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807B1 - 철근 이음장치 - Google Patents
철근 이음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38807B1 KR102438807B1 KR1020210168927A KR20210168927A KR102438807B1 KR 102438807 B1 KR102438807 B1 KR 102438807B1 KR 1020210168927 A KR1020210168927 A KR 1020210168927A KR 20210168927 A KR20210168927 A KR 20210168927A KR 102438807 B1 KR102438807 B1 KR 1024388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inforcing bar
- joint member
- joint
- coupling
- coupling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 및 조작 방식으로 미숙련공이라 하더라도 용이하고 신속 정확하게 철근 이음 시공을 수행할 수 있는 철근 이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철근의 일측에 배치되며, 일단부에 배근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결합공이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배근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홈이 구비되며, 중간부에는 철근의 일측 외면에 밀착되는 제1지지부가 구비되는 제1이음부재; 철근의 타측에 배치되며, 일단부에 배근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며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한 쌍의 걸게가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배근방향으로 배치되는 핀부가 구비되며, 중간부에는 철근의 타측 외면에 밀착되는 제2지지부가 구비되는 제2이음부재; 상기 핀부에 결합된 일단부에서 배근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핀부와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타단부가 상기 결합홈에 안착되는 결합구; 및 상기 결합구의 타단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가 철근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철근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이음부재 및 상기 제2이음부재를 조이는 조임구;를 포함하는 특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근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 및 조작 방식으로 미숙련공이라 하더라도 용이하고 신속 정확하게 이음 시공을 수행할 수 있는 철근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근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생산되므로, 각종 철근 콘크리트 구조에 사용 시 철근 상호 간에 이음이 요구된다.
종래 철근 이음방법은 크게 용접 이음 및 커플러 이음이 있다.
용접 이음 방식에는 철근과 철근을 서로 맞댄 후 용접하는 압접 방식과, 철근과 철근의 단부를 겹쳐서 용접하는 겹이음 용접 방식이 있다. 이러한 용접 이음방식은 이어진 철근의 인장력이 우수한 장점은 있으나 작업시간이 길고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며 용접시 사용되는 전기 감전에 의한 안전사고나 화재의 위험이 있고 기능공의 숙련도에 따라 품질이 좌우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현장 적용이 쉽지 않다.
커플러 이음 방식은 별도의 결속 기구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대표적으로 철근과 철근의 단부를 겹친 상태에서 작업자가 결속선으로 일일이 묶는 방식이 있다. 이처럼 결속선을 이용한 이음은 용접 이음 방식에 비해서 배근작업이 용이한 장점은 있으나 기능공의 숙련도에 따라 품질이 좌우되는 문제가 여전히 있고, 특히 철근의 직경이 변화되는 경우에는 편심에 의해 철근의 응력 집중이 일치되지 않아 구조 내력 상의 문제가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철근과 철근의 단부를 감싸는 커플러 부재를 이용하여 커플러의 간단한 조작으로 철근과 철근을 기계적으로 이음하는 방식이 있다. 그러나, 종래 커플러는 구조가 복잡하고 많은 나사 조립 구조를 가지므로, 실제 시공 현장에서는 작업 시간 단축에 크게 기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미숙련공도 시공 현장에서 철근 이음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보다 간단한 구조 및 조작 방식을 가지는 커플러 개발이 요구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는 간단한 구조 및 조작 방식으로 미숙련공이라 하더라도 용이하고 신속 정확하게 철근 이음 시공을 수행할 수 있는 철근 이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는, 철근의 일측에 배치되며, 일단부에 배근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결합공이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배근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홈이 구비되며, 중간부에는 철근의 일측 외면에 밀착되는 제1지지부가 구비되는 제1이음부재; 철근의 타측에 배치되며, 일단부에 배근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며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한 쌍의 걸게가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배근방향으로 배치되는 핀부가 구비되며, 중간부에는 철근의 타측 외면에 밀착되는 제2지지부가 구비되는 제2이음부재; 상기 핀부에 결합된 일단부에서 배근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핀부와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타단부가 상기 결합홈에 안착되는 결합구; 및 상기 결합구의 타단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가 철근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철근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이음부재 및 상기 제2이음부재를 조이는 조임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은 상기 