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754U - 자동차용 소음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소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754U
KR20120002754U KR2020100010517U KR20100010517U KR20120002754U KR 20120002754 U KR20120002754 U KR 20120002754U KR 2020100010517 U KR2020100010517 U KR 2020100010517U KR 20100010517 U KR20100010517 U KR 20100010517U KR 20120002754 U KR20120002754 U KR 2012000275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pipe
outlet
hol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5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우
김희진
이대유
김덕규
Original Assignee
동원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원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원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105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2754U/ko
Publication of KR201200027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75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8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 F01N1/1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reducing exhaust energy by throttling or whirling in combination with sound-absorbing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07Apparatus used as intake or exhaust silenc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70/00Structure or shape of gas passages, pipes or tubes
    • F01N2470/02Tubes being perfor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70/00Structure or shape of gas passages, pipes or tubes
    • F01N2470/20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tubes, e.g. length, diame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 a) 양측에 엔드플레이트(121, 122)가 구비된 전부 머플러본체(101)의 내부에 격벽 1(105)이 형성되고, 공간 1(107)이 유입관 입구(102-In)가 관통 지지되는 일측 엔드플레이트(121)와 격벽 1(105) 사이에 형성되고, 공간 2(109)가 상기 격벽 1(105)과 유출관 출구(103-Out)가 지지되는 타측 엔드플레이트(122) 사이에 형성되고, b) 유입관(102)이 공간 1(107)을 거친 후 상기 격벽 1(105)에 의해 지지되고, 개방된 유입관 출구(102-Out)가 상기 공간 2(109)의 일측에 위치되고, 유출관(103)이 공간(2)에 구성되되 공간(2)의 일측에 위치한 유출관 입구(103-In)가 상기 유입관 출구(102-Out)와 소정거리(GAP)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마주보도록 구성되고, c) 유입관(102)에 유입관구멍(102a)이 형성되고, 유입관(102)으로 유입된 배기가스는 유입관구멍(102a)과 공간 1(107)의 작용에 의해 소음이 감쇄되고, 유입관 출구(102-Out)을 통과한 배기가스는 공간 2(109)로 확산되거나 유출관(103)으로 재진입하면서 소음이 감쇄되고, 유출관(103)에 유출관구멍(103a)이 형성되어 상기 유출관구멍(103a)과 상기 공간 2(109)의 작용에 의해 유출관(103)을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소음이 감쇄되는 전부머플러(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소음기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소음기 { Muffler for Vehicle }
본 고안은 자동차용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부 머플러와 후부 머플러의 조합구성에 의해 우수한 소음 감소 작용을 제공하면서 제작이 용이하고 오랜 사용수명을 유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내연기관의 엔진을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자동차의 엔진에서는 고온 고압의 배기가스가 심한 소음을 수반하여 배출되게 되므로 그 배기가스의 배출 소음 및 압력을 감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소음기가 장착 사용되고 있다. 현재 이러한 자동차의 소음기에 대한 수요가들의 요구수준은 나날히 높아지고 있어 소음기의 구성이 점점 복잡다단해지고 있는 추세인 바, 구성이 복잡해질수록 목적하는 바의 소음작용은 더 우수해질 수 있으나 그만큼 더 제작이 어렵고 많은 제작비용이 소요되며, 또 고온 고압의 배기가스에 대한 취약부위들이 많아져서 고장이 잦아지고 사용수명이 짧아지는 것 등의 문제점이 뒤따르게 된다. 