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9077Y1 - 자동차용 머플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머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9077Y1
KR200209077Y1 KR2020000022153U KR20000022153U KR200209077Y1 KR 200209077 Y1 KR200209077 Y1 KR 200209077Y1 KR 2020000022153 U KR2020000022153 U KR 2020000022153U KR 20000022153 U KR20000022153 U KR 20000022153U KR 200209077 Y1 KR200209077 Y1 KR 2002090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ffler
space
pipe
discharge pipe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1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우
Original Assignee
동원정공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원정공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원정공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21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0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0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077Y1/ko

Links

Landscapes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머플러의 개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작성과 내구성이 우수하면서 뛰어난 소음감쇄작용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자동차용 머플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사다리꼴 단면형상의 몸체(101)와 이 몸체(101) 내부에 배치된 다공형 튜우브로 된 흡입관(102) 및 배출관(103), 그리고 다수의 구멍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101) 내부의 공간을 복수의 공간부(106)(107)(108)들로 분할하는 격벽(104)(105)들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엔진으로부터의 배기가스가 상기 흡입관(102)을 통해 격벽(104)으로 빠져 배출관(103)과 격벽(105)으로 빠지도록 되어 있는 전부 머플러(100)와, 사다리꼴 단면형상의 몸체(201)와 이 몸체(201) 내부에 배치된 흡입관(202)과 배출관(204), 바이패스 튜우브(203), 다수의 구멍들을 가지고 상기 몸체(201) 내부공간을 복수의 공간부(209)(210)(211)들로 분할하는 격벽(205)(206)들, 및 상기 공간부(210)내에 충전된 흡음재(208)를 포함하여 구성된 후부 머플러(200)의 조합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머플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머플러{IMPROVEMENTS IN MUFFLER FOR USE IN AUTOMOBILES}
본 고안은 자동차에 있어서 배기소음 감쇄수단으로 설치사용되는 머플러의 개선에 관한 것으로, 사다리꼴 형상의 전부 머플러 및 후부 머플러의 조합구성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머플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이 관련된 자동차용 머플러는 보통 관상의 머플러 몸통내부에 다공형 튜우브, 격벽, 직관, 흡음재, 레조네이트(resonate) 등의 부품들을 조합설치하여 구성되며, 엔진에서 발생된 고온, 고압의 폭발음을 가진 배기가스가 전부 및 후부 머플러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소음의 감쇄가 이루어지게 된다.
현재, 이러한 자동차용 머플러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품질 수준은 날로 높아져서 머플러의 구조가 점점 복잡다단해져 가고 있으나, 자동차의 전체적인 설계 제작조건들을 감안하여 해당 자동차에 알맞는 제작성과 내구성 및 우수한 소음감쇄작용을 동시에 만족하는 머플러를 제작 제공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가 되고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배경에서 연구고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자동차용 머플러로서의 제작성 및 내구성이 양호하면서 내부구조의 음향 튜닝을 통해 매우 효과적이고 우수한 소음감쇄 작용을 제공할 수 있는 자동차용 머플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중 전부 머플러의 정단면도,
도2는 전부 머플러의 일측 측단면도,
도3은 전부 머플러의 타측 측단면도,
도4는 본 고안중 후부 머플러의 정단면도,
도5는 후부 머플러의 일측 측단면도,
도6은 후부 머플러의 타측 측단면도.
* 도면중 주요 부부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전부 머플러 101 : 전부 머플러 몸체 102 : 흡입관
102a : 흡입관 구멍 103 : 배출관 103a : 배출관 구멍
103b : 벨마우스 104,105 : 격벽 104a,105a : 격벽의 구멍
106,107,108 : 공간부 200 : 후부 머플러 201 : 후부 머플러 몸체
202 : 흡입관 202a : 흡입관 구멍 203 : 바이패스 튜우브
203a : 바이패스 튜우브 구멍 204 : 배출관
204a : 배출관 구멍 204b : 벨마우스 204c : 연결파이프
205,206 : 격벽 205a,206a : 격벽 구멍 205b,206b : 응축수 통로
207 : 지지봉 208 : 흡음재 209,210,211 : 공간부
