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1086B1 - 자동 세차기 - Google Patents

자동 세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1086B1
KR100491086B1 KR10-2003-0030101A KR20030030101A KR100491086B1 KR 100491086 B1 KR100491086 B1 KR 100491086B1 KR 20030030101 A KR20030030101 A KR 20030030101A KR 100491086 B1 KR100491086 B1 KR 100491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rame
rod
main body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0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7721A (ko
Inventor
나승기
오병길
Original Assignee
오병길
나승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병길, 나승기 filed Critical 오병길
Priority to KR10-2003-0030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1086B1/ko
Publication of KR20040097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7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0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6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 B60S3/063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the axis of rotation being approximately vertical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46Brushes for cleaning car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04Conveyors for vehicle clean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세차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자동 세차기는 통상의 자동 세차기에 있어서, 각각의 수직프레임의 일측에서 그 상·하단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내부로는 수직세척솔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의 수직세척솔이 노출되게 구비하는 좌·우 회동프레임과, 상기 좌·우 회동프레임에 근접한 본체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그 끝단부에는 선택적으로 직선 출몰하는 로드를 구비하고, 이 로드는 상기 각 회동프레임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로드 끝단과 상기 좌·우 회동프레임의 일단을 각각 연결하여 로드의 작동력을 회동프레임에 전달하는 길이재의 부재로서, 일단은 상기 로드 또는 회동프레임중 어느 하나의 일단과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길이 방향으로 슬릿을 형성하여 이 슬릿상에 상기 로드 또는 회동프레임중 남은 하나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링크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배선되어 상기 액츄에이터에 신호를 인가하여 좌·우 회동프레임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한쌍의 수직세척솔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 세차기{control system of auto car washing}
본 발명은 자동 세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폭 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된 한쌍의 수직세척솔을 차량의 폭 크기에 따라 자동으로 간격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다양한 크기의 차종을 범용적으로 세차할 수 있도록 한 자동 세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차기는 구동장치에 의해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세척솔이 회전하면서 차량의 상면 및 측면에 대하여 세차를 수행하는 장치로서, 크게 고정형과 이동형으로 대별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형은 지면에 고정 설치된 본체를 차량이 통과하면서 세차가 이루어지는 것이고, 이동형은 차량이 정지된 상태에서 본체가 전,후 이동하여 세차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도 1내지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형 세차기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세차기는 차량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일종의 틀을 형성하면서 각종 구성장치가 설치되는 본체(100)와, 본체(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차량에 대한 세차를 수행하는 수직세척솔(200) 및 수평세척솔(300)과, 상기 본체(100)를 전,후 방향으로 안내하는 레일(150)로 구성된다.
본체(100)는 차량의 폭넓이 비례하는 간격을 두고 양측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수직프레임(110)과, 이 수직프레임(110)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수평프레임(12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110)의 일측으로 차량의 측면을 세차하는 수직세척솔(200)이 배치되며, 이 수직세척솔(200)은 일측 수평프레임(120)에 고정된 수직모터(210)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한편,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하측으로는 즉, 한쌍의 수직프레임(110)의 상단부