즉, 종래의 자동자용 소음기들은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고 제작이 쉬운 것은 요구되는 수준의 소음효과를 달성하기 어렵고, 소음효과가 좋은 것은 지나치게 복잡다단한 구성으로 제작이 난해하고 고가의 제작비용이 소요되면서 고장이 잦고 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소음기 내부구조의 음향튜닝을 통해 우수한 소음 감소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면서, 제작성 및 제작비용등의 면에서도 큰 어려움이 없고, 또 효율적이고 내구성 있는 구성으로 사용수명이 긴 자동차용 소음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자동차용 소음기는, 전부머플러와 후부머플러로 구성된 자동차용 소음기에 있어서,
a) 양측에 엔드플레이트(121, 122)가 구비된 전부 머플러본체(101)의 내부에 격벽 1(105)이 형성되고, 공간 1(107)이 유입관 입구(102-In)가 관통 지지되는 일측 엔드플레이트(121)와 격벽 1(105) 사이에 형성되고, 공간 2(109)가 상기 격벽 1(105)과 유출관 출구(103-Out)가 지지되는 타측 엔드플레이트(122) 사이에 형성되고,
b) 유입관(102)이 공간 1(107)을 거친 후 상기 격벽 1(105)에 의해 지지되고, 개방된 유입관 출구(102-Out)가 상기 공간 2(109)의 일측에 위치되고, 유출관(103)이 공간(2)에 구성되되 공간(2)의 일측에 위치한 유출관 입구(103-In)가 상기 유입관 출구(102-Out)와 소정거리(GAP)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마주보도록 구성되고,
c) 유입관(102)에 유입관구멍(102a)이 형성되고, 유입관(102)으로 유입된 배기가스는 유입관구멍(102a)과 공간 1(107)의 작용에 의해 소음이 감쇄되고, 유입관 출구(102-Out)을 통과한 배기가스는 공간 2(109)로 확산되거나 유출관(103)으로 재진입하면서 소음이 감쇄되고, 유출관(103)에 유출관구멍(103a)이 형성되어 상기 유출관구멍(103a)과 상기 공간 2(109)의 작용에 의해 유출관(103)을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소음이 감쇄되는 전부머플러(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고안은, 엔드플레이트(221, 222)가 구비된 머플러본체(201) 내부에 제1, 제2 격벽(208, 209)이 순차로 구비되고, 제1 격벽(208)은 제1 격벽구멍(208a)이 구비되고, 제2 격벽(209)은 제2격벽구멍(209a)이 구비되고;
흡입관 입구(202-In)가 관통 지지되는 일측 엔드플레이트(221)와 제1 격벽(208) 간에 제1 공간(210)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격벽(208)과 제2 격벽(209) 간에 제2 공간(211)이 구비되고, 상기 제2 격벽(209)과 배출관 출구(204-Out)가 지지되는 타측 엔드플레이트(222) 간에 제3 공간(212)이 구비되고;
상기 유출관(103)을 통과한 배기가스가 흡입관 입구(202-In)를 통해 유입되며 흡입관(202)은 상기 제1 공간(210) 거쳐서, 개방된 흡입관 출구(202-Out)가 제2 공간(211)과 연통되며, 제1 공간(210)에 위치하는 흡입관(202) 외주면에는 흡입관 구멍(202a)이 구비되고;
배출관(204)은 상류직관(204a)과 하류직관(204c)과 상기 상, 하류직관(204a, 204c)을 매개하는 "U"형 곡관부(204b)로 구성되되, 상기 상류직관(204a)은 제3공간(212)에 위치한 배출관입구(204-In)에서 시작하여 제2 공간(211)을 거쳐 제1 공간(210)에 위치한 "U"형 곡관부(204b)와 연결되고, 일측이 상기 "U"형 곡관부(204b)와 연결되는 상기 하류직관(204c)은 제2 공간(211)과 제3 공간(212)을 거쳐 타측이 엔드플레이트(222)를 관통하고, 제2 공간(211)에 위치한 상류직관(204a)의 외부면에 제1 배출관구멍(204e)이 형성되고,
바이패스관(203)이 제2 공간(211)을 걸쳐서 형성되되, 바이패스관 입구(203-In)은 제1 공간(210)에 연통되고, 바이패스관 출구(203-Out)은 제3 공간(212)에 연통되는 후부머플러(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는 경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해결되며, 본 고안에 따르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전부 머플러와 후부 머플러의 조합구성에 의해 우수한 소음 감소 작용을 제공하면서 제작이 용이하고 오랜 사용수명을 유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소음기가 제공된다.
복수의 소용량 머플러를 조합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하부의 한정된 공간을 이용하면서도 큰 배기량을 갖는 차량의 배기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소음기가 제공된다. 소음 감쇄 효과가 우수하고, 생산성이 있으며, 적절한 수준의 배압 손실만을 갖는 우수한 성능의 자동차용 소음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소음기의 전부머플러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소음기의 전부머플러 격벽 구성도.
도 3(a, b)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소음기의 후부머플러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부 머플러 격벽 구성도.
