이루어진다. 케이스본체(14)는 ABS 수지, AS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같은 합성수지를 성형하여 제조한다. 케이스본체(14)에는 구멍(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멍(20)과 대응하는 박판(16)의 부분은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제1버튼(23)을 형성한다. 박판(16)은 폴리카보네이트수지의 시트(Sheet) 재료 또는 아크릴수지의 시트 재료로 이루어진다.
박판의 두께는 0.1 내지 0.2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본체(14)와 박판(16) 사이에는 사출성형 시의 열과 압력에 작용하는 접착제에 의해 부착된다.
제1버튼(23) 내측에는 합성수지로 성형한 제2버튼(26)이 배치된다. 제2버튼(26)은 보스(32)를 구비한다. 제2버튼(26)은 케이스본체(14)와 탄성지지부(액)애 의해 연결된다. 탄성지지부(34)는 케이스본체(14)로부터 돌출하여 제2버튼(26)의 양측으로 나뉘어진다. 나뉘어진 탄성지지부(34)는 제2버튼(26)를 에워싸도록 연장되어 제2버튼(26)에 연결된다 (도3 참조).
탄성지지부(34)가 케이스본체(14)로부터 제2버튼(26)까지 연장되는 길이는 클수록 바람직하다. 길이가 길어지면, 제2버튼(26)이 충분한 스트로크를 가지도록 변경가능하기 때문이다. 탄성지지부(34)는 제2버튼(26)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제2버튼이 제자리로 복귀하도록 탄성을 갖는다. 케이스본체(26) 및 제2버튼(26)과 탄성지지부(34)는 일체로 성형된다.
다시 도2를 참조하면, 제2버튼(26)의 아래쪽에는 회로기판(36)과 그 위에 고정된 스위치(39)가 있다. 제품의 사용자가 박판(16)으로 이루어진 제1버튼(23)을 누르면, 볼록한 제1버튼(23)이 변형하면서 제2버튼(26)에 힘이 가해진다. 제2버튼(26)에 가해진 힘에 의해 탄성지지부(34)가 변형하여 제2버튼(26)이 이동한다. 따라서, 제2버튼(26)의 보스(32)가 스위치(39)를 구동한다. 그러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제품이 동작한다. 제1버튼(23)를 누른 힘을 제거하면, 탄성지지부(34)의 탄성에 의해 제2버튼(26)이 복귀하며, 제1버튼(23)도 박판의 탄성에 의해 볼록한 상태로 복귀한다.
도2 및 도4를 참조하여 케이스부품(10) 및 버튼장치(12)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케이스부품(10)을 제조하기 위한 사출성형금형은 가동측금형과 고정측금헝으로 이루어진다. 가동측금형은 케이스부품의 외관과 대응하는 형상이 있는 캐비티블록을 구비한다. 고정측금형은 케이스본체(14) 및 버튼장치(12)의 제2버튼(26) 및 탄성지지부(34)와 대응하는 형상이 있는 코어블록을 구비한다.
먼저 편평한 박판재료용 가동측금형에 부착한다. 박판재료에는 제2버튼(26)이 위치하는 케이스본체(14)의 구멍(20)과 대응하는 부분의 표면(43)을 제외한 부분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다.
그 후, 가동측금형을 이동시켜 사출성형금형을 닫으면, 사출성형금형내에 캐비티공간이 형성된다. 캐비티공간에 합성수지를 사출한다. 도4는 사출 직후의 케이스부품의 단면을 도시한다. 박판(16)의 제1버튼이 형성되는 부분(27)도 편평한 상태 유지한다. 성형된 수지의 온도가 상온까지 내려가면, 수지는 고형화함과 동시에 수축한다. 수지의 수축과 함께, 케이스본체(14)의 구멍(20)도 작아진다. 이때, 구명(20)과 대응하는 박판(16)의 부분(27)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지 않으므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버튼(26)의 윗면(46)과 분리되어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한다. 이로서 본 고안에 따른 버튼장치를 갖는 케이스부품(10)이 완성된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탄성지지부는 도3과는 달리 케이스본체(14)로부터 돌출하여 양측으로 분리되지 않고, 제2버튼(26)을 에워싸도록 거의 1회전할 정도로 연장된 후 제2버튼(26)과 연결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버튼장치(12)는 박판(16)의 제1버튼(23) 내부에 길게 연장된 탄성지지부(34)에 의해 케이스본체(14)에 연결되는 제2버튼(26)을 가지므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조작에 의해 내부의 스위치가 오동작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고안의 버튼장치(12)는 제2버튼(26)이 케이스본체(14)와 입체로 성형되므로 버튼장치(12)의 제조에 필요한 시간 및 노동력용 줄일 수 있다.

