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9813B1 - 전자제품의 조작패널 - Google Patents

전자제품의 조작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9813B1
KR100429813B1 KR10-2002-0035675A KR20020035675A KR100429813B1 KR 100429813 B1 KR100429813 B1 KR 100429813B1 KR 20020035675 A KR20020035675 A KR 20020035675A KR 100429813 B1 KR100429813 B1 KR 100429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knob
operation button
assembled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5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0747A (ko
Inventor
이상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5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9813B1/ko
Publication of KR200400007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07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9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98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9/022Control pan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개시된 전자제품의 조작패널은, 하나 이상의 제1관통부을 구비하는 제1패널과, 제1관통부와 연통되는 제2관통부를 구비하고 제1패널에 조립되는 제2패널과, 제1패널의 배면으로부터 제1관통부와 제2관통부에 삽입되어 전방에서 액세스되는 노브를 포함하고 제1패널에 설치되는 조작버튼과, 조작버튼과 제2패널에 각각 마련되어 조립시에 상호 결합됨으로써 제2관통부에 대한 노브의 삽입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2패널과 조작버튼과의 사이에 직접적인 조립관계를 부여하여 조립오차의 누적에 의한 조작버튼과 제2관통부와의 편심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제품의 조작패널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제품의 조작패널{Operation panel of electric appliances}
본 발명은 전자제품의 조작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자제품의 외관을 미려하게 보이도록 하기 위해 장식용 패널이 부착된 전자제품의 조작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제품의 조작패널은, 제품의 전방 또는 상방에 위치되며 제품을 작동시키는 버튼(button) 등을 구비하고 있다. 특히, 일반소비자가 사용하는 비데오 플레이어 또는 디스크 플레이어 등의 전자제품의 조작패널은 버튼의 매치 등의 사용상의 편의성 뿐 아니라 외관도 미적으로 처리할 필요가 있어, 장식용 패널을 더 부착하는 경우가 많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제품의 조작패널의 일예로서 디스크 플레이어의 조작패널을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도 1의 A-A'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보면, 조작패널은 디스크 플레이어(미도시)의 전방에 위치되는 프런트패널(110)과, 이에 조립되는 제2패널(120) 및 다수의 조작버튼(130)을 포함한다.
프런트패널(110)의 전면에는 조작버튼(130)의 노브(132)가 삽입되는 다수의 관통홀(111)과, 제2패널(120)이 부착되는 안착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버튼(130)은 디스크 플레이어(미도시)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보드(control board)(미도시)와 연결되어 디스크 플레이어(미도시)를 작동시키는 기능버튼으로서, 지지부(131)와, 프런트패널(110)의 관통부(111)에 끼워지는 노브(132) 및 지지부(131)와 노브(132)를 연결하는 탄성아암(133)을 구비한다. 지지부(131)에는 프런트패널(110)의 돌출부(113)에 결합되는 중공형상의 결합보스(134)가 형성되어 있다. 제2패널(120)은 평판형상으로서 노브(132)가 삽입되는 다수의 관통홀(121)을 구비하고 있다.
이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조립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프런트패널(110)의 배면으로부터 조작버튼(130)의 노브(132)와 결합보스(134)를 프런트패널(110)의 관통홀(111)과 돌출부(113)에 각각 끼운다. 그리고나서, 별도의 나사(미도시)를 이용하여 조작버튼(130)을 프런트패널(110)에 체결하거나, 결합보스(134)에 까워져서 돌출된 돌출부(113)의 상부에 열을 가하여 돌출부(113)와 결합보스(134)를 융착시킴으로써 프런트패널(110)과 조작버튼(130)의 조립을 완료한다.
다음으로, 프런트패널(110)의 안착부(112)에 제2패널(120)을 부착시킨다. 그러면, 노브(132)가 제2패널(120)의 관통홀(121)로 삽입되어 제2패널(120)의 상면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패널의 전방으로부터 노브(132)를 누름으로써 디스크 플레이어(미도시)를 작동시킬 수 있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에서는, 제2패널(120)과 조작버튼(130)과의 조립오차는 프런트패널(110)과 조작버튼(130) 및 프런트패널(110)과 제2패널(120)의 조립오차가 중첩된 것이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패널(120)의 관통홀(121)의 중심과 조작버튼(130)의 노브(132)의 중심이 서로 어긋나는 편심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편심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프런트패널(110)의 치수를 엄격하게 관리여야 하나,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사츨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프런트패널(110)의 치수를 엄격하게 관리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또한, 제2패널(120)의 배면에 조작버튼(130)과 결합되는 조립기준부(미도시)를 형성하는 것도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배면인쇄되는 투명재질인 제2패널(120)의 배면에 凹凸형상을 부가하면, 외관을 해치기 때문이다.
