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6453Y1 - 원형노브 - Google Patents

원형노브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6453Y1
KR0126453Y1 KR2019940012439U KR19940012439U KR0126453Y1 KR 0126453 Y1 KR0126453 Y1 KR 0126453Y1 KR 2019940012439 U KR2019940012439 U KR 2019940012439U KR 19940012439 U KR19940012439 U KR 19940012439U KR 0126453 Y1 KR0126453 Y1 KR 01264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buttons
hinge
knob group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24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4071U (ko
Inventor
박찬희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400124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6453Y1/ko
Publication of KR9500340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40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64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64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2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형노브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그 중심내면에 소정길이의 힌지축이 마련된 절개홈이 형성되며, 이 절개홈을 중심으로 하여 그 양측면에는 힌지수단이 마련된 몸체; 상기 힌지축의 양측으로부터 몸체의 상방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제1탄성편에 의해 소정각도 연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나란하게 배열 설치되는 제1,2버튼을 갖는 제1노브군; 상기 제1노브군의 제1,2버튼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배열 설치되는 제3,4버튼을 갖으며, 상기 힌지수단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연동되는 제2노브군; 을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각 버튼간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실수에 의한 기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그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수가 대폭적으로 감소된 것이어서, 조립능률의 향상 및 단가절감을 도모한 것이다.
따라서 이를 채용한 제품의 신뢰성을 더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원형노브
제1도는 종래 원형노브의 개략적 사시도.
제2도는 종래 원형노브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원형노브의 결합 평면도.
제4도 (a),(b)는 제3도의 A-A 및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판넬 20 : 원형노브
30 : 몸체 32 : 절개홈
33 : 힌지축 40,50 : 제1,2노브군
41,42,51,52 : 제1,2,3,4 버튼 60,60' : 제1,2탄성편
본 고안은 노브(KNOB)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개의 버튼이 각각 개별적으로 동작되도록 하나의 몸체에 원형의 버튼이 배열 형성된 원형노브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와서 다양한 기능을 갖는 전자기기에는 다수의 버튼이 그 전면에 배열 설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다수의 버튼이 배열 설치됨에 있어서는 미관상 보기에 좋지 않고 그 각각을 고정 설치하기가 곤란하여 다수의 버튼이 한 몸체에 배열 설치된 노브를 통해 이를 보완하고 있다.
이러한 노브중에 있어서도 특히 원형 노브는 , 다수의 버튼을 배열 설치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미관이 미려하여 근래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제1도에는 전자기기의 전면판넬(1)에 고정 설치되는 일반적인 원형노브(2)가 도시되어 있다.
즉, 판넬(1)의 내면에는 소정간격으로 결합돌기(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원형노브(2)는 그 몸체(3)에 복수개의 버튼(4)이 각각 텐션편(5)에 의해 개별적으로 동작되도록 원형으로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몸체(3)의 일측에는 전술한 판넬(1)의 결합돌기(1a)와 대응되는 결합구멍(3a)이 형성되어 있어 상호 결합시킨 상태에서 결합돌기(1a)를 몸체(3)에 대해 융착 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판넬(1)의 내면에 원형노브(2)가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원형노브(2)에 있어서는, 구조적으로 매우 취약하여 장시간 사용할시 텐션편(5)부위에서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금형을 통해 원형노브를 일체로 성형하는 과정에서 금형 트러블이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한편, 제2도에는 종래 원형노브(2')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는, 판넬(1)의 내면에는 소정간격으로 결합돌기(1a)가 형성되어 있고, 그 외측면에는 걸림턱(1b)이 소정길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원형노브(2)는 그 몸체(3)에 복수개의 버튼(4)이 각각 개별적으로 동작되도록 원형으로 배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양측면에는 전술한 걸림턱(1b)에 훅크 결합된채 슬라이딩 이송되는 고정턱(3b)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몸체(3)의 중심면과 판넬(1)의 외측면 사이에는 몸체(3)를 판넬(1)의 외측을 향해 탄성 바이어스 시키는 스프링(6)이 개재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7)은 회로기판이고, (7a)는 회로기판상에 마련된 탭 스위치이다. 