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340Y1 - 도로표지병 - Google Patents

도로표지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340Y1
KR200222340Y1 KR2020000025269U KR20000025269U KR200222340Y1 KR 200222340 Y1 KR200222340 Y1 KR 200222340Y1 KR 2020000025269 U KR2020000025269 U KR 2020000025269U KR 20000025269 U KR20000025269 U KR 20000025269U KR 200222340 Y1 KR200222340 Y1 KR 2002223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main body
anchor
road surfac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52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세아실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세아실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세아실업
Priority to KR20200000252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3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3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340Y1/ko

Links

Landscapes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표지병에 관한 것으로서, 도로의 노면상에 설치되어 도로의 상태를 표시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영역에서 상기 노면하에 매설되어 상기 본체를 상기 노면상에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앙카(Anch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도로의 노면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어 설치위치에서의 이탈 및 유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도로표지병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도로표지병{Road Indicator}
본 고안은, 도로상에 매설되어 도로의 상태를 표시하는 도로표지병에 관한 것이다.
도 7은 종래의 도로표지병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도로표지병(100)은 도로의 노면에 설치되어 차선을 표시하는 본체(110)와, 본체(110)의 하부에 마련되어 노면하에 매설되는 고정봉(120)을 갖는다. 본체(110)의 측면에는 반사체(111)가 부착되어 있고, 이 반사체(111)는 햇빛이나 자동차 전조등의 빛을 반사하여 운전자가 도로표지병(100)을 식별함으로써 도로의 중앙선이나 경계선을 인지하게 한다.
그런데, 종래의 도로표지병(100)을 매설하기 위해서는 도로를 파헤친후 본체(110) 하부에 마련된 고정봉(120)을 콘크리트 등을 사용하여 도로의 노면하에 고정하는 것으로 도로표지병을 설치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종래의 도로표지병은 도로상을 주행하는 자동차 등에서 발생하여 노면으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도로상을 주행중인 자동차의 바퀴가 도로표지병 본체(110)의 상부를 통과하거나 부분적으로 부딪치는 경우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고정된 위치에서 이탈할 수 있다. 이탈된 도로표지병(110)은 도로상을 주행중인 자동차의 교통흐름을 방해하거나 교통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으며, 본체와 고정봉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도로표지병이 이탈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도로표지병을 매설하기 위해 도로를 다시 파내야하는 번거로움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로표지병 자체를 재제작하여 매설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도로의 노면상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도로표지병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도로표지병이 설치된 설치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표지병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도로표지병이 도로상에 매설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이 도로상에 매설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도로표지병이 도로상에 매설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도로표지병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도로표지병 3 : 노면
5 : 홀 10, 30 : 본체
11, 31 : 반사체 13 : 연장플랜지
15 : 관통공, 20 : 앙카(Anchor)
21 : 확경부 23 : 결합부
25 : 와셔 27 : 너트
33 : 수용부 34 : 걸림턱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도로의 노면상에 설치되어 도로의 상태를 표시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영역에서 상기 노면하에 매설되어 상기 본체를 상기 노면상에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앙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앙카는, 상기 노면에 매설되었을 때 삽입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확경되는 확경부와, 상기 확경부로부터 소정 이격된 위치에 상기 본체와의 결합을 위해 마련된 결합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노면에 접촉되며 판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형성된 연장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앙카는 상기 연장플랜지의 관통공을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앙카의 결합부를 수용 결합하는 수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결합부는 나사부이며, 상기 나사부와 결합되는 너트를 더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부는 나사부이며,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나사부와의 조립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다른 도로표지병이 설치된 설치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도로표지병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도로표지병이 도로상에 매설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로표지병(1)은, 도로(3)에 설치되어 도로(3)의 차선을 표시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일영역에서 도로의 노면하에 매설되어 본체(10)를 노면상에 체결시키는 앙카(Anchor)(20)를 갖는다.