이하에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소음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소음기의 전부머플러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소음기의 전부머플러 격벽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소음기의 후부머플러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부 머플러 격벽 구성도이다.
본 고안의 머플러는 전부머플러와 후부머플러로 구성되는 자동차용 소음기이다. 도 1, 도 2에 도시된바 같이, 전부머플러(100)에서, a) 양측에 엔드플레이트(121, 122)가 구비된 전부 머플러본체(101)의 내부에 격벽 1(105)이 형성되고, 공간 1(107)이 유입관 입구(102-In)가 관통 지지되는 일측 엔드플레이트(121)와 격벽 1(105) 사이에 형성되고, 공간 2(109)가 상기 격벽 1(105)과 유출관 출구(103-Out)가 지지되는 타측 엔드플레이트(222) 사이에 형성된다.
도 1, 도 2에 도시된바 같이, 전부머플러(100)에서, b) 유입관(102)이 공간 1(107)을 거친 후 상기 격벽 1(105)에 의해 지지되고, 개방된 유입관 출구(102-Out)가 상기 공간 2(109)의 일측에 위치되고, 유출관(103)이 공간(2)에 구성되되 공간(2)의 일측에 위치한 유출관 입구(103-In)가 상기 유입관 출구(102-Out)와 소정거리(GAP)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마주보도록 구성된다.
도 1, 도 2에 도시된바 같이, 전부머플러(100)에서, c) 유입관(102)에 유입관구멍(102a)이 형성되고, 유입관(102)으로 유입된 배기가스는 유입관구멍(102a)과 공간 1(107)의 작용에 의해 소음이 감쇄되고, 유입관 출구(102-Out)을 통과한 배기가스는 공간 2(109)로 확산되거나 유출관(103)으로 재진입하면서 소음이 감쇄되고, 유출관(103)에 유출관구멍(103a)이 형성되어 상기 유출관구멍(103a)과 상기 공간 2(109)의 작용에 의해 유출관(103)을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소음이 감쇄된다.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부머플러(200)에서, 엔드플레이트(221, 222)가 구비된 머플러본체(201) 내부에 제1, 제2 격벽(208, 209)이 순차로 구비되고, 제1 격벽(208)은 제1 격벽구멍(208a)이 구비되고, 제2 격벽(209)은 제2격벽구멍(209a)이 구비된다.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부머플러(200)에서, 흡입관 입구(202-In)가 관통 지지되는 일측 엔드플레이트(221)와 제1 격벽(208) 간에 제1 공간(210)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격벽(208)과 제2 격벽(209) 간에 제2 공간(211)이 구비되고, 상기 제2 격벽(209)과 배출관 출구(204-Out)가 지지되는 타측 엔드플레이트(222) 간에 제3 공간(212)이 구비된다.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부머플러(200)에서, 유출관(103)을 통과한 배기가스가 흡입관 입구(202-In)를 통해 유입되며 흡입관(202)은 상기 제1 공간(210) 거쳐서, 개방된 흡입관 출구(202-Out)가 제2 공간(211)과 연통되며, 제1 공간(210)에 위치하는 흡입관(202) 외주면에는 흡입관 구멍(202a)이 구비된다.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부머플러(200)에서, 배출관(204)은 상류직관(204a)과 하류직관(204c)과 상기 상, 하류직관(204a, 204c)을 매개하는 "U"형 곡관부(204b)로 구성되되, 상기 상류직관(204a)은 제3공간(212)에 위치한 배출관입구(204-In)에서 시작하여 제2 공간(211)을 거쳐 제1 공간(210)에 위치한 "U"형 곡관부(204b)와 연결되고, 일측이 상기 "U"형 곡관부(204b)와 연결되는 상기 하류직관(204c)은 제2 공간(211)과 제3 공간(212)을 거쳐 타측이 엔드플레이트(222)를 관통하고, 제2 공간(211)에 위치한 상류직관(204a)의 외부면에 제1 배출관구멍(204e)이 형성된다.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부머플러(200)에서, 바이패스관(203)이 제2 공간(211)을 걸쳐서 형성되되, 바이패스관 입구(203-In)은 제1 공간(210)에 연통되고, 바이패스관 출구(203-Out)은 제3 공간(212)에 연통된다.
