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2349B1 -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 - Google Patents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2349B1
KR101152349B1 KR1020110142378A KR20110142378A KR101152349B1 KR 101152349 B1 KR101152349 B1 KR 101152349B1 KR 1020110142378 A KR1020110142378 A KR 1020110142378A KR 20110142378 A KR20110142378 A KR 20110142378A KR 101152349 B1 KR101152349 B1 KR 101152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roved
reinforcing bar
touch
coupler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2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채도
Original Assignee
송석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석건설(주) filed Critical 송석건설(주)
Priority to KR1020110142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23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2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2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6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different directions
    • E04C5/167Connection by means of clips or other resilient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10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pivoting ja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3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parallel relations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공사에서 두 개의 마주하는 철근(RB1, RB2)을 서로 이음하기 위한 것으로,
판재의 양측단을 아래로 절곡하고 일단에 체결부(122)가 형성된 덮개부(120); 판재의 양측단을 위로 절곡한 형상으로 일단이 덮개부(120)의 타단과 힌지결합하여 제1힌지부(H1)를 형성하는 지지부(140); 및, 판재를 ㄷ자로 절곡한 형상으로 끝단이 지지부(140)의 타단과 힌지결합하여 제2힌지부(H2)를 형성하는 체결구(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덮개부(120)와 지지부(140)가 맞닿는 부분에는 상기 철근(RB1, RB2)이 삽입되는 철근삽입부(19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체결구(160)가 상기 체결부(122)를 고정하여 상기 철근(RB1, RB2)을 고정하여 이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100)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철근(RB1, RB2)의 끝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덮개부(120) 및 지지부(140)의 내부에는 각각 덮개부철근지지대(124) 및 지지부철근지지대(144)가 더 설치되어, 상기 철근(RB1, RB2)을 고정하여 연속이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100`)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Improved one-touch type steel bars splicing coupler}
본 발명은 PSC BEAM 가로보(CROSS BEAM)의 철근을 이음하기 위한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종래와 같이 용접이나 복잡한 구조의 커플러를 사용하지 않고 간단히 원터치로 미숙련공도 손쉽게 철근을 이음할 수 있는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 철근의 길이는 한정되어 있으므로 철근 상호간의 이음은 필수이다.
종래에 사용되는 철근의 이음방법은 크게 (1) 겹침이음, (2) 압접, (3) 커플러이음 (4) 겹이음용접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1) 겹침이음은 철근과 철근을 소정의 길이로 겹쳐서 결속선으로 묶는 방식으로 배근작업이 용이한 장점은 있으나 철근의 직경이 큰 경우에는 편심에 의해 철근의 응력집중이 일치되지 않아 구조 내력상의 문제가 있고, 콘크리트 부재가 얇은 경우에는 겹쳐진 철근 때문에 거푸집의 단면이 좁아져 콘크리트 타설이 용이하지 않으며 철근의 배근 간격과 콘크리트의 최소 피복두께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 (2) 압접에 의한 철근 이음방법은 철근과 철근을 서로 맞댄 후 가열하 고 압착하여 단부를 일체로 성형하는 방법으로 작업시간이 길고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며 화재의 위험이 있고 기능공의 숙련도에 따라 품질이 좌우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어 이를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