걸게가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배근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다.0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은 배근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되,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걸림턱이 구비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결합구에 상기 조임구를 조여 철근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이음부재 및 상기 제2이음부재를 조일 시, 상기 걸게는 철근의 직경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걸림턱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에 안착된 상기 걸게의 위치 변화가 억제되도록, 상기 제1이음부재 및 상기 제2이음부재의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제1이음부재의 일단부에 외력을 가해 상기 결합공을 강제 변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체결 장비나 많은 수의 나사 조립 없이 원터치 방식의 간단한 조립 동작만으로 철근 이음 작업이 가능하여 미숙련공이라 하더라도 손쉽고 신속하면서도 균일한 품질의 배근 시공이 가능하며, 시공성이 매우 우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쉽고 신속한 배근 작업이 가능하므로 전체 공기 및 공비를 절감하여 경제성이 매우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철근 이음 작업 후 문제 발생 시 분리 및 재조립이 가능하여 유지 관리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의 전체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의 전체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의 전체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의 전체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우선 본 발명은 한쪽 철근(10)의 단부와, 다른쪽 철근(10)의 단부의 겹침 이음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철근 이음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는 제1이음부재(100), 제2이음부재(200), 결합구(300) 및 조임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이음부재(100)는 배근하고자 하는 철근(10)의 적어도 일측 외주면을 감싸도록 철근(1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몸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이음부재(100)는 한 쌍의 결합공(120)을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결합공(120)은 제1몸체(110)의 일단부에 배근방향(D1)으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결합공(120)은 배근방향(D1)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장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이음부재(200)의 걸게(220)는 장홈 형상의 결합공(120)에 대해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이음부재(100)는 결합홈(130)을 가질 수 있다. 결합홈(130)은 제1몸체(110)의 타단부에서 상부가 개방되도록 배근방향(D1)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이음부재(100)는 제1지지부(140)를 가질 수 있다. 제1지지부(140)는 제1몸체(110)의 중간부에 구비되며, 제1지지부(140)는 철근(10)의 일측 외면을 감싸면서 밀착될 수 있다.
제1이음부재(100)는 판 형상의 제1몸체(110)를 절곡 또는 펀칭 가공하여서 제작될 수 있다.
제2이음부재(200)는 배근하고자 하는 철근(10)의 나머지 타측 외주면을 감싸도록 철근(10)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몸체(2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이음부재(200)는 한 쌍의 걸게(220)를 가질 수 있다. 한 쌍의 걸게(220)는 제2몸체(210)의 일단부에서 배근방향(D1)으로 이격하여 배치된 채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걸게(220)는 결합공(120)에 삽입될 수 있고, 결합구(300)에 조임구(400)를 조여 철근(10)을 사이에 두고 제1이음부재(100) 및 제2이음부재(20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제2이음부재(200)는 걸게(22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걸게(220)는 일단부가 배근방향(D1)으로 연장하여 형성되고, 타단부는 배근방향(D1)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철근(10)을 사이에 두고 제1이음부재(100) 및 제2이음부재(200)가 조립된 상태에서 걸게(220)는 결합공(120)에서 분리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제2이음부재(200)는 핀부(230)를 가질 수 있다. 핀부(230)는 제2몸체(210)의 타단부에 배근방향(D1)으로 연장하여 형성되며 제2몸체(210)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이음부재(200)는 제2지지부(240)를 가질 수 있다. 제2지지부(240)는 제2몸체(210)의 중간부에 구비되며, 제2지지부(240)는 철근(10)의 타측 외면을 감싸면서 밀착될 수 있다.
제2이음부재(200) 역시 판 형상의 제2몸체(210)를 절곡 또는 펀칭 가공하여서 제작될 수 있다.
결합구(300)는 일단부가 핀부(230)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배근방향(D1)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구(300)는 핀부(230)와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타단부가 결합홈(130)에 안착될 수 있다.
결합구(300)의 타단부는 외주면에 나사 가공부가 형성될 수 있는데, 결합구(300)의 나사 가공된 타단부에는 조임구(40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조임구(400)는 결합구(300)의 나사 가공된 타단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철근(10)을 사이에 두고 제1이음부재(100) 및 제2이음부재(200)를 조일 수 있고, 이로써 제1지지부(140) 및 제2지지부(240)가 철근(10)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다.
