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0009Y1 - 철근이음용 결속구 - Google Patents

철근이음용 결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0009Y1
KR200230009Y1 KR2019980017872U KR19980017872U KR200230009Y1 KR 200230009 Y1 KR200230009 Y1 KR 200230009Y1 KR 2019980017872 U KR2019980017872 U KR 2019980017872U KR 19980017872 U KR19980017872 U KR 19980017872U KR 200230009 Y1 KR200230009 Y1 KR 2002300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reinforcing bars
wire
binding
iron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78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6674U (ko
Inventor
김쌍호
Original Assignee
김쌍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쌍호 filed Critical 김쌍호
Priority to KR20199800178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0009Y1/ko
Publication of KR200000066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66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00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0009Y1/ko

Links

Abstract

본고안은 각종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공사 현장에서 배근되는 철근 상호간을 결속시킬 때에, 별도의 작업공구를 사용함이 없이 작업자가 손으로 직접 돌려 감아서 철근들을 서로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철근이음용 결속구에 관한 것으로, 본고안의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은 금속박판을 소재로 하여 일측 끝단에 수직방향으로 철선끼움부(11)을 형성하며 상단부 일정위치에 고정홈(12)을 형성하여서 된 조임고정판(10)과, 상기 조임고정판(10)의 철선끼움부(11)에 일측단이 고정되게 끼워져서 수직 하부로 연장되는 자유단이 직각으로 꺽여지도록 형성된 철선(20)으로 구성하여서, 작업자가 손으로 직접 돌려 감아서 철근(2)들을 서로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철근이음용 결속구
본고안은 각종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공사 현장에서 배근되는 철근 상호간을 결속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작업공구를 사용함이 없이 작업자가 손으로 직접 돌려 감아서 철근들을 서로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철근이음용 결속구에 관한 것이다.
이전부터 철근 배근공정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공사에서 중요한 작업공정으로 인식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철근 배근공정을 수행하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공사 현장에서는 결속선을 매개수단으로 하여 일렬 또는 교차되게 철근 상호간을 결속시켜서 이음 연결하여 왔다.
이와 같은 철근 배근공정에 사용되는 결속선은, 철근들을 서로 결속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때에 별도의 작업공구를 사용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철근 결속작업에 따른 제반여건 및 신뢰성에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첫째 결속선으로 철근들을 서로 결속시킬 때에 별도의 작업공구를 사용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작업공구를 필수적으로 휴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둘째 결속선으로서 철근을 서로 결속시키는 과정에서 작업공구를 사용하게 되는 만큼 작업능률이 크게 저하되었으며, 또한 작업공구를 능숙하게 다룰 수 있는 숙련공을 필요로 하는 동시에,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철근 결속시킨 상태와 작업능률의 변화가 심하여 결속작업의 균일화를 기대할 수 없으며,
셋째 작업자가 강성의 결속선을 감아돌릴 때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 작업전에
미리 결속선을 부드럽게 열처리하여 사용하게 되어, 철근 결속작업시에 결속선이 쉽게 끊어지거나, 늘어나서 철근들을 결속한 상태가 매우 불량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결속선으로서 철근들을 서로 결속시킬 때에 발생되는 문제점을 적극 해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작업공구를 사용하지 않는 결속수단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에 있다.
본고안은 작업자가 손으로 직접 돌려 감아서 철근들을 서로 결속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하여서, 첫째 작업자가 별도의 작업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철근 결속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서 공사기간을 대폭적으로 단축시켜 주며, 둘째 숙련도에 관계 없이 누구나 결속작업을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여서 저임의 노동력 적극 활용하여 경제성을 제고하여 주며, 셋째 철근 결속작업시에 느슨하게 풀려지거나 절단됨을 미연에 방지하여서 철근 결속작업의 신뢰성을 향상시켜 주는 철근이음용 결속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고안의 결속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고안의 결속구를 나타낸 정면도
도3a는 본고안 결속구의 작용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철근을 둘러 감은 철선을 조임고정판으로 비틀어 돌려서 조이는 상태를 평면도로 예시한 것임 도3b는 본고안 결속구로서 맞대어진 철근들을 서로 결속시킨 상태를 정면도로
서 나타낸 것임
도4는 본고안 일실시예의 결속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5a,도5b는 본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작용 상태를 나타낸 것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조임고정판 10a: 파지판부
11: 철선끼움부 12: 고정홈
13: 걸침턱부 14: 단속편
20: 철선 21: 비틀림영역
