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2717B1 - 가전기기의 콘트롤패널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가전기기의 콘트롤패널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2717B1
KR100432717B1 KR10-2001-0046404A KR20010046404A KR100432717B1 KR 100432717 B1 KR100432717 B1 KR 100432717B1 KR 20010046404 A KR20010046404 A KR 20010046404A KR 100432717 B1 KR100432717 B1 KR 100432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panel
film
mold
button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6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2401A (ko
Inventor
김명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Priority to KR10-2001-0046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2717B1/ko
Priority to PCT/KR2002/001192 priority patent/WO2003001546A1/ko
Priority to DE60234827T priority patent/DE60234827D1/de
Priority to AU2002314591A priority patent/AU2002314591B2/en
Priority to CNB028021851A priority patent/CN1234142C/zh
Priority to JP2003507839A priority patent/JP2004522309A/ja
Priority to EP02741485A priority patent/EP1397816B1/en
Priority to US10/362,103 priority patent/US6750407B2/en
Publication of KR20030012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2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2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27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05K5/001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having an electronic disp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8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ortable, e.g. battery operated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기기용 콘트롤패널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콘트롤패널 조립체를 콘트롤패널(30), 기판(40), 버튼프레임(50) 및 외관필름(60)으로 구성한다. 상기 콘트롤패널(30)에는 다수개의 버튼통공(32)이 형성된다. 상기 기판(40)의 상기 콘트롤패널(30) 내측에서 콘트롤패널(30)과 체결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스위치(42)와 LED(43)가 설치된다. 상기 버튼프레임(50)은 상기 스위치(42)의 구동을 위한 탄성버튼(52)이 스위치(4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LED(43)와 대응되는 위치에 서포터(54)가 형성되어 상기 기판(40)에 장착된다. 상기 외관필름(60)은 상기 콘트롤패널(30)의 전면 전체와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것으로 인서트사출에 의해 상기 콘트롤패널(30)에 일체로 인서트된다. 이와 같은 외관필름(60)에는 상기 탄성버튼(52)과 대응되는 버튼(62)이 형성되고, 상기 서포터(54)와 대응되어 LED(43)의 빛을 받는 표시부(64)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외관필름(60)이 콘트롤패널(30)의 전면 전체에 부착되므로 외관품질이 좋아지고 외부의 이물이 콘트롤패널(30)의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전기기의 콘트롤패널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Control panel assembly for home appliances and making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가전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전기기의 동작을 위한 버튼과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구성을 구비하는 콘트롤패널 조립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가전기기의 콘트롤패널 조립체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콘트롤패널 조립체의 외관을 콘트롤패널(1)이 형성한다. 상기 콘트롤패널(1)은 가전기기의 일측 외관을 형성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콘트롤패널(1)에는 다수개의 통공(3)과 탄성버튼(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공(3)은 아래에서 설명될 LED의 광을 통과시켜 가전기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고, 상기 탄성버튼(5)은 사용자가 눌러 가전기기를 조작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부분이다.
이와 같은 탄성버튼(5)은 상기 콘트롤패널(1)과 복수개의 레그(6)에 의해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레그(6)가 탄성을 가져 탄성버튼(5)이 눌러지고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성버튼(5)은 콘트롤패널(1)의 내측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기판(7) 상에 설치되는 스위치(8)를 온오프시키게 된다.
