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6357Y1 - 자동차용 소음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소음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56357Y1 KR200456357Y1 KR2020100006254U KR20100006254U KR200456357Y1 KR 200456357 Y1 KR200456357 Y1 KR 200456357Y1 KR 2020100006254 U KR2020100006254 U KR 2020100006254U KR 20100006254 U KR20100006254 U KR 20100006254U KR 200456357 Y1 KR200456357 Y1 KR 20045635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ace
- suction pipe
- discharge pipe
- muffler
- end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전부머플러와 후부머플러로 구성된 자동차용 소음기에 있어서, 양단에 엔드플레이트(105, 106)가 구비된 전부머플러 본체(101)에 공간1(103)이 구비되고, 상기 공간1(103)에 흡음재(104)가 구비되고, 상기 일측 엔드플레이트(105)와 타측 엔드플레이트(106)를 관통하는 흡입관(102)이 구비되고, 상기 흡입관(102)의 외주면에 흡입관 구멍(102a)이 구비되는 전부머플러(100)와;
엔드플레이트(208, 209)가 구비된 후부머플러본체(201) 내부에 격벽구멍(205a)이 형성된 제1 격벽(205)이 구비되고, 흡입관 입구(202-In)가 관통되는 일측 엔드플레이트(208)와 제1 격벽(205) 사이에 제1 공간(206)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격벽(205)과 타측 엔드플레이트(209) 간에 제2 공간(207)이 구비되는 후부머플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엔드플레이트(208, 209)가 구비된 후부머플러본체(201) 내부에 격벽구멍(205a)이 형성된 제1 격벽(205)이 구비되고, 흡입관 입구(202-In)가 관통되는 일측 엔드플레이트(208)와 제1 격벽(205) 사이에 제1 공간(206)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격벽(205)과 타측 엔드플레이트(209) 간에 제2 공간(207)이 구비되는 후부머플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동차용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부 머플러와 후부 머플러의 조합구성에 의해 우수한 소음 감소 작용을 제공하면서 제작이 용이하고 오랜 사용수명을 유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내연기관의 엔진을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자동차의 엔진에서는 고온 고압의 배기가스가 심한 소음을 수반하여 배출되게 되므로 그 배기가스의 배출 소음 및 압력을 감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소음기가 장착 사용되고 있다. 현재 이러한 자동차의 소음기에 대한 수요가들의 요구수준은 나날히 높아지고 있어 소음기의 구성이 점점 복잡다단해지고 있는 추세인 바, 구성이 복잡해질수록 목적하는 바의 소음작용은 더 우수해질 수 있으나 그만큼 더 제작이 어렵고 많은 제작비용이 소요되며, 또 고온 고압의 배기가스에 대한 취약부위들이 많아져서 고장이 잦아지고 사용수명이 짧아지는 것 등의 문제점이 뒤따르게 된다. 즉, 종래의 자동자용 소음기들은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고 제작이 쉬운 것은 요구되는 수준의 소음효과를 달성하기 어렵고, 소음효과가 좋은 것은 지나치게 복잡다단한 구성으로 제작이 난해하고 고가의 제작비용이 소요되면서 고장이 잦고 수명이 짧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소음기 내부구조의 음향튜닝을 통해 우수한 소음 감소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면서, 제작성 및 제작비용등의 면에서도 큰 어려움이 없고, 또 효율적이고 내구성 있는 구성으로 사용수명이 긴 자동차용 소음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소음기는, 전부머플러와 후부머플러로 구성된 자동차용 소음기에 있어서,
양단에 엔드플레이트(105, 106)가 구비된 전부머플러 본체(101)에 공간1(103)이 구비되고, 상기 공간1(103)에 흡음재(104)가 구비되고,
상기 일측 엔드플레이트(105)와 타측 엔드플레이트(106)를 관통하는 흡입관(102)이 구비되고,
상기 흡입관(102)의 외주면에 흡입관 구멍(102a)이 구비되는 전부머플러(100)와;
엔드플레이트(208, 209)가 구비된 후부머플러본체(201) 내부에 격벽구멍(205a)이 형성된 제1 격벽(205)이 구비되고, 흡입관 입구(202-In)가 관통되는 일측 엔드플레이트(208)와 제1 격벽(205) 사이에 제1 공간(206)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격벽(205)과 타측 엔드플레이트(209) 간에 제2 공간(207)이 구비되고,
흡입관 입구(202-In)가 상기 전부머플러의 출구관(103)과 연통되고 개방된 흡입관 출구(202-Out)가 상기 제2 공간(207)에 위치되는 흡입관(202)이 일측 엔드플레이트(208)와 제1 격벽(105)을 관통하여 구비되되, 제1 공간(206)에 위치되는 흡입관(202)의 외주면에 흡입관 구멍(202a)이 형성되고,
개방된 형상의 배출관 입구(204-In)가 제1 공간(207)에 위치되고 배출관-출구(203-Out)가 타측 엔드플레이트(209)를 관통하여 외부와 연통되는 배출관(203)이 제1 격벽(105)과 타측 엔드플레이트(209)를 관통하여 구비되되, 상기 배출관(203)의 외주면에 배출관 구멍(203d)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관 구멍(203d)은 배출관용 레조네이터(203b)로 감싸지며 상기 배출관용 레조네이터(203b) 내부 공간에 흡음재(203c)가 구비되는 후부머플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는 경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해결되며, 본 고안에 따르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전부 머플러와 후부 머플러의 조합구성에 의해 우수한 소음 감소 작용을 제공하면서 제작이 용이하고 오랜 사용수명을 유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소음기가 제공된다.
