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8832Y1 - 자동차용머플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머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832Y1
KR200228832Y1 KR2019980012469U KR19980012469U KR200228832Y1 KR 200228832 Y1 KR200228832 Y1 KR 200228832Y1 KR 2019980012469 U KR2019980012469 U KR 2019980012469U KR 19980012469 U KR19980012469 U KR 19980012469U KR 200228832 Y1 KR200228832 Y1 KR 2002288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ffler
noise
tube
torso
por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24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2576U (ko
Inventor
이은우
Original Assignee
이은우
동원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우, 동원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은우
Priority to KR20199800124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832Y1/ko
Publication of KR200000025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25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8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832Y1/ko

Links

Landscapes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성이 간소하면서 뛰어난 소음작용을 제공하도록 고안된 자동차용 머플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머플러는 양단에 엔드플레이트(104)(105)가 배치된 원통형의 몸통(101)을 가지고, 그 몸통(101)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다공형 인너튜브(102)가 설치되며, 상기 인너튜브(102)외측에 흡음재(103)가 배치되어 있는 전부 머플러(100)와,
양단에 엔드플레이트(204)(205)가 배치된 타원형의 몸통(201)을 가지고, 그 몸통(201)내부의 공간이 이 몸통(201)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격벽(202)(203)(203')들을 통해 복수의 소음 공간부(210)(211)(212)(213)들로 분리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격벽(202)(203)(203')들의 적소를 관통하여서는 소음 공간부(212)와 연통되는 다수의 구멍(206a)들을 가진 다공형 흡입관(206)과 소음 공간부(212)와 연통되는 다수의 구멍(207a)들을 가진 다공형 바이패스관(207)과 직관형 바이패스관(208) 및 직관형 배출관(209)이 조합배치되어 있는 후부 머플러(200)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머플러
본 고안은 자동차에 설치사용되는 소음장치인 머플러(Muffler)의 개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형의 몸체내부에 개선된 소음수단들을 설치구비한 전부(前部) 머플러와 타원형의 몸체내부에 개선된 소음수단들을 설치구비한 후부(後部) 머플러의 조합구성에 의해 우수한 소음작용을 제공하면서 제작이 용이하고 오랜 수명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자동차용 머플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자동차용 머플러는 그동안 많은 종류의 것들이 제안사용되어온 바 있으나,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한 것은 소음효과가 미흡하고, 소음효과가 좋은 것은 지나치게 복잡다단한 구성으로 제작이 어려우면서 그 소음작용 및 수명이 조기에 저하되는 문제점들을 지니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효과있게 해소하여 우수한 소음작용을 제공하면서 제작이 쉽고 오랜 수명을 유지제공하는 더욱 개선된 자동차용 머플러를 제공할 목적으로 연구고안된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중 전부 머플러의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중 후부 머플러의 단면도,
도3은 도2의 A-A선 단면도,
도4는 도2의 B-B선 단면도,
도5는 도2에 도시된 후부 머플러의 좌측면도,
도6은 도2에 도시된 후부 머플러의 우측면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전부 머플러 101:전부 머플러 몸통 102:인너튜브
103:흡음재 104,105:엔드플레이트 200:후부 머플러
201:후부 머플러 몸통 202,203,203':격벽 202a,203a:격벽응축수통로