조임구(400)로는 너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철근 이음장치는 배근하고자 하는 한쪽 철근(10)의 단부와, 다른쪽 철근(10)의 단부를 겹쳐 놓은 상태에서 제1이음부재(100) 및 제2이음부재(200)를 배치하고, 제1이음부재(100)의 걸게(220)를 제2이음부재(200)의 결합공(120)에 삽입하여 가조립한다. 이후 제1이음부재(100)에 연결된 결합구(300)를 핀부(230)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제2이음부재(200)의 결합홈(130)에 안착시킨 후, 결합구(300)에 조임구(400)를 나사 결합하는 것으로, 철근(10)의 이음 작업을 간단히 완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는 별도의 체결 장비나 많은 수의 나사 조립없이 결합구(300)에 조임구(400)를 체결하는 동작만으로 철근 이음 작업이 간단히 완료될 수 있고, 미숙련공이라 하더라도 신속하고 균일한 품질의 배근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는 제1이음부재(100) 및 제2이음부재(200)만의 간단한 구조를 가짐으로 제작이 용이하고 신속한 배근 작업이 가능하므로 전체 철근 이음 공기 및 공비를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는 철근 이음 작업을 완료한 후 해당 철근 이음부에 문제가 발생될 경우, 결합구(300)로부터 조임구(400)를 분리하는 것으로 철근(10)으로부터 제1이음부재(100) 및 제2이음부재(200)를 분리할 수 있고, 이후 재조립이 가능하므로 배근 작업의 편의뿐만 아니라 시공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의 전체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이음부재(100)의 결합공(120)은 걸림턱(121)을 더 가질 수 있다.
걸림턱(121)은 배근방향(D1)에 교차하는 방향인 결합공(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걸림턱(121)은 결합공(120)의 내주면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결합구(300)에 조임구(400)를 조여 철근(10)을 사이에 두고 제1이음부재(100) 및 제2이음부재(200)를 조이는 과정에서, 걸게(220)는 철근(10)의 직경에 따라 복수개의 걸림턱(121) 중 어느 하나의 걸림턱에 안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4 (a)에서와 같이, 철근(10)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클 경우 걸게(220)는 결합공(120)의 외측 영역(도면에서 좌측영역)에 형성된 걸림턱(121)에 안착될 수 있고, 도 4 (b)에서와 같이, 철근(10)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을 경우 걸게(220)는 결합공(120)의 내측 영역(도면에서 우측영역)에 형성된 걸림턱(121)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는 다양한 직경의 철근(10)을 배근할 수 있어 시공성이 더욱 우수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근 이음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철근(10)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을 경우 걸게(220)는 결합공(120)의 내측 영역(도면에서 우측영역)에 형성된 걸림턱(121)에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예기치 못한 강한 외력에 의해 걸게(220)가 결합공(120)의 걸림턱(121)에서 이탈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철근(10)에 대한 배근 작업이 완료되면, 제1몸체(110)의 일단부에 외력을 가해 결합공(120)을 강제 변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걸게(220)는 결합공(120)의 걸림턱(121)에 안착된 상태에서 위치 변화가 억제될 수 있고, 철근(10)이나 이음장치에 예기치 못한 강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제1이음부재(100) 및 제2이음부재(200)가 느슨하게 풀리는 문제가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다.
