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5587Y1 - 자동차용 소음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소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5587Y1
KR200455587Y1 KR2020090012287U KR20090012287U KR200455587Y1 KR 200455587 Y1 KR200455587 Y1 KR 200455587Y1 KR 2020090012287 U KR2020090012287 U KR 2020090012287U KR 20090012287 U KR20090012287 U KR 20090012287U KR 200455587 Y1 KR200455587 Y1 KR 2004555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muffler
discharge pipe
suction
sound absorb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228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3015U (ko
Inventor
이석우
Original Assignee
동원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원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원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1228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5587Y1/ko
Publication of KR201100030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01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55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55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2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resonance
    • F01N1/023Helmholtz reson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2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resonance
    • F01N1/04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resonance having sound-absorbing materials in resonance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24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sound-absorbing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0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draining or otherwise eliminating condensates or moisture accumulating in th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70/00Structure or shape of gas passages, pipes or tubes
    • F01N2470/02Tubes being perfor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 자동차용 소음기에 있어서, 흡배출관(102)으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흡배출관 출구(102b)로 빠지기 전에 흡배출관구멍(102c)들과 흡음재(105)로 채워진 레조네이터공간(104)의 작용에 의해서 중고주파수의 소음과 유동소음이 감쇠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부머플러(100)와; 양측에 엔드플레이트(221, 222)가 구비된 후부 머플러본체(201)의 내부에 제1, 제2 격벽(205, 206)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제1, 제2 격벽(205, 206)에 의해 제1, 제2, 제3 공간(209, 208, 207)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흡입관(202)은 상기 제1 공간(209)과 제2 공간(208)을 거쳐 구성되고, 제2 공간(208)을 거쳐 구성되는 바이패스튜브(203)는 제1, 제2 격벽(205, 206)에 의해 지지되면서 개방된 바이패스튜브출구(203c)가 상기 제1 공간(209)과 연통되고, 바이패스튜브의 타단(203b)은 막혀있으며, 배출관(204)은 제1, 제2 격벽(205, 206)과 타측 엔드플레이트(222)에 의해 지지되면서 제2 공간(208)과 제3 공간(207)을 거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부머플러(200);로 구성되는 자동차용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소음기, 머플러, 흡입관, 배출관

Description

자동차용 소음기 { Muffler for Automobile }