복수의 소용량 머플러를 조합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하부의 한정된 공간을 이용하면서도 큰 배기량을 갖는 차량의 배기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소음기가 제공된다. 소음 감쇄 효과가 우수하고, 생산성이 있으며, 적절한 수준의 배압 손실만을 갖는 우수한 성능의 자동차용 소음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소음기의 전부머플러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소음기의 후부머플러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부 머플러 격벽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소음기의 후부머플러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부 머플러 격벽 구성도.
이하에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소음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소음기의 전부머플러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소음기의 후부머플러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후부 머플러 격벽 구성도이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부머플러(100)와 후부머플러(200)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부머플러(100)에 있어서, 양단에 엔드플레이트(105, 106)가 구비된 전부머플러 본체(101)에 공간1(103)이 구비되고, 상기 공간1(103)에 흡음재(104)가 구비된다. 일측 엔드플레이트(105)와 타측 엔드플레이트(106)를 관통하는 흡입관(102)이 구비되고, 흡입관(102)의 외주면에 흡입관 구멍(102a)이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후부머플러(200)에 있어서, 엔드플레이트(208, 209)가 구비된 후부머플러본체(201) 내부에 격벽구멍(205a)이 형성된 제1 격벽(205)이 구비되고, 흡입관 입구(202-In)가 관통되는 일측 엔드플레이트(208)와 제1 격벽(205) 사이에 제1 공간(206)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격벽(205)과 타측 엔드플레이트(209) 간에 제2 공간(207)이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후부머플러(200)는 흡입관(202)과 배출관(203)을 구비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관(202)은 흡입관 입구(202-In)가 상기 전부머플러의 출구관(103)과 연통되고 개방된 흡입관 출구(202-Out)가 상기 제2 공간(207)에 위치된다. 흡입관(202)은 일측 엔드플레이트(208)와 제1 격벽(105)을 관통하여 구비된다. 흡입관(202) 중 제1 공간(206) 영역에 위치되는 흡입관(202)의 외주면에 흡입관 구멍(202a)이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관(203)은 개방된 형상의 배출관 입구(204-In)가 제1 공간(207)에 위치되고 배출관-출구(203-Out)가 타측 엔드플레이트(209)를 관통하여 외부와 연통된다. 배출관(203)은 제1 격벽(105)과 타측 엔드플레이트(209)를 관통하여 구비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관(203)의 외주면에 배출관 구멍(203d)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관 구멍(203d)은 배출관용 레조네이터(203b)로 감싸지며 상기 배출관용 레조네이터(203b) 내부 공간에 흡음재(203c)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공간(207)의 체적은 상기 제1 공간(207)의 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1공간(206)은 중,저주파 음을 감쇄하는 용도로, 제2공간(207)은 저주파 음을 감쇄하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관 입구(204-In)는 단부를 연속적으로 확관한 벨마우스(203a)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부머플러 본체(101)의 바닥면에 존재하는 응축수가 배출관 입구(204-In)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도록 배출관 입구(204-In)가 후부머플러 본체(101)의 바닥면과 접하거나 후부머플러 본체(101)의 바닥면과 상기 배출관 입구(204-In) 하부 사이의 높이차가 0.5cm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배출관(203)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흡입관(202)을 지지하는 보강 브라켓트(204)가 제2 공간(207)에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고안의 특유한 구성에 따른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은 배기 소음 감쇄 부품인 머플러에 관한 것으로, 전부 머플러와 후부 머플러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소음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배기 소음 감쇄 부품인 머플러에 관한 것으로, 전부 머플러와 후부 머플러로 이루어진다. 전부 머플러(100)는 양단이 엔드플레이트(105, 106)로 마감되고 흡입관(102, 출입관 기능을 겸한다.)이 엔드플레이트(105,106)를 관통한다. 흡입관(102)으로 진입한 유동은 흡입관 구멍(102a)을 통해 공간1(103)으로 진입하면서 중,고주파 음이 감쇄된다. 흡음재(104)는 고주파 성분의 음을 감쇄하고, 머플러의 본체(101)의 방사 소음을 개선한다.