상기 콘트롤패널(1)의 내측에는 기판(7)이 설치된다. 상기 기판(7)은 가전기기의 조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스위치(8)와 가전기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LED와 같은 부품이 설치되고, 상기 LED를 지지하고 불빛을 안내하는 서포터(9)도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기판(7) 상에는 상기 부품 외에 다른 부품들도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8)는 상기 탄성버튼(5)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LED는 상기 통공(3)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콘트롤패널(1)의 표면에는 원도우패널(10)이 용착된다. 상기 원도우패널(10)에는 상기 콘트롤패널(1)에 형성된 탄성버튼(5)과 통공(3)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통공(1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탄성버튼(5)에 대응되는 통공(12)은 사용자가 상기 탄성버튼(5)을 누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통공(3)에 대응되는 통공(12)은 상기 LED의 불빛이 외부로 나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윈도우패널(10)의 표면에는 원도우필름(15)이 부착된다. 상기 윈도우필름(15)은 상기 윈도우패널(10)에 부착되어 상기 통공(12)을 통해 외부의 이물이나 수분이 내부로 틈입하지 못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버튼(5)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버튼(17)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통공(12)과 대응되는 위치에는가전기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8)가 형성된다. 상기 버튼(17) 및 표시부(18)에는 그 기능이나 동작 등을 표시하기 위한 문자나 도형등이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가전기기의 콘트롤패널 조립체에서는 상기 윈도우필름(15)이 상기 윈도우패널(10)에 부착되고, 상기 윈도우필름(15)이 부착된 상태의 윈도우패널(10)이 상기 콘트롤패널(1)에 용착된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패널(1)의 내측에 상기 기판(7)이 안착된다.
상기와 같이 콘트롤패널 조립체가 조립되면 상기 윈도우필름(15)의 버튼(17)이 상기 윈도우패널(10)의 대응되는 통공(12)을 통해 상기 콘트롤패널(1)의 탄성버튼(5)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17)을 누르면 상기 탄성버튼(5)이 눌러지면서 상기 기판(7)의 스위치(8)가 조작된다.
또한 상기 윈도우필름(15)의 표시부(18)에 대응되는 통공(12)과 상기 콘트롤패널(1)의 통공(3)을 통해 상기 기판(7)의 LED의 불빛이 전달된다. 이때 상기 LED의 불빛은 상기 서포터(9)에 의해 안내된다. 이와 같이 LED의 불빛이 윈도우필름(15)에 비춰지면 표시부(18)와 협력하여 가전기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종래의 콘트롤패널 조립체는 콘트롤패널(1), 기판(7), 윈도우패널(10) 및 윈도우필름(15)으로 형성되어, 그 구성부품의 수가 상대적으로 많다. 따라서 각각의 부품을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커지게 된다. 그리고 각각의 구성부품을 조립하기 위한 조립작업의 작업성이 나빠지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LED를 지지하고 그 불빛을 안내하기 위한 서포터(9)가 다수개로 분리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서포터(9)를 다수개로 형성하는 것은 상기 LED의 사이사이에 설치되는 스위치(8)와 상기 콘트롤패널(1)에 형성된 탄성버튼(5)사이의 연동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기 위해서 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서포터(9)의 설치상태가 견고하지 못하게 된다. 이는 각각의 서포터(9)가 그 하부가 상기 기판(7)에 끼워지고 우레탄코팅에 의해 고정되는 정도로 체결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서포터(9)에 의해 안내되는 LED의 불빛이 정확하게 상기 표시부(18)로 전달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더해 상기 탄성버튼(5)이 상기 콘트롤패널(1)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콘트롤패널(1)과 기판(7) 사이의 조립상태가 정확하게 되지 않으면 상기 탄성버튼(5)에 의해 스위치(8)의 조작이 정확하게 되지 않는 문제점도 발생한다.
