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6720B1 - 다양한 성능을 개선시킨 복합구조기둥 - Google Patents

다양한 성능을 개선시킨 복합구조기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6720B1
KR102626720B1 KR1020230142240A KR20230142240A KR102626720B1 KR 102626720 B1 KR102626720 B1 KR 102626720B1 KR 1020230142240 A KR1020230142240 A KR 1020230142240A KR 20230142240 A KR20230142240 A KR 20230142240A KR 102626720 B1 KR102626720 B1 KR 102626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column
members
plate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42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충전공영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충전공영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충전공영개발
Priority to KR1020230142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67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6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6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6Columns; Pillars; Struts of materials not covered by groups E04C3/32 or E04C3/34;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3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Composite steel and concrete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5Light-weight girders, e.g. with precast parts
    • E04C5/0653Light-weight girders, e.g. with precast parts with precast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기둥부재; 각각이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결합한 데크트러스거더를 포함하고, 각각이 상기 기둥부재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되, 각각의 상기 데크트러스거더가 상기 기둥부재 방향으로 배치되어 각각의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기둥부재의 외측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데크부재; 및 각각이 상기 기둥부재의 외측 둘레에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데크부재 중 서로 인접하는 데크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 인접하는 데크부재 각각의 단부를 서로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복수개의 코너보강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성능을 개선시킨 복합구조기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양한 성능을 개선시킨 복합구조기둥{COMPOSITE STRUCTURAL COLUMN WITH IMPROVED PERFORMANCE}
본 발명은 내화성능 및 구조성능을 개선시킨 복합구조기둥에 관한 것이다.
기둥의 구조에는 대표적으로 철골조(S, Steel), 철근 콘크리트조(RC, Reinfoced Concrete) 및 철골 철근 콘크리트조(SRC, Steel Reinforced Concrete)가 있다.
철골조는 형강, 강관, 강판 등을 가공 결합하여 기둥, 보 등의 부재를 접합의 방법으로 구조체를 형성하는 구조로서, 강재의 내력은 고온에 대하여 취역성을 갖고 있어 500~600℃에서의 상온강도의 약 1/2, 800℃에서는 거의 0이되기 때문에 내화설계에 의한 내화피복이 필요하고, 또한 강재는 단면에 비해 부재가 세장(細長)하여 변형이나 좌굴을 일으키기가 쉽다는 단점이 있다.
철근 콘크리트조는 콘크리트 안에 철근을 넣어 콘크리트의 단점인 부족한 인장강도 보완한 복잡자재이나, 철근 가공/조립, 거푸집제작/조립, 콘크리트 타설/양생, 거푸집 해체 등 시공 과정이 복잡하고 공사기간이 길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철골 철근 콘크리트조는 철골 둘레에 철근을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것으로 철골조의 장점인 유연함과 철근 콘크리트조 장점인 내화성, 내구성을 모두 갖준 합성구조이나, 철근 콘크리트조와 마찬가지로 시공이 복잡하며 공사 비용이 매우 높은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78522호 (2020.11.09.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공장제작 및 현장시공이 비교적 간단하면서도 내화성능 및 구조성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복합구조기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기둥부재; 각각이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결합한 데크트러스거더를 포함하고, 각각이 상기 기둥부재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되, 각각의 상기 데크트러스거더가 상기 기둥부재 방향으로 배치되어 각각의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기둥부재의 외측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데크부재; 및 각각이 상기 기둥부재의 외측 둘레에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데크부재 중 서로 인접하는 데크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 인접하는 데크부재 각각의 단부를 서로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복수개의 코너보강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부재의 외측면에는, 복수개의 고정금구가 상기 기둥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되, 각각의 상기 고정금구는 절곡된 바(bar) 형태의 부재로 구비되면서, 상기 고정금구의 절곡된 하측 부분은 상기 기둥부재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절곡된 나머지 상측 부분은 상기 기둥부재의 외측면에서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데크부재 각각은,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상기 데크트러스거더의 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너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내측배력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데크부재 각각은, 상기 내측배력근을 상기 기둥부재의 외측면과, 상기 기둥부재의 외측면에서 이격된 상기 고정금구의 상측 부분 사이에 배치시켜, 상기 내측배력근이 상기 고정금구에 걸쳐지게 하는 방식으로 상기 기둥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성능을 개선시킨 복합구조기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둥부재는, 