본체(10)에는 본체의 둘레방향을 따라 본체의 측면에 반사체(11)가 부착되어 있고, 이 반사체(11)는 햇빛이나 자동차 전조등의 빛을 반사하여 운전자에게 도로표지병의 설치위치를 식별하도록 함으로써 도로의 중앙선이나 경계선을 인지하게 한다. 본체(10)에는 본체(10)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노면에 접촉하는 연장플랜지(13)가 마련되어 있으며, 연장플랜지(13)에는 노면에 매설되는 앙카(20)를 수용하도록 판면을 관통하는 관통공(15)이 형성되어 있다.
앙카(Anchor)(20)는, 노면하에 매설되었을 때 앙카(20)의 삽입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확경되는 확경부(21)와, 확경부로부터 소정 이격된 위치에 본체(10)와의 결합을 위해 마련된 결합부(23)를 갖는다. 결합부(23)는 앙카(20)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 나사산이며, 이 나사산에는 연장플랜지(13)의 관통공(15)을 통과하는 앙카(20)의 이탈 및 유동을 방지하고 결합을 견고히 하기 위한 와셔(25)와 너트(27)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로표지병(1)을 도로에 설치하는 경우, 고정하고자 하는 도로의 노면하에 앙카(20)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홀(5)을 만들고, 본체(10)의 연장플랜지(13)에 형성된 관통공(15)과 홀(3)의 위치를 일치시킨다. 관통공(15)과 홀(3)을 일치시킨 후 앙카(20)를 홀(3)에 삽입하고, 삽입방향으로 소정의 힘을 가하면 앙카(20)의 단부에 형성된 확경부(21)가 앙카(20)의 삽입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확경되므로써 노면하에 견고하게 매입된다.
앙카(20)가 노면하에 설치되면, 확경부(21)와 이격된 위치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노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돌출된 결합부(23)에 와셔(25)와 너트(27)를 설치하여 결합함으로써, 도로표지병(1)의 본체(10)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때, 도로(3)의 홀(5)에 형성된 앙카(20)를 설치한 후, 본체(10)의 관통공(15)에 앙카(20)를 통과시킨 후 와셔(25)와 너트(27)를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도로표지병이 도로상에 매설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이 도로상에 매설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1)은, 도로의 노면상에 설치되어 도로의 상태를 표시하는 본체(30)와, 본체(30)의 일영역에서 노면하에 매설되어 본체(30)를 상기 노면상에 결합시키는 앙카(20)를 갖는다.
앙카(20)는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노면하에 매설되었을 때 앙카(20)의 삽입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확경되는 확경부(21)와, 확경부(21)로부터 소정 이격된 위치에 본체(30)와의 결합을 위해 마련된 결합부(23)를 가지며, 이 결합부(23)는 앙카(20)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 나사산이다.
본체(30)의 측면에는 반사체(31)가 부착되어 있고, 이 반사체(31)는 햇빛이나 자동차 전조등의 빛을 반사하여 운전자가 도로표지병을 식별함으로써 도로의 중앙선이나 경계선을 인지하게 한다. 본체(30)는 본체(30)의 높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앙카(20)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여 결합하는 수용부(33)를 가진다. 수용부(33)에는 앙카(20)의 결합부(23)를 수용하여 조립결합하기 위해 수용부나사산이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로표지병(1)을 도로에 설치하는 경우, 도로의 설치노면하에 앙카(20)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홀(5)을 만든다. 앙카(20)를 홀(5)에 삽입 수용한 후, 앙카(20)가 삽입된 삽입방향으로 소정의 힘을 가하면, 앙카(20)의 단부에 형성된 확경부(21)가 앙카(20)의 삽입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확경되어 노면하에 견고하게 매입된다. 이때, 확경부(21)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결합부(23)는 본체(30)의 수용부(33)에 수용되며, 수용부(33)에 형성된 수용부나사산과 결합된다. 결합부에 형성된 나사산과 수용부에 형성된 수용부나사산은, 본체(30)를 앙카(20)의 결합부(23)에 조립결합시킬 때, 반사체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체(30)의 수용부(33)와 앙카(20)의 결합부(23)를 결합한 후, 수용부(33)와 결합부(23)의 결합영역을 용접하거나, 실리콘 및 접착제 등을 도포하여 본체(30)와 앙카(2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도 6의 실시예에 따른 도로표지병(1)은, 본체(10)를 관통하지 않으며 결합위치에 걸림턱(34)이 마련된 수용부(33)와, 걸림턱(34)과 상호 맞물림 결합되도록 제한턱이 형성된 결합부(23)를 구비한 앙카(20)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도로표지병 본체(10)와 노면상에 매설된 앙카(20)를 용이하게 조립결합 수 있다.
이와 같이, 도로의 노면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어 도로상을 주행중인 자동차 등에서 발생하여 도로표지병으로 전달되는 진동 및 충격으로 인한 도로표지병의 이탈 및 유동을 줄일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본체의 수용부와 앙카의 결합부의 결합을 견고히 하고 앙카가 본체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결합부와 수용부를 용접 등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것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체 수용부의 상부영역으로부터 소정깊이 함몰된 단턱부를 마련함으로서 앙카의 결합부를 노출시키지 않고 너트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 및 실시예에서는 앙카를 삽입하기 위한 홀을 만든 후, 제작된 홀에 앙카를 설치하는 것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홀을 만들지 않고 앙카를 노면에 설치한 후 본체를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본체와 앙카의 결합시작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부재가 마련되어 있지 않지만, 본체 또는 앙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본체와 앙카의 결합을 더욱 용이하게 하는 결합시작위치를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도로의 노면상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어 설치위치에서의 이탈 및 유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도로표지병을 제공한다.

