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6327Y1 - 누름버튼 카버를 이용한 택트 스위치의 조작장치 - Google Patents

누름버튼 카버를 이용한 택트 스위치의 조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6327Y1
KR920006327Y1 KR2019880019421U KR880019421U KR920006327Y1 KR 920006327 Y1 KR920006327 Y1 KR 920006327Y1 KR 2019880019421 U KR2019880019421 U KR 2019880019421U KR 880019421 U KR880019421 U KR 880019421U KR 920006327 Y1 KR920006327 Y1 KR 9200063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et
switch
push button
hol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194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0755U (ko
Inventor
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800194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20006327Y1/ko
Publication of KR9000107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7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63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63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01H1/5805Connections to printed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누름버튼 카버를 이용한 택트 스위치의 조작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조립단면도.
제3도는 스위치와 놉을 분해하여 도시한 종래장치의 사시도.
제4도는 종래장치의 조립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캐비넷 4 : 스위치
5 : 누름버튼카버 5a : 가이드보스
5b : 고정보스 6 : 버튼삽입공
7 : 탄성판 7a, 9a : 가이드공
7b, 9b : 고정홈 8 : 누름버튼
본 고안은 각종 전기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터치식 스위치인 택트 스위치(Tact Switch)의 조작 장치에 관한것으로, 특히 누름버튼을 캐비넷과는 별도로 형성된 누름버튼 카버에 고정하여 제품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작업공정이 간단해 질수 있게 한것이다.
종래에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기관(3)에 고정된 스위치(4)에 누름버튼(12)을 직접 형합한 후 그 전면에 캐비넷(1)을 결합하여 누름버튼(12)이 캐비넷에 형성된 구멍(2)으로 돌출되게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기관(3)의 조립오차 또는 캐비넷(1)의 조립오차 등에 의해 캐비넷(1)에 형성된 구멍(2)과 스위치(4)가 수평상으로 일치되지 않는 경우 누름버튼(12) 이 구멍(2)의 중심에 위치되지 못하고 편심되게 위치되어 외관이 불량해짐은 물론 편심량이 많을 때에는 누름버튼(12)의 작동불량이 발생한 우려가 있으며, 또 스위치(4)마다 각각의 누름버튼(12)을 수동적으로 형합함에 따라 조립 공정이 번거롭고 조립시간이많이 걸리는 문제도 있다.
본 고안은 스위치마다 누름버튼을 형합해 주어야 하는 종래의 구조와는 달리 다수개의 누름버튼이 일체로 형성된 탄성판을 별도의 누름버튼 카버에 고정하여 조립오차에 관계없이 탄성판에 형성된 누름버튼을 누름에따라 그 후방에 설치된 스위치가 조작될 수 있게 한것인바. 이를 첨부된 도면 제1도 내지 제2도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품 캐비넷(1)의 전면에 구멍(2)을 뚫고 내부에 설치된 기관(3)에 스위치(4)를 고정한 것에 있어서, 누름버튼 카버(5)에 버튼 삽입공(6)과 가이드 보스(5a) 및 고정보스(5b)를 일체로 형성함과 함께 함성 수지제 탄성판(7)에는 수개 누름버튼(8)과 가이드공(7a) 및 고정홈(7d)을 일체로 형성하고 캐비넷(1)의 전면에도 가이드공(9a)고 고정홈(9b)을 형성하여 캐비넷(1) 전면에 탄성판(7)과 누름버튼카버(5)를 차례로 결합하면 각 누름버튼(8)이 스위치(4)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게 한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0은 탄성판(7)과 누름버튼 카버(5)를 캐비넷(1)의 전면에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 11은 기관(3)을 캐비넷(1)에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이다.
이와같은 구성된 본 고안은 캐비넷(1)에 형성된 고정홈(9b)과 탄성판(7)에 형성된 고정홈(7b) 및 누름버튼카버(5)에 형성된 고정보스(5b)를 일치시킴과 동시에 누름버튼 카버(5)에 형성된 가이드 보스(5a)를 탄성판(7)에 형성된 가이드공(7a) 및 캐비넷(1)에 형성된 가이드공(9a)사이로 끼우고 캐비넷(1)의 후방으로 부터 하나의 스크류(10)만을 고정보스(5b)에 결합해 주기만 하면 누름버튼(8)의 조립 작업이 완료되므로 각각 스위치마다 누름버튼을 형합해 주어야 했던 종래의 구조에 비해 조립작업이 간소화 되고 조립시간이 단축된다.
또 탄성판(7)을 누름버튼 카버(5)에 직접 결합함에 따라 탄성판(7)에 일체로 형성된 누름버튼(8)이 누름버튼카버(5)에 형성된 버튼 삽입공(6)으로 끼워지는 구조이어서 누름버튼 (8)과 버튼 삽입공(6)사이에 편심이 발생할 우려가 전혀 없고 이에 따라 제품의 외관이 미려해 짐은 물론 스위치(4)의 조작이 확실해 진다.
그리고 누름버튼 카버(5)의 디자인 및 색상을 변환시켜 제품의 장식적 효과를 높일수도 있게 된다.