Claims (3)

  1.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케이스본체(14)와 케이스본체(14)의 외면을 덮는 박판(16)으로 이루어진 케이스부품(10)에 형성된 버튼장치(12)에 있어서, 상기 버튼장치(12)는 제1버튼(23)과 제2버튼(26)을 구비하되,
    상기 제1버튼은 케이스본체(14)의 성형시 케이스본체의 수축으로 인하여 케이스본체에 형성된 구멍(20)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박판(16)의 일부분이 외부로 볼록하게 돌출함으로써 형성되고,
    상기 제2버튼은 케이스본체(14)의 구멍(20) 내에 위치하되 탄성지지부(34)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본체(14)에 연결되며, 또한
    상기 제2버튼(26)과 상기 탄성지지부(34)는 상기 케이스본체(14)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케이스본체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제2버튼의 상단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는 케이스본체로부터 상기 제2버튼의 주위를 감싸면서 제2버튼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장치.
KR2019970043767U 1997-12-30 1997-12-30 박판 필름이 있는 케이스부품의 버튼장치(Button Device for Use with Case Unit Having Sheet Material) KR2002208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767U KR200220809Y1 (ko) 1997-12-30 1997-12-30 박판 필름이 있는 케이스부품의 버튼장치(Button Device for Use with Case Unit Having Sheet Materi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3767U KR200220809Y1 (ko) 1997-12-30 1997-12-30 박판 필름이 있는 케이스부품의 버튼장치(Button Device for Use with Case Unit Having Sheet Materi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5200U KR980005200U (ko) 1998-03-30
KR200220809Y1 true KR200220809Y1 (ko) 2001-05-02

Family

ID=53897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3767U KR200220809Y1 (ko) 1997-12-30 1997-12-30 박판 필름이 있는 케이스부품의 버튼장치(Button Device for Use with Case Unit Having Sheet Materi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80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900Y1 (ko) * 2008-12-31 2011-03-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트립 버튼을 갖는 배선용 차단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430700A (en) * 2000-05-09 2001-11-20 Saehan Industries Incorporation Tankless domestic water purifier of reverse osmosis typ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900Y1 (ko) * 2008-12-31 2011-03-31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트립 버튼을 갖는 배선용 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5200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3193B2 (en) Butto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0220809Y1 (ko) 박판 필름이 있는 케이스부품의 버튼장치(Button Device for Use with Case Unit Having Sheet Material)
JP2681064B2 (ja) 押ボタンを含む制御パネルとその製造方法
US7156632B2 (en) Injection mold for display panel of washing machine
CN212625228U (zh) 具有按钮的后装智能开关
KR100465704B1 (ko) 세탁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용 사출금형
KR100465705B1 (ko) 세탁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용 사출금형
KR100465706B1 (ko) 세탁기의 디스플레이 패널
KR100432717B1 (ko) 가전기기의 콘트롤패널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CN218515598U (zh) 一种面板总成、容器盖和烹饪设备
KR100429813B1 (ko) 전자제품의 조작패널
KR101100169B1 (ko)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
CN211722733U (zh) 烹饪器具
KR200244129Y1 (ko) 세탁기제어패널의선택버튼용탄력장치
KR100489462B1 (ko) 차량의 히터 제어 버튼의 구조
KR100403449B1 (ko) 전기·전자 제품용 패널, 이의 제조에 사용되는 사출금형
KR960008217Y1 (ko) 가전제품의 스위치 결합구조
KR100706877B1 (ko) 세탁기용 조작패널
KR200230402Y1 (ko) 다수의버튼을갖는버튼집합체
KR101100170B1 (ko) 가전기기의 원격 모니터 장치
JP5671704B2 (ja) 操作装置
KR200239628Y1 (ko) 전자렌지의 다이얼 스위치 결합장치
KR970004053Y1 (ko) 전화기의 키패드 고무 구조
KR20030079363A (ko) 전자레인지의 컨트롤러 조립체
KR0125795Y1 (ko) 전자제품의 스위치접점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