한편, 상기 콘트롤패널(1)에 형성된 탄성버튼(5)은 다수개가 인접하여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탄성버튼(5)이 인접하여 형성됨에 의해 하나의 탄성버튼(5)이 눌러질 때 인접한 탄성버튼(5) 또한 눌러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인접한 스위치(8)가 동시에 조작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윈도우필름(15)이 윈도우패널(10)만을 덮도록 부착되어 있어 콘트롤패널(1)과 윈도우패널(10)의 사이를 통해 내부로 수분이 전달될 위험성이 있고, 콘트롤패널(1)의 외관이 상기 원도우필름(15)이 부착되어 있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으로 나누어져 미관상 좋지 않고 오랜 사용시 상기 원도우필름(15)이 부착되어 있는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사이의 색상차이가 많아지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체 구성이 간소화된 콘트롤패널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트롤패널 조립체 외관의 디자인성을 높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의 이물이 콘트롤패널의 내부로 틈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랜 사용에도 콘트롤패널의 색상 등이 변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가전기기의 콘트롤패널 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콘트롤패널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튼프레임의 구성을 보인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외관필름을 형성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인 공정순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외관필름을 열포밍하는 것을 보인 작업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에서 외관필름을 콘트롤패널에 일체로 인서트사출하는 것을 보인 공정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콘트롤패널 32: 버튼통공
40: 기판 42: 스위치
50: 버튼프레임 52: 탄성버튼
54: 서포터 56: 체결부
58: 보강리브 60: 외관필름
62: 버튼 64: 표시부
70: 제1포밍금형 70': 성형표면
72: 제2포밍금형 73: 성형캐비티
74: 히팅코일 75: 압축공기주입구
80: 제1금형 80': 요입부
81: 흡착구 82: 제2금형
83: 성형캐비티 83: 지지단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수개의 버튼통공과 표시통공이 형성되는 콘트롤패널과, 상기 콘트롤패널의 표면 전체에 부착되어 외관을 구성하는 외관필름과, 상기 콘트롤패널의 내측에 구비되고 조작과 동작상태표시를 위한 부품이 실장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장착되어 조작과 동작상태표시를 위한 부품을 상기 콘트롤패널의 버튼통공과 표시통공과 연결하는 버튼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외관필름은 상기 콘트롤패널에 인서트 사출되어 부착된다.
상기 외관필름에는 상기 버튼통공에 대응되는 버튼과 표시통공에 대응되는 표시부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필름에 제품의 동작을 표시하기 위한 그림이나 문자를 인쇄하는 인쇄단계와, 상기 그림이나 문자가 인쇄된 필름을 콘트롤패널의 외관표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포밍금형에서 열을 가하면서 압력을 가해 열포밍하는 열포밍단계와, 상기 열포밍된 필름을 콘트롤패널의 외관과 대응되게 트리밍하는 트리밍단계와, 상기 열포밍된 필름을 금형의 성형캐비티 내에 안착시켜 수지에 인서트사출되게 하여 콘트롤패널을 형성하는 패널형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열포밍단계 후에 필름을 콘트롤패널의 외관과 대응되게 트리밍하는 트리밍단계를 더 구비한다.
상기 인쇄단계에서는 열포밍단계에서의 변형을 고려하여 그림이나 문자를 형성한다.
상기 필름은 PE나 PET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포밍단계는 상기 콘트롤패널의 표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성형표면을 구비하는 포밍금형의 성형캐비티에 필름을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안착된 필름에 열을 가하면서 상기 성형캐비티의 성형표면에 상기 필름이 밀착되게 압력을 가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캐비티의 압력을 일정 시간 유지하여 필름을 성형표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형성된 필름을 성형캐비티에서 탈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패널형성단계는 상기 필름의 전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요입부를 구비하는 제1금형에 상기 열포밍된 필름을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필름이 안착된 제1금형에 제2금형을 결합하여 제1금형과 제2금형의 사이에 성형캐비티를 형성하는단계와, 상기 성형캐비티의 내부로 수지를 주입하여 경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수지가 경화되어 형성되고 필름이 일체로 된 콘트롤패널을 금형에서 탈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지는 투명이나 반투명의 ABS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는 상기 필름보다 녹는점이 낮다.
상기 필름은 상기 제1금형의 요입부에 진공으로 흡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2금형에는 상기 제1금형에 안착된 필름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평면상의 지지단이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콘트롤패널 조립체의 외관품질을 높일 수 있고 외부의 이물이 콘트롤패널 조립체의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콘트롤패널 조립체의 조립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가전기기의 콘트롤패널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콘트롤패널 조립체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버튼프레임이 저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콘트롤패널 조립체의 외관을 콘트롤패널(30)이 형성한다. 상기 콘트롤패널(30)은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버튼통공(32)이 천공되어 있다.상기 버튼통공(32)은 아래에서 설명될 기판(40)의 스위치(42)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콘트롤패널(30)의 내측에는 기판(40)이 설치된다. 상기 기판(40) 상에는 가전기기의 조작을 위해 필요한 각종 스위치(42)와 가전기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각종 LED(43) 등이 설치된다. 상기 스위치(42)는 가전기기의 조작을 위해 필요한 신호를 입력받는 부분이고, 상기 LED(43)는 가전기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부분이다.