상기 (3) 커플러를 사용한 이음은 상기 겹침이음 및 압접에서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철근의 단부을 감싸는 원통형의 부재를 만들어 내부에서 기계적으로 이음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종래의 커플러의 구조가 복잡하고 경우에 따라 철근의 단부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공정이 추가되어 실질적으로는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4) 겹이음용접 이음방법은 인장력은 우수하나 용접시 사용되는 전기 감전에 의한 안전사고, 용접시 발생되는 불꽃으로 인한 화재 등으로 많은 문제점이 제기되었지만 이에 대응할 개선책이 마련되지 못하여 현재도 용접공법을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용접에 의한 방법이나 커플러를 개선하여 간단한 구조로 원터치 방식으로 미숙련공도 시공현장에서 철근의 이음을 손쉽게 할 수 있는 커플러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시되는 것이다. 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쉽고 시공현장에서 미숙련공도 손쉽게 작업할 수 있는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원터치 방식으로 별도의 장비없이 작업할 수 있어 시공성이 우수한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빠른 작업이 가능하므로 전체 공종에서 공기 및 공비를 절감하여 경제성이 우수한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넷째, 철근이음의 하자가 발생할 경우 바로 수정하여 재설치할 수 있는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철근공사에서 두 개의 마주하는 철근(RB1, RB2)을 서로 이음하기 위한 것으로,
판재의 양측단을 아래로 절곡하고 일단에 체결부(122)가 형성된 덮개부(120); 판재의 양측단을 위로 절곡한 형상으로 일단이 덮개부(120)의 타단과 힌지결합하여 제1힌지부(H1)를 형성하는 지지부(140); 및, 판재를 ㄷ자로 절곡한 형상으로 끝단이 지지부(140)의 타단과 힌지결합하여 제2힌지부(H2)를 형성하는 체결구(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덮개부(120)와 지지부(140)가 맞닿는 부분에는 상기 철근(RB1, RB2)이 삽입되는 철근삽입부(19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체결구(160)가 상기 체결부(122)를 고정하여 상기 철근(RB1, RB2)을 고정하여 이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100)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철근(RB1, RB2)의 끝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덮개부(120) 및 지지부(140)의 내부에는 각각 덮개부철근지지대(124) 및 지지부철근지지대(144)가 더 설치되어, 상기 철근(RB1, RB2)을 고정하여 연속이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1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첫째,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쉽고 시공현장에서 미숙련공도 손쉽게 작업할 수 있는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를 제공한다.
둘째, 원터치 방식으로 별도의 장비없이 작업할 수 있어 시공성이 우수한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를 제공한다.
셋째, 빠른 작업이 가능하므로 전체 공종에서 공기 및 공비를 절감하여 경제성이 우수한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를 제공한다.
넷째, 철근이음의 하자가 발생할 경우 바로 수정하여 재설치할 수 있는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를 제공한다.
다섯째, 특히 PSC BEAM교량 가로보(CROSS BEAM)의 철근용접을 대체하는 기술로 용접에서 일어나는 안전사고의 예방 및 공기단축 그리고 용접시 온도변화로 발생하는 팽창 및 수축을 방지하므로 성능이 우수한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를 제공한다.
여섯째, 용접공이 필요 없고 전력이 필요 없으며 발전기소음과 인건비 유류비절감 등 환경개선에 이바지할 수 있는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를 시공전 펼친 모습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에 철근을 거치한 모습이다.
도 4는 도 3에 이어서 덮개부를 덮은 모습이다.
도 5는 도 4에 이어서 체결구를 사용하여 덮개부를 고정한 모습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의 다른 실시예를 시공전 펼친 모습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의 다른 실시예에 철근을 거치한 모습이다.
도 9는 도 8에 이어서 덮개부를 덮은 모습이다.
도 10는 도 9에 이어서 체결구를 사용하여 덮개부를 고정한 모습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100)는 철근공사에서 두 개의 마주하는 철근(RB1, RB2)을 서로 이음하기 위한 것으로,
판재의 양측단을 아래로 절곡하고 일단에 체결부(122)가 형성된 덮개부(120); 판재의 양측단을 위로 절곡한 형상으로 일단이 덮개부(120)의 타단과 힌지결합하여 제1힌지부(H1)를 형성하는 지지부(140); 및, 판재를 ㄷ자로 절곡한 형상으로 끝단이 지지부(140)의 타단과 힌지결합하여 제2힌지부(H2)를 형성하는 체결구(16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덮개부(120)와 지지부(140)가 맞닿는 부분에는 상기 철근(RB1, RB2)이 삽입되는 철근삽입부(19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체결구(160)가 상기 체결부(122)를 고정하여 상기 철근(RB1, RB2)을 고정하여 이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철근삽입부(190)는 인접하여 2개가 형성되어 상기 철근(RB1, RB2)을 고정하여 겹침이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를 시공전 펼친 모습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에 철근을 거치한 모습이며, 도 4는 도 3에 이어서 덮개부를 덮은 모습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4에 이어서 체결구를 사용하여 덮개부를 고정한 모습이다.
본 발명의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는 철근의 이음위치에 도 2와 같이 펼치고, 도 3과 같이 상기 지지부(140)의 철근삽입부(190)에 철근(RB1, RB2)을 상호 겹치도록 거치한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제1힌지부(H1)를 중심으로 상기 덮개부(120)를 회전시켜 덮으면 상기 덮개부(120)의 철근삽입부(190)가 상기 철근(RB1, RB2)의 상부를 조이게 된다. 이후 도 5와 같이 상기 체결구(160)를 제2힌지부(H2)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체결구(160)가 상기 체결부(122)를 감싸면서 고정한다.