본고안의 철근이음용 결속구(1)는 도1 및 도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금속박판을 소재로 하여 일측 끝단에 수직방향으로 철선끼움부(11)을 형성하며 상단부 일정위치에 고정홈(12)을 형성하여서 된 조임고정판(10)과, 상기 조임고정판(10)의 철선끼움부(11)에 일측단이 고정되게 끼워져서 수직 하부로 연장되는 자유단이 직각으로 꺽여지도록 형성된 철선(20)으로 구성하여서, 작업자가 손으로 직접 돌려 감아서 철근(2)들을 서로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즉, 이와 같이 구성된 본고안의 철근이음용 결속구(1)는 도3a 및 도3b에서와 같이, 그 조임고정판(10)에 착설된 철선(20)으로서 철근(2)들을 둘러 감을 수 있도록 하고, 작업자가 조임고정판(10)을 손으로 파지하여서 철근(2)들을 둘러 감은 철선(20)을 비틀어 돌려서 결속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작업공구 없이도 작업자가 손으로 철근(2)들을 서로 결속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각 구성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임고정판(10)은 맞대어진 철근(2)들을 둘러 감은 철선(20)을 비틀어 돌려서 조여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부이다.
이러한 조임고정판(10)은 금속박판을 소재로 하여 성형된 파지판부(10a) 일측 끝단에 원통형으로 말아서 절곡시킨 철선끼움부(11)를 형성하며, 그 파지판부(10a) 상단부 일정위치에 요입 절개되는 고정홈(12)을 형성하여서 된다.
이때, 상기 철선끼움부(11)는 철근(2)들을 둘러 감기 위한 철선(20)의 일단이 끼워져서 고정될 수 있게 하여 주며, 상기 고정홈(12)은 철근(2)들을 둘러 감은 철선(20)의 자유단이 걸쳐지게 하여서 비틀어 돌려서 조일 수 있게 하여 준다.
여기에서, 상기 파지판부(10a)는 작업자가 손쉽게 파지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서 형성하여서, 철근(2) 결속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배려함이 바람직하다.
철선(20)은 상기 조임고정판(10)에 일단을 착설시켜서 맞대어지는 철근(2)들을 서로 결속시켜 주는 직접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부이다.
이러한 철선(20)의 일단은 상기 조임고정판(10)의 철선끼움부(11)에 끼워서 고정시키고, 수직 하부로 연장되는 자유단이 직각으로 꺽여지도록 형성하여서, 맞대어진 철근(2)들을 둘러 감은 후에 상기 조임고정판(10)에 의하여 비틀어 돌려져서 철근(2)들을 조이면서 결속시켜 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철선(20)은 그 일단을 상기 조임고정판(10)의 철선끼움부(11)에 끼워서 고정시키고, 직각으로 꺽여지는 일정길이의 비틀림영역(21)이 확보되도록 함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상기 철선(20)의 비틀림영역(21)으로서 철근(2)들을 둘러 감은 부분과 상기 조임고정판(10)의 고정홈(12)에 걸쳐진 중간부를 서로 맞대어서 비틀어 돌릴 수 있는 여유 길이를 미리 확보하기 위함이다.
여기에서, 상기 철선(20)은 비틀림 작용력에 대응하는 기계적 강도를 가지도록 2겹으로 형성하여서, 상기 조임고정판(10)로서 비틀어 돌릴 때에 임의로 늘어나거나 절단됨을 방지하여 주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4는 본고안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조임고정판(10) 하단부 일정위치에 돌출되게 절곡시켜서 상기 철선(20)의 비틀림영역(21)이 걸쳐지도록 걸침턱부(13)를 형성하되, 그 걸침턱부(13)와 연계되는 위치의 상기 조임고정판(10)의 하단부에 상기 철선(20)의 비틀림영역(21)을 단속하여 주는 단속편(14)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이는 도5a 및 도5c에서와 같이, 평상시에 상기 철선(20)의 비틀림영역(21)이 상기 조임고정판(10)의 걸침턱부(13) 및 단속편(14)에 의하여 가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철근(2)들을 결속시킬 때에는 상기 조임고정판(10)을 돌리는 작용력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해지되는 단속편(14)에 의하여 걸림턱부(13)로 부터 상기 철선(20)의 비틀림영역(21)이 이탈되도록 하여, 상기 철선(20)의 비틀림영역(21)으로서 철근(2)들을 둘러 감은 부분과 상기 조임고정판(10)의 고정홈(12)에 걸쳐진 중간부를 서로 맞대어서 비틀어 돌려서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고안은 조임고정판에 착설된 철선으로서 철근들을 둘러 감을 수 있도록 하고, 작업자가 조임고정판을 손으로 파지하여서 철근들을 둘러 감은 철선을 비틀어 돌려서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첫째 작업자가 별도의 작업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철근 결속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여 주며, 둘째 숙련도에 관계 없이 결속작업을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주며, 셋째 결속된 상태에서 느슨하게 풀려지거나 절단됨을 방지하여 주는 등의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금속박판을 소재로 하여 일측 끝단에 수직방향으로 철선끼움부(11)을 형성하며 상단부 일정위치에 고정홈(12)을 형성하여서 된 조임고정판(10)과, 상기 조임고정판(10)의 철선끼움부(11)에 일측단이 고정되게 끼워져서 수직 하부로 연장되는 자유단이 직각으로 꺽여지도록 형성된 철선(20)으로 구성하여서, 작업자가 손으로 직접 돌려 감아서 철근(2)들을 서로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이음용 결속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선(20)은 그 일단을 상기 조임고정판(10)의 철선끼움부(11)에 끼워서 고정시키고, 직각으로 꺽여지는 일정길이의 비틀림영역(21)이 확보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이음용 결속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고정판(10) 하단부 일정위치에 돌출되게 절곡시켜서 상기 철선(20)의 비틀림영역(21)이 걸쳐지도록 걸침턱부(13)를 형성하되, 그 걸침턱부(13)와 연계되는 위치의 상기 조임고정판(10)의 하단부에 상기 철선(20)의 비틀림영역(21)을 단속하여 주는 단속편(14)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이음용 결속구.
KR2019980017872U 1998-09-19 1998-09-19 철근이음용 결속구 KR2002300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872U KR200230009Y1 (ko) 1998-09-19 1998-09-19 철근이음용 결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7872U KR200230009Y1 (ko) 1998-09-19 1998-09-19 철근이음용 결속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674U KR20000006674U (ko) 2000-04-25
KR200230009Y1 true KR200230009Y1 (ko) 2001-07-19