그리고 (4a)는 각각의 내측면에 마련된 접촉봉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원형노브(2')는, 어느 하나의 버튼(4)을 가압하게 되면, 그 각각에 마련된 고정턱(3b)이 판넬(1)의 걸림턱(1b)을 따라 슬라이딩 이송되면서, 접촉봉(4a)이 판넬(1) 내측면의 회로기판(7)에 마련된 탭 스위치(7a)와 접촉됨으로써 소정의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가압을 해제하게 되면, 스프링(6)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원형노브(2)에 있어서는, 힌지작용을 하는 것이 몸체(3)의 중심면에 마련된 스프링(6)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어서, 사용자의 실수에 의해 노브 몸체(3)의 중심부위를 가압하게 되면, 복수개의 버튼(4) 모두가 동작됨으로써 결과적으로 기기의 오동작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또한 고가의 스프링을 사용함으로써 단가상승을 유발하는 것은 물론이고, 작업능률의 저하를 유발하였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인접된 버튼간에 간섭을 일으키는 것을 즉, 버튼의 조작을 개별적으로 확실하게 동작시킬 수 있으며, 특히 그 조립이 용이하고 단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원형노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원형노브는, 그 중심내면에 소정길이의 힌지축이 마련된 절개홈이 형성되며, 이 절개홈을 중심으로 하여 그 양측면에는 힌지수단이 마련된 몸체; 상기 힌지축의 양측으로부터 몸체의 상방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제1탄성편에 의해 소정각도 연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나란하게 배열 설치되는 제1,2버튼을 갖는 제1노브군; 상기 제1노브군의 제1,2버튼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배열 설치되는 제3,4버튼을 갖으며, 상기 힌지수단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연동되는 제2노브군; 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특징은, 상기 힌지수단이, 상기 절개홈과 대응되는 몸체의 양측면에 각각 소정길이 절개되고 그 상방으로 절곡형성되어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제2탄성편; 상기 제2노브군의 중심 내면으로 부터 연장 형성되며 그 단부에 상기 힌지축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홈이 마련된 지지축; 상기 제2탄성편과 대응되는 상기 제2노브군의 하부 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탄성편의 상면과 접촉되는 접촉돌기; 를 포함하여 된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버튼간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아 기기를 용이하게 동작시킬 수 있으며, 특히 그 조립이 간단하고 부품수가 적어 단가절감을 도모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원형노브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원형노브의 결합 평면도이고, 제4도(a)(b)는 제3도의 A-A 및 B-B선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원형노브(20)는, 크게 노브몸체(30)와, 이 몸체(30)에 원형으로 배열 설치되는 제1,2노브군(40,50)으로 대별된다. 이때 제1노브군(40)은 각각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제1,2버튼(41,42)을 구비하며, 제2노브군(50)은 제1,2버튼(41,42)와 수직되는 방향으로 배열 설치되는 제3,4버튼(51,52)을 구비한다.
한편 몸체(30)의 일측면에는 즉, 제4도(b)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판넬(10)의 내측면에 돌출 설치된 복수개의 결합돌기(11)와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구멍(31)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몸체(30)의 중심 내면에는 소정길이의 절개홈(32)이 형성되며, 이 절개홈(32)을 가로질러서는 힌지축(33)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절개홈(32)을 중심으로 하여 그 양측면에는 전술하는 제2노브군(50)에 소정의 탄성력을 부여하는 힌지수단이 마련된다.
한편, 제4도(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절개홈(32)을 가로질러 형성된 힌지축(33)의 양측으로부터는, 몸체(30)의 상부를 향해 절곡 형성되어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제1탄성편(60)이 절곡 형성되며, 이 제1탄성편(60)은 전술한 제1노브군(40) 즉, 제1,2버튼(41,42)에 각각 소정의 탄성력을 부여한다.
전술한 제2노브군(50)을 연동시키기 위한 힌지수단은, 몸체(30)의 절개홈(32)과 대응되는 몸체(30)의 양측면에는 각각 소정길이 절개되고 그 상방으로 절곡 형성되어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제2탄성편(60')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제2탄성편(60')과 대응되는 제2노브군(50)의 중심 내면으로부터는, 즉 제3,4버튼(51,52)의 하부 일측면으로부터는 제2탄성편(60')의 상면과 접촉되는 접촉돌기(51A,52A)가 연장 형성된다. 또한 제2노브군(50)의 중심 내면으로부터는 전술한 몸체(30)의 힌지축(33)에 삽입되는 삽입홈(53A)이 형성된 지지축(53)이 연장 형성된다.