사각 단면을 갖는 중공형 부재로 구비되고, 각각의 외측면에 상기 고정금구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데크부재는, 상기 기둥부재 외측면 각각에 구비된 고정금구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기둥부재 외측 둘레의 네 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성능을 개선시킨 복합구조기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기둥부재의 외측면과 상기 복수개의 데크부재 및 상기 복수개의 코너보강연결부재 내측면 사이에 형성된 타설공간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성능을 개선시킨 복합구조기둥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데크부재의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복수개의 코너보강연결부재는 콘크리트 양생 후 상기 콘크리트 외측면에서 제거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성능을 개선시킨 복합구조기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기둥 자체의 내화성능을 향상시켜 내화뿜칠 및 내화페인트에 대하여 요구되는 내화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기둥의 내화성능뿐만 아니라, 기둥의 구조성능도 함께 향상시켜 최소의 단면으로 경제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공장 선제작 조립으로 현장에서 철근조립, 거푸집 설치 등의 작업이 없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공장 선제작 조립 및 현장설치로 철근조립, 거푸집 설치 등의 작업이 없어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 전 각종 설비전선관을 기둥부재 및 데크부재 공간으로 설치하므로, 각종 설비전선관의 외부노출이 없어 기둥 구조물의 환경 및 유지관리가 효율적인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구조기둥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구조기둥의 전체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구조기둥의 전체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구조기둥의 기둥부재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복합구조기둥을 구성하는 데크부재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구조기둥의 데크부재가 기둥부재에 결합되는 방식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구조기둥의 제작 과정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구조기둥의 기둥부재에 횡방향거더 및 종방향거더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합구조기둥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합구조기둥의 전체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합구조기둥의 전체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합구조기둥의 기둥부재의 상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합구조기둥의 기둥부재에 횡방향거더 및 종방향거더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복합구조기둥(10, 10')은, 기둥부재(100, 100')의 외측 둘레를 둘러싸도록 복수개의 데크부재(200) 및 복수개의 코너보강연결부재(300)를 각각 배치시키고, 기둥부재(100, 100')의 외측 둘레에 배치된 복수개의 데크부재(200) 및 복수개의 코너보강연결부재(300)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내화성능 및 구조성능을 동시에 향상시킨 기둥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복합구조기둥(10, 1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따른 복합구조기둥(10, 10')을 설명함에 있어서, “높이방향”은 각 도면에 표시된 z축 방향을 의미하고, “횡방향”은 x축 방향을 의미하며, “종방향”은 y축 방향을 의미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구조기둥(1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구조기둥(10)은 기둥부재(100), 복수개의 데크부재(200) 및 복수개의 코너보강연결부재(300)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기둥부재(100)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단면을 갖는 중공형 부재로 구비되어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콘크리트 타설공간(S1)을 갖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기둥부재(100)는 일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의 강판(101)을 결합시켜 형성한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기둥부재(100) 각각의 외측면에는 후술하는 데크부재(200)를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금구(110)가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데크부재(200) 결합용 고정금구(110)는 절곡된 바(bar) 형태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금구(110)의 절곡된 일부분은 기둥부재(100)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절곡된 나머지 부분은 기둥부재(100)의 외측면에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고정금구(110)는 한 쌍이 기둥부재(100)의 외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기둥부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고정금구(110)는 기둥부재(100)의 외측면에 용접 등의 방식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둥부재(100)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고정금구(110)에는 후술하는 데크부재(200)가 결합하게 된다.
이어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재(100) 내측에는 스터드볼트(1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좀 더 구체적으로 스터드볼트(130)는 기둥부재(100)의 내측면으로부터 기둥부재(100) 내부의 타설공간(S1) 상으로 일정 길이만큼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스터드볼트(130)는 기둥부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기둥부재(100) 내측의 타설공간(S1) 상에 스터드볼트(130)가 구비됨으로써, 기둥부재(100) 내측의 타설공간(S1) 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였을 때, 기둥부재(100)와 콘크리트 사이의 부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구조기둥(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데크부재(200)가 전술한 기둥부재(100)의 외측 둘레에 각각 배치된다.
