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5841Y1 - 자동 세차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세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5841Y1
KR200215841Y1 KR2020000029119U KR20000029119U KR200215841Y1 KR 200215841 Y1 KR200215841 Y1 KR 200215841Y1 KR 2020000029119 U KR2020000029119 U KR 2020000029119U KR 20000029119 U KR20000029119 U KR 20000029119U KR 200215841 Y1 KR200215841 Y1 KR 2002158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main body
horizontal
car wash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91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승기
Original Assignee
나승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승기 filed Critical 나승기
Priority to KR20200000291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58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58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5841Y1/ko

Links

Landscapes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차장치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세차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안정된 구동특성을 보장할 수 있는 자동 세차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자동 세차장치는 차량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쌍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며 하부측에 롤러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롤러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며 수평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수평세척솔과,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의 일측에 종방향으로 배치되며 수직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수직세척솔과, 상기 본체의 롤러가 구름접촉되며 본체를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안내하는 레일로 구성되는 세차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한쌍의 수직프레임의 전,후방측에 각각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차량의 위치에 따라 상호 작용에 의해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위치 검출부와, 상기 본체의 일측과 레일의 후방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호 접점시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감속 검출부와, 상기 본체의 일측과 레일의 끝단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호 접점시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정지 검출부와, 상기 위치 검출부와 감속 검출부 및 정지 검출부의 출력단과 연결되며 신호 입력시 롤러모터와 수직 및 수평모터의 구동을 단속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자동 세차장치{Control system of auto car washing}
본 고안은 자동 세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지된 차량에 대하여 세차를 수행하는 본체의 안정된 구동 및 정지를 이룰 수 있도록 한 자동 자동 세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차장치는 구동장치에 의해 세척솔이 회전하면서 차량의 상면 및 측면에 대하여 세차를 수행하는 장치로서, 크게 고정형과 이동형으로 대별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형은 지면에 고정 설치된 본체를 차량이 통과하면서 세차가 이루어지는 것이고, 이동형은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본체가 전,후 이동하여 세차 작업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도 1내지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형 세차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세차장치는 차량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일종의 틀을 형성하면서 각종 구성장치가 설치되는 본체(100)와, 본체(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차량에 대한 세차를 수행하는 수직 및 수평세척솔(200),(300)과, 상기 본체(100)를 전,후 방향으로 안내하는 레일(150)로 구성된다.
본체(100)는 차량의 폭넓이 비례하는 간격을 두고 양측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수직프레임(110)과, 이 수직프레임(110)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수평프레임(12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110)의 일측으로 차량의 측면을 세차하는 수직세척솔(200)이 배치되며, 이 수직세척솔(200)은 일측 수평프레임(120)에 고정된 수직모터(210)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한편,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하측으로는 즉, 한쌍의 수직프레임(110)의 상단부에는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개의 수평세척솔(300)이 설치되며, 이 수평세척솔(300)은 일측 수직프레임(110)에 고정된 수평모터(31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특히, 상기 수평세척솔(300)은 수직프레임(110)을 따라 승,하강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차량의 상부면 및 후면을 세차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수직 및 수평세척솔(200),(300)을 구동시키는 수직모터(210) 및 수평모터(310)는 작업자가 단속할 수 있도록 컨트롤러(400)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컨트롤러(400)는 본체(100) 일측에 장착되거나 또는 플랙시블 케이블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의 본체(100)는 한쌍의 수직프레임(110) 저부측으로 다수개의 롤러(13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 롤러(130)는 수직프레임(110) 내부에 설치된 롤러모터(140)로부터 구동력을 잔달받아 회전됨으로써 레일(15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롤러모터(140)는 작업자의 조작력에 의해 구동 및 정지되도록 입력단이 컨트롤러(400)에 연결 구성된다.
레일(150)은 본체(100)를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으로, 차량 길이에 비례하는 길이를 가지며 전술한 수직프레임(110)의 저부측에 각각 마련됨으로써 각 수직프레임(110)의 롤러(130)가 구름 접촉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세차장치는 차량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한쌍의 수직세척솔(200)이 차량 좌,우측에서 회전하면서 세차작업을 수행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수평세척솔(300)이 차량의 상부면을 세차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세차장치는 작업자의 컨트롤러(400) 조작에 의하여 세차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세차효율이 낮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이동하는 본체(100) 일측에서 컨트롤러(400)를 조작해야 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다.