상기 체결구(160)에는 조임구(180)가 추가되어 상기 체결부(122)를 고정할 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조임구(18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조임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나, 볼트를 사용하는 것이 시공편의상 유리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의 다른 실시예(100`)는 상술한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100)에서,
상기 철근(RB1, RB2)의 끝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덮개부(120) 및 지지부(140)의 내부에는 각각 덮개부철근지지대(124) 및 지지부철근지지대(144)가 더 설치되어, 상기 철근(RB1, RB2)을 고정하여 연속이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의 다른 실시예를 시공전 펼친 모습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의 다른 실시예에 철근을 거치한 모습이며, 도 9는 도 8에 이어서 덮개부를 덮은 모습이다. 그리고 도 10는 도 9에 이어서 체결구를 사용하여 덮개부를 고정한 모습이다.
본 발명의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의 다른 실시예(100`)는 철근의 이음위치에 도 7과 같이 펼치고, 도 8과 같이 상기 지지부(140)의 철근삽입부(190)에 철근(RB1, RB2)을 상호 중심선이 일치하도록 일직선으로 거치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철근지지대(144) 상부에 상기 철근(RB1, RB2)의 끝단이 위치한다.
그리고 도 9와 같이 제1힌지부(H1)를 중심으로 상기 덮개부(120)를 회전시켜 덮으면 상기 덮개부(120)의 철근삽입부(190) 및 덮개부철근지지대(124)가 상기 철근(RB1, RB2)의 상부를 조이게 된다. 이후 도 10과 같이 상기 체결구(160)를 제2힌지부(H2)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상기 체결구(160)가 상기 체결부(122)를 감싸면서 고정한다.
상기 제2실시예(100`)에서, 상기 체결구(160)에는 조임구(180)가 추가되어 상기 체결부(122)를 고정할 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조임구(18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조임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나, 볼트를 사용하는 것이 시공편의상 유리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H1: 제1힌지부
H2: 제2힌지부
RB1, RB2: 철근
100, 100`: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
120: 덮개부
124: 덮개부철근지지대
122: 체결부
140: 지지부
144: 지지부철근지지대
160: 체결구
180: 조임구
190: 철근삽입부

Claims (7)

  1. 철근공사에서 두 개의 마주하는 철근(RB1, RB2)을 서로 이음하기 위한 것으로,
    판재의 양측단을 아래로 절곡하고 일단에 체결부(122)가 형성된 덮개부(120);
    판재의 양측단을 위로 절곡한 형상으로 일단이 덮개부(120)의 타단과 힌지결합하여 제1힌지부(H1)를 형성하는 지지부(140); 및,
    판재를 ㄷ자로 절곡한 형상으로 끝단이 지지부(140)의 타단과 힌지결합하여 제2힌지부(H2)를 형성하는 체결구(16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덮개부(120)와 지지부(140)가 맞닿는 부분에는 상기 철근(RB1, RB2)이 삽입되는 철근삽입부(19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체결구(160)가 상기 체결부(122)를 고정하여 상기 철근(RB1, RB2)을 고정하여 이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100).
  2. 제1항에서,
    상기 철근삽입부(190)는 인접하여 2개가 형성되어 상기 철근(RB1, RB2)을 고정하여 겹침이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100).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체결구(160)에는 조임구(180)가 추가되어 상기 체결부(122)를 고정할 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100).
  4. 제3항에서,
    상기 조임구(180)로 볼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100).
  5. 제1항에서,
    상기 철근(RB1, RB2)의 끝단을 지지하도록 상기 덮개부(120) 및 지지부(140)의 내부에는 각각 덮개부철근지지대(124) 및 지지부철근지지대(144)가 더 설치되어,
    상기 철근(RB1, RB2)을 고정하여 연속이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100`).
  6. 제5항에서,
    상기 체결구(160)에는 조임구(180)가 추가되어 상기 체결부(122)를 고정할 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100`).
  7. 제6항에서,
    상기 조임구(180)로 볼트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100`).