여기서, 데크부재(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플레이트(210) 및 플레이트(210)의 일측면에 결합된 데크트러스거더(230)를 포함하는 형태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데크트러스거더(230)는 내측주근(231), 래티스재(233) 및 외측주근(235)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데크트러스거더(230)는 플레이트(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또한 플레이트(210)의 너비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데크부재(200)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데크트러스거더(230) 각각의 단부에 결합하여 플레이트(210)의 너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내측배력근(250)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데크부재(200)에는 플레이트(210)의 너비 방향을 따라 배치되면서 데크트러스거더(230)에 결합한 외측배력근(270)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데크부재(200)는, 내측배력근(250)을 기둥부재(100)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고정금구(110)에 결합시킴으로써 기둥부재(100)에 설치되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한편, 복수개의 데크부재(200)는, 각각이 기둥부재(100)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되,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데크부재(200) 각각의 데크트러스거더(230)가 기둥부재(100) 방향으로 배치되어, 복수개의 데크부재(200) 각각의 플레이트(210)가 기둥부재(100)의 외측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기둥부재(100)가 사각 단면을 갖는 중공형 부재로 구비되는 경우, 복수개의 데크부재(200)는 기둥부재(100) 외측면 각각에 구비된 고정금구(110)에 각각 결합하여, 기둥부재(100) 외측 둘레의 네 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데크부재(200) 각각은, 내측배력근(250)을 기둥부재(100)의 외측면과 고정금구(100)의 절곡 부분 사이에 배치시켜 내측배력근(250)이 고정금구(100)에 걸쳐지게 하는 방식으로 기둥부재(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구조기둥(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코너보강연결부재(300)가 전술한 복수개의 데크부재(200) 중 서로 인접하는 데크부재(200)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 인접하는 데크부재(200) 각각의 단부를 서로 결합하도록 구비된다.
좀 더 구제적으로, 코너보강연결부재(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바부재(310), 절곡플레이트(330) 및 결속부재(350)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결합바부재(310)는 일정한 길이는 갖는 바(bar) 형태이면서 일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절곡플레이트(330)는 너비 방향 양측 단부가 각각 일정 각도로 절곡된 판상형 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절곡플레이트(330)의 너비 방향 중앙 부분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결합바부재(310)가 절곡플레이트(330)에 관통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결속부재(350)는 결합바부재(310)의 일단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일예로 결속부재(350)는 너트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절곡플레이트(330)의 관통공에 결합바부재(310)를 관통시켜 결합바부재(310)에 절곡플레이트(33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결속부재(350)를 결합바부재(310)에 결합시킴으로써, 절곡플레이트(330)를 결합바부재(310)에 결속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기둥부재(100)가 사각 단면을 갖는 중공형 부재로 구비되고, 복수개의 데크부재(200)가 기둥부재(100) 외측 둘레의 네 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경우, 복수개의 코너보강연결부재(300)는 복수개의 데크부재(200) 각 모서리에 부분에 배치되어 서로 인접하는 데크부재(200) 각각의 단부를 서로 결합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코너보강연결부재(300)의 결합 형태를 설명하면, 먼저 결합바부재(310)의 단부가 서로 인접하는 데크부재(200) 각각에 구비된 내측배력근(250)에 결합되거나, 기둥부재(100)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이때 결합바부재(310)의 단부는 용접 등의 방식에 의해 각각의 부재에 접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바부재(310)는 일측 단부가 데크부재(200)에 구비된 내측배력근(250) 또는 기둥부재(100)의 외측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인접하는 데크부재(200)의 플레이트(210) 사이를 통과하도록 기둥부재(10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배치된다.