도 1에 도시된바 같이, 전부머플러(100)에서, 유입관의 출구(102-Out)는 끝단부로 갈수록 테이퍼지면서 단면적이 작아지며, 상기 유입관 출구(102-Out) 끝단의 단면적은 상기 유출관 입구(103-In)의 단면적보다 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바 같이, 전부머플러(100)에서, 일측 엔드플레이트(121)와 격벽 1(105) 사이에 격벽 2(104)가 구비되고, 타측 엔드플레이트(122)와 격벽 1(105) 사이에 격벽 3(106)이 구비되고, 격벽 1(105)와 격벽 2(104)와 격벽 3(106)에 모두 격벽구멍(105a, 104a, 106a)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부머플러(200)에서, 배출관(203) 중에서 제3 공간(208)에 위치한 하류직관(204c)의 외주면에 레조네이터구멍(204f)이 형성되고, 레조네이터(206)가 상기 레조네이터구멍(204f)을 감싸면서 흡음재로 채워진 제2 레조네이터공간(207)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부머플러(200)에서, 제2 공간(211)에 위치한 바이패스관(203) 외주면에 바이패스관구멍(203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격벽구멍(208a)의 개방면적은 상기 제2격벽구멍(209a)의 개방면적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부머플러(200)에서, 제1 격벽(208 하단에 제1 배수구멍(208b)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격벽(209) 하단에 제2 배수구멍(209b)이 형성되어, 제1, 제2 공간의 응축수가 제1 배수구멍(208b), 제2 배수구멍(209b)을 통하여 상기 제 3 공간(212)으로 유도되어 배출관(203)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특유한 구성에 따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은 배기 소음 감쇄 부품인 머플러에 관한 것으로, 전부 머플러와 후부 머플러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자동차 배기 소음 감쇠 부품인 머플러에 관한 것으로 단면이 타원형상의 전부 머플러 및 단면이 원형상인 후부 머플러를 일체로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머플러 내부는 다공형 튜브, 격벽, 흡음재, U형 곡관(챔버), 레조네이터(206), 바이패스관(203) 등을 조합한 상태이다. 엔진에서 발생된 고온, 고압의 폭발음을 가진 배기가스가 전부와 후부 머플러를 통과함으로서 소음의 감쇠가 이루어진다. 소비자의 자동차에 대한 소음 및 진동에 관한 요구품질은 날로 높아져, 그 수준을 만족하기 위해 점점 머플러의 구조는 복잡해져가는 추세이며 내부구조의 음향 튜닝을 통해 그 품질을 만족하도록 하였다.
본 고안은 몸체(101) 내부에 직관의 유입관(102)과 유출관(103)으로 배기가스가 통과하면서 소음의 감쇄가 이루어지고 일차적으로 소음감쇄가 이루어진 배기가스가 후부머플러(200)를 지나면서 내부에 장치되어 있는 격벽(208, 209), U챔버(204b), 레조네이터(206) 등을 이동하면서 소음을 한번 더 감쇄시키고 공간(210, 211, 212)을 거쳐 배출관(204)으로 빠져 나가도록 된 후부 머플러(20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효과를 살펴보면 전부 머플러의 유입관(102)으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유입관 구멍(102a)을 통하여 공간(107a, 107b)으로 들어가며 소음을 감쇄 시키고 유입관(102) 출구 공간(109)에서 유출관(103)으로 다시 배출 되게 되면 유출관(103)역시 유출관 구멍(103a)을 통하여 공간(109b)으로 배기가스가 유입되면서 소음이 줄어든다. 이때 각각의 격벽(104, 105, 106)은 격벽구멍(104a, 105a, 106a)등으로 배기가스가 이동할 수 있으면, shell 노이즈를 감쇄 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렇게 감쇄된 배기가스는 후부 머플러(200)의 흡입관(202)으로 들어와서 공간(211)로 들어오며 일부는 공간(210)으로 흡입관 구멍(202a)을 통하여 들어간다. 배기가스는 격벽구멍(208a, 209a)를 통과하면서 소음을 감쇄 시키고 분산된 배기가스는 바이패스 파이프(203)을 통하여 공간(212)로 들어오면 배출관(204)을 통하여 배출된다. 이때 배출관의 U챔버를 거쳐 가면서 소음을 줄이고, 배출관(204)과 배출관 U챔버(204b)의 길이에 따라 특정 주파수의 소음 상쇄가 이루어진다. 마지막으로 배출관(204)에 있는 레조네이터(206)를 거치면서 중요 주파수 소음을 줄이며 대기중으로 배출 된다.