한편, 상기 콘트롤패널(30)과 기판(40)의 사이에는 버튼프레임(50)이 설치된다. 상기 버튼프레임(50)은 상기 스위치(42)를 구동하기 위한 탄성버튼(52)을 구비한다. 상기 탄성버튼(52)은 복수개의 레그(53)로 상기 버튼프레임(50)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레그(53)의 탄성력에 의해 동작된다. 즉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상기 레그(53)가 탄성변형되면서 상기 탄성버튼(52)이 눌러져 상기 스위치(42)를 온오프시킨다.
그리고 외부에서 가해지된 힘이 제거되면 상기 레그(53)가 복원되어 탄성버튼(52)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탄성버튼(52)은 상기 버튼프레임(50)의 상하부로 돌출되어 하부는 상기 스위치(42)와 접촉되고 상부는 상기 콘트롤패널(30)의 버튼통공(32)내에 위치된다.
상기 버튼프레임(50)에는 또한 서포터(54)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서포터(54)는 상기 LED(43)를 지지하면서 불빛을 아래에서 설명될 표시부(64)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서포터(54)는 상기 버튼프레임(50)의 상하부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그 하부가 상기 기판(40) 상에 안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버튼프레임(50)에는 다수개의 체결부(56)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56)는 상기 기판(40) 상에 상기 버튼프레임(50)을 체결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56)는 스크류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버튼프레임(50)의 하면에는 상기 탄성버튼(52)의 사이사이에 각각 보강리브(58)가 형성된다. 상기 보강리브(58)는 상기 기판(40) 상에 안착되어 버튼프레임(5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보강리브(58)에 의해서는 버튼프레임(50)의 강도가 보강된다. 상기 버튼프레임(50)은 본 실시예에서 2부분으로 나누어 형성되었으나, 설계조건에 따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콘트롤패널(30)의 표면에는 외관필름(60)이 부착된다. 상기 외관필름(60)은 상기 콘트롤패널(30)의 표면에 인서트되는 것으로, 상기 콘트롤패널(30) 표면 전체에 부착된다.
상기 외관필름(60)에는 상기 버튼통공(32)에 대응되는 위치마다 버튼(62)이 형성된다. 상기 버튼(62)은 상기 외관필름(60)의 표면에 원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LED(43)에 대응되는 외관필름(60)의 위치에는 표시부(64)가 형성된다. 상기 표시부(64)로는 상기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콘트롤패널(30)을 통과하여 LED(43)의 빛이 전달된다. 이때 상기 빛의 전달을 보다 원활히 하기 위해 상기 콘트롤패널(30)에 표시통공(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외관필름(60)에는 상기 버튼(62)의 기능과 표시부(64)에 필요한 각종 문자등이 표시되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콘트롤 패널조립체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콘트롤패널 조립체가 조립되는 것을 설명한다. 각종 스위치(42)와 LED(43)가 장착된 상기 기판(40) 상에는 상기 버튼프레임(50)이 장착된다. 상기 버튼프레임(50)은 상기 체결부(56)에 의해 상기 기판(40)에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버튼프레임(50)의 보강리브(58)와 서포터(54)가 상기 기판(40) 상에 안착된다.
한편, 상기 기판(40)상에는 방수를 위한 우레탄코팅이 형성되는데, 상기 우레탄코팅에 의해 상기 보강리브(58)와 서포터(54) 및 체결부(56)가 상기 기판(40)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기판(40) 상에 장착된 버튼프레임(50)의 상부에는 콘트롤패널(30)이 위치된다. 상기 콘트롤패널(30)은 상기 기판(40)과 스크류나 후크 등에 의해 서로 체결된다.
