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7150A - 자동차용 소음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소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7150A
KR20120037150A KR1020100098738A KR20100098738A KR20120037150A KR 20120037150 A KR20120037150 A KR 20120037150A KR 1020100098738 A KR1020100098738 A KR 1020100098738A KR 20100098738 A KR20100098738 A KR 20100098738A KR 20120037150 A KR20120037150 A KR 20120037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discharge pipe
partition
resonator
muff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8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우
김홍장
이근창
한인수
Original Assignee
동원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원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원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98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7150A/ko
Publication of KR20120037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71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2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reso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F01N1/084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the gases flowing through the silencer two or more times longitudinally in opposite directions, e.g. using parallel or concentric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24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sound-absorbing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wo or more separate silencers in s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0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draining or otherwise eliminating condensates or moisture accumulating in th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90/00Structure, disposition or shape of gas-chambers
    • F01N2490/02Two or more expansion chambers in series connected by means of tubes
    • F01N2490/06Two or more expansion chambers in series connected by means of tubes the gases flowing longitudinally from inlet to outlet in opposite dir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90/00Structure, disposition or shape of gas-chambers
    • F01N2490/15Plurality of resonance or dead chambers
    • F01N2490/155Plurality of resonance or dead chambers being disposed one after the other in flow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전부머플러와 후부머플러로 구성된 자동차용 소음기에 있어서, 외주면에 흡배출관구멍(102a)이 형성되고 후부머플러(200)의 흡입관(202)과 연통되는 흡배출관(102)과, 상기 흡배출관(102)을 감싸는 레조네이터공간(106)을 형성하는 전부머플러본체(101)와, 상기 레조네이터공간(106)을 채우는 흡음재(104)로 구성되고, 흡배출관(102)으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흡배출관 출구(102-Out)로 빠지기 전에 흡배출관구멍(102a)들과 흡음재(105)로 채워진 레조네이터공간(104)의 작용에 의해서 배기토출음과 유동소음이 감쇄되는 전부머플러(100)와;
양측에 엔드플레이트(221, 222)가 구비된 후부 머플러본체(201)의 내부에 제1, 제2 격벽(204, 205)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제1 공간(206)이 흡입관 입구(202-In)가 관통 지지되는 일측 엔드플레이트(221)와 제1 격벽(204)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3 공간(208)에 위치한 배출관(203)의 외주면에 레조네이터구멍(203b)이 형성되고, 제2 레조네이터(209)가 상기 레조네이터구멍(203b)을 감싸면서 흡음재로 채워진 제2 레조네이터공간(210)을 형성하는 후부머플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소음기 { Muffler for Vehicle }