100: 제1이음부재 110: 제1몸체
120: 결합공 130: 결합홈
140: 제1지지부 200: 제2이음부재
210: 제2몸체 220: 걸게
230: 핀부 240: 제2지지부
300: 결합구 400: 조임구
120: 결합공 130: 결합홈
140: 제1지지부 200: 제2이음부재
210: 제2몸체 220: 걸게
230: 핀부 240: 제2지지부
300: 결합구 400: 조임구
Claims (4)
- 철근의 일측에 배치되며, 일단부에 배근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결합공이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배근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결합홈이 구비되며, 중간부에는 철근의 일측 외면에 밀착되는 제1지지부가 구비되는 제1이음부재;
철근의 타측에 배치되며, 일단부에 배근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며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한 쌍의 걸게가 구비되고, 타단부에는 배근방향으로 배치되는 핀부가 구비되며, 중간부에는 철근의 타측 외면에 밀착되는 제2지지부가 구비되는 제2이음부재;
상기 핀부에 결합된 일단부에서 배근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핀부와 연동하여 회전하면서 타단부가 상기 결합홈에 안착되는 결합구; 및
상기 결합구의 타단부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제1지지부 및 상기 제2지지부가 철근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철근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이음부재 및 상기 제2이음부재를 조이는 조임구;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공은 배근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되, 내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걸림턱이 구비되고,
상기 결합구에 상기 조임구를 조여 철근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이음부재 및 상기 제2이음부재를 조일 시 상기 걸게는 철근의 직경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걸림턱 중 어느 하나에 안착되며,
상기 걸림턱에 안착된 상기 걸게의 위치 변화가 억제되도록, 상기 제1이음부재 및 상기 제2이음부재의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제1이음부재의 일단부에 외력을 가해 상기 결합공을 강제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이음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8927A KR102438807B1 (ko) | 2021-11-30 | 2021-11-30 | 철근 이음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68927A KR102438807B1 (ko) | 2021-11-30 | 2021-11-30 | 철근 이음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38807B1 true KR102438807B1 (ko) | 2022-08-31 |
Family
ID=83061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68927A KR102438807B1 (ko) | 2021-11-30 | 2021-11-30 | 철근 이음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38807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48378B1 (ko) | 2005-11-16 | 2006-11-24 | 박상용 | 건설공사의 철근콘크리트 공종에서 철근의 겹친이음을대신하는 철근이음장치 |
JP2009138851A (ja) * | 2007-12-06 | 2009-06-25 | Marusa:Kk | クランプ |
KR101152349B1 (ko) * | 2011-12-26 | 2012-06-11 | 송석건설(주) |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 |
-
2021
- 2021-11-30 KR KR1020210168927A patent/KR10243880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48378B1 (ko) | 2005-11-16 | 2006-11-24 | 박상용 | 건설공사의 철근콘크리트 공종에서 철근의 겹친이음을대신하는 철근이음장치 |
JP2009138851A (ja) * | 2007-12-06 | 2009-06-25 | Marusa:Kk | クランプ |
KR101152349B1 (ko) * | 2011-12-26 | 2012-06-11 | 송석건설(주) |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03040B1 (ko) | 나선형 또는 이형 철근의 끼움식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이음 방법 | |
KR101371216B1 (ko) | 나선형 또는 이형 철근의 끼움식 커플러 | |
KR101152349B1 (ko) |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 | |
KR102438807B1 (ko) | 철근 이음장치 | |
KR102301698B1 (ko) | 콘크리트 구조물의 철근 커넥터 | |
KR101375346B1 (ko) | 철근 커플링용 철근 서포트 지그 | |
KR100837113B1 (ko) | 철근 커플러 | |
KR101144139B1 (ko) | 분리부 응력 분산이 가능한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부재 연결방법 | |
KR20140042068A (ko) | 분리부 응력 분산을 위한 테이퍼형 절편을 구비한 커플러 | |
KR100244964B1 (ko) | 무방향성 철근 연결 장치(2) (Splicing device for reinforcement steel bars) | |
KR100355494B1 (ko) | 철근이음장치 | |
KR20220137843A (ko) | 철근 배치구조에 대응하여 배치구조 조정 가능한 무용접 철근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착방법 | |
KR100610498B1 (ko) | 철근 이음장치 | |
KR101144138B1 (ko) | 양방향 자동체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부재의 양방향 자동 체결방법 | |
KR20080075239A (ko) | 건설공사의 철근콘크리트 공종에서 철근의 겹친이음을대신하는 철근이음장치 | |
KR102662408B1 (ko) | 유니온 채결 방식 기계식 이형철근 이음장치 | |
KR20140075833A (ko) | 전단응력 집중형 티에스 커플러 | |
KR200234943Y1 (ko) | 체결이 용이한 철근 이음장치 | |
KR100684235B1 (ko) | 스트럽철근커플러 | |
KR20180039817A (ko) | 유니온 체결 방식 기계식 이형철근 이음장치 | |
JP7525870B2 (ja) | 横筋配筋装置 | |
KR100387995B1 (ko) | 체결이 용이한 철근 이음장치 및 시공방법 | |
KR100380411B1 (ko) | 철근 이음장치 | |
KR200314037Y1 (ko) | 체결이 용이한 철근 이음장치 | |
KR20190100562A (ko) | 힌지 구조 철근 커플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