상기 콘트롤패널(30)의 표면에는 상기 외관필름(60)이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외관필름(60)을 상기 콘트롤패널(30)의 표면에 인서트시키는 것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4a에는 PET나 PC(Polycarbonate)로 형성된 외관필름(60)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외관필름(60)의 표면에 가전기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그림이나 문자를 인쇄한다. 상기와 같은 그림이나 문자를 인쇄함과 동시에 콘트롤패널조립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상기 외관필름(60)의 표면에는 특정한 색상이 칠해지게 된다.예를 들어 상기 콘트롤패널조립체의 주변에 위치되는 탑커버나 도어부와 같은 색상으로 칠해지거나, 전자기기의 디자인에 따라 특정한 색상으로 칠해진다.
도 4b에는 외관필름(60)의 표면에 바탕색이 칠해지고 그림이나 문자가 인쇄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바탕색이 칠해진 부분은 점선으로 표시된 내부이다. 한편, 상기 외관필름(60)의 표면에 인쇄되는 그림이나 문자는 다음의 공정인 포밍공정에서의 변형을 고려하여 인쇄한다. 예를 들어 최종적인 도형의 형상이 원형이라면 포밍에서의 변형을 고려하여 타원형으로 인쇄한다.
다음으로 상기 외관필름(60)을 열포밍하여 상기 콘트롤패널(30)의 표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포밍금형(70)과 제2포밍금형(72)이 형성하는 성형캐비티(73)에 외관필름(60)을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외관필름(60)의 가장자리는 상기 포밍금형(70,72)의 외부로 돌출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2포밍금형(72)에 구비된 히팅코일(74)을 통해 열을 가함과 동시에 상기 성형캐비티(63)의 내부로 압축공기주입구(75)를 통해 압축공기를 불어 넣는다.
따라서, 상기 성형캐비티(63)의 내부에 압력이 놓아지면서 상기 히팅코일(74)의 열에 의해 가열된 외관필름(60)이 제1포밍금형(70)의 성형표면(70')에 밀착되어 외관필름(60)이 원하는 형상, 즉 콘트롤패널(30)의 표면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된다. 이때, 상기 외관필름(60)의 표면의 버튼(62)도 함께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4c에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외관필름(60)은 상기 성형캐비티(63)의 내부에서 소정 시간 동안압축공기가 투입된 상태에서 유지된다. 그리고 성형이 완료되면 상기 제1포밍금형(70)와 제2포밍금형(72)을 분리하여 성형된 외관필름(60)을 탈형시킨다.
그리고는 상기 외관필름(60)의 가장자리 부분을 제거하여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으로 만든다.
다음으로 상기 외관필름(60)을 상기 콘트롤패널(30)을 형성하기 위한 금형에 넣고 인서트 사출을 하여 콘트롤패널(30)과 외관필름(60)을 일체로 형성한다.
이를 위한 인서트 사출과정을 도 6에 도시된 공정순서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외관필름(60)의 외관형상과 대응되는 요입부(80')를 구비하는 제1금형(80)에 외관필름(60)을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요입부(80')에 외관필름(60)을 진공으로 고정하기 위한 흡착구(81)가 상기 제1금형(80)에 형성된다. 상기 흡착구(81)의 내부를 진공으로 만들어 상기 외관필름(60)을 상기 요입부(80')에 고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금형(80)의 요입부(80')와 대략 형합되는 형상을 구비하는 제2금형(82)을 제1금형(80)과,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한다. 이와 같이 결합됨에 의해 상기 제1금형(80)과 제2금형(82)의 사이에는 성형캐비티(83)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금형(82)에는 상기 외관필름(60)에 형성된 버튼(63)과 대응되는 위치에 버튼통공(32)을 형성하기 위한 버튼용돌기(85)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외관필름(60)의 가장자리는 제2금형(82)의 지지단(83)에 의해 지지되어 제1금형(80)의 요입부(80')의 정위치에 안착된다. 즉 상기 제2금형(82)이상기 제1금형(80)에 결합됨에 의해 상기 외관필름(60)의 가장자리가 상기 지지단(83)에 의해 눌러지면서 외관필름(60)이 제1금형(80)의 요입부(80')에 정확하게 안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금형(80,82)사이의 성형캐비티(83)로 콘트롤패널(30)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30')를,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입한다. 이와 같이 수지(30')가 상기 성형캐비티(83)에 완전히 투입된 상태가 도 6d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수지(30')는 ABS가 사용되고 상기 외관필름(60)의 재질보다는 녹는점이 낮고 강성이 좋아야 한다. 그리고 상기 수지(30')는 투명 또는 반투명이다.