본 발명은 자동차용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부 머플러와 후부 머플러의 조합구성에 의해 우수한 소음 감소 작용을 제공하면서 제작이 용이하고 오랜 사용수명을 유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내연기관의 엔진을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자동차의 엔진에서는 고온 고압의 배기가스가 심한 소음을 수반하여 배출되게 되므로 그 배기가스의 배출 소음 및 압력을 감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소음기가 장착 사용되고 있다. 현재 이러한 자동차의 소음기에 대한 수요가들의 요구수준은 나날히 높아지고 있어 소음기의 구성이 점점 복잡다단해지고 있는 추세인 바, 구성이 복잡해질수록 목적하는 바의 소음작용은 더 우수해질 수 있으나 그만큼 더 제작이 어렵고 많은 제작비용이 소요되며, 또 고온 고압의 배기가스에 대한 취약부위들이 많아져서 고장이 잦아지고 사용수명이 짧아지는 것 등의 문제점이 뒤따르게 된다. 즉, 종래의 자동자용 소음기들은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고 제작이 쉬운 것은 요구되는 수준의 소음효과를 달성하기 어렵고, 소음효과가 좋은 것은 지나치게 복잡다단한 구성으로 제작이 난해하고 고가의 제작비용이 소요되면서 고장이 잦고 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소음기 내부구조의 음향튜닝을 통해 우수한 소음 감소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면서, 제작성 및 제작비용등의 면에서도 큰 어려움이 없고, 또 효율적이고 내구성 있는 구성으로 사용수명이 긴 자동차용 소음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차용 소음기는, 전부머플러와 후부머플러로 구성된 자동차용 소음기에 있어서,
a) 외주면에 흡배출관구멍(102a)이 형성되고 후부머플러(200)의 흡입관(202)과 연통되는 흡배출관(102)과, 상기 흡배출관(102)을 감싸는 레조네이터공간(106)을 형성하는 전부머플러본체(101)와, 상기 레조네이터공간(106)을 채우는 흡음재(104)로 구성되고,
b) 흡배출관(102)으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흡배출관 출구(102-Out)로 빠지기 전에 흡배출관구멍(102a)들과 흡음재(105)로 채워진 레조네이터공간(104)의 작용에 의해서 배기토출음과 유동소음이 감쇄되는 전부머플러(100)와;
a) 양측에 엔드플레이트(221, 222)가 구비된 후부 머플러본체(201)의 내부에 제1, 제2 격벽(204, 205)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b) 제1 공간(206)이 흡입관 입구(202-In)가 관통 지지되는 일측 엔드플레이트(221)와 제1 격벽(204) 사이에 형성되고, 제2 공간(207)이 상기 제1 격벽(204)과 제2 격벽(205) 사이에 형성되고, 제3 공간(208)이 상기 제2 격벽(205)과 배출관 출구(203-Out)가 지지되는 타측 엔드플레이트(222) 사이에 형성되고,
c) 흡입관(202)은 상기 제1 공간(206)과 제2 공간(206)을 거쳐 구성되고, 상기 흡배출관(102)을 통과한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흡입관 입구(202-In)는 일측 엔드플레이트(221)를 관통하여 지지되고, 개방된 흡입관 출구(202-Out)는 상기 제3 공간(208)과 연통되고,
d) 배출관(203)은 제1, 제2 격벽(204, 205)과 타측 엔드플레이트(222)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제2 공간(207)과 제3 공간(208)을 거쳐 구성되고, 배출관 입구(203-In)는 상기 제1 공간(206)과 연통되고 배출관 출구(203-Out)는 상기 타측 엔드플레이트(222)를 관통하고,
e) 제1 격벽구멍(204a)와 제2 격벽구멍(205a)이 각각 제1 격벽(204)과 제2 격벽(205)에 구비되고, 흡입관 구멍(202a)은 상기 제2 공간(207)에 위치하는 흡입관(202) 외주면 영역에 구성되고, 배출관 구멍(203a)가 상기 제2 공간(207)에 위치하는 배출관(203) 외주면 영역에 구성됨으로써,
f) 상기 흡입관 입구(202-In)로 진입한 배기가스의 일부는 상기 흡입관 구멍(202a)을 통해 제2 공간(207)으로 확산되면서 소음이 감쇄되고, 상기 흡입관 출구(202-Out)을 통과한 나머지 배기가스는 상기 제3 공간(208)으로 확산된 후 상기 제2 격벽구멍(205a)을 통과하여 상기 제2 공간(207)으로 진입하면서 소음이 감쇄되고,
g) 상기 제2 공간(207)의 배기가스의 일부는 상기 배출관 구멍(203a)을 통하여 상기 배출관(203) 내부로 진입하면서 소음이 감쇄되고, 상기 제2 공간(207)의 배기가스의 나머지는 상기 제1 격벽구멍(204a)을 통하여 상기 제 1공간(206)으로 확산 되면서 소음이 감쇄되고, 상기 제 1공간(206)의 배기가스는 배출관입구(203-In)을 통하여 배출관(203) 내부로 진입하면서 소음이 감쇄되고,
h) 상기 제3 공간(208)에 위치한 배출관(203)의 외주면에 레조네이터구멍(203b)이 형성되고, 제2 레조네이터(209)가 상기 레조네이터구멍(203b)을 감싸면서 흡음재로 채워진 제2 레조네이터공간(210)을 형성하는 후부머플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해결되며,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전부 머플러와 후부 머플러의 조합구성에 의해 우수한 소음 감소 작용을 제공하면서 제작이 용이하고 오랜 사용수명을 유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소음기가 제공된다.