본 고안은 자동차용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우수한 소음 감소 작용을 제공하면서 제작이 용이하고 오랜 사용수명을 유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내연기관의 엔진을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자동차의 엔진에서는 고온 고압의 배기가스가 심한 소음을 수반하여 배출되게 되므로 그 배기가스의 배출 소음 및 압력을 감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소음기가 장착사용되고 있다. 현재 이러한 자동차의 소음기에 대한 수요가들의 요구수준은 나날히 높아지고 있어 소음기의 구성이 점점 복잡다단해지고 있는 추세인 바, 구성이 복잡해질수록 목적하는 바의 소음작용은 더 우수해질 수 있으나 그만큼 더 제작이 어렵고 많은 제작 비용이 소요되며, 또 고온 고압의 배기가스에 대한 취약부위들이 많아져서 고장이 잦아지고 사용수명이 짧아지는 것 등의 문제점이 뒤따르게 된다. 즉, 종래의 자동자용 소음기들은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고 제작이 쉬운 것은 요구되는 수준의 소음효과를 달성하기 어렵고, 소음효과가 좋은 것은 지나치게 복잡다단한 구성으로 제작이 난해하고 고가의 제작비용이 소요되면서 고장이 잦고 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소음기 내부구조의 음향튜닝을 통해 우수한 소음 감소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면서, 제작성 및 제작비용등의 면에서도 큰 어려움이 없고, 또 효율적이고 내구성있는 구성으로 사용수명이 긴 자동차용 소음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소음기는,
a) 외주면에 흡배출관구멍(102c)이 형성되고 후부머플러(200)의 흡입관(202)과 연통되는 흡배출관(102)과, 상기 흡배출관(102)을 감싸면서 레조네이터공간(104)을 형성하는 레조네이터본체(101)와, 상기 레조네이터공간(104)을 채우는 흡음재(105)로 구성되고,
b) 흡배출관(102)으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흡배출관 출구(102b)로 빠지기 전에 흡배출관구멍(102c)들과 흡음재(105)로 채워진 레조네이터공간(104)의 작용에 의해서 중고주파수의 소음과 유동소음이 감쇠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부머플러(100)와;
a) 양측에 엔드플레이트(221, 222)가 구비된 후부 머플러본체(201)의 내부에 제1, 제2 격벽(205, 206)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제2 격벽구멍(206b)이 제2 격벽(206)에 구비되고,
b) 제1 공간(209)이 흡입관 입구(202-In)가 관통 지지되는 일측 엔드플레이트(221)와 제1 격벽(205) 사이에 형성되고, 제2 공간(208)이 상기 제1 격벽(205)과 제2 격벽(206) 사이에 형성되고, 제3 공간(207)이 상기 제2 격벽(206)과 배출관 출구(204-Out)가 지지되는 타측 엔드플레이트(222) 사이에 형성되고,
c) 흡입관(202)은 상기 제1 공간(209)과 제2 공간(208)을 거쳐 구성되고, 엔진으로부터 분출된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흡입관 입구(202-In)는 일측 엔드플레이트(221)를 관통하여 지지되고, 흡입관 입구(202-In)의 반대편에 형성된 된 목(Neck)부(202b)는 제3 공간(207)과 연통되고, 흡입관 구멍(202a)은 상기 제2 공간(208)에 위치하는 흡입관(202) 외주면 영역 중 상기 목부(202b)의 상류 영역에 구성되고,
d) 제2 공간(208)을 거쳐 구성되는 바이패스튜브(203)는 제1, 제2 격벽(205, 206)에 의해 지지되면서 개방된 바이패스튜브출구(203c)가 상기 제1 공간(209)과 연통되고, 바이패스튜브의 타단(203b)은 막혀있으며, 상기 제2 공간(208)에 위치한 바이패스튜브(203)의 외주면에 바이패스튜브 구멍(203a)이 형성되고,
e) 배출관(204)은 제1, 제2 격벽(205, 206)과 타측 엔드플레이트(222)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제2 공간(208)과 제3 공간(207)을 거쳐 구성되고, 배출관 입구(204-In)는 상기 제1 공간(209)과 연통되고 배출관 출구(204-Out)는 상기 타측 엔드플레이트(222)를 관통하고,
f) 상기 제2 공간(208)에 위치한 배출관(204) 외주면에 배출관 구멍(204a)이 형성되고, 제2 레조네이터본체(210a)가 상기 배출관 구멍(204a)을 감싸면서 제3 흡음재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3 흡음재공간에 흡음재(210b)가 내장되어 제2 레조네이터(21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부머플러(200);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는 경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해결되며, 본 고안에 따르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우수한 소음 감소 작용을 제공하면서 제작이 용이하고 오랜 사용수명을 유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소음기가 제공된다.
차량의 하부의 한정된 공간을 이용하면서도 차량의 배기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소음기가 제공된다. 소음 감쇄 효과가 우수하고, 생산성이 있으며, 적절한 수준의 배압 손실만을 갖는 우수한 성능의 자동차용 소음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르는 경우, 소용량 머플러안에서 특유한 구조의 격벽 배치와 흡입, 배출관, 흡음재의 배치에 의해 효율적인 배기소음 감쇄 경로를 구성하고, 배압이 크지 않으면서 소음감쇄 효과를 증대시킬수 있는 자동차용 소음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에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소음기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부머플러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부머플러 격벽1 구성도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소음기는, 전부머플러(100)와 후부머플 러(20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부머플러(100)는 외주면에 흡배출관구멍(102c)이 형성되고 후부머플러(200)의 흡입관(202)과 연통되는 흡배출관(102)과, 흡배출관(102)을 감싸면서 레조네이터공간(104)을 형성하는 레조네이터본체(101)와, 레조네이터공간(104)을 채우는 흡음재(105)로 구성된다.