이러한 편심현상은 전자제품의 얼굴에 해당하는 조작패널의 완성도를 크게 떨어뜨리며, 외관상 매우 좋지 않다. 또한, 오차가 커지면 노브(132)가 관통홀(121)에 끼어서 작동되지 않는 경우도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제2패널과 조작버튼이 조립될 때 양자간의 직접적인 상관관계를 만들어줌으로써 조립오차의 누적에 의한 조작버튼과 제2패널의 편심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된 전자제품의 조작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자제품의 조작패널의 일예로서 디스크 플레이어의 조작패널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단면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의 조작패널의 일 실시예로서 디스크 플레이어에 적용된 조작패널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배면도.
도 6은 도 4의 B-B'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제1패널 211,221......관통홀
212......안착부 213......돌출부
214......삽입홈 220......제2패널
222......연장부 223......기준홀
230......조작버튼 231......지지부
232......노브 233......탄성부
234......결합보스 235......기준돌기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자제품의 조작패널은, 하나 이상의 제1관통부을 구비하는 제1패널; 상기 제1관통부와 연통되는 제2관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패널에 조립되는 제2패널; 상기 제1패널의 배면으로부터 상기 제1관통부와 상기 제2관통부에 삽입되어 전방에서 액세스되는 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패널에 설치되는 조작버튼; 상기 조작버튼과 상기 제2패널에 각각 마련되어 조립시에 상호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관통부에 대한 상기 노브의 삽입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조작버튼은, 상기 제1패널의 배면에 결합되는 지지부와; 상기 노브가 액세스될 때 탄성적으로 가동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와 상기 노브를 연결하여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제2패널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는 기준돌기; 상기 제2패널이 상기 제1패널에 조립되었을 때 상기 제1패널의 배면쪽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2패널의 가장자리로부터 단차지게 연장된 연장부; 상기 연장부에 마련되어 상기 조작버튼이 조립될 때 상기 기준돌기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돌기는 적어도 2개소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조작버튼이 조립될 때 제2패널과의 위치맞춤이 되므로 제2패널과 조작버튼의 편심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의 조작패널의 일 실시예로서 디스크 플레이어에 채용된 조작패널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배면도, 도 6은 도 4의 B-B'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보면, 디스크 플레이어(미도시)의 전방에 조립되는 제1패널(210)과, 제1패널(210)에 각각 조립되는 제2패널(220)과 조작버튼(230)이 각각도시되어 있다.
제1패널(210)에는 제2패널(220)이 안착되는 안착부(212)와, 조작버튼(230)에 마련된 노브(232)와 결합보스(234)가 각각 삽입되는 관통홀(211)과 돌출부(213), 및 제2패널(220)에 형성된 연장부(222)가 삽입되는 삽입홈(214)이 마련되어 있다.
안착부(212)는 제1패널(210)의 전면으로부터 함몰된 凹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안착부(212)의 길이(L1)와 폭(W1)은 제2패널(220)이 안착될 수 있도록 제2패널(220)의 길이(L2)와 폭(W2)보다 약간 큰 것이 바람직하다.
관통홀(211)은 조작버튼(230)의 노브(232)가 삽입되어 전후방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노브(232)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버튼(230)의 조립위치가 제2패널(220)에 마련되는 가이드수단에 의해 결정되므로 노브(232)가 자유롭게 작동될 수 있도록 충분히 여유있게 형성하면 된다.
돌출부(213)는 조작버튼(230)의 결합보스(234)와 결합되었을 때 결합보스(234)의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돌출된 부분에 열을 가하여 융착시킴으로써 조작버튼(230)의 지지부(231)를 제1패널(210)의 배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삽입홈(214)의 길이(L3)는 제2패널(220)의 연장부(222)가 삽입되도록 연장부(222)의 길이(L4)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서는 보이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패널(220)은 장식 또는 조작버튼(230)의 각 노브(232)의 기능을 알리기 위한 문자나 도안이 인쇄된 평판형상으로서, 제1패널(210)의 관통홀(211)과 연통되는 다수의 관통홀(221)과, 조작버튼(230)에 마련된 기준돌기(235)가 삽입되는 기준홀(223)이 형성된 연장부(222)를 구비한다. 제2패널(220)은 아크릴재질 등의 평판을 필요한 치수로 가공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사출성형 등의 방법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관통홀(221)은 제1패널(210)의 관통홀(211)과 동심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직경은, 노브(232)가 삽입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노브(232)의 직경보다는 크고 제1패널(210)의 관통홀(211)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부(222)는 제2패널(220)의 상측 가장자리에 전면으로부터 배면쪽으로 단차지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면, 제1패널(210)의 삽입홈(214)에 삽입되었을 때 조작패널의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연장부(222)는 비단 상측에만 형성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조작버튼(230)의 조립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하좌우의 가장자리에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222)에는 조작버튼(230)의 기준돌기(235)가 삽입되는 기준홀(223)이 형성된다. 관통홀(221)에 대한 기준홀(223)의 상대적인 위치는 조작버튼(230)의 노브(232)와 기준돌기(235)의 상대적인 위치에 대응되도록 결정된다. 