복수의 소용량 머플러를 조합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하부의 한정된 공간을 이용하면서도 큰 배기량을 갖는 차량의 배기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소음기가 제공된다. 소음 감쇄 효과가 우수하고, 생산성이 있으며, 적절한 수준의 배압 손실만을 갖는 우수한 성능의 자동차용 소음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소음기의 전부머플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소음기의 전부머플러 격벽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소음기의 후부머플러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부 머플러 격벽 구성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소음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소음기의 전부머플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소음기의 전부머플러 격벽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소음기의 후부머플러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부 머플러 격벽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부머플러와 후부머플러로 구성되는 자동차용 소음기이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부머플러(100)는, a) 외주면에 흡배출관구멍(102a)이 형성되고 후부머플러(200)의 흡입관(202)과 연통되는 흡배출관(102)과, 상기 흡배출관(102)을 감싸는 레조네이터공간(106)을 형성하는 전부머플러본체(101)와, 상기 레조네이터공간(106)을 채우는 흡음재(104)로 구성된다.
또한, 전부머플러(100)에서, b) 흡배출관(102)으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흡배출관 출구(102-Out)로 빠지기 전에 흡배출관구멍(102a)들과 흡음재(105)로 채워진 레조네이터공간(104)의 작용에 의해서 배기토출음과 유동소음이 감쇄된다.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부머플러(200)는, a) 양측에 엔드플레이트(221, 222)가 구비된 후부 머플러본체(201)의 내부에 제1, 제2 격벽(204, 205)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b) 제1 공간(206)이 흡입관 입구(202-In)가 관통 지지되는 일측 엔드플레이트(221)와 제1 격벽(204) 사이에 형성되고, 제2 공간(207)이 상기 제1 격벽(204)과 제2 격벽(205) 사이에 형성되고, 제3 공간(208)이 상기 제2 격벽(205)과 배출관 출구(203-Out)가 지지되는 타측 엔드플레이트(222) 사이에 형성된다.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부머플러(200)에서, c) 흡입관(202)은 상기 제1 공간(206)과 제2 공간(206)을 거쳐 구성되고, 상기 흡배출관(102)을 통과한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흡입관 입구(202-In)는 일측 엔드플레이트(221)를 관통하여 지지되고, 개방된 흡입관 출구(202-Out)는 상기 제3 공간(208)과 연통된다.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부머플러(200)에서, d) 배출관(203)은 제1, 제2 격벽(204, 205)과 타측 엔드플레이트(222)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제2 공간(207)과 제3 공간(208)을 거쳐 구성되고, 배출관 입구(203-In)는 상기 제1 공간(206)과 연통되고 배출관 출구(203-Out)는 상기 타측 엔드플레이트(222)를 관통한다.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부머플러(200)에서, e) 제1 격벽구멍(204a)와 제2 격벽구멍(205a)이 각각 제1 격벽(204)과 제2 격벽(205)에 구비되고, 흡입관 구멍(202a)은 상기 제2 공간(207)에 위치하는 흡입관(202) 외주면 영역에 구성되고, 배출관 구멍(203a)가 상기 제2 공간(207)에 위치하는 배출관(203) 외주면 영역에 구성된다.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부머플러(200)에서, f) 상기 흡입관 입구(202-In)로 진입한 배기가스의 일부는 상기 흡입관 구멍(202a)을 통해 제2 공간(207)으로 확산되면서 소음이 감쇄되고, 상기 흡입관 출구(202-Out)을 통과한 나머지 배기가스는 상기 제3 공간(208)으로 확산된 후 상기 제2 격벽구멍(205a)을 통과하여 상기 제2 공간(207)으로 진입하면서 소음이 감쇄된다.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부머플러(200)에서, g) 상기 제2 공간(207)의 배기가스의 일부는 상기 배출관 구멍(203a)을 통하여 상기 배출관(203) 내부로 진입하면서 소음이 감쇄되고, 상기 제2 공간(207)의 배기가스의 나머지는 상기 제1 격벽구멍(204a)을 통하여 상기 제 1공간(206)으로 확산 되면서 소음이 감쇄되고, 상기 제 1공간(206)의 배기가스는 배출관입구(203-In)을 통하여 배출관(203) 내부로 진입하면서 소음이 감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부머플러(200)에서, h) 제3 공간(208)에 위치한 배출관(203)의 외주면에 레조네이터구멍(203b)이 형성되고, 제2 레조네이터(209)가 상기 레조네이터구멍(203b)을 감싸면서 흡음재로 채워진 제2 레조네이터 공간(201)을 형성한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부머플러(100)에서, 두개의 엔드플레이트(108, 109) 사이에 다공성 격벽1(103)이 더 형성되고, 상기 다공성 격벽1(103)에 의해 상기 레조네이터공간(106)이 전부 공간(106a) 및 후부 공간(106b)으로 구획되어진다. 