이어서, 인접하는 데크부재(200)의 플레이트(210) 사이를 통과한 결합바부재(310)의 타측 단부에는 절곡플레이트(330)가 결합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절곡플레이트(330)는 너비 방향 중앙 부분에 형성된 관통공에 결합바부재(310)를 관통시키는 방식으로 결합바부재(31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절곡플레이트(330)는, 절곡된 양측 단부가 인접하는 데크부재(200)의 플레이트(210) 단부에 각각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절곡플레이트(330)의 절곡된 양측 단부를 각각 데크부재(200)의 플레이트(210)에 맞닿게 배치시킨 상태에서, 절곡플레이트(330)를 관통한 결합바부재(310)의 타측 단부에 결속부재(350)를 나사 방식으로 결합시켜 조임으로써, 절곡플레이트(330)의 절곡된 양측 단부 각각을 데크부재(200)의 플레이트(210)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기둥부재(100)의 외측 둘레에 복수개의 데크부재(200)를 각각 배치시킨 상태에서 복수개의 코너보강연결부재(300)를 서로 인접하는 데크부재(200) 사이에 각각 배치시키면, 기둥부재(100)의 외측면과 복수개의 데크부재(200) 및 복수개의 코너보강연결부재(300) 내측면 사이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 타설공간(S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구조기둥(10)은, 복수개의 데크부재(200) 및 복수개의 코너보강연결부재(300)를 사용하여 기둥부재(100)의 외측 둘레에 형성한 타설공간(S2)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기둥부재(100)의 외측 둘레에 형성한 타설공간(S2)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기둥 자체의 내화성능을 향상시켜, 내화뿜칠 및 내화페인트에 대하여 요구되는 내화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구조기둥(10)은, 타설공간(S2)에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한 후, 데크부재(200)의 플레이트(210)와 코너보강연결부재(300)의 절곡플레이트(330)가 각각 콘크리트의 외측면에서 제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데크부재(200)는 플레이트(200)가 데크트러스거더(230)에서 분리되도록 구비되어(탈형데크부재), 콘크리트 양생 후 플레이트(200)를 데크트러스거더(23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코너보강연결부재(300)의 경우 콘크리트 양생 후 결속부재(350)를 결합바부재(310)로부터 제거하고, 절곡플레이트(330)를 결합바부재(3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어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구조기둥(10)의 제작 과정을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101)에 스터드볼트(130)를 각각 용접하여 접합시킨다.
이어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101) 각각을 용접하여 기둥부재(100)를 제작하고, 기둥부재(100)의 외측면에 고정금구(110)를 용접하여 접합시킨다.
이어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금구(110)에 데크부재(200)를 결합시켜, 기둥부재(100)의 외측 둘레에 데크부재(200)를 배치시킨다.
이어서,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데크부재(200) 사이에 코너보강연결부재(300)를 배치시킨 후, 코너보강연결부재(300)를 데크부재(200) 또는 기둥부재(100)에 결합시켜 복합구조기둥(10)의 제작을 완성하게 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구조기둥(10)은, 기둥부재(100)의 외측면에 횡방향거더(20) 및 종방향거더(3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일예로 횡방향거더(20) 및 종방향거더(30)는 용접 등의 방식으로 기둥부재(100)의 외측면에 접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구조기둥(10)은, 기둥의 내화성능뿐만 아니라, 기둥의 구조성능도 함께 향상시켜 최소의 단면으로 경제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공장 선제작 조립으로 현장에서 철근조립, 거푸집 설치 등의 작업이 없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공장 선제작 조립 및 현장설치로 철근조립, 거푸집 설치 등의 작업이 없어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 전 각종 설비전선관을 기둥부재(100) 및 데크부재(200) 공간으로 설치하므로, 각종 설비전선관의 외부노출이 없어 기둥 구조물의 환경 및 유지관리가 효율적인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10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합구조기둥(10')의 각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합구조기둥(10')은 기둥부재(100'), 복수개의 데크부재(200) 및 복수개의 코너보강연결부재(300)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기둥부재(100')는 도 11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102') 및 웨브(103')를 포함하는 H형강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기둥부재(100')의 플랜지(102')측 및 웨브(103')측에는 데크부재(200)를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금구(111', 112')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데크부재(200) 결합용 고정금구(111', 112')는 절곡된 바(bar) 형태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먼저 플랜지(102')측 고정금구(111')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된 일부분이 플랜지(102')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절곡된 나머지 부분은 플랜지(102')의 외측면에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플랜지(102')측 고정금구(111')는 한 쌍이 플랜지(102')의 외측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플랜지(1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고, 각각의 고정금구(111')는 플랜지(102')의 외측면에 용접 등의 방식에 의해 접합될 수 있다.