Claims (6)

  1. 도로의 노면상에 설치되어 도로의 상태를 표시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영역에서 상기 노면하에 매설되어 상기 본체를 상기 노면상에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앙카(Ancho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앙카(Anchor)는,
    상기 노면에 매설되었을 때 삽입방향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확경되는 확경부와,
    상기 확경부로부터 소정 이격된 위치에 상기 본체와의 결합을 위해 마련된 결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둘레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노면에 접촉되며 판면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이 형성된 연장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앙카는 상기 연장플랜지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앙카의 결합부를 수용 결합하는 수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나사부이며,
    상기 나사부와 결합되는 너트를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나사부이며,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나사부와의 조립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표지병.
KR2020000025269U 2000-09-05 2000-09-05 도로표지병 KR2002223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269U KR200222340Y1 (ko) 2000-09-05 2000-09-05 도로표지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5269U KR200222340Y1 (ko) 2000-09-05 2000-09-05 도로표지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340Y1 true KR200222340Y1 (ko) 2001-05-02

Family

ID=73088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5269U KR200222340Y1 (ko) 2000-09-05 2000-09-05 도로표지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3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4987B1 (ko) * 2017-04-19 2017-09-05 이성균 노면 고정력이 강화된 도로표지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4987B1 (ko) * 2017-04-19 2017-09-05 이성균 노면 고정력이 강화된 도로표지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2286B2 (en) Delineator mounting system
KR101906710B1 (ko) 자동차 도로용 차선 표지병
KR101906759B1 (ko) 자동차 도로용 차선 표지병
KR200222340Y1 (ko) 도로표지병
US20080019771A1 (en) Bumping post block and anchor holder and hole cap used for the same and bumping post
KR200376017Y1 (ko) 지주 고정용 베이스
KR100475463B1 (ko) 도로 표지병
JP4870112B2 (ja) 車止めブロック
KR101340627B1 (ko) 도로 표지병
KR200259641Y1 (ko) 도로 교통시설물의 지주 설치구조
JP2008180084A (ja) 車止めブロック
KR101049296B1 (ko) 도로 표지병
JP5294431B2 (ja) 車止めブロック
JP3112462U (ja) 車止めブロック
KR20070005199A (ko) 도로표지병 시공방법
KR100413179B1 (ko) 도로표지병
JP6359927B2 (ja) 標識柱の設置構造
KR200261896Y1 (ko) 중앙선 침범방지 표시봉
KR200208145Y1 (ko) 이탈방지구조가 형성된 도로 표지병
JP2634387B2 (ja) 誘導標識取付構造
KR200208819Y1 (ko) 재활용 가능한 도로표지병
KR200157930Y1 (ko) 도로용 안전 표지판
KR200234520Y1 (ko) 지주형 도로표지판의 충격흡수장치
JP2892342B1 (ja) 路面標識
KR200201034Y1 (ko) 맨홀뚜껑고정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