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392Y1 - 이중 스위치 노브 - Google Patents

이중 스위치 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392Y1
KR900001392Y1 KR2019870012492U KR870012492U KR900001392Y1 KR 900001392 Y1 KR900001392 Y1 KR 900001392Y1 KR 2019870012492 U KR2019870012492 U KR 2019870012492U KR 870012492 U KR870012492 U KR 870012492U KR 900001392 Y1 KR900001392 Y1 KR 9000013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switch
tension
push
push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24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3286U (ko
Inventor
이상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124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1392Y1/ko
Publication of KR8900032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2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3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39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2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중 스위치 노브
제1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작동전 상태 조립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을 가압하여 ON 시켰을때의 조립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상태에서 좌우의 텐숀노브 작동상태 예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위치노브 2 : 푸쉬스위치노브
3,4 : 텐숀 노브 5,501 : 텐숀홈
6,601 : 스위치 누름간 7 : 푸쉬스위치 누름간
701 : 요홈
본 고안은 TV 및 전자제품의 기능을 선택하는 스위치 노르보로, 3개의 노브를 일체로 형성하여 자체 탄력으로 이중의 스윗칭 작동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이중 스위치노브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위치노브에 있어서는, 스프링의 탄력을 이용한 누름버튼식과 시이소노보에 스프링을 사용하여 두가지 기능(채널 ON-OFF)을 선택할수 있도록 한 것등이 있었으나 이들은 별도의 스프링이 필요하므로, 구조적으로 복잡할뿐만 아니라 부품의 증가로 인하여 제작이 번거로웠으며 장기간 사용시 스프링 변형으로 인한 고장이 발생하게되어 작동이 불량하게 되는등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같은 노브에 있어서는, 단순히 한 개의 노브로써 한가지 기능을 선택하거나, 시이소 노브로써는 두가지 기능(ON-OFF)밖에 선택할 수 없는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스프링의 사용을 배제하고, 한 개의 노브로써 자체의 탄력을 이용하여 3가지 기능을 선택 조작할수 있도록한 것으로써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린트기판(8)의 선정된 일지점 중앙에는 푸쉬스위치(9)를 부착설치하고, 그 좌우에는 텍트스위치(tact switch)(10)(101)를 각각 설치한다.
일체의 판상으로된 스위치노브(1)를 텐션홈(5)(501)을 경계로 3등분하여 중앙은 푸쉬스위치노브(2)가 되게 하고, 좌우는 텐숀노브(3)(4)가 되게 형성하며, 이들의 내면, 푸쉬스위치노브(2)에는 요홈(701)이 있는 푸쉬스위치 누름간(7)을 형성하고, 좌우에는 스위치 누름간(6)(601)을 각각 돌출되게 형성한다.
이와같이 형성된 노브를 캐비넷판넬(11)의 노브 설치홈(12)에 설치하되, 푸쉬스위치(9)의 작동간이 푸쉬스위치누름간(7)의 요홈(701)에 끼워지게 결합하여 구성된 것으로 제5도에서와같이 푸쉬스위치노브(2)의 종횡으로 텐션홈(5)(501)(502)(503)을 형성하고 이에 연하도록 스위치누름간(6)(601)(602)(603)이 있는 텐숀 노브(3)(4)(301)(401)를 텍트스위치(10)(101)(102)(103)와 종횡으로 대향하게 형성하여 기능선택을 다양하게 할수도 있다.
상기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 이중스위치노브를 1차로 누르면 제3도에 도시한 상태로 되어 TV 및 전자제품에 전원이 인가(ON)된다.
이때에는 중앙의 푸쉬스위치(9) 접점은 연결된 상태이고, 좌우의 텍트스위치(10)(101) 접점은 떨어져있는 상태이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텐숀노브(3)(4)는 텐쇼홈(5)(501)에 의하여 푸쉬스위치 노브(2)와 일체로 연결된 상태에서 자체탄력으로 텐숀력이 작용하므로,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눌려지게되어 텍트스위치 접점을 연결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자체탄력을 이용한 한 개의 노브에 의하여 3개의 스위치작동이 가능하므로 주스위치인 푸쉬스위치(8)는 온, 오프(ON-OFF)용으로 사용하고, 텍트스위치(10)(101)는 채널선택 및 제품에 따른 기능선택의 여러용도로 활용할수 있으며 제5도와 같이 종횡으로 스위치 노브(1)를 형성하면 기능선택의 폭을 보다 다양하게 증대시킬 수 있어서, 제작을 간편화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2)

  1. 스위치노브(1) 전면에는 텐숀홈(5)(501)을 경계로하여 푸쉬스위치노브(2)와 텐숀노브(3)(4)를 형성하고, 내측면에는 요홈(701)이 있는 푸쉬스위치누름간(7)과 스위치누름간(6)(601)을 각각 돌출되게 형성하여서된 이중 스위치 노브.
  2. 제1항에 있어서, 푸쉬스위치노브(2)의 종횡으로 텐숀홈(5)(501)(502)(503)을 형성하고 이에 연하도록 텐숀노브(3)(4)(301)(401)를 종횡으로 형성토록 구성하여서 된 이중스위치노브.
KR2019870012492U 1987-07-30 1987-07-30 이중 스위치 노브 KR9000013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2492U KR900001392Y1 (ko) 1987-07-30 1987-07-30 이중 스위치 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2492U KR900001392Y1 (ko) 1987-07-30 1987-07-30 이중 스위치 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286U KR890003286U (ko) 1989-04-13
KR900001392Y1 true KR900001392Y1 (ko) 1990-02-26

Family

ID=19265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2492U KR900001392Y1 (ko) 1987-07-30 1987-07-30 이중 스위치 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139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286U (ko) 1989-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1392Y1 (ko) 이중 스위치 노브
US3845264A (en) Switch with liquid containing tube for keyboard use
KR0136740Y1 (ko) 이중 스위치 구조
US3542975A (en) Switch,especially usable as a starter and control switch for fluorescent lamps
KR900008218Y1 (ko) 전자제품의 스위치 구동장치
US3711667A (en) Spring loaded pushbutton switch
JPS584411B2 (ja) ランプ表示付押釦スイッチ
KR940003183Y1 (ko) 스위치 조작장치
KR840002300Y1 (ko) 전자렌지의 누름판
KR860003670Y1 (ko) 슬라이드 겸용 푸쉬스위치
KR970004504Y1 (ko) 전자제품의 프론트캐비넷 결합장치
KR900003536Y1 (ko) 가전기기의 콘트롤부 도아 겸용 놉 장치
KR970003727Y1 (ko) 시-소우형 스위치버튼
KR0126453Y1 (ko) 원형노브
SU1334201A1 (ru) Кнопочный переключатель со световой индикацией
KR0133489Y1 (ko) Tv의 버튼 연결 구조
KR0129484Y1 (ko) 스위치용 노브
KR940000047Y1 (ko) 리모트 콘트롤 푸쉬 버턴스위치
KR860001813Y1 (ko) 압압 스위치용 일체식 탄성버튼
KR940003278Y1 (ko) 텍트(tact)스위치의 작동구조
KR910007293Y1 (ko) 슬라이드-택트스위치용 노브
KR200162383Y1 (ko) 전자제품의 파워버튼 작동구조
KR900004338Y1 (ko) 일체형 슬라이드 볼륨 및 파워 스위치 장치
KR880001313Y1 (ko) 푸쉬보턴의 노브(knov)
KR930000087Y1 (ko) 자유운동 방지기능 노브를 구비한 슬라이드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1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