한편, 웨브(103')측 고정금구(112')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브(103')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면서 양 플랜지(102') 사이에 배치되고, 양 단부가 각각 양 플랜지(102')에 결합된 설치판(150')에 결합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웨브(103')측 고정금구(112')는 절곡된 일부분이 설치판(150')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절곡된 나머지 부분은 설치판(150')의 외측면에서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웨브(103')측 고정금구(112')는 한 쌍이 설치판(150')의 외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설치판(150')에 결합된 형태로 구비되는 웨브(103')측 고정금구(112')는 기둥부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플랜지(102')측 및 웨브(103')측 각각에 구비되는 고정금구(111', 112')에는 후술하는 데크부재(200)가 결합하게 된다.
이어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재(100')에는 종방향거더(30)가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거더설치부재(1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거더설치부재(170')는 T자형 부재로 구비되어, 단부 각각이 기둥부재(100')의 플랜지(102') 및 웨브(103')에 접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외측면에는 거더 체결용 체결편이 구비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합구조기둥(10')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데크부재(200)가 전술한 기둥부재(100')의 외측 둘레에 각각 배치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합구조기둥(10')을 구성하는 데크부재(20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구조기둥(10)을 구성하는 데크부재(200)와 마찬가지로, 기본적으로 플레이트(210) 및 플레이트(210)의 일측면에 결합된 데크트러스거더(230)를 포함하는 형태의 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데크트러스거더(230)는 내측주근(231), 래티스재(233) 및 외측주근(235)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데크트러스거더(230)는 플레이트(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또한 플레이트(210)의 너비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데크부재(200)에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데크트러스거더(230) 각각의 단부에 결합하여 플레이트(210)의 너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내측배력근(250)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또한 데크부재(200)에는 플레이트(210)의 너비 방향을 따라 배치되면서 데크트러스거더(230)에 결합한 외측배력근(270)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데크부재(200)는, 내측배력근(250)을 기둥부재(100')에 구비되는 고정금구(111', 112')에 결합시킴으로써 기둥부재(100')에 설치되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한다.
한편, 복수개의 데크부재(200)는, 각각이 기둥부재(100')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되,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데크부재(200) 각각의 데크트러스거더(230)가 기둥부재(100) 방향으로 배치되어, 복수개의 데크부재(200) 각각의 플레이트(210)가 기둥부재(100)의 외측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기둥부재(100')가 플랜지(102') 및 웨브(103')를 포함하는 H형강 부재로 구비되는 경우, 복수개의 데크부재(200)는 기둥부재(100')의 플랜지(102')측 및 웨브(103')측 각각에 구비된 고정금구(111', 112')에 각각 결합하여, 기둥부재(100) 외측 둘레의 네 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재(100')의 플랜지(102')측에 배치되는 데크부재(200) 각각은, 내측배력근(250)을 기둥부재(100') 플랜지(102') 외측면과 고정금구(111')의 절곡 부분 사이에 배치시켜 내측배력근(250)이 고정금구(111')에 걸쳐지게 하는 방식으로 기둥부재(100')의 플랜지(102')측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기둥부재(100')의 웨브(103')측에 배치되는 데크부재(200) 각각은, 내측배력근(250)을 기둥부재(100')에 결합된 설치판(150') 외측면과 고정금구(112')의 절곡 부분 사이에 배치시켜 내측배력근(250)이 고정금구(112')에 걸쳐지게 하는 방식으로 기둥부재(100')의 웨브(103')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합구조기둥(10')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코너보강연결부재(300)가 전술한 복수개의 데크부재(200) 중 서로 인접하는 데크부재(200)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 인접하는 데크부재(200) 각각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비된다.