또한, 하나의 조작버튼(230)에 대해 다수의 기준홀(223)과 기준돌기(235)가 결합되는 경우에는, 그 중 하나의 기준홀(223)은 정공으로 형성되고 나머지는 횡방향의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장부(2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버튼(230)의 수에 따라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제2패널(220)의 상측에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도있는 등 조작버튼(230)의 수와 설치위치에 따라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조작버튼(230)은 디스크 플레이어(미도시)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보드(control board)(미도시)와 연결되어 디스크 플레이어(미도시)를 작동시키는 기능버튼으로서, 제1패널(210)의 돌출부(213)에 결합되는 중공형상의 결합보스(234)가 형성된 지지부(231), 제1패널(210)과 제2패널(220)의 관통홀(211,221)에 삽입되는 노브(232), 및 지지부(231)와 노브(232)를 연결하는 탄성부(233)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다. 탄성부(233)는 노브(232)가 눌러질 때 적절한 반발력을 주는 한편, 노브(232)를 누르는 압력이 해제되었을 때 노브(232)가 원래 상태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부여한다. 조작버튼(230)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다수의 노브(232)를 포함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노브(232)마다 별도의 조작버튼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결합보스(234)와 돌출부(213)의 결합에 의해 제2패널(220)과 조작버튼(230)의 상태적인 조립위치가 영향을 받지 않도록 결합보스(234)의 내경은 돌출부(213)의 외경보다 여유있게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브(232)는 조작패널의 전방에서 액세스할 수 있도록 제1패널(210)과 제2패널(220)을 관통하여 제2패널(220)의 전면으로 어느 정도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물론, 노브(232)의 기능에 따라서는 제2패널(220)의 전면과 같거나 이보다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한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연장부(222)를 삽입홈(214)에 삽입시키면서 배면에 양면테입이 부착된제2패널(220)을 안착부(212)쪽으로 밀착시켜 제1패널(210)에 제2패널(220)을 조립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패널(220)의 배면에 부착된 양면테입(미도시)을 사용하여 제1패널(210)과 제2패널(220)을 조립하나, 나사(미도시)로 체결하는 등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조작버튼(230)을 제1패널(210)의 배면으로부터 조립한다. 제2패널(220)과의 조립위치를 맞추기 위해 기준돌기(235)를 기준홀(223)에 삽입하면서 결합보스(234)를 돌출부(213)에 결합시킨다. 조작버튼(230)이 제1패널(210)과 제2패널(220)에 안착되면, 결합보스(234)의 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213)에 열을 가하여 융착시키거나 별도의 나사(미도시)로 체결하여 조작버튼(230)을 제1패널(210)에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조작버튼(230)의 각 노브(232)는 다소 여유있게 형성된 제1패널(210)의 관통홀(211)을 통과하여 제2패널(220)의 관통홀(221)에 삽입된다. 이 때, 조작버튼(230)이 제2패널(220)에 형성된 기준홀(223)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조립되므로 제2패널(220)과 노브(232)의 편심여부는 단지 기준홀(223)과 관통홀(221), 및 기준돌기(235)와 노브(232)의 제작오차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따라서, 비록 조작버튼(230)이 제1패널(210)에 고정되지만, 제1패널(210)과 조작버튼(230)의 조립오차는 제2패널(220)의 관통홀(211)과 노브(232)의 편심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어 누적오차에 의한 편심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조작패널의 외관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기준홀(223)이 형성되는 연장부(222)는 제2패널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므로, 제1패널(210)에 조립되었을 때 제1패널(210)의 배면쪽에 위치되므로 조작패널의 외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더 나아가, 제2패널(220)을 제1패널(210)에 조립한 후에 제1패널(210)의 배면으로부터 조작버튼(230)을 조립하므로, 조작버튼(130)을 프런트패널(110)에 먼저 조립한 후에 노브(132)가 관통홀(111,121)에 삽입되도록 맞추어 제2패널(120)을 조립하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조작패널에 비해 조립작업이 매우 편리하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디스크 플레이어(미도시)의 전면에 설치되는 조작패널을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의 조작패널은 다양한 전자제품의 전면은 물론 상면 또는 측면 등에 설치되는 조작패널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제품의 조작패널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조립시의 누벅오차에 의한 조작버튼과 제2패널의 편심을 외관을 해치지 않고 대폭 줄일 수 있으므로 외장물의 품질품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제1패널은 조작버튼의 편심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특별히 정밀한 치수관리가 필요치 않으므로 부품제작의 능률향상은 물론 부품단가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셋째, 조립시에 편심여부에 대한 주의를 요하지 않으므로 조립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Claims (3)

  1. 하나 이상의 제1관통부를 구비하는 제1패널;
    상기 제1관통부와 연통되는 제2관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패널에 조립되는 제2패널;
    상기 제1패널의 배면으로부터 상기 제1관통부와 상기 제2관통부에 삽입되어 전방에서 액세스되는 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패널에 설치되는 조작버튼;
    상기 조작버튼과 상기 제2패널에 각각 마련되어 조립시에 상호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2관통부에 대한 상기 노브의 삽입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수단;을 포함하는 전자제품의 조작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버튼은,
    상기 제1패널의 배면에 결합되는 지지부와;
    상기 노브가 액세스될 때 탄성적으로 가동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와 상기 노브를 연결하여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제2패널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는 기준돌기;
    상기 제2패널이 상기 제1패널에 조립되었을 때 상기 제1패널의 배면쪽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제2패널의 가장자리로부터 단차지게 연장된 연장부;
    상기 연장부에 마련되어 상기 조작버튼이 조립될 때 상기 기준돌기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조작패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돌기는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제품의 조작패널.