전부 공간(106a)과 후부 공간(106b)에 각각 흡음재1(104a)와 흡음재2(104b)가 위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부머플러(200)에서, 제1 격벽(204) 하단에 제1 배수구멍(204b)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격벽(205) 하단에 제2 배수구멍(205b)이 형성되어, 제2, 제3 공간의 응축수가 상기 제1 배수구멍(204b), 제2 배수구멍(205b)을 통하여 상기 제 1 공간(206)으로 유도되어 배출관(203)으로 빠져나간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특유한 구성에 따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배기 소음 감쇄 부품인 머플러에 관한 것으로, 전부 머플러와 후부 머플러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 배기 소음 감쇠 부품인 머플러에 관한 것으로 단면이 타원형상의 전부 머플러 및 단면이 원형상인 후부 머플러를 일체로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머플러 내부는 다공형 튜브, 격벽, 흡음재 등으로 조합한 상태이다. 엔진에서 발생된 고온, 고압의 폭발음을 가진 배기가스가 전부와 후부 머플러를 통과함으로서 소음의 감쇠가 이루어진다. 소비자의 자동차에 대한 소음 및 진동에 관한 요구품질은 날로 높아져, 그 수준을 만족하기 위해 점점 머플러의 구조는 복잡해져가는 추세이며 내부구조의 음향 튜닝을 통해 그 품질을 만족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몸체(101) 내부에 직관의 흡배출관(102)이 입출구 일체 형으로 흡배출관이 있고 구멍이 있는 격벽(103)로 이루어져 엔진에서 연소된 배기가스가 이 흡배출관(102)을 통과하면서 일차로 소음을 감쇄하도록 한 전부 머플러(100)와 전부 머플러를 빠져나온 배기가스가 후부머플러몸체(201) 내부에 다공형 튜브로 된 흡입관(202)과 공간(206,207,208)을 거쳐 배출관(203)으로 빠져 나가도록 된 후부 머플러(20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기능, 작용를 살펴보면 전부 머플러의 내부관(102)으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흡배출관구멍(102a)를 통하여 공간(106, 107)로 들어가며 이때 공간 내부를 채우고 있는 흡음재(104)에 의하여 고주파 소음이 흡수된다. 철망은(105)은 흡음재가 흡배출관구멍(102a)을 통하여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며 배기가스는 흡배출관(102)을 통하여 전부 머플러(100)를 빠져나와 후부 머플러(200)로 이동한다. 후부 머플러로 들어온 배기가스는 흡입관(202)를 통과하여 공간(208)로 들어가며 이때, 일부는 흡입관 구멍(202a)를 통하여 공간(207)로 빠져나가면서 각각의 소음을 감쇄 시킨다. 이렇게 빠져나온 배기가스는 격벽구멍(204a, 205a)를 통하여 공간 (206)으로 이동하며 소음을 한번 더 감쇄 시키고, 배출관(203)을 통하여 빠져 나간다. 이때도 배출관 구멍(203a)를 통하여 빠져나오는 배기가스들은 구멍을 통과하면서 소음이 감쇄되기도 한다.
배기가스가 배출관(203)을 통하여 빠져나갈 때, 레조네이터구멍(203b)이 형성된 배출관(203)의 제2 레조네이터(209) 영역을 통과하면서 특정주파수의 음을 감쇄시키고 제2 레조네이터공간(210)에 위치한 흡음재 또한 특정주파수의 음을 감쇄 시키는 것을 돕는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으로는 소음기의 격벽(204,205) 아래부분에 배수구멍(204b, 205b)을 설치하여 머플러 내부의 응축수가 원활이 이동되어 배기가스와 함께 배출관(203)으로 배출을 촉진하여 종래의 응축수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는 역할을 도모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으로 본 발명과 균등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부호는 단순히 발명의 이해를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권리범위의 해석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함을 밝히며 기재된 도면부호에 의해 권리범위가 좁게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전부머플러 101 : 전부머플러본체
102 : 흡배출관 102a : 흡배출관구멍
102-Out : 흡배출관 출구 103 : 다공성 격벽1
104, 104a, 104b : 흡음재
106, 106a, 106b : 레조네이터공간
200 : 후부머플러 201 : 후부머플러 본체
202 : 흡입관 202-In : 흡입관 입구
202-Out : 흡입관 출구
203 : 배출관 203-In : 배출관 입구
203-Out : 배출관 출구
204 : 제1 격벽 205 : 제2 격벽
206, 207, 208 : 제1, 제2, 제3 공간
221, 222 : 엔드플레이트
202a : 흡입관 구멍 203a : 배출관 구멍
204a : 제1 격벽구멍 205a : 제2 격벽구멍
204b : 제1 배수구멍 205b : 제2 배수구멍
203b : 레조네이터구멍
209 : 제2 레조네이터
210 : 제2 레조네이터공간