좀 더 구제적으로, 코너보강연결부재(30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구조기둥(10)을 구성하는 코너보강연결부재(300)와 마찬가지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바부재(310), 절곡플레이트(330) 및 결속부재(350)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결합바부재(310)는 일정한 길이는 갖는 바(bar) 형태이면서 일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절곡플레이트(330)는 너비 방향 양측 단부가 각각 일정 각도로 절곡된 판상형 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절곡플레이트(330)의 너비 방향 중앙 부분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결합바부재(310)가 절곡플레이트(330)에 관통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결속부재(350)는 결합바부재(310)의 일단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일예로 결속부재(350)는 너트 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절곡플레이트(330)의 관통공에 결합바부재(310)를 관통시켜 결합바부재(310)에 절곡플레이트(330)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결속부재(350)를 결합바부재(310)에 결합시킴으로써, 절곡플레이트(330)를 결합바부재(310)에 결속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기둥부재(100')가 플랜지(102') 및 웨브(103')를 포함하는 H형강 부재로 구비되고, 복수개의 데크부재(200)가 기둥부재(100') 외측 둘레의 네 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경우, 복수개의 코너보강연결부재(300)는 복수개의 데크부재(200) 각 모서리에 부분에 배치되어 서로 인접하는 데크부재(200) 각각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13를 참조하여 코너보강연결부재(300)의 결합 형태를 설명하면, 먼저 결합바부재(310)의 단부가 서로 인접하는 데크부재(200) 각각에 구비된 내측배력근(250)에 결합되거나, 기둥부재(100')의 플랜지(102') 외측면에 결합되며, 이때 결합바부재(310)의 단부는 용접 등의 방식에 의해 각각의 부재에 접합될 수 있다.
또한, 결합바부재(310)는 일측 단부가 데크부재(200)에 구비된 내측배력근(250) 또는 기둥부재(100')의 플랜지(102') 외측면에 결합된 상태에서, 인접하는 데크부재(200)의 플레이트(210) 사이를 통과하도록 기둥부재(10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 배치된다.
이어서, 인접하는 데크부재(200)의 플레이트(210) 사이를 통과한 결합바부재(310)의 타측 단부에는 절곡플레이트(330)가 결합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절곡플레이트(330)는 너비 방향 중앙 부분에 형성된 관통공에 결합바부재(310)를 관통시키는 방식으로 결합바부재(31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절곡플레이트(330)는, 절곡된 양측 단부가 인접하는 데크부재(200)의 플레이트(210) 단부에 각각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절곡플레이트(330)의 절곡된 양측 단부를 각각 데크부재(200)의 플레이트(210)에 맞닿게 배치시킨 상태에서, 절곡플레이트(330)를 관통한 결합바부재(310)의 타측 단부에 결속부재(350)를 나사 방식으로 결합시켜 조임으로써, 절곡플레이트(330)의 절곡된 양측 단부 각각을 데크부재(200)의 플레이트(210)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기둥부재(100')의 외측 둘레에 복수개의 데크부재(200)를 각각 배치시킨 상태에서 복수개의 코너보강연결부재(300)를 서로 인접하는 데크부재(200) 사이에 각각 배치시키면, 기둥부재(100')의 외측면과 복수개의 데크부재(200) 및 복수개의 코너보강연결부재(300) 내측면 사이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 타설공간(S')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합구조기둥(10')은, 복수개의 데크부재(200) 및 복수개의 코너보강연결부재(300)를 사용하여 기둥부재(100')의 외측 둘레에 형성한 타설공간(S')에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기둥부재(100')의 외측 둘레에 형성한 타설공간(S')에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기둥 자체의 내화성능을 향상시켜, 내화뿜칠 및 내화페인트에 대하여 요구되는 내화시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합구조기둥(10')은, 타설공간(S')에 타설된 콘크리트를 양생한 후, 데크부재(200)의 플레이트(210)와 코너보강연결부재(300)의 절곡플레이트(330)가 각각 콘크리트의 외측면에서 제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데크부재(200)는 플레이트(200)가 데크트러스거더(230)에서 분리되도록 구비되어(탈형데크부재), 콘크리트 양생 후 플레이트(200)를 데크트러스거더(23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코너보강연결부재(300)의 경우 콘크리트 양생 후 