또한, 본 고안의 특징으로는 소음기의 격벽(208, 209) 아래 부분에 배수로(208b, 209b)를 설치하여 머플러 내부의 응축수가 배출되기도 하지만 좀더 원활한 배출을 위하여 응축수 배출관(214)을 따로 두어 배출의 역할을 확대 시켰으며, U챔버를 이용한 특정 주파수 노이즈 감쇄 역할을 확대시키기도 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고안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으로 본 고안과 균등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부호는 단순히 고안의 이해를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권리범위의 해석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함을 밝히며 기재된 도면부호에 의해 권리범위가 좁게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21, 122 : 엔드플레이트 101 : 전부 머플러본체
102 : 유입관 102a : 유입관구멍
103 : 유출관 103a : 유출관구멍
103-Out : 유출관 출구 105 : 격벽 1
107 : 공간 1 109 : 공간 2
202 : 흡입관 202a : 흡입관 구멍
202-In : 흡입관 입구 202-Out : 흡입관 출구
203 : 바이패스관 203-In : 바이패스관 입구
203-Out : 바이패스관 출구 204 : 배출관
204a : 상류직관 204b : 하류직관
204c : "U"형 곡관부 204e : 제1 배출관구멍
204f : 레조네이터구멍 204-Out : 배출관 출구
206 : 레조네이터 207 : 레조네이터공간
208, 209 : 제1, 제2 격벽
208a, 209a : 제1, 제2 격벽구멍
208b, 209b : 제1, 제2 배수구멍
210, 211, 212 : 제1, 제2, 제3 공간
221, 222 : 엔드플레이트

Claims (8)

  1. 전부머플러와 후부머플러로 구성된 자동차용 소음기에 있어서,
    a) 양측에 엔드플레이트(121, 122)가 구비된 전부 머플러본체(101)의 내부에 격벽 1(105)이 형성되고, 공간 1(107)이 유입관 입구(102-In)가 관통 지지되는 일측 엔드플레이트(121)와 격벽 1(105) 사이에 형성되고, 공간 2(109)가 상기 격벽 1(105)과 유출관 출구(103-Out)가 지지되는 타측 엔드플레이트(122) 사이에 형성되고,
    b) 유입관(102)이 공간 1(107)을 거친 후 상기 격벽 1(105)에 의해 지지되고, 개방된 유입관 출구(102-Out)가 상기 공간 2(109)의 일측에 위치되고, 유출관(103)이 공간(2)에 구성되되 공간(2)의 일측에 위치한 유출관 입구(103-In)가 상기 유입관 출구(102-Out)와 소정거리(GAP)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마주보도록 구성되고,
    c) 유입관(102)에 유입관구멍(102a)이 형성되고, 유입관(102)으로 유입된 배기가스는 유입관구멍(102a)과 공간 1(107)의 작용에 의해 소음이 감쇄되고, 유입관 출구(102-Out)을 통과한 배기가스는 공간 2(109)로 확산되거나 유출관(103)으로 재진입하면서 소음이 감쇄되고, 유출관(103)에 유출관구멍(103a)이 형성되어 상기 유출관구멍(103a)과 상기 공간 2(109)의 작용에 의해 유출관(103)을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소음이 감쇄되는 전부머플러(1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소음기.