204,205:엔드플레이트 204a,204b,205a,205b:모양부
206:흡입관 207,208:바이패스관 209:배출관
210,211,212,213:소음 공간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양단에 엔드플레이트(End Plate)가 배치된 원통형 단면형상의 몸통을 가지고 그 원통형 몸통의 중앙을 관통하여 다공형의 인너튜브(Inner Tube)가 설치되며 상기 다공형 인너튜브 둘레에는 엔드리스 타입(Endlees Type)의 흡음재가 배치되어 구성된 전부 머플러와, 양단에 엔드플레이트가 배치된 타원형 단면형상의 몸통을 가지고 그 타원형 몸통의 내부공간이 복수의 격벽들에 의해 복수의 소음 공간부들로 분리형성되며 상기 격벽들의 적소를 관통하여 다공형 흡입관 및 다공형 바이패스관(Bypass Tube), 그리고 직관형 바이패스관 및 직관형 배출관이 조합배치되어 구성된 후부 머플러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머플러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머플러는 도1에 예시된 바와 같은 전부 머플러(100)와, 도2∼도6에 예시된 바와 같은 후부 머플러(200)의 조합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부 머플러(100)는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단부에 엔드플레이트(104)(105)가 결합설치되는 원통형 단면형상의 몸통(101)을 가지고, 그 원통형몸통(101)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다수의 구멍(102a)들이 일정 간격패턴으로 뚫리어 형성되어 있는 다공형 인너튜브(102)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다공형 인너튜브(102)외측에는 엔드리스 타입의 흡음재(103)가 배치되어 있는 그러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후부 머플러(200)는 도2∼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단부에 도시된 형태의 엔드플레이트(204)(205)가 결합설치되는 타원형 단면형태의 몸통(201)을 가지고, 그 타원형 몸통(201)내부에 복수의 격벽(202)(203)(203')들이 설치되어 상기 몸통(201)의 내부공간이 복수의 소음 공간부(210)(211)(212)(213)들로 분리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격벽(202)(203)(203')들의 적소를 관통하여서는 그 몸통 적소에 다수의 구멍(206a)들이 형성되어 있는 다공형 흡입관(206)과, 역시 그 몸통적소에 다수의 구멍(207a)들이 형성되어 있는 다공형 바이패스관(207)과, 구멍들이 없는 직관형 바이패스관(208) 및 직관형 배출관(209)이 도시된 형태로 조합배치되어 있는 그러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다공형 흡입관(206) 및 다공형 바이패스관(207)의 구멍(206a)(207a)들은 소음 공간부(212)로 함께 연통되어 있다.
상기 후부 머플러(200)에 있어서 다공형 흡입관(206)은 격벽(202)(203)(203')들의 적소를 관통하여 나온 그 일측단부가 소음 공간부(210)에 연통되어 있음과 동시에 타측단부는 엔드플레이트(205)를 관통하여 그 외측과 연통하여 있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다공형 바이패스관(207)은 격벽(202)(203)(203')들의 적소를 관통하여 나온 그 일측단부가 소음 공간부(210)에 연통되어 있는 동시에 타측단부는 소음 공간부(213)에 연통된 상태로 후부 머플러 몸통(201)내에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직관형 바이패스관(208)은 격벽(203)(203')들의 적소를 관통하여 나온 그 일측단부가 소음 공간부(211)에 연통되어 있는 동시에 타측단부는 소음 공간부(213)에 연통된 상태로 후부 머플러 몸통(201)내에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직관형 배출관(209)은 격벽(203)(203')들의 적소를 관통하여 나온 그 일측단부가 확대된 직경의 플레어링 타입(Flaring Type) 단부를 가지고 소음 공간부(211)에 연통되어 있는 동시에 타측단부는 엔드플레이트(205)를 관통하여 그 외측과 연통하여 있는 상태로 후부 머플러 몸통(201)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후부 머플러 몸통(201)에 있어서 몸통(201)내면과 격벽(202)(203)(203')들 사이에는 도3,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은 격벽응축수통로(202a)(203a)가 형성되어 있고, 엔드플레이트(204)(205)에는 각 엔드플레이트(204)(205)의 강도를 보강해 주면서 음의 외부방사를 억제하여 주는 적정의 모양부(204a)(204b)및 모양부(205a)(205b)가 도5, 도6과 같은 예의 형태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후부 머플러(200)는 그 흡입관(206)의 선단부가 통상의 연결관 수단을 통해 앞에서 설명한 전부 머플러(100)의 인너튜브(102) 후단부에 연결설치된다.