상기 성형캐비티(83)에 수지(30')를 투입하여,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수지(30')는 경화되어 콘트롤패널(30)로 되고, 이때 상기 외관필름(60)은 콘트롤패널(30)에 인서트되어 일체로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성되면, 상기 외관필름(60)의 버튼(62)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콘트롤패널(30)의 버튼통공(32)을 통해 상기 탄성버튼(52)이 위치되어 상기 버튼(62)이 외부에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눌러지면 탄성버튼(52)이 함께 눌러지면서 상기 스위치(42)를 눌러주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관필름(60)의 표시부(64)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서포터(54)가 각각 대응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LED(43)에서 나온 불빛이 상기 서포터(54)를 통해 안내되어 상기 표시부(64)에 비춰져 가전기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상기 탄성버튼(52)을 콘트롤패널(30)에 형성하지않고 서포터(54)와 함께 버튼프레임(50)에 형성하여 서포터(54)와 탄성버튼(52)의 동작이 간섭되지 않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콘트롤패널(30)에 별도의 윈도우패널을 장착할 필요없이 직접 외관필름(60)을 부착할 수 있게 되어 전체 부품수가 줄어 들고 조립작업의 공수가 줄어들게 된다. 특히 상기 콘트롤패널(30)은 상기 외관필름(60)이 일체로 인서트된 상태로 사출되므로 실제로 실제 조립공정에서 조립되어야 할 부품의 갯수는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터(54)가 탄성버튼(52)이 형성된 버튼프레임(50)에 형성되면서 다수개의 서포터(54)가 하나 또는 두개의 버튼프레임(50)에 형성되고, 상기 버튼프레임(50)에 체결부를 형성하여 기판(40)에 장착하게 되므로 상기 서포터(54)의 설치상태가 견고하게 되어 LED(43)의 불빛을 정확하게 안내하여 표시부(64)에 정확하게 표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버튼프레임(50)의 하면에는 상기 탄성버튼(52)의 사이사이에 보강리브(58)가 형성되어 상기 버튼프레임(50) 사이를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버튼프레임(50)에 형성된 체결부(56)가 기판(40)에 지지되고 상기 서포터(54) 역시 기판(40) 상에 지지되므로 전체적으로 상기 버튼프레임(50)이 견고하게 기판에 지지되면서 상기 탄성버튼(52)의 구동을 위한 힘이 외부에서 가해지더라도 상기 버튼프레임(50) 자체가 변형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외관필름(60)이 콘트롤패널 조립체의 외관을 형성하는 콘트롤패널(30)의 전면에 인서트되므로 인해 콘트롤패널(30) 전체의 외관을 하나의 재질로 형성할 수 있어 디자인의 통일성을 유지할 수 있고 사출물인콘트롤패널(30)을 상기 외관필름(60)이 보호하는 역할을 하여 콘트롤패널(30)의 변색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가전기기의 콘트롤패널 조립체는 상대적으로 구성부품의 수가 줄어들게 되고, 그에 따라 조립작업의 작업성이 크게 개선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탄성버튼과 서포터를 버튼프레임에 일체로 형성하여 기판상에 장착하도록 하였으므로 LED의 불빛이 정확하게 안내되고 탄성버튼과 스위치의 연동이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콘트롤패널 조립체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게 된다.
한편, 상기 콘트롤패널의 전면에 인서트되는 외관필름으로 인해 콘트롤패널의 내부로 외부의 이물이 전달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됨과 아울러 콘트롤패널 조립체의 외관품질이 높아지고 사출물인 상기 콘트롤패널의 색상이 변색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3)

  1. 다수개의 버튼통공과 표시통공이 형성되는 콘트롤패널과,
    상기 콘트롤패널의 표면 전체에 부착되어 외관을 구성하는 외관필름과,
    상기 콘트롤패널의 내측에 구비되고 조작과 동작상태표시를 위한 부품이 실장되는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장착되어 조작과 동작상태표시를 위한 부품을 상기 콘트롤패널의 버튼통공과 표시통공과 연결하는 버튼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콘트롤패널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필름은 상기 콘트롤패널에 인서트 사출되어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콘트롤패널 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필름에는 상기 버튼통공에 대응되는 버튼과 표시통공에 대응되는 표시부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콘트롤패널 조립체.