결속부재(350)를 결합바부재(310)로부터 제거하고, 절곡플레이트(330)를 결합바부재(31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합구조기둥(10')은, 기둥부재(100')의 플랜지(102')측 및 웨브(103')측 각각에 횡방향거더(20) 및 종방향거더(3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일예로 횡방향거더(20)는 용접 등의 방식으로 기둥부재(100')의 플랜지(102')에 접합될 수 있으며, 종방향거더(30)는 기둥부재(100')에 결합된 거더설치부재(170')에 체결되는 방식으로 기둥부재(100')의 웨브(103')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합구조기둥(10')은, 기둥의 내화성능뿐만 아니라, 기둥의 구조성능도 함께 향상시켜 최소의 단면으로 경제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공장 선제작 조립으로 현장에서 철근조립, 거푸집 설치 등의 작업이 없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공장 선제작 조립 및 현장설치로 철근조립, 거푸집 설치 등의 작업이 없어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 전 각종 설비전선관을 기둥부재(100) 및 데크부재(200) 공간으로 설치하므로, 각종 설비전선관의 외부노출이 없어 기둥 구조물의 환경 및 유지관리가 효율적인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10' : 복합구조기둥
20 : 횡방향거더
30 : 종방향 거더
100, 100' : 기둥부재
S1, S2, S' : 타설공간
101 : 강판
102' : 플랜지
103' : 웨브
110, 111', 112' : 고정금구
130 : 스터드볼트
150' : 설치판
170' : 거더설치부재
200 : 데크부재
210 : 플레이트
230 : 데크트러스거더
231 : 내측주근
233 : 래티스재
235 : 외측주근
250 : 내측배력근
270 : 외측배력근
300 : 코너보강연결부재
310 : 결합바부재
330 : 절곡플레이트
350 : 결속부재

Claims (4)

  1.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기둥부재;
    각각이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의 일측면에 결합한 데크트러스거더를 포함하고, 각각이 상기 기둥부재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되, 각각의 상기 데크트러스거더가 상기 기둥부재 방향으로 배치되어 각각의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기둥부재의 외측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데크부재; 및
    각각이 상기 기둥부재의 외측 둘레에 배치된 상기 복수개의 데크부재 중 서로 인접하는 데크부재 사이에 배치되어, 서로 인접하는 데크부재 각각의 단부를 서로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복수개의 코너보강연결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부재의 외측면에는, 복수개의 고정금구가 상기 기둥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되,
    각각의 상기 고정금구는 절곡된 바(bar) 형태의 부재로 구비되면서, 상기 고정금구의 절곡된 하측 부분은 상기 기둥부재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절곡된 나머지 상측 부분은 상기 기둥부재의 외측면에서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데크부재 각각은,
    상기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상기 데크트러스거더의 단부에 결합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너비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내측배력근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데크부재 각각은,
    상기 내측배력근을 상기 기둥부재의 외측면과, 상기 기둥부재의 외측면에서 이격된 상기 고정금구의 상측 부분 사이에 배치시켜, 상기 내측배력근이 상기 고정금구에 걸쳐지게 하는 방식으로 상기 기둥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성능을 개선시킨 복합구조기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는,
    사각 단면을 갖는 중공형 부재로 구비되고, 각각의 외측면에 상기 고정금구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개의 데크부재는,
    상기 기둥부재 외측면 각각에 구비된 고정금구에 각각 결합하여, 상기 기둥부재 외측 둘레의 네 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성능을 개선시킨 복합구조기둥.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재의 외측면과 상기 복수개의 데크부재 및 상기 복수개의 코너보강연결부재 내측면 사이에 형성된 타설공간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성능을 개선시킨 복합구조기둥.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데크부재의 상기 플레이트와 상기 복수개의 코너보강연결부재는 콘크리트 양생 후 상기 콘크리트 외측면에서 제거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성능을 개선시킨 복합구조기둥.