즉, 작업자가 수동으로 컨트롤러(400)를 조작하기 때문에 세차작업의 표준화가 어렵게 되어 차량의 세차 상태가 일정하지 못한 단점이 있으며, 특히 상기 컨트롤러(400)는 단순히 온/오프 신호에 의하여 각 구동모터를 단속하게 되므로 본체(100)의 이동 및 정지시 구동충격이 발생하게 되어 구성부품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을 초래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세차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안정된 구동특성을 보장할 수 있는 자동 세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세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세차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세차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세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세차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수직프레임
12 : 수평프레임 13 : 롤러
14 : 롤러모터 15 : 레일
20 : 수직세척솔 21 : 수직모터
30 : 수평세척솔 31 : 수평모터
40 : 제어부 41 : 위치 검출부
42 : 감속 검출부 43 : 정지 검출부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세차장치는 차량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쌍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며 하부측에 롤러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롤러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며 수평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수평세척솔과,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의 일측에 종방향으로 배치되며 수직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수직세척솔과, 상기 본체의 롤러가 구름접촉되며 본체를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안내하는 레일로 구성되는 세차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한쌍의 수직프레임의 전,후방측에 각각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차량의 위치에 따라 상호 작용에 의해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위치 검출부와; 상기 본체의 일측과 레일의 후방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호 접점시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감속 검출부와; 상기 본체의 일측과 레일의 끝단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호 접점시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정지 검출부와; 상기 위치 검출부와 감속 검출부 및 정지 검출부의 출력단과 연결되며 신호 입력시 롤러모터와 수직 및 수평모터의 구동을 단속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세차장치를 나타낸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세차장치는 크게 본체(10)와, 수직 및 수평세척솔(20),(30)과 상기 본체(10)를 전,후 방향으로 안내하는 레일(15)로 구성된다.
본체(10)는 차량(v)을 통과할 수 있도록 차량(v)의 폭방향에 비례하는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배치되는 한쌍의 수직프레임(11)과, 이 한쌍의 수직프레임(11)을 상측에서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연결시키는 수평프레임(1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프레임(11)은 하부측에 다수개의 롤러(13)가 설치되며, 이 롤러(13)중 일부는 수직프레임(11)내에 설치된 구동모터와 축이음되거나 또는 벨트나 체인으로 연결됨으로써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이러한 본체(10)는 롤러(13)가 차량(v)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레일(15)에 접동됨으로써 전,후 이동을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0)에는 차량(v)의 상부면 및 측면을 세차하기 위한 수직 및 수평세척솔(20),(30)이 구비된다.
수직세척솔(20)은 한쌍의 수직프레임(11)의 일측에 각각 배치되어 그 상단부가 수평프레임(12)에 고정된 수직모터(21)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그리고 상기 수평세척솔(30)은 수평프레임(12)의 하측에서 횡방향으로 배치되며 그 양단부가 수직프레임(11)에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수평세척솔(30)은 일단이 수직프레임(11)내에 설치된 수평모터(31)로부터 동력전달을 받도록 구성되며, 이 수평모터(3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세척솔(20) 및 수평세척솔(30)은 도시되지 않았으나 외부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회전시 분출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세차장치는 수직프레임(11)에 구비된 롤러모터(14)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게 되면, 이 롤러모터(14)의 구동력에 의해 롤러(13)가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을 이루어 본체(10)가 레일(15)을 따라 전,후 이동을 이루게 되며, 이와 동시에 수직 및 수평모터(31)의 구동력에 의해 수직세척솔(20) 및 수평세척솔(30)이 회전함에 따라 차량(v)의 상부면 및 측면이 세척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은 종전의 세차장치와 대동소이하나 본 고안은 본체(10)의 이동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세차효율을 높이면서 구동충격을 감소시키는데 그 특징이 있다.
즉, 본 고안은 도 4내지 도 6에서와 같이 본체(10)의 수직프레임(11)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위치 검출부(41)와 감속 및 정지 검출부(42),(43)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위치 검출부(41)는 차량(v)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일종의 센서로서, 도 4에서와 같이 한쌍의 수직프레임(11)에 각각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호 작용에 의해 소정의 전기신호를 출력단에 연결된 제어부(40)로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위치 검출부(41)는 오동작을 방지하고 정확한 검출정보를 확보할 수 있도록 본 고안에서는 수직프레임(11)의 전방 및 후방측에 각각 설치 구성되었다.