전부 머플러(100)에서 후부 머플러(200)로 배기 유동이 이동을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부 머플러(200)는 양단이 엔드플레이트(208,209)로 마감되고 내부 공간에 격벽(205)이 세로로 구비되는 후부 머플러 본체(201)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격벽(205)으로 인해 제1공간(206), 제2공간(207)으로 분리되며 제1공간(206)은 중,저주파 음을 감쇄하는 용도로, 제2공간(207)은 저주파 음을 감쇄하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상기 제2 공간(207)의 체적을 상기 제1 공간(207)의 체적보다 크게 함으로써 상기 작용을 이끌어 낼 수 있다. 제2 공간(207)과 제1 공간(207)의 절대적 또는 상대적 크기는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된 유동은 흡입관(202)을 통해 제2공간(207)로 배출되고, 제2공간(207)로 배출된 유동은 제1 격벽(205)을 통하여 제1공간(206)으로 진입한 후 배출관(203)을 통해 대기로 방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관(202)에서 제2 공간(207)으로 유동이 방출되면서 유동의 팽창으로 소음이 감쇄되고, 흡입관(202)의 흡입관 구멍(202a)에서 유동이 일부 제1공간(206)으로 이동하면서 중주파 음이 감쇄되고, 배출관(203)으로 유동이 이동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동이 배출관 입구의 벨 마우스(203a)로 배기 가스가 들어가면서 배출관 레조네이터(203b), 배출관 구멍(203d), 흡음재(203c)을 통하고 배출관(203)을 길게 하여 고주파 영역의 성분이 많은 유동 소음(Flow noise)이 감쇄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공간(206)을 제2공간(207)보다 압력을 낮게 하여 머플러 본체(201)에 생기는 응축수를 제1공간(206)으로 배출되는 구조로 설계되었으며, 벨 마우스(203a)의 모양을 원형 모양으로 확관을 하여 머플러의 본체의 바닥면과 근접하여 응축수을 흡입하여 방출하는 특징으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관(202)과 배출관(203)을 연결하는 보강 브라켓트(204)는 흡입관의 끝단을 지지하여 유동으로 발생되는 진동 소음을 방지한다. 그리고 제1 격벽(205)의 휘어짐을 방지하여 머플러 본체(201)와 밀착 효과가 발생하여 철판의 떨림을 방지한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고안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으로 본 고안과 균등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부호는 단순히 고안의 이해를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권리범위의 해석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함을 밝히며 기재된 도면부호에 의해 권리범위가 좁게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 전부 머플러 101 : 머플러 본체
102 : 흡입관 102a : 흡입관 구멍
103 : 공간1 104 : 흡음재
105, 106 : 엔드플레이트
200 : 후부 머플러 201 : 후부 머플러 본체
202, 202a : 흡입관, 흡입관 구멍
203 : 배출관 203a : 벨마우스
203b : 배출관 레조네이트 203c : 흡음재
203d : 배출관 구멍 204 : 보강 브라켓트
205 : 제1 격벽 206 : 제1 공간
207 : 제2 공간
208, 209 : 엔드플레이트
102 : 흡입관 102a : 흡입관 구멍
103 : 공간1 104 : 흡음재
105, 106 : 엔드플레이트
200 : 후부 머플러 201 : 후부 머플러 본체
202, 202a : 흡입관, 흡입관 구멍
203 : 배출관 203a : 벨마우스
203b : 배출관 레조네이트 203c : 흡음재
203d : 배출관 구멍 204 : 보강 브라켓트
205 : 제1 격벽 206 : 제1 공간
207 : 제2 공간
208, 209 : 엔드플레이트
Claims (5)
- 전부머플러와 후부머플러로 구성된 자동차용 소음기에 있어서,
양단에 엔드플레이트(105, 106)가 구비된 전부머플러 본체(101)에 공간1(103)이 구비되고, 상기 공간1(103)에 흡음재(104)가 구비되고,
상기 일측 엔드플레이트(105)와 타측 엔드플레이트(106)를 관통하는 흡입관(102)이 구비되고,
상기 흡입관(102)의 외주면에 흡입관 구멍(102a)이 구비되는 전부머플러(100)와;
엔드플레이트(208, 209)가 구비된 후부머플러본체(201) 내부에 격벽구멍(205a)이 형성된 제1 격벽(205)이 구비되고, 흡입관 입구(202-In)가 관통되는 일측 엔드플레이트(208)와 제1 격벽(205) 사이에 제1 공간(206)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격벽(205)과 타측 엔드플레이트(209) 간에 제2 공간(207)이 구비되고,
흡입관 입구(202-In)가 상기 전부머플러의 출구관(103)과 연통되고 개방된 흡입관 출구(202-Out)가 상기 제2 공간(207)에 위치되는 흡입관(202)이 일측 엔드플레이트(208)와 제1 격벽(105)을 관통하여 구비되되, 제1 공간(206)에 위치되는 흡입관(202)의 외주면에 흡입관 구멍(202a)이 형성되고,