이로서, 흡배출관(102)으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흡배출관 출구(102b)로 빠지기 전에 흡배출관구멍(102c)들과 흡음재(105)로 채워진 레조네이터공간(104)의 작용에 의해서 중고주파수의 소음과 유동소음이 감쇠가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부머플러(100)는 양측에 엔드플레이트(121, 122)로 마감되고, 두개의 엔드플레이트(121, 122) 사이에 다공성 격벽1(103)이 형성되고, 다공성 격벽1(103)에 의해 상기 레조네이터공간(104)이 전부 공간(104a) 및 후부 공간(104b) 2개로 구획되어질 수 있다. 전부 공간(104a)과 후부 공간(104b)에 각각 흡음재1(105a)와 흡음재2(105b)가 채우진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부머플러 정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부머플러 평면 구성도, 도 5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전부머플러 중 제1 격벽 구성도이고, 도 6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부머 플러 중 제2 격벽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소음기의 후부머플러(200)는 양측에 엔드플레이트(221, 222)가 구비된 후부 머플러본체(201)의 내부에 제1, 제2 격벽(205, 206)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제2 격벽구멍(206b)이 제2 격벽(206)에 구비된다.
제1 공간(209)이 흡입관 입구(202-In)가 관통 지지되는 일측 엔드플레이트(221)와 제1 격벽(205) 사이에 형성되고, 제2 공간(208)이 상기 제1 격벽(205)과 제2 격벽(206) 사이에 형성되고, 제3 공간(207)이 상기 제2 격벽(206)과 배출관 출구(204-Out)가 지지되는 타측 엔드플레이트(222) 사이에 형성된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소음기의 후부머플러(200)는 양단이 개방된 흡입관(202)을 갖는다. 흡입관(202)은 제1 공간(209)과 제2 공간(208)을 거쳐 구성된다. 엔진으로부터 분출된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흡입관 입구(202-In)는 일측 엔드플레이트(221)를 관통하여 지지되고, 흡입관 입구(202-In)의 반대편에 형성된 된 목(Neck)부(202b)는 제3 공간(207)과 연통된다. 흡입관 구멍(202a)은 제2 공간(208)에 위치하는 흡입관(202) 외주면 영역 중 목부(202b)의 상류 영역에 구성된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소음기의 후부머플러(200)는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폐쇄된 바이패스튜브(203)를 갖는다. 제2 공간(208)을 거쳐 구성되는 바이패스튜브(203)는 제1, 제2 격벽(205, 206)에 의해 지지되면서 개방된 바이패스튜브출구(203c)가 제1 공간(209)과 연통되고, 바이패스튜브의 타단(203b)은 막혀있으며, 제2 공간(208)에 위치한 바이패스튜브(203)의 외주면에 바이패스튜브 구멍(203a)이 형성된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소음기의 후부머플러(200)는 양단이 개방된 배출관(204)을 갖는다. 배출관(204)은 제1, 제2 격벽(205, 206)과 타측 엔드플레이트(222)에 의해 지지되면서 제2 공간(208)과 제3 공간(207)을 거쳐 구성된다. 배출관 입구(204-In)는 제1 공간(209)과 연통되고 배출관 출구(204-Out)는 상기 타측 엔드플레이트(222)를 관통한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공간(208)에 위치한 배출관(204) 외주면에 배출관 구멍(204a)이 형성된다. 제2 레조네이터본체(210a)가 배출관 구멍(204a)을 감싸면서 제3 흡음재공간을 형성하고 제3 흡음재공간에 흡음재(210b)가 내장되어 제2 레조네이터(210)를 형성한다.
전부머플러(100)로부터 후부머플러(200)의 흡입관(202)으로 흡입된 배기가스는 흡입관 구멍(202a)을 통해 제2 공간(208)으로 확산되면서 소음의 감쇠가 이루어 진다.
또한, 흡입관 일단에 형성되어 제3 공간(207)과 연통되는 목부(202b) 및 제2 격벽(206)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2 격벽구멍(206b)들과 제3 공간(207)으로 구성된 헬름홀츠 레조네이터의 작용에 의해서 특정 주파수의 소음의 감쇠가 이루어진다.