한편, 상기의 위치 검출부(41)는 한쌍의 수직프레임(11) 사이에 차량(v)이 위치되거나 또는 위치되지 않은 정보를 검출할 수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갖는다면 근접센서나 레이저센서와 같이 다양한 형태의 센서가 조합되어도 무방하다.
감속 검출부(42)는 본체(10)의 이동속도를 감속시키는 지점을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레일(15)의 후방측에서 검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이와 같은 감속 검출부(42)는 통상 한쌍의 센서로 이루어져 상호 작용에 의해 소정의 전기신호를 출력단에 연결된 제어부(40)로 출력하도록 구성되며, 이들 한쌍의 센서는 일측 수직프레임(11)의 저부측과 레일(15)의 후방 일측에 각각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감속 검출부(42)는 수직세척솔 및 수평세척솔에서 분출되는 세척수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계식 스위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예로 수직프레임(11)의 저부측에 리미트 스위치를 구성시키고 레일(15)의 일측에는 상기 리미트 스위치를 구동시키는 접점부재를 설치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정지 검출부(43)는 본체(10)를 정지시키기 위한 지점을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레일(15)의 끝단부측에서 검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이러한 정지 검출부(43)는 전술한 감속 검출부(42)와 동일한 센서작용으로 출력단에 연결된 제어부(40)로 전기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위치 검출부(41)와 감속 검출부(42) 및 정지 검출부(43)의 출력단에 연결되는 제어부(40)는 입력단으로 입력되는 검출신호에 따라 소정의 제어신호를 롤러모터(14)와 수직 및 수평모터(31)로 인가하여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40)는 위치 검출부(41)로부터 전기신호를 입력받으면 출력단에 연결된 롤러모터(14)와 수직모터(21) 및 수평모터(31)측으로 소정의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구동력을 생성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롤러모터(14)의 구동력에 의해 롤러(13)가 회전하게 되어 본체(10)가 차량(v)의 후방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수직모터(21) 및 수평모터(31)가 구동됨에 따라 이에 구동력을 전달받는 수직세척솔(20) 및 수평세척솔(30)이 회전하여 세척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40)는 감속 검출부(42)로부터 전기신호를 입력받으면 출력단에 연결된 롤러모터(14)측으로 소정의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롤러모터(14)의 회전출력을 일정비율로 감속시키며, 이렇게 롤러모터(14)의 회전출력이 감속됨에 따라 본체(10)의 이동이 후방측으로 이동되면서 감속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는 정지 검출부(43)로부터 전기신호를 입력받게 되면, 출력단에 연결된 롤러모터(14)와 수직 및 수평모터(31) 측으로 정지신호를 인가하게 되며, 이 정지신호에 의해 본체(10)가 정지됨과 동시에 수직 및 수평세척솔(20),(30)의 회전이 정지된다.
즉, 상기와 같은 제어부(40)는 입력단으로 상술한 위치 검출부(41), 감속 검출부(42), 정지 검출부(43)의 출력단과 배선되어 검출신호를 입력받고, 출력단으로는 롤러(13)구동모터, 수직모터(21), 수평모터(31)와 연결배선되어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어부(40)는 통상의 마이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세차작업이 완료된 시점에서 본체(10)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롤러모터(14)와 수직 및 수평모터(31)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세차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차량(v)이 한쌍의 수직프레임(11) 사이로 진입하게 되면, 위치감지부에서 차량(v)의 진입상태를 검출하여 출력단에 연결된 제어부(40)로 인가한다.
이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출력단에 연결된 롤러모터(14)와 수직 및 수평모터(31)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구동되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롤러모터(14)의 구동에 의해 구동력을 전달받은 롤러(13)가 일방향 회전하여 본체(10)가 레일(15)을 따라 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수직 및 수평모터(31)의 구동력에 의해 수직 및 수평세척솔(20),(30)이 회전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직세척솔(20) 및 수평세척솔(30)이 회전하면서 접촉되는 차량(v)의 상면 및 측면이 세척된다.