KR1020230142240A 2023-06-28 2023-10-23 다양한 성능을 개선시킨 복합구조기둥 KR102626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42240A KR102626720B1 (ko) 2023-06-28 2023-10-23 다양한 성능을 개선시킨 복합구조기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3222A KR102615162B1 (ko) 2023-06-28 2023-06-28 다양한 성능을 개선시킨 복합구조기둥
KR1020230142240A KR102626720B1 (ko) 2023-06-28 2023-10-23 다양한 성능을 개선시킨 복합구조기둥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3222A Division KR102615162B1 (ko) 2023-06-28 2023-06-28 다양한 성능을 개선시킨 복합구조기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6720B1 true KR102626720B1 (ko) 2024-01-18

Family

ID=8938525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3222A KR102615162B1 (ko) 2023-06-28 2023-06-28 다양한 성능을 개선시킨 복합구조기둥
KR1020230142240A KR102626720B1 (ko) 2023-06-28 2023-10-23 다양한 성능을 개선시킨 복합구조기둥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3222A KR102615162B1 (ko) 2023-06-28 2023-06-28 다양한 성능을 개선시킨 복합구조기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1516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7188A (ja) * 1994-05-24 1995-12-05 Kondo Kozai Kk 鉄筋コンクリ−ト構造物の施工方法
JPH10196047A (ja) * 1997-01-17 1998-07-28 Ohbayashi Corp 鋳造鉄板および鋳造鉄板を用いた柱の構築方法
KR102178522B1 (ko) 2019-01-21 2020-11-13 구자혁 내진설계에 적합한 철골 기둥 및 보의 결합 구조물
KR20210068270A (ko) * 2019-11-30 2021-06-09 이병준 기둥부재와 보의 보강구조물
KR102328530B1 (ko) * 2020-12-17 2021-11-18 (주)씨지스플랜 거푸집과 밴드를 일체로 구비하는 선조립 기둥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7188A (ja) * 1994-05-24 1995-12-05 Kondo Kozai Kk 鉄筋コンクリ−ト構造物の施工方法
JPH10196047A (ja) * 1997-01-17 1998-07-28 Ohbayashi Corp 鋳造鉄板および鋳造鉄板を用いた柱の構築方法
KR102178522B1 (ko) 2019-01-21 2020-11-13 구자혁 내진설계에 적합한 철골 기둥 및 보의 결합 구조물
KR20210068270A (ko) * 2019-11-30 2021-06-09 이병준 기둥부재와 보의 보강구조물
KR102328530B1 (ko) * 2020-12-17 2021-11-18 (주)씨지스플랜 거푸집과 밴드를 일체로 구비하는 선조립 기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5162B1 (ko) 202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4204B2 (en) Architectured reinforcement structure
CN108867889B (zh) 一种预制钢筋混凝土叠合梁与钢管柱连接节点的施工方法
KR102079008B1 (ko) 단부모멘트 및 휨 저항력이 보강된 보와 기둥의 이-지(ez) 결합구조
KR101868677B1 (ko) 메인 철골보와 보조 철골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연결방법
KR20120074130A (ko) 스틸 콘크리트 합성기둥구조
CA2271403A1 (en) Bolted metal joist
KR20060024850A (ko) 철골-콘크리트 샌드위치 합성보 및 이를 이용한 고강성합성 구조 시스템
KR20120099822A (ko) ㄱ형강을 이용한 선조립 철골철근콘크리트(psrc) 기둥 공법
KR20130088246A (ko) 복부파형강판 콘크리트 합성거더의 조립식 연결구조
KR101258842B1 (ko) 공장조립 철근기둥과 철근보의 현장접합부
KR20130139029A (ko) H 형강을 이용한 건축 모듈러 기둥 접합구조
JP2010007235A (ja) 波形鋼板取付構造、及び波形鋼板取付構造を有する建物
KR100343960B1 (ko) 강콘크리트 구조시스템
KR20220030200A (ko) 트러스거더 모듈형 벽체 데크플레이트
KR101520033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복합 트러스 거더
JP6173696B2 (ja) 柱・梁接合方法
KR102626720B1 (ko) 다양한 성능을 개선시킨 복합구조기둥
KR102120884B1 (ko) Rc 벽체와 합성보 간 접합구조가 개선된 건축 구조물 시공방법
KR100626543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와 철골보의 합성구조 및, 철골보접합용 브라켓이 구비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
KR101825580B1 (ko) 철골-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보
JP2010013898A (ja) 鉄骨鉄筋柱の組立方法
JP7163560B2 (ja) ブレースの接合構造
KR101204279B1 (ko) 프리스트레싱 강거더교
KR20210154595A (ko) 플랜지 결합부를 구비한 결합조립체를 이용한 기둥-보의 결합구조 및 기둥-보 시공방법
JP6368538B2 (ja) 耐火架構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