미설명부호(41A,42A,51B,52B)는 각각의 버튼에 마련된 접촉봉이고, (70)은 도시되지 않은 회로기판상에 마련된 탭 스위치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원형노브는, 제1노브군(40)을 조작하게 되면, 즉, 제1,2버튼(41,42)을 가압하게 되면, 이들은 힌지축(33)의 양측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제1탄성편(60)에 의해 소정의 탄성력을 갖고 동작되게 되며, 또한 제2노브군(50)의 제3,4버튼(51,52)을 조작하게 되면, 이들은 제2지지편(60')에 의해 소정의 탄성력을 갖고 동작되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실수에 의해 각 노브군(40,50)의 중심부위를 가압하게 되면, 이들의 각 버튼(41,42,51,52)은 힌지축(33)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지 않게 됨으로써 상호간의 간섭이 완전 배제되게 된다. 따라서 기기의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원형노브에 의하면, 각 버튼간의 간섭을 배제할 수 있어 사용자의 실수에 의한 가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그 구조가 간단하고 부품수가 대폭적으로 감소된 것이어서, 조립능률의 향상 및 단가절감을 도모한 것이다.
따라서 이를 채용한 제품의 신뢰성을 더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원형노브에 있어서, 그 중심내면에 소정길이의 힌지축(33)이 마련된 절개홈(32)이 형성되는 몸체(30)와, 상기 힌지축(33)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몸체(30)의 상방으로부터 각각 연장 형성되는 제1탄성편(60)과, 상기 제1탄성편(60)에 의해 소정각도 연동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힌지축(33)을 중심으로하여 나란하게 배열 설치되는 제1 및 제2버튼(41,42)을 가지는 제1노브군(40)과, 상기 절개홈(32)에 대응되는 상기 몸체(30)의 양측면에 각각 소정길이 절개되고, 그 상방으로 절곡형성되어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는 제2탄성편(60')과, 상기 제1노브군(40)의 상기 제1 및 제2버튼(41,42)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배열설치되는 제3 및 제4버튼(51,52)을 가지며, 상기 힌지축(33)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연동되는 제2노브군(50)과, 상기 제2노브군(50)의 중심내면으로부터 연장형성되며, 그 단부에 상기 힌지측(33)에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홈(53A)이 마련된 지지축(53)과, 상기 제2탄성편(60')과 대응되는 상기 제2노브군(50)의 하부내측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탄성편(60')의 상면과 접촉되는 접촉돌기(51A,51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노브.
KR2019940012439U 1994-05-31 1994-05-31 원형노브 KR01264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2439U KR0126453Y1 (ko) 1994-05-31 1994-05-31 원형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2439U KR0126453Y1 (ko) 1994-05-31 1994-05-31 원형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071U KR950034071U (ko) 1995-12-18
KR0126453Y1 true KR0126453Y1 (ko) 1998-10-15

Family

ID=19384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2439U KR0126453Y1 (ko) 1994-05-31 1994-05-31 원형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645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071U (ko) 1995-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70010B1 (en) Switch
KR0126453Y1 (ko) 원형노브
KR100537334B1 (ko) 조작부의 버튼 지지구조
KR200153830Y1 (ko) 비에스티브이용 방향성 버튼스위치
KR840002300Y1 (ko) 전자렌지의 누름판
JPH08264073A (ja) シーソー釦
KR100429813B1 (ko) 전자제품의 조작패널
JPS597704Y2 (ja) スライドスイツチ
KR0133489Y1 (ko) Tv의 버튼 연결 구조
KR900001392Y1 (ko) 이중 스위치 노브
KR910007291Y1 (ko) 시이소 버튼 고정장치
KR930002068Y1 (ko) 연동버턴 노브 고정장치
KR940000722Y1 (ko) 퍼스널 컴퓨터의 오동작 방지장치
KR900008218Y1 (ko) 전자제품의 스위치 구동장치
KR940003278Y1 (ko) 텍트(tact)스위치의 작동구조
KR100442311B1 (ko) 소형 디지털제어기기의 스위치 배치 및 구조
KR940002592Y1 (ko) 프론트 판넬을 이용한 4중 일체형 스위치 노브장치
KR950009768A (ko) 일체형 전원스위치
KR200162383Y1 (ko) 전자제품의 파워버튼 작동구조
KR19990031713A (ko) 러버를 이용한 통합버튼부재
KR970003727Y1 (ko) 시-소우형 스위치버튼
KR940007965Y1 (ko) 카스테레오의 푸시놉 장치
KR19990024008U (ko) 노브 스위치 조립구조
JPS6214752Y2 (ko)
KR200156871Y1 (ko) 전자제품의 스위치조작노브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