이어서, 상기 본체(10)가 차량(v)의 후방측으로 계속 이동되면서, 레일(15)의 감속구간측에 도달하게 되면 감속 검출부(42)에서 본체(10)의 감속구간 진입을 검출하게 되고, 이 검출신호는 출력단에 연결된 제어부(40)로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0)는 출력단에 연결된 롤러모터(14)측으로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롤러모터(14)의 회전출력을 일정비율로 감속시키게 되고, 이 롤러모터(14)의 감속에 의하여 본체(10)의 이동속도가 느려지게 된다.
이렇게 저속상태로 본체(10)가 후방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본체(10)의 구동정지시에 발생하는 충격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어서, 상기 본체(10)가 레일(15)의 끝단부측에 도달하게 되면 정지 검출부(43)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40)로 인가하게 되고, 제어부(40)는 출력단에 연결된 롤러모터(14)와 수직 및 수평모터(31)로 소정의 정지신호를 출력하여 구동을 정지시키되어 세차작업을 완료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자동 세차장치는 제어부에 의해 차량의 세차작업이 자동으로 수행되므로 세차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를 정지시킬 때 일정한 감속구간을 설정하여 정지시키므로 정지시 발생하는 충격력을 최소화하여 기기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차량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쌍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며 하부측에 롤러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롤러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며 수평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수평세척솔과,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의 일측에 종방향으로 배치되며 수직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수직세척솔과, 상기 본체의 롤러가 구름접촉되며 본체를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안내하는 레일로 구성되는 세차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한쌍의 수직프레임의 전,후방측에 각각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차량의 위치에 따라 상호 작용에 의해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위치 검출부와;
    상기 본체의 일측과 레일의 후방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호 접점시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감속 검출부와;
    상기 본체의 일측과 레일의 끝단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호 접점시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정지 검출부와;
    상기 위치 검출부와 감속 검출부 및 정지 검출부의 출력단과 연결되며 신호 입력시 롤러모터와 수직 및 수평모터의 구동을 단속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위치 검출부로부터 신호 입력시 롤러모터와 수직 및 수평모터를 구동시키고, 감속 검출부로부터 신호입력시 롤러모터의 회전출력수를 일정비율로 감속시키며, 정지 검출부로부터 신호 입력시 롤러모터와 수직 및 수평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차장치.
KR2020000029119U 2000-10-19 2000-10-19 자동 세차장치 KR2002158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119U KR200215841Y1 (ko) 2000-10-19 2000-10-19 자동 세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119U KR200215841Y1 (ko) 2000-10-19 2000-10-19 자동 세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5841Y1 true KR200215841Y1 (ko) 2001-03-15

Family

ID=73059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119U KR200215841Y1 (ko) 2000-10-19 2000-10-19 자동 세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584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7704A (ko) * 2006-07-18 2008-01-23 오병길 대형 자동 세차기 및 그 운영방법
KR20210067144A (ko)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주일환경기술 세차 장비용 세차수 정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7704A (ko) * 2006-07-18 2008-01-23 오병길 대형 자동 세차기 및 그 운영방법
KR20210067144A (ko) 2019-11-29 2021-06-08 주식회사주일환경기술 세차 장비용 세차수 정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4594B1 (ko) 자동차용 휠 세척장치
US3451085A (en) Vehicle wash systems
KR200215841Y1 (ko) 자동 세차장치
JPH07847B2 (ja) 繊維機械用の作業装置
US4691401A (en) Washing apparatus for a motor vehicle
KR20080007704A (ko) 대형 자동 세차기 및 그 운영방법
KR200365508Y1 (ko) 대형 자동세차기
KR100491086B1 (ko) 자동 세차기
JP3282504B2 (ja) 洗車機
JP2005335633A (ja) 洗車機
JP3344225B2 (ja) 洗車機および洗車機を用いた洗車方法
KR20160134981A (ko) 대형 차량용 세차시스템
KR200322398Y1 (ko) 자동 세차기
JP2699699B2 (ja) 洗車機
KR200141820Y1 (ko) 자동 세차기의 수평세척장치
JP3200294B2 (ja) 洗車方法および装置
JP3413797B2 (ja) 洗車装置
JPH0228131Y2 (ko)
JP2562615B2 (ja) 洗車方法
JP3351252B2 (ja) 洗車機
GB2063793A (en) Washing apparatus for vehicle
JPH05193458A (ja) 洗車装置
JP4259425B2 (ja) 洗車機
JP3198192B2 (ja) 洗車装置
JPH11198772A (ja) 洗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