Claims (3)

  1. 전부머플러와 후부머플러로 구성된 자동차용 소음기에 있어서,

    a) 외주면에 흡배출관구멍(102a)이 형성되고 후부머플러(200)의 흡입관(202)과 연통되는 흡배출관(102)과, 상기 흡배출관(102)을 감싸는 레조네이터공간(106)을 형성하는 전부머플러본체(101)와, 상기 레조네이터공간(106)을 채우는 흡음재(104)로 구성되고,

    b) 흡배출관(102)으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흡배출관 출구(102-Out)로 빠지기 전에 흡배출관구멍(102a)들과 흡음재(105)로 채워진 레조네이터공간(104)의 작용에 의해서 배기토출음과 유동소음이 감쇄되는 전부머플러(100)와;

    a) 양측에 엔드플레이트(221, 222)가 구비된 후부 머플러본체(201)의 내부에 제1, 제2 격벽(204, 205)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b) 제1 공간(206)이 흡입관 입구(202-In)가 관통 지지되는 일측 엔드플레이트(221)와 제1 격벽(204) 사이에 형성되고, 제2 공간(207)이 상기 제1 격벽(204)과 제2 격벽(205) 사이에 형성되고, 제3 공간(208)이 상기 제2 격벽(205)과 배출관 출구(203-Out)가 지지되는 타측 엔드플레이트(222) 사이에 형성되고,

    c) 흡입관(202)은 상기 제1 공간(206)과 제2 공간(206)을 거쳐 구성되고, 상기 흡배출관(102)을 통과한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흡입관 입구(202-In)는 일측 엔드플레이트(221)를 관통하여 지지되고, 개방된 흡입관 출구(202-Out)는 상기 제3 공간(208)과 연통되고,

    d) 배출관(203)은 제1, 제2 격벽(204, 205)과 타측 엔드플레이트(222)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제2 공간(207)과 제3 공간(208)을 거쳐 구성되고, 배출관 입구(203-In)는 상기 제1 공간(206)과 연통되고 배출관 출구(203-Out)는 상기 타측 엔드플레이트(222)를 관통하고,

    e) 제1 격벽구멍(204a)와 제2 격벽구멍(205a)이 각각 제1 격벽(204)과 제2 격벽(205)에 구비되고, 흡입관 구멍(202a)은 상기 제2 공간(207)에 위치하는 흡입관(202) 외주면 영역에 구성되고, 배출관 구멍(203a)가 상기 제2 공간(207)에 위치하는 배출관(203) 외주면 영역에 구성됨으로써,

    f) 상기 흡입관 입구(202-In)로 진입한 배기가스의 일부는 상기 흡입관 구멍(202a)을 통해 제2 공간(207)으로 확산되면서 소음이 감쇄되고, 상기 흡입관 출구(202-Out)을 통과한 나머지 배기가스는 상기 제3 공간(208)으로 확산된 후 상기 제2 격벽구멍(205a)을 통과하여 상기 제2 공간(207)으로 진입하면서 소음이 감쇄되고,

    g) 상기 제2 공간(207)의 배기가스의 일부는 상기 배출관 구멍(203a)을 통하여 상기 배출관(203) 내부로 진입하면서 소음이 감쇄되고, 상기 제2 공간(207)의 배기가스의 나머지는 상기 제1 격벽구멍(204a)을 통하여 상기 제 1공간(206)으로 확산 되면서 소음이 감쇄되고, 상기 제 1공간(206)의 배기가스는 배출관입구(203-In)을 통하여 배출관(203) 내부로 진입하면서 소음이 감쇄되고,