Claims (1)

  1. 제품 캐비넷(1)의 전면에 구멍(2)을 뚫고 내부에 설치된 기판(3)에 스위치(4)를 고정한 것에 있어서, 누름버튼 카버(5)에 버튼 삽입공(6)과 가이드 보스(5a) 및 고정보스(5b)를 일체로 형성함과 함께 합성 수지제 탄성판(7)에는 수개 누름버튼(8)과 가이드공(7a) 및 고정홈(7b)을 일체로 형성하고 캐비넷(1)의 전면에도 가이드공(9a)과 고정홈(9b)을 형성하여 캐비넷(1) 전면에 탄성판(7)과 누름버튼 카버(5)를 차례로 결합하면 각 누름버튼(8)이 스위치(4)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버튼 카버를 이용한 택트 스위치의 조작장치.
KR2019880019421U 1988-11-30 1988-11-30 누름버튼 카버를 이용한 택트 스위치의 조작장치 KR9200063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9421U KR920006327Y1 (ko) 1988-11-30 1988-11-30 누름버튼 카버를 이용한 택트 스위치의 조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19421U KR920006327Y1 (ko) 1988-11-30 1988-11-30 누름버튼 카버를 이용한 택트 스위치의 조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755U KR900010755U (ko) 1990-06-04
KR920006327Y1 true KR920006327Y1 (ko) 1992-09-17

Family

ID=19281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19421U KR920006327Y1 (ko) 1988-11-30 1988-11-30 누름버튼 카버를 이용한 택트 스위치의 조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2000632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060B1 (ko) * 2018-10-16 2019-10-21 신근우 취급 안전성이 우수하고 개폐가 용이한 휴대용 알약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060B1 (ko) * 2018-10-16 2019-10-21 신근우 취급 안전성이 우수하고 개폐가 용이한 휴대용 알약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0755U (ko) 1990-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8802B2 (en) Unitized appliance control panel assembly and components of the assembly
KR900006479Y1 (ko) 키보드
CA1144631A (en) Terminal with interchangeable application module
US6392179B1 (en) Pushbutton unit
KR920006327Y1 (ko) 누름버튼 카버를 이용한 택트 스위치의 조작장치
JP2001155573A (ja) スイッチ
KR920021939A (ko) 전자렌지의 콘트롤부 구조
KR100429813B1 (ko) 전자제품의 조작패널
KR930008159Y1 (ko) 전자제품의 버튼 오동작 방지장치
KR970004504Y1 (ko) 전자제품의 프론트캐비넷 결합장치
CN218471804U (zh) 一种实体按键控制板
SU1334201A1 (ru) Кнопочный переключатель со световой индикацией
KR880001472Y1 (ko) 전기전자 제품의 슬라이드 놉 고정장치
JPH0535539Y2 (ko)
JPH0131185Y2 (ko)
KR900001392Y1 (ko) 이중 스위치 노브
JPH04363098A (ja) プリント基板固定構造
KR940000052Y1 (ko) 좌우표시식 멀티시간조절계의 표시전환장치
KR19990013903U (ko) 모니터의 발광식 전원버튼
KR900001863Y1 (ko) 다기능 절환 노브장치
JPS6214752Y2 (ko)
KR900003536Y1 (ko) 가전기기의 콘트롤부 도아 겸용 놉 장치
KR940003183Y1 (ko) 스위치 조작장치
KR920004121Y1 (ko) 전자제품의 스위치 버턴판
CN202221723U (zh) 机器控制面板模块式按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2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