작용에 있어서, 전부 머플러(100)의 인너튜브(102)내로 인입된 엔진 배기가스는 상기 인너튜브(102)에 관통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구멍(102a)들을 통해 상기 인너튜브(102)및 전부 머플러 몸통(101)사이의 공간으로 배출팽창되면서 상기 전부 머플러 몸통(101) 및 인너튜브(102)사이의 공간내에 배치되어 있는 흡음재(103)에 의한 음의 감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전부 머플러(100)를 거쳐 후부 머플러(200)의 다공형 흡입관(206)내로 인입된 배기가스는 그중 일부가 상기 흡입관(206)의 구멍(206a)들을 통해 소음 공간부(212)내로 배출팽창되고 나머지는 동 흡입관(206)의 말단을 통해 소음 공간부(210)내로 배출팽창되면서 음의 감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흡입관(206)으로부터 소음 공간부(210)내로 배출팽창하여 음의 감쇄가 이루어진 배기가스는 상기 소음 공간부(210)의 다른 쪽에 연통설치되어 있는 다공형 바이패스관(207)내로 인입되어지고, 이 바이패스관(207)내로 인입된 배기가스는 그중 일부가 상기 바이패스관(207)에 나있는 구멍(207a)들을 통해 소음 공간부(212)내로 배출되어 앞서의 흡입관(206)의 구멍(206a)들을 통해 소음 공간부(212)내로 배출되는 가스와 상충하여 음의 감쇄가 이루어지게 되며, 나머지 가스는 상기 바이패스관(207) 말단부를 통해 소음 공간부(213)내로 배출팽창되면서 음의 감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다공형 바이패스관(207)을 통해 소음 공간부(213)내로 배출팽창된 배기가스는 상기 소음 공간부(213)내로 배출팽창된 배기가스는 상기 소음 공간부(213)의 다른 쪽에 연통설치되어 있는 직관형 바이패스관(208)을 통해 소음 공간부(211)내로 배출팽창되면서 재차 음의 감쇄가 이루어지고, 이어서 상기 직관형 바이패스관(208)을 통해 소음 공간부(211)내로 배출팽창된 배기가스는 상기 소음 공간부(211)의 다른 쪽에 연통설치되어 있는 직관형 배출관(209)을 최종 통과하여 거의 완전히 소음된 상태로 대기중에 방출되어진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간소하고 효율적인 구성을 각각 지니는 전부 머플러(100) 및 후부 머플러(200)의 이상적인 조합구성에 의해 제작이 쉽고 고장없이 오랜 수명을 유지하면서 매우 우수한 소음작용을 제공하도록 되어 있는 머플러임을 잘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부 머플러(100)에 설치되는 흡음재(103)로서는 엔드리스 타입의 흡음재를 사용하여 배기가스의 배출력에 의해 불려 나가는 현상(Blow Out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종래에 통상적으로 사용되어 온 소위 성형 타입의 흡음재에 비해 훨씬 뛰어난 내구성을 유지제공한다. 또한, 상기 후부 머플러(200)의 몸통(201)내면과 격벽(202)(203)(203')들간의 적소에는 도3,도4의 예에서 보는 바와 같은 격벽응축수통로(202a(203a)가 형성제공되어 있는데, 이 격벽응축수통로(202a)(203a)는 배기가스의 냉각에 의해 생성되는 응축수가 배출관(209)으로 쉽게 빠져 나가도록 하는 유동통로역할을 제공함으로써 배기가스 응축수에 의한 후부 머플러 몸통(201) 및 그 내부 구조물들의 부식을 감소시켜 주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후부 머플러(200)의 양쪽 엔드플레이트(204)(205)에는 도5,도6의 예와 같이 상기 각 엔드플레이트(204)(205)를 통한 음의 외부방사를 억제하면서 이들 각 엔드플레이트(204)(205)의 강도를 보강하여 주는 적정의 모양부(204a)(204b)및 모양부(205a)(205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머플러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간소하고 효율적인 구성으로 다단계의 매우 효과적인 소음작용을 제공하는 전부 머플러(100) 및 후부 머플러(200)의 이상적인 조합구성에 의해 우수한 소음작용을 제공하면서 제작이 용이하고 오랜 수명을 유지제공하는 효과를 지닌 것이다.