이하에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들중 도1∼도3은 본 고안의 머플러중 전부 머플러(100)의 구성을, 도4∼도6은 본 고안의 머플러중 후부 머플러(200)의 구성을 각각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의 머플러는 도1∼도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단면형상의 몸체(101)와 이 몸체(101) 내부에 도시된 양태로 배치되는 다공형 튜우브로 된 흡입관(102) 및 배출관(103), 그리고 다수의 구멍(104a)(105a)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격벽(104)(105)들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엔진으로부터의 배기가스가 상기 흡입관(102)을 통해 격벽(104)으로 빠져 배출관(103)과 격벽(105)으로 빠지도록 되어 있는 전부 머플러(100)와,
도4∼도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단면형상의 몸체(201)와 이 몸체(201) 내부에 도시된 양태로 배치되는 흡입관(202)과 배출관(204), 바이패스 튜우브(203), 다수의 구멍들을 가지고 상기 몸체(201) 내부공간을 복수의 공간부(209)(210)(211)들로 분할하는 격벽(205)(206)들, 및 상기 공간부(210)내에 충전된 흡음재(208)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부 머플러(100)를 거쳐 온 배기가스가 출구가 막힌 흡입관(202)과 바이패스 튜우브(203)를 통해 공간(211)으로 빠져 배출관(204)으로 배출되고, 이때 격벽(205)(206)의 구멍(205a)(206b)들과 공간부(210)에 삽입된 흡음재(208)에 의해 음이 흡음되도록 된 후부 머플러(200)의 조합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전부 머플러(100)의 몸체(101) 내부공간은 이 몸체(101) 내부에 설치된 격벽(104)(105)들로 인해 세 개의 공간부(106)(107)(108)들로 분할되어져 있고, 후부 머플러(200)의 몸체(201) 내부공간 역시 이 몸체(201) 내부에 설치된 격벽(205)(206)들로 인해 세 개의 공간부(209)(210)(211)들로 분할되어져 있다. 상기 전부 머플러(100)에 있어서 구멍(102a)들이 있는 흡입관(102)은 그 후단부가 격벽(104)에 의해 막혀 있고, 구멍(103a)들이 있는 배출관(103)은 그 선단부가 도시된 바와 같은 벨마우스(103b)의 형태를 이루고 후단부는 엔드플레이트의 중앙부를 통해 바깥쪽으로 통해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전부 머플러(100)의 배출관(103) 후단부는 통상의 배기관을 통해 후부 머플러(200)의 흡입관(202) 선단부쪽으로 연결되어진다. 상기 후부 머플러(200)에 있어서 구멍(204a)들이 있는 배기관(204)의 선단부는 벨마우스(204b)의 형태를 이루어 공간부(211)내에 위치하며, 그 중간부분이 U형의 연결파이프(204c)를 통해 연결되어 배기소음에서 나타나는 특정의 주파수를 감쇄시키는 상태로 배기가스를 통과배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면중 203a는 바이패스 튜우브(203)의 구멍들, 205b,206b는 응축수 통로, 207은 지지봉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살펴 보면, 엔진으로부터의 배기가스는 먼저 전부 머플러(100)의 흡입관(102)으로 인입되어지는데, 끝부분이 막힌 다공형 흡입관(102)으로 흡입된 배기가스는 흡입관 구멍(102a)들을 통해 공간부(106)로 빠지면서 소음의 감쇄가 이루어지고, 또 다시 격벽(104)의 구멍(104a)들을 통해 공간부(107)에서 재감쇄되어 배출관(103), 격벽(105)의 구멍(105a)들을 통해 배출된다. 격벽(105)의 구멍(105a)들로 들어온 배기가스는 공간부(108)에서 다시 한번 더 감쇄가 일어나 배출관(103)으로 배출된다. 배출관(103)의 입구부분인 벨마우스(103b)는 유동 소음을 감소시켜 주는 기능을 가진다. 이와 같이 전부 머플러(100)를 통과한 배기가스는 후부 머플러(200)의 끝단이 막힌 흡입관(202)으로 진행하여 흡입관 구멍(202b)들을 빠져 공간부(209)에서 팽창된 후 2개의 바이패스 튜우브(203)를 거쳐 공간부(211)로 전달 팽창되어 음의 감쇄가 이루어진다. 벨마우스(204b)를 통해 배출관(204)으로 진입한 배기가스는 대기중으로 배출되는데, 공간부(210)에는 흡음재(208)가 충전되어 있어 이를 통해 소음 일부에 대한 흡음이 이루어지고, 또 격벽(205)(206)의 구멍(205a)(206a)들을 통해 고주파수의 소음이 크게 감쇄된다. 격벽(205)(206)은 각 공간부(209)(210)(211)를 형성하고 이들 격벽의 구멍(205a)(206a)들을 통해 배출가스의 유동을 유도하여 음의 감쇄와 배기압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머플러에 있어서, 배기가스의 냉각에 의해 발생된 응축수는 응축수 통로(205b)(206b)를 통해 각 공간부(209)(210)(211)를 연결하여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응축수에 의한 머플러의 부식이 방지되도록 하였다. 또한, 배출관(204)을 머플러 몸체내부의 밑부분에 위치하도록 설계 제작하여 응축수의 배출을 촉진함으로써 응축수에 의한 부식 방지를 더욱 도모하였다. 그리고, 각 격벽(205)(206)은 지지봉(207)으로 연결지지하여 격벽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하였다. 또, 배출관(204)의 벨마우스(204b) 형태로 형성된 선단부는 배기가스가 배출될 때 발생하는 유동 소음을 줄여 주어서 소음의 감쇄에 주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배출관(204)을 U형 연결파이프(204c)를 통해 길게 연장설치함으로써 배기 소음에서 나타나는 특정의 주파수를 감쇄시킴으로써 더욱 우수한 소음감쇄작용이 달성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효과적인 구성, 작용에 의해 이러한 자동차용 머플러의 제작에 큰 난점을 초래하지 않으면서 내구성이 우수하고 소음감쇄작용이 더욱 뛰어난 자동차용 머플러를 제공할 수 있게 된 신규유용한 효과를 지닌 것이다.