KR1020110142378A 2011-12-26 2011-12-26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 KR101152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378A KR101152349B1 (ko) 2011-12-26 2011-12-26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2378A KR101152349B1 (ko) 2011-12-26 2011-12-26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2349B1 true KR101152349B1 (ko) 2012-06-11

Family

ID=46607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2378A KR101152349B1 (ko) 2011-12-26 2011-12-26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234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823B1 (ko) 2018-12-12 2019-03-25 최여경 이형철근 이음용 커플러
KR101961819B1 (ko) 2018-12-12 2019-03-25 최여경 이형철근 이음용 커플러
KR101961814B1 (ko) 2019-01-02 2019-03-25 최여경 이형철근 이음용 커플러
KR101961824B1 (ko) 2019-01-02 2019-03-25 최여경 이형철근 이음용 커플러
CN111979922A (zh) * 2020-09-02 2020-11-24 南华大学 一种通过扩孔型螺栓套筒并排搭接钢筋的方法
KR102438807B1 (ko) * 2021-11-30 2022-08-31 최여경 철근 이음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6732A (ja) 2005-06-01 2006-12-14 Nippon Pop Rivets & Fasteners Ltd パイプ等の長尺部材の防振クランプ
KR20080012126A (ko) * 2007-04-23 2008-02-11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원터치식 클립잠금장치를 이용한 기계식 철근이음장치
KR100849742B1 (ko) 2007-01-19 2008-07-31 이종훈 철근 커플러
JP2010196887A (ja) 2009-02-27 2010-09-09 Powrex Corp ヘルールクラン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6732A (ja) 2005-06-01 2006-12-14 Nippon Pop Rivets & Fasteners Ltd パイプ等の長尺部材の防振クランプ
KR100849742B1 (ko) 2007-01-19 2008-07-31 이종훈 철근 커플러
KR20080012126A (ko) * 2007-04-23 2008-02-11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원터치식 클립잠금장치를 이용한 기계식 철근이음장치
JP2010196887A (ja) 2009-02-27 2010-09-09 Powrex Corp ヘルールクランプ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1823B1 (ko) 2018-12-12 2019-03-25 최여경 이형철근 이음용 커플러
KR101961819B1 (ko) 2018-12-12 2019-03-25 최여경 이형철근 이음용 커플러
KR101961814B1 (ko) 2019-01-02 2019-03-25 최여경 이형철근 이음용 커플러
KR101961824B1 (ko) 2019-01-02 2019-03-25 최여경 이형철근 이음용 커플러
CN111979922A (zh) * 2020-09-02 2020-11-24 南华大学 一种通过扩孔型螺栓套筒并排搭接钢筋的方法
KR102438807B1 (ko) * 2021-11-30 2022-08-31 최여경 철근 이음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52349B1 (ko) 개량형 원터치 철근이음 커플러
JP6491030B2 (ja) 斜ケーブルの定着構造
KR20140027701A (ko) 교량의 pc 피어캡 구조 및 프리텐션 pc 피어캡의 생산방법
JP4771861B2 (ja) 鋼構造の補強構造
KR101375346B1 (ko) 철근 커플링용 철근 서포트 지그
JP6308502B2 (ja) 張出し施工におけるプレテンション床版の構築方法
JP2014139370A (ja) 柱‐梁接合部構造とその構築方法
KR101961814B1 (ko) 이형철근 이음용 커플러
KR200426053Y1 (ko) 장선재와 멍에재의 체결구조
JP2010013898A (ja) 鉄骨鉄筋柱の組立方法
JP6346847B2 (ja) 斜ケーブルの定着構造
JP6808250B2 (ja) 屋根遮熱構造及び屋根遮熱工法
KR101426249B1 (ko) Rc-sc 접합부 기계적 이음장치
JP2012057338A (ja) ステンレス鉄筋使用コンクリート構造部材
KR102438807B1 (ko) 철근 이음장치
JP6782887B2 (ja) 開口補強ユニット
KR101961823B1 (ko) 이형철근 이음용 커플러
KR101961824B1 (ko) 이형철근 이음용 커플러
JPH0673203U (ja) 梁−柱接合構造
JP2020007872A (ja) 吊り天井の補強構造
KR101961819B1 (ko) 이형철근 이음용 커플러
KR102626720B1 (ko) 다양한 성능을 개선시킨 복합구조기둥
KR200296951Y1 (ko) 철근콘크리트 슬라브를 위한 데크패널
KR200178957Y1 (ko) 철강 조각을 재활용한 철근 이음장치
JP2009013733A (ja) カプラー使用による突合せ式重ね継手工法と突合せ式重ね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