개방된 형상의 배출관 입구(204-In)가 제1 공간(207)에 위치되고 배출관-출구(203-Out)가 타측 엔드플레이트(209)를 관통하여 외부와 연통되는 배출관(203)이 제1 격벽(105)과 타측 엔드플레이트(209)를 관통하여 구비되되, 상기 배출관(203)의 외주면에 배출관 구멍(203d)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관 구멍(203d)은 배출관용 레조네이터(203b)로 감싸지며 상기 배출관용 레조네이터(203b) 내부 공간에 흡음재(203c)가 구비되는 후부머플러(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소음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간(207)의 체적은 상기 제1 공간(207)의 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소음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 입구(204-In)는 단부를 연속적으로 확관한 벨마우스(203a) 형상으로 구비되고,
후부머플러 본체(201)의 바닥면에 존재하는 응축수가 배출관 입구(204-In) 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도록 배출관 입구(204-In)가 후부머플러 본체(101)의 바닥면과 접하거나 후부머플러 본체(101)의 바닥면과 상기 배출관 입구(204-In) 하부 사이의 높이차가 0.5cm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소음기. -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배출관(203)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흡입관(202)을 지지하는 보강 브라켓트(204)가 상기 제2 공간(207)에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소음기. - 제1항에 있어서,
흡입관(202)에서 제2 공간(207)으로 유동이 방출되면서 유동의 팽창으로 저주파 소음이 감쇄되고, 흡입관(202)의 흡입관 구멍(202a)에서 유동이 일부 제1공간(206)으로 이동하면서 중주파 음이 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소음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6254U KR200456357Y1 (ko) | 2010-06-15 | 2010-06-15 | 자동차용 소음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6254U KR200456357Y1 (ko) | 2010-06-15 | 2010-06-15 | 자동차용 소음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56357Y1 true KR200456357Y1 (ko) | 2011-10-27 |
Family
ID=73129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06254U KR200456357Y1 (ko) | 2010-06-15 | 2010-06-15 | 자동차용 소음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56357Y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8832Y1 (ko) | 1998-07-08 | 2001-09-17 | 이은우 | 자동차용머플러 |
-
2010
- 2010-06-15 KR KR2020100006254U patent/KR200456357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8832Y1 (ko) | 1998-07-08 | 2001-09-17 | 이은우 | 자동차용머플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20037150A (ko) | 자동차용 소음기 | |
JP2006207378A (ja) | 排気系用の騒音低減デバイス、および、それを備える排気系 | |
JP2007205275A (ja) | 消音器 | |
KR200457936Y1 (ko) | 자동차용 소음기 | |
CN102536388A (zh) | 双模态排气消声器 | |
KR20110136391A (ko) | 자동차용 소음기 | |
KR200449904Y1 (ko) | 자동차용 소음기 | |
KR200456357Y1 (ko) | 자동차용 소음기 | |
KR20090013184U (ko) | 자동차용 소음기 | |
JP6169035B2 (ja) | 燃料電池車の排気音の消音構造 | |
KR200452151Y1 (ko) | 자동차용 소음기 | |
KR20110136434A (ko) | 자동차용 소음기 | |
KR200449903Y1 (ko) | 자동차용 소음기 | |
CN203035309U (zh) | 汽油机消声器 | |
CN202300744U (zh) | 空滤器、发动机进气系统和汽车 | |
KR200449901Y1 (ko) | 자동차용 소음기 | |
KR200452150Y1 (ko) | 자동차용 소음기 | |
KR200307951Y1 (ko) | 자동차용 소음기 | |
KR20090114051A (ko) | 자동차의 소음기 | |
KR200455587Y1 (ko) | 자동차용 소음기 | |
KR20120002751U (ko) | 자동차용 소음기 | |
KR200449897Y1 (ko) | 자동차용 소음기 | |
CN202467974U (zh) | 双模态排气消声器 | |
KR200449898Y1 (ko) | 자동차용 소음기 | |
KR20160001711U (ko) | 구조 개선된 자동차용 소음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