제2 공간(208)의 배기가스는 바이패스튜브(203)의 바이패스튜브 구멍(203a)들을 통해 제1 공간(209)으로 확산되면서 소음의 감쇠가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공간(209)의 배기가스는 배출관 입구(204-In)으로 진입하면서 소음의 감쇠가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관(204)을 통과하는 배기가스의 유동소음과 특정 주파수 소음은 배출관 구멍(204a)과 흡음재(210b)의 작용으로 제2 레조네이터(210)를 통과하면서 감쇠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른 자동차용 소음기의 작용에 대하여 부연 설명한다. 본 고안은 자동차 배기 소음 감쇠 부품인 머플러에 관한 것으로 반달 단면형상의 전부 머플러 및 부드러운 삼각 단면형상의 후부 머플러를 일체로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머플러 내부는 다공형 튜브, 격벽, 직관, 흡음재, 레조네이터 등을 조합한 상태이다. 엔진에서 발생된 고온, 고압의 폭발음을 가진 배기가스가 전부와 후부 머플러를 통과함으로서 소음의 감쇠가 이루어진다. 소비자의 자동차에 대한 소음 및 진동에 관한 요구품질은 날로 높아져, 그 수준을 만족하기 위해 점점 머플 러의 구조는 복잡해져가는 추세이며 내부구조의 음향 튜닝을 통해 그 품질을 만족하도록 하였다.
본 고안은 몸체(101) 내부에 다공형 튜브로 된 직관의 흡배출관(102) 그리고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격벽1(103)로 이루어져 엔진에서 연소된 배기가스가 이 관을 통해 빠져 나가도록 구성된 전부머플러(100)와, 전부머플러(100)를 빠져나온 배기가스가 후부 머플러본체(201) 내부에 다공형 튜브로 된 흡입관(202)과 바이패스 튜브(203) 및 제3 공간(209)을 거쳐 배출관(204)으로 빠져 나가도록 구성된 후부머플러(20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살펴보는데, 먼저 전부머플러(1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부머플러(100)의 흡배출관 입구(102a)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흡배출관 출구(102b)로 빠지기 전에 다수개의 구멍(102c)들과 흡음재(105)로 채워진 공간(104)의 작용에 의해서 중고주파수의 소음의 감쇠가 일어난다.
여기서 다수개의 구멍(103a)들이 형성되어 있는 격벽(103)은 공간(104)을 전부 공간(104a)과 후부 공간(104b)으로 나누지만 이 전, 후부 공간(104a, 104b)들은 격벽(103)의 높은 공극률로 인해 마치 하나의 공간으로 연결된 것과 같은 특성을 보인다.
이하에서 후부머플러(2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부머플러(100)를 빠져나와 후부머플러(200)의 다공형 흡입관(202)으로 흡입된 배기가스는 흡입관 구멍(202a)을 통해 제2 공간(208)으로 빠져나오면서 소음의 감쇠가 이루어진다.
또한, 흡입관 일단에 형성된 목부(202b) 및 제2 격벽(206)에 형성된 다수개의 제2 격벽구멍(206b)들과 제3 공간(207)으로 구성된 헬름홀츠 레조네이터의 작용에 의해서 특정 주파수의 소음의 감쇠가 이루어진다.
제2 공간(208)으로 빠져나온 배기가스는 음향학적으로 계산된 길이를 가진 다공형 바이패스튜브(203)의 바이패스튜브 구멍(203a)들을 통해 공간(209)으로 빠져 나가면서 한 번 더 소음의 감쇠가 이루어진다. 바이패스튜브(203)를 통과한 배기가스는 제1 공간(209)에서 최종 단계의 소음감쇠가 일어나 배출관(204)으로 배출된다.
특히, 배출관(204)에는 튜브에 다수의 배출관 구멍(204a)을 형성하고 흡음재(210b)와 외부튜브를 감싸 만든 레조네이터(210)가 장착되어 유동소음과 특정 주파수 소음이 감쇠된다.