    h) 상기 제3 공간(208)에 위치한 배출관(203)의 외주면에 레조네이터구멍(203b)이 형성되고, 제2 레조네이터(209)가 상기 레조네이터구멍(203b)을 감싸면서 흡음재로 채워진 제2 레조네이터공간(210)을 형성하는 후부머플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소음기.
  2. 제1항에 있어서,
    두개의 엔드플레이트(108, 109) 사이에 다공성 격벽1(103)이 더 형성되고, 상기 다공성 격벽1(103)에 의해 상기 레조네이터공간(106)이 전부 공간(106a) 및 후부 공간(106b)으로 구획되어지고,
    상기 전부 공간(106a)과 후부 공간(106b)에 각각 흡음재1(104a)와 흡음재2(104b)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소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벽(204) 하단에 제1 배수구멍(204b)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격벽(205) 하단에 제2 배수구멍(205b)이 형성되어,
    상기 제2, 제3 공간의 응축수가 상기 제1 배수구멍(204b), 제2 배수구멍(205b)을 통하여 상기 제 1 공간(206)으로 유도되어 배출관(203)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소음기.
KR1020100098738A 2010-10-11 2010-10-11 자동차용 소음기 KR201200371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738A KR20120037150A (ko) 2010-10-11 2010-10-11 자동차용 소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738A KR20120037150A (ko) 2010-10-11 2010-10-11 자동차용 소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7150A true KR20120037150A (ko) 2012-04-19

Family

ID=461384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8738A KR20120037150A (ko) 2010-10-11 2010-10-11 자동차용 소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7150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03322A (zh) * 2015-07-24 2015-10-28 苏州鸿锦利气体设备有限公司 制氮机消音器
CN105221216A (zh) * 2015-11-10 2016-01-06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消声器
DE202016104445U1 (de) 2015-08-31 2016-09-01 Ls Mtron Ltd. Resonator für ein Fahrzeug
DE202016104624U1 (de) 2015-08-28 2016-11-29 Ls Mtron Ltd. Resonator für ein Fahrzeug
KR20170025511A (ko) 2015-08-28 2017-03-0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차량용 공명기
KR20170025530A (ko) 2015-08-28 2017-03-0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차량용 공명기
KR20170142580A (ko) 2016-06-20 2017-12-2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차량용 공명기
KR20180086055A (ko) 2017-01-20 2018-07-30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차량용 공명기
EP3647582A1 (en) 2018-11-05 2020-05-06 Hs R & A Co., Ltd. Cylindrical resonator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03322A (zh) * 2015-07-24 2015-10-28 苏州鸿锦利气体设备有限公司 制氮机消音器
DE202016104624U1 (de) 2015-08-28 2016-11-29 Ls Mtron Ltd. Resonator für ein Fahrzeug
KR20170025511A (ko) 2015-08-28 2017-03-0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차량용 공명기
KR20170025530A (ko) 2015-08-28 2017-03-0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차량용 공명기
DE202016104445U1 (de) 2015-08-31 2016-09-01 Ls Mtron Ltd. Resonator für ein Fahrzeug
KR20170025675A (ko) 2015-08-31 2017-03-0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차량용 공명기
CN105221216A (zh) * 2015-11-10 2016-01-06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消声器
KR20170142580A (ko) 2016-06-20 2017-12-2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차량용 공명기
KR20180086055A (ko) 2017-01-20 2018-07-30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차량용 공명기
EP3647582A1 (en) 2018-11-05 2020-05-06 Hs R & A Co., Ltd. Cylindrical resonator
US11236714B2 (en) 2018-11-05 2022-02-01 Hs R & A Co., Ltd. Resonator having excellent airtightnes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37150A (ko) 자동차용 소음기
JP5532043B2 (ja) 車両の消音装置
KR200449902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49904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0209077Y1 (ko) 자동차용 머플러
KR200449903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57936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101237931B1 (ko) 스포티 배기 음질 구현을 위한 자동차용 소음기
KR200210094Y1 (ko) 자동차용 후부 머플러
KR20120002751U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49901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52151Y1 (ko) 자동차용 소음기
JP6169035B2 (ja) 燃料電池車の排気音の消音構造
KR20110136391A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120037147A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120002753U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120002754U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49898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52150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55586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120037160A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55587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090114051A (ko) 자동차의 소음기
KR200449905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56357Y1 (ko) 자동차용 소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