KR10-2002-0035675A 2002-06-25 2002-06-25 전자제품의 조작패널 KR100429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675A KR100429813B1 (ko) 2002-06-25 2002-06-25 전자제품의 조작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5675A KR100429813B1 (ko) 2002-06-25 2002-06-25 전자제품의 조작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0747A KR20040000747A (ko) 2004-01-07
KR100429813B1 true KR100429813B1 (ko) 2004-05-03

Family

ID=37312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5675A KR100429813B1 (ko) 2002-06-25 2002-06-25 전자제품의 조작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98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979B1 (ko) * 2007-12-17 2010-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트롤패널
KR101106639B1 (ko) * 2005-08-08 2012-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제품의 조작패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5049A (ja) * 1996-11-07 1998-05-29 Sony Corp 電子機器
KR19980049126U (ko) * 1996-12-30 1998-10-07 배순훈 브이시알용 전면패널
KR200162790Y1 (ko) * 1997-04-04 1999-12-15 전주범 브이시알의 윈도우 결합장치
KR20000003756U (ko) * 1998-07-29 2000-02-25 전주범 브이씨알용 조작 버튼의 지지구조
JP2000174447A (ja) * 1998-12-03 2000-06-23 Sony Corp 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5049A (ja) * 1996-11-07 1998-05-29 Sony Corp 電子機器
KR19980049126U (ko) * 1996-12-30 1998-10-07 배순훈 브이시알용 전면패널
KR200162790Y1 (ko) * 1997-04-04 1999-12-15 전주범 브이시알의 윈도우 결합장치
KR20000003756U (ko) * 1998-07-29 2000-02-25 전주범 브이씨알용 조작 버튼의 지지구조
JP2000174447A (ja) * 1998-12-03 2000-06-23 Sony Corp 電子機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639B1 (ko) * 2005-08-08 2012-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제품의 조작패널
KR100959979B1 (ko) * 2007-12-17 2010-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트롤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0747A (ko) 200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98754A1 (en) Combination electronic switch with transformable combination
KR100429813B1 (ko) 전자제품의 조작패널
JPH06209849A (ja) 調理器
JPH0724184A (ja) 操作パネル装置
KR920006327Y1 (ko) 누름버튼 카버를 이용한 택트 스위치의 조작장치
KR100744492B1 (ko) 드럼세탁기용 루버타입 콘트롤러부 구조
CN218038953U (zh) 复位结构、按键开关以及智能控制系统
KR900003536Y1 (ko) 가전기기의 콘트롤부 도아 겸용 놉 장치
CN211270132U (zh) 一种烹饪器具的操作显示组件及烹饪器具
KR200189532Y1 (ko) 전자렌지
JPH0355214Y2 (ko)
KR19980010284U (ko) 노브 일체형 구조의 판넬
KR19990019892U (ko) 전자제품용 버튼장치
KR890007830Y1 (ko) 전자 오르간의 건반구조
KR0120580Y1 (ko) 노브의 편심 및 변형방지 구조
KR0123931Y1 (ko) 카 오디오용 택트노브의 설치구조
KR20030079363A (ko) 전자레인지의 컨트롤러 조립체
KR0129348Y1 (ko) 전원 놉 구조
JP3070753U (ja) 外観部材取換え可能なポ―タブルコンピュ―タ
KR101152371B1 (ko) 드럼세탁기 컨트롤패널 어셈블리의 버튼 장착구조
KR100449732B1 (ko) 전자제품의 조작패널
JPS633063Y2 (ko)
KR900000759Y1 (ko) 사출물을 이용한 전자레인지의 키이 패드 구조
JP2024024791A (ja) リモコン
KR200255261Y1 (ko) 노브 스위치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