  4. 필름에 제품의 동작을 표시하기 위한 그림이나 문자를 인쇄하는 인쇄단계와,
    상기 그림이나 문자가 인쇄된 필름을 콘트롤패널의 외관표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포밍금형에서 열을 가하면서 압력을 가해 열포밍하는 열포밍단계와,
    상기 열포밍된 필름을 콘트롤패널의 외관과 대응되게 트리밍하는 트리밍단계와,
    상기 열포밍된 필름을 금형의 성형캐비티 내에 안착시켜 수지에 인서트사출되게 하여 콘트롤패널을 형성하는 패널형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콘트롤패널 조립체의 제조방법.
  5. 삭제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단계에서는 열포밍단계에서의 변형을 고려하여 그림이나 문자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콘트롤패널 조립체의 제조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PE나 PET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콘트롤패널 조립체의 제조방법.
  8. 제 4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열포밍단계는,
    상기 콘트롤패널의 표면과 대응되는 형상의 성형표면을 구비하는 포밍금형의 성형캐비티에 필름을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안착된 필름에 열을 가하면서 상기 성형캐비티의 성형표면에 상기 필름이 밀착되게 압력을 가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캐비티의 압력을 일정 시간 유지하여 필름을 성형표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형성된 필름을 성형캐비티에서 탈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기기용 콘트롤패널 조립체의 제조방법.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형성단계는
    상기 필름의 전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요입부를 구비하는 제1금형에 상기 열포밍된 필름을 안착시키는 단계와,
    상기 필름이 안착된 제1금형에 제2금형을 결합하여 제1금형과 제2금형의 사이에 성형캐비티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캐비티의 내부로 수지를 주입하여 경화시키는 단계와,
    상기 수지가 경화되어 형성되고 필름이 일체로 된 콘트롤패널을 금형에서 탈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콘트롤패널 제조방법.
  10. 제 4 항 또는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투명이나 반투명의 ABS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콘트롤패널 제조방법.
  11. 제 4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는 상기 필름보다 녹는점이 낮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콘트롤패널 제조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상기 제1금형의 요입부에 진공으로 흡착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콘트롤패널 제조방법.
  13. 제 9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금형에는 상기 제1금형에 안착된 필름의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평면상의 지지단이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콘트롤패널 제조방법.
KR10-2001-0046404A 2001-06-22 2001-07-31 가전기기의 콘트롤패널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432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404A KR100432717B1 (ko) 2001-07-31 2001-07-31 가전기기의 콘트롤패널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PCT/KR2002/001192 WO2003001546A1 (ko) 2001-06-22 2002-06-22 Control panel assembly for home applianc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E60234827T DE60234827D1 (de) 2001-06-22 2002-06-22 Steuertafelbaugruppe für haushaltsgeräte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AU2002314591A AU2002314591B2 (en) 2001-06-22 2002-06-22 Control panel assembly for home applianc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B028021851A CN1234142C (zh) 2001-06-22 2002-06-22 家用器具的控制面板组件及其制造方法
JP2003507839A JP2004522309A (ja) 2001-06-22 2002-06-22 家電機器用コントロールパネル組立体及びその製造方法
EP02741485A EP1397816B1 (en) 2001-06-22 2002-06-22 Control panel assembly for home applianc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362,103 US6750407B2 (en) 2001-06-22 2002-06-22 Control panel assembly for home applianc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404A KR100432717B1 (ko) 2001-07-31 2001-07-31 가전기기의 콘트롤패널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401A KR20030012401A (ko) 2003-02-12
KR100432717B1 true KR100432717B1 (ko) 2004-05-24

Family