또한, 본 고안의 특징으로는 배출관을 머플러 내부 아래 부분에 위치하도록 설계함으로써 응축수의 배출을 촉진하여 종래의 응축수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는 역 할을 도모하였으며 배출관 입구스(204-In) 부분은 벨 마우스로 형성하여 배기가스 배출시 발생하는 유동소음을 줄여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흡입관, 바이패스 튜브, 배출관은 두 격벽(205, 206)에 의해 하나로 조립되고 이 내부 조립품을 후부머플러 본체(201)에 삽입할 때 격벽의 모서리(205a, 206a)가 후부머플러 본체(201)와의 마찰력에 의해서 휘어진 상태로 조립 될 경우 발생하는 이음과 내구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두 격벽의 모서리를 지지바(211)로 연결한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고안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으로 본 고안과 균등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부호는 단순히 고안의 이해를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권리범위의 해석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함을 밝히며 기재된 도면부호에 의해 권리범위가 좁게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부머플러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부머플러 격벽1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부머플러 정면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부머플러 평면 구성도.
도 5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전부머플러 중 제1 격벽 구성도.
도 6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부머플러 중 제2 격벽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레조네이터본체 102 : 흡배출관
102c : 흡배출관구멍 104 : 레조네이터공간
104a, 104b : 전부 공간, 후부 공간 105 : 흡음재
121, 122 : 엔드플레이트 103 : 다공성 격벽1
105a, 105b : 흡음재1, 흡음재2
200 : 후부머플러 201 : 후부 머플러본체
202 : 흡입관 202a : 흡입관 구멍
202b : 목(Neck)부 202-In : 흡입관 입구
203 : 바이패스튜브 203a : 바이패스튜브 구멍
203b : 바이패스튜브 구멍 203c : 바이패스튜브 타단
204 : 배출관 204a : 배출관 구멍
204-In : 배출관 입구 204-Out : 배출관 출구
205, 206 : 제1, 제2 격벽 206a : 제2 격벽구멍
207, 208, 209 : 제3, 제2, 제1 공간
210 : 제2 레조네이터 210a : 레조네이터 본체
211 : 지지바 221, 222 : 엔드플레이트

Claims (4)

  1. 자동차용 소음기에 있어서,
    a) 외주면에 흡배출관구멍(102c)이 형성되고 후부머플러(200)의 흡입관(202)과 연통되는 흡배출관(102)과, 상기 흡배출관(102)을 감싸면서 레조네이터공간(104)을 형성하는 레조네이터본체(101)와, 상기 레조네이터공간(104)을 채우는 흡음재(105)로 구성되고,
    b) 흡배출관(102)으로 유입된 배기가스가 흡배출관 출구(102b)로 빠지기 전에 흡배출관구멍(102c)들과 흡음재(105)로 채워진 레조네이터공간(104)의 작용에 의해서 중고주파수의 소음과 유동소음이 감쇠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부머플러(100)와;
    a) 양측에 엔드플레이트(221, 222)가 구비된 후부 머플러본체(201)의 내부에 제1, 제2 격벽(205, 206)이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제2 격벽구멍(206b)이 제2 격벽(206)에 구비되고,
    b) 제1 공간(209)이 흡입관 입구(202-In)가 관통 지지되는 일측 엔드플레이트(221)와 제1 격벽(205) 사이에 형성되고, 제2 공간(208)이 상기 제1 격벽(205)과 제2 격벽(206) 사이에 형성되고, 제3 공간(207)이 상기 제2 격벽(206)과 배출관 출구(204-Out)가 지지되는 타측 엔드플레이트(222) 사이에 형성되고,
    c) 흡입관(202)은 상기 제1 공간(209)과 제2 공간(208)을 거쳐 구성되고, 엔진으로부터 분출된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흡입관 입구(202-In)는 일측 엔드플레이트(221)를 관통하여 지지되고, 흡입관 입구(202-In)의 반대편에 형성된 된 목(Neck)부(202b)는 제3 공간(207)과 연통되고, 흡입관 구멍(202a)은 상기 제2 공간(208)에 위치하는 흡입관(202) 외주면 영역 중 상기 목부(202b)의 상류 영역에 구성되고,
    d) 제2 공간(208)을 거쳐 구성되는 바이패스튜브(203)는 제1, 제2 격벽(205, 206)에 의해 지지되면서 개방된 바이패스튜브출구(203c)가 상기 제1 공간(209)과 연통되고, 바이패스튜브의 타단(203b)은 막혀있으며, 상기 제2 공간(208)에 위치한 바이패스튜브(203)의 외주면에 바이패스튜브 구멍(203a)이 형성되고,
    e) 배출관(204)은 제1, 제2 격벽(205, 206)과 타측 엔드플레이트(222)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제2 공간(208)과 제3 공간(207)을 거쳐 구성되고, 배출관 입구(204-In)는 상기 제1 공간(209)과 연통되고 배출관 출구(204-Out)는 상기 타측 엔드플레이트(222)를 관통하고,