  2. 제1항에 있어서,
    엔드플레이트(221, 222)가 구비된 머플러본체(201) 내부에 제1, 제2 격벽(208, 209)이 순차로 구비되고, 제1 격벽(208)은 제1 격벽구멍(208a)이 구비되고, 제2 격벽(209)은 제2격벽구멍(209a)이 구비되고;
    흡입관 입구(202-In)가 관통 지지되는 일측 엔드플레이트(221)와 제1 격벽(208) 간에 제1 공간(210)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격벽(208)과 제2 격벽(209) 간에 제2 공간(211)이 구비되고, 상기 제2 격벽(209)과 배출관 출구(204-Out)가 지지되는 타측 엔드플레이트(222) 간에 제3 공간(212)이 구비되고;
    상기 유출관(103)을 통과한 배기가스가 흡입관 입구(202-In)를 통해 유입되며 흡입관(202)은 상기 제1 공간(210) 거쳐서, 개방된 흡입관 출구(202-Out)가 제2 공간(211)과 연통되며, 제1 공간(210)에 위치하는 흡입관(202) 외주면에는 흡입관 구멍(202a)이 구비되고;
    배출관(204)은 상류직관(204a)과 하류직관(204c)과 상기 상, 하류직관(204a, 204c)을 매개하는 "U"형 곡관부(204b)로 구성되되, 상기 상류직관(204a)은 제3공간(212)에 위치한 배출관입구(204-In)에서 시작하여 제2 공간(211)을 거쳐 제1 공간(210)에 위치한 "U"형 곡관부(204b)와 연결되고, 일측이 상기 "U"형 곡관부(204b)와 연결되는 상기 하류직관(204c)은 제2 공간(211)과 제3 공간(212)을 거쳐 타측이 엔드플레이트(222)를 관통하고, 제2 공간(211)에 위치한 상류직관(204a)의 외부면에 제1 배출관구멍(204e)이 형성되고,
    바이패스관(203)이 제2 공간(211)을 걸쳐서 형성되되, 바이패스관 입구(203-In)은 제1 공간(210)에 연통되고, 바이패스관 출구(203-Out)은 제3 공간(212)에 연통되는 후부머플러(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소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의 출구(102-Out)는 끝단부로 갈수록 테이퍼지면서 단면적이 작아지며, 상기 유입관 출구(102-Out) 끝단의 단면적은 상기 유출관 입구(103-In)의 단면적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소음기.
  4. 제1항에 있어서,
    일측 엔드플레이트(121)와 격벽 1(105) 사이에 격벽 2(104)가 구비되고, 타측 엔드플레이트(122)와 격벽 1(105) 사이에 격벽 3(106)이 구비되고, 격벽 1(105)와 격벽 2(104)와 격벽 3(106)에 모두 격벽구멍(105a, 104a, 106a)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소음기.
  5. 제2항에 있어서,
    배출관(203) 중에서 제3 공간(208)에 위치한 하류직관(204c)의 외주면에 레조네이터구멍(204f)이 형성되고, 레조네이터(206)가 상기 레조네이터구멍(204f)을 감싸면서 흡음재로 채워진 레조네이터공간(207)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소음기.
  6. 제2항에 있어서,
    제2 공간(211)에 위치한 바이패스관(203) 외주면에 바이패스관구멍(203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소음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격벽구멍(208a)의 개방면적은 상기 제2격벽구멍(209a)의 개방면적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소음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격벽(208 하단에 제1 배수구멍(208b)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격벽(209) 하단에 제2 배수구멍(209b)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제2 공간의 응축수가 상기 제1 배수구멍(208b), 제2 배수구멍(209b)을 통하여 상기 제 3 공간(212)으로 유도되어 배출관(203)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소음기.
KR2020100010517U 2010-10-13 2010-10-13 자동차용 소음기 KR2012000275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517U KR20120002754U (ko) 2010-10-13 2010-10-13 자동차용 소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517U KR20120002754U (ko) 2010-10-13 2010-10-13 자동차용 소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754U true KR20120002754U (ko) 2012-04-23

Family

ID=46606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517U KR20120002754U (ko) 2010-10-13 2010-10-13 자동차용 소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275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676U (ko) * 2015-08-12 2017-02-22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이동식 가스방산 소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0676U (ko) * 2015-08-12 2017-02-22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이동식 가스방산 소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37150A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49902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49904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49903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120002754U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57936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120037160A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52151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49901Y1 (ko) 자동차용 소음기
JP6169035B2 (ja) 燃料電池車の排気音の消音構造
KR200452150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0210094Y1 (ko) 자동차용 후부 머플러
KR200455587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110136391A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120002751U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0307952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49898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55586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49905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120002672U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0307951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100882654B1 (ko) 자동차의 저용량 소음기
KR20120037147A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120003603U (ko) 농기계용 소음기
KR20020022341A (ko) 배기 소음 감쇄를 위한 머플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