ID=27717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6404A KR100432717B1 (ko) 2001-06-22 2001-07-31 가전기기의 콘트롤패널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27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0716A3 (en) * 2011-06-10 2013-04-04 Scott Moncrieff Injection molded control panel with in-molded decorated plastic film that includes an internal connec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5694B1 (ko) * 2002-03-25 2005-01-13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세탁기의 컨트롤 패널 구조 및 컨트롤 패널 성형용 사출금형
KR100535914B1 (ko) * 2003-07-24 2005-12-09 우기원 엘리베이터용 조작 패널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0997A (ja) * 1985-05-25 1986-12-0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リモコン発信器のチヤンネル設定構造
KR910003691Y1 (ko) * 1988-11-10 1991-05-31 마쯔자끼 세이산 가부시끼가이샤 가방의 손잡이장치
KR19980064706U (ko) * 1997-04-30 1998-11-25 배순훈 상하판 일체형 리모콘
KR19990017027U (ko) * 1997-10-31 1999-05-25 전주범 브이씨알용 리모콘
KR20010001536A (ko) * 1999-06-05 2001-01-05 김명준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합성수지 제품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0997A (ja) * 1985-05-25 1986-12-0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リモコン発信器のチヤンネル設定構造
KR910003691Y1 (ko) * 1988-11-10 1991-05-31 마쯔자끼 세이산 가부시끼가이샤 가방의 손잡이장치
KR19980064706U (ko) * 1997-04-30 1998-11-25 배순훈 상하판 일체형 리모콘
KR19990017027U (ko) * 1997-10-31 1999-05-25 전주범 브이씨알용 리모콘
KR20010001536A (ko) * 1999-06-05 2001-01-05 김명준 전자기파를 차폐하는 합성수지 제품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0716A3 (en) * 2011-06-10 2013-04-04 Scott Moncrieff Injection molded control panel with in-molded decorated plastic film that includes an internal connector
US8477506B2 (en) 2011-06-10 2013-07-02 Scott Moncrieff Injection molded control panel with in-molded decorated plastic film that includes an internal connector
US8804344B2 (en) 2011-06-10 2014-08-12 Scott Moncrieff Injection molded control panel with in-molded decorated plastic film
US9030837B2 (en) 2011-06-10 2015-05-12 Scott Moncrieff Injection molded control panel with in-molded decorated plastic film that includes an intern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401A (ko) 2003-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0407B2 (en) Control panel assembly for home applianc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U2002314591A1 (en) Control panel assembly for home applianc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4258541B2 (ja) 操作表示装置
KR100432717B1 (ko) 가전기기의 콘트롤패널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EP1977031B1 (en) Laundry device
JP2001155573A (ja) スイッチ
JP2001074358A (ja) 冷蔵庫
CN1316863C (zh) 家用电器的控制面板组件及其制造方法
KR100593634B1 (ko) 가전기기의 콘트롤패널조립체
KR100797153B1 (ko) 가전기기의 콘트롤패널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465704B1 (ko) 세탁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용 사출금형
JPH10296757A (ja) スイッチ用押圧部を有する発泡成形品の構造および製造方法
CN220324363U (zh) 一种抽水蓄能机组继电保护通用化装饰板
KR100465694B1 (ko) 세탁기의 컨트롤 패널 구조 및 컨트롤 패널 성형용 사출금형
KR20040006273A (ko) 세탁기의 디스플레이 패널
JP2007263558A (ja) 冷蔵庫
CN212353809U (zh) 一种嵌接电子元件的后视镜壳体结构
KR200220809Y1 (ko) 박판 필름이 있는 케이스부품의 버튼장치(Button Device for Use with Case Unit Having Sheet Material)
KR20040006272A (ko) 세탁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용 사출금형
KR0131198B1 (ko) 자동판매기의 누름버튼
KR20030079363A (ko) 전자레인지의 컨트롤러 조립체
JP2024024795A (ja) リモコン
KR100638271B1 (ko) 냉장고의 디스플레이 어셈블리
CN111660936A (zh) 一种嵌接电子元件的后视镜壳体结构
CN115768022A (zh) 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