    f) 상기 제2 공간(208)에 위치한 배출관(204) 외주면에 배출관 구멍(204a)이 형성되고, 제2 레조네이터본체(210a)가 상기 배출관 구멍(204a)을 감싸면서 제3 흡음재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3 흡음재공간에 흡음재(210b)가 내장되어 제2 레조네이터(21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부머플러(200);로 구성되는 자동차용 소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부머플러(100)는 양측에 엔드플레이트(121, 122)로 마감되고, 상기 두개의 엔드플레이트(121, 122) 사이에 다공성 격벽1(103)이 형성되고, 상기 다공성 격벽1(103)에 의해 상기 레조네이터공간(104)이 전부 공간(104a) 및 후부 공간(104b) 2개로 구획되어지고,
    상기 전부 공간(104a)과 후부 공간(104b)에 각각 흡음재1(105a)와 흡음재2(105b)가 채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소음기.
  3. 삭제
  4. 삭제
KR2020090012287U 2009-09-18 2009-09-18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555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287U KR200455587Y1 (ko) 2009-09-18 2009-09-18 자동차용 소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287U KR200455587Y1 (ko) 2009-09-18 2009-09-18 자동차용 소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015U KR20110003015U (ko) 2011-03-24
KR200455587Y1 true KR200455587Y1 (ko) 2011-09-15

Family

ID=44208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2287U KR200455587Y1 (ko) 2009-09-18 2009-09-18 자동차용 소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5587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860Y1 (ko) 1997-07-15 2000-03-15 동원정공주식회사 자동차용 머플러
KR200171858Y1 (ko) 1997-07-15 2000-03-15 동원정공주식회사 자동차용 머플러
KR200228832Y1 (ko) 1998-07-08 2001-09-17 이은우 자동차용머플러
KR200307951Y1 (ko) 2002-12-16 2003-03-17 동원정공 주식회사 자동차용 소음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1860Y1 (ko) 1997-07-15 2000-03-15 동원정공주식회사 자동차용 머플러
KR200171858Y1 (ko) 1997-07-15 2000-03-15 동원정공주식회사 자동차용 머플러
KR200228832Y1 (ko) 1998-07-08 2001-09-17 이은우 자동차용머플러
KR200307951Y1 (ko) 2002-12-16 2003-03-17 동원정공 주식회사 자동차용 소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015U (ko) 201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37150A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49904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49902Y1 (ko) 자동차용 소음기
CN106321193A (zh) 一种轿车后消声器
KR200209077Y1 (ko) 자동차용 머플러
KR200455587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57936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49903Y1 (ko) 자동차용 소음기
JP6169035B2 (ja) 燃料電池車の排気音の消音構造
KR200452151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110136391A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0210094Y1 (ko) 자동차용 후부 머플러
KR200449901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55586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0307952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52150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0307951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49898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0449905Y1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120002751U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120002754U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120037147A (ko) 자동차용 소음기
KR20120003603U (ko) 농기계용 소음기
US7708115B2 (en) Sound-attenuating muffler having reduced back pressure
KR20120037160A (ko) 자동차용 소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