Claims (1)

  1. 양단에 엔드플레이트(104)(105)가 배치된 원통형의 몸통(101)을 가지고, 그 몸통(101)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다공형 인너튜브(102)가 설치되며, 상기 인너튜브(102)외측에 엔드리스 타입 흡음재(103)가 배치되어 있는 전부 머플러(100)와,
    양단에 엔드플레이트(204)(205)가 배치된 타원형의 몸통(201)을 가지고, 그 몸통(201)내부의 공간이 이 몸통(201)내부에 설치된 복수의 격벽(202)(203)(203')들을 통해 복수의 소음 공간부(210)(211)(212)(213)들로 분리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격벽(202)(203)(203')들의 적소를 관통하여서는 소음 공간부(212)와 연통되는 다수의 구멍(206a)들을 가진 다공형 흡입관(206)과 소음 공간부(212)와 연통되는 다수의 구멍(207a)들을 가진 다공형 바이패스관(207)과 직관형 바이패스관(208) 및 직관형 배출관(209)이 조합배치되어 있는 후부 머플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후부 머플러(200)의 몸통(201)내면과 격벽(202)(203)(203')들사이의 적소에 격벽응축수통로(202a)(203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후부 머플러(200)의 엔드플레이트(204)(205)에 모양부(204a)204b)및 모양부(205a)(205b)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머플러.
KR2019980012469U 1998-07-08 1998-07-08 자동차용머플러 KR2002288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469U KR200228832Y1 (ko) 1998-07-08 1998-07-08 자동차용머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2469U KR200228832Y1 (ko) 1998-07-08 1998-07-08 자동차용머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576U KR20000002576U (ko) 2000-02-07
KR200228832Y1 true KR200228832Y1 (ko) 2001-09-17

Family

ID=69518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2469U KR200228832Y1 (ko) 1998-07-08 1998-07-08 자동차용머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83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905Y1 (ko) 2008-06-20 2010-08-18 동원테크 주식회사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55586Y1 (ko) 2009-09-18 2011-09-15 동원테크 주식회사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55587Y1 (ko) 2009-09-18 2011-09-15 동원테크 주식회사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56357Y1 (ko) 2010-06-15 2011-10-27 동원테크 주식회사 자동차용 소음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905Y1 (ko) 2008-06-20 2010-08-18 동원테크 주식회사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55586Y1 (ko) 2009-09-18 2011-09-15 동원테크 주식회사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55587Y1 (ko) 2009-09-18 2011-09-15 동원테크 주식회사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56357Y1 (ko) 2010-06-15 2011-10-27 동원테크 주식회사 자동차용 소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2576U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43818B2 (ja) エンジンの消音器
JPS582410A (ja) 消音器
US5183977A (en) Muffler assembly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228832Y1 (ko) 자동차용머플러
KR200209077Y1 (ko) 자동차용 머플러
KR200209078Y1 (ko) 자동차용 머플러
JP4567851B2 (ja) サイレンサー
KR100360909B1 (ko) 배기 소음 감쇄를 위한 머플러 장치
JP4398800B2 (ja) エンジンの消音器
KR200171860Y1 (ko) 자동차용 머플러
KR200171861Y1 (ko) 자동차용 머플러
KR200171858Y1 (ko) 자동차용 머플러
KR200307951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0307952Y1 (ko) 자동차용 소음기
JP2729188B2 (ja) 自動車用消音器
KR200171859Y1 (ko) 자동차용 머플러
KR100482517B1 (ko) 자동차용 소음 저감형 머플러 구조
KR20200006743A (ko) 차량용 헬름홀츠 소음기
JPS6138114A (ja) エンジンの排気消音装置
KR200183228Y1 (ko) 중장비의 소음기
KR200209076Y1 (ko) 자동차용 머플러
JP3008463B2 (ja) エンジン用マフラ
KR19980045754A (ko) 소음기용 유도관
JP2004340118A (ja) 自動二輪車用エンジンのマフラ構造
JP2005344640A (ja) 自動車用消音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