Family

ID=69520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7872U KR200230009Y1 (ko) 1998-09-19 1998-09-19 철근이음용 결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000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6674U (ko) 2000-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58452B1 (en) Method for fastening reinforcement steel bars
KR100763634B1 (ko) 전단보강용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구조물 전단 및 내진보강
US5699642A (en) Plastic rebar harness
KR200230009Y1 (ko) 철근이음용 결속구
US6536180B1 (en) Twisted wire tie
KR102371672B1 (ko) 한손 결속이 가능한 철근 결속용 클립
US1890757A (en) Concrete reenforcing steel tie
KR20000059029A (ko) 철근 결속장치
JPH085215Y2 (ja) 鉄筋結束具
JP5144435B2 (ja) 鉄筋の結束装置
JPH0747544Y2 (ja) 鉄筋コンクリートもしくは鉄骨鉄筋コンクリートの梁の剪断補強構造
JPH11303317A (ja) 鉄筋結束具
JPH0643316Y2 (ja) 丸鋼配筋取付具
JP2020143454A (ja) 鉄筋結束具
JP5144377B2 (ja) 鉄筋の結束装置及び結束線
JP2017053197A (ja) 結束具及び結束方法
KR102438807B1 (ko) 철근 이음장치
JPH08246675A (ja) 鉄筋結束機における結束用ワイヤの巻き回し案内装置
JPH0637446U (ja) 鉄筋組立用クリップ
JPH1122109A (ja) 鉄筋結束用鉄線
KR200186891Y1 (ko) 철근 결속기
KR200295904Y1 (ko) 철근 결속용 클립
JP2001039467A (ja) 結束具
JP3013879B2 (ja) 鉄筋結束機における結束用ワイヤの捩り機構
JPH07113261A (ja) ハーフプレキャスト梁を用いた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