Claims (3)

  1. 사다리꼴 단면형상의 몸체(101)와 이 몸체(101) 내부에 배치된 다공형 튜우브로 된 흡입관(102) 및 배출관(103), 그리고 다수의 구멍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101) 내부의 공간을 복수의 공간부(106)(107)(108)들로 분할하는 격벽(104)(105)들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엔진으로부터의 배기가스가 상기 흡입관(102)을 통해 격벽(104)으로 빠져 배출관(103)과 격벽(105)으로 빠지도록 되어 있는 전부 머플러(100)와,
    사다리꼴 단면형상의 몸체(201)와 이 몸체(201) 내부에 배치된 흡입관(202)과 배출관(204), 바이패스 튜우브(203), 다수의 구멍들을 가지고 상기 몸체(201) 내부공간을 복수의 공간부(209)(210)(211)들로 분할하는 격벽(205)(206)들, 및 상기 공간부(210)내에 충전된 흡음재(208)를 포함하여 구성된 후부 머플러(200)의 조합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머플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부 머플러(100)의 배출관(103)과 후부 머플러(200)의 배출관(204)이 각각 벨마우스(103b)(204b) 형태의 선단부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후부 머플러(200)의 배출관(204)은 U형의 연결파이프(204c)를 통해 길게 연장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머플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부 머플러(200)의 몸체(201) 하부에 응축수 통로(205b)(206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머플러.
KR2020000022153U 2000-08-03 2000-08-03 자동차용 머플러 KR2002090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153U KR200209077Y1 (ko) 2000-08-03 2000-08-03 자동차용 머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153U KR200209077Y1 (ko) 2000-08-03 2000-08-03 자동차용 머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9077Y1 true KR200209077Y1 (ko) 2001-01-15

Family

ID=730868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153U KR200209077Y1 (ko) 2000-08-03 2000-08-03 자동차용 머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077Y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856B1 (ko) 2007-08-24 2009-0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머플러
KR200449902Y1 (ko) 2008-06-20 2010-08-18 동원테크 주식회사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49899Y1 (ko) 2008-06-20 2010-08-18 동원테크 주식회사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49898Y1 (ko) 2008-06-20 2010-08-18 동원테크 주식회사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49903Y1 (ko) 2008-06-20 2010-08-18 동원테크 주식회사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49904Y1 (ko) 2008-06-20 2010-08-18 동원테크 주식회사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52150Y1 (ko) * 2008-10-02 2011-02-08 동원테크 주식회사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52151Y1 (ko) 2008-10-02 2011-02-08 동원테크 주식회사 자동차용 소음기
KR101131545B1 (ko) 2006-04-13 2012-04-04 엠콘 테크놀러지스 저머니 (아우그스부르크) 게엠베하 배기 시스템용 머플러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545B1 (ko) 2006-04-13 2012-04-04 엠콘 테크놀러지스 저머니 (아우그스부르크) 게엠베하 배기 시스템용 머플러
KR100877856B1 (ko) 2007-08-24 2009-01-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머플러
KR200449902Y1 (ko) 2008-06-20 2010-08-18 동원테크 주식회사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49899Y1 (ko) 2008-06-20 2010-08-18 동원테크 주식회사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49898Y1 (ko) 2008-06-20 2010-08-18 동원테크 주식회사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49903Y1 (ko) 2008-06-20 2010-08-18 동원테크 주식회사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49904Y1 (ko) 2008-06-20 2010-08-18 동원테크 주식회사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52150Y1 (ko) * 2008-10-02 2011-02-08 동원테크 주식회사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52151Y1 (ko) 2008-10-02 2011-02-08 동원테크 주식회사 자동차용 소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41336A (en) Expansion type silencer
KR200209077Y1 (ko) 자동차용 머플러
KR20120037150A (ko) 자동차용 소음기
JPH05288047A (ja) 排気消音器
CN107762590A (zh) 消声器的结构
KR200209078Y1 (ko) 자동차용 머플러
JP4573463B2 (ja) 内燃機関用マフラ
KR200449902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100360909B1 (ko) 배기 소음 감쇄를 위한 머플러 장치
KR200210094Y1 (ko) 자동차용 후부 머플러
KR200209076Y1 (ko) 자동차용 머플러
JPH11200835A (ja) 消音装置
KR200228832Y1 (ko) 자동차용머플러
KR200307952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0307951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49903Y1 (ko) 자동차용 소음기
RU47978U1 (ru) Глушитель шума выхлопа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KR20200006743A (ko) 차량용 헬름홀츠 소음기
KR100877856B1 (ko) 머플러
KR200171858Y1 (ko) 자동차용 머플러
JPS6138114A (ja) エンジンの排気消音装置
KR200452150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49898Y1 (ko) 자동차용 소음기
JP2009127475A (ja) 消音器
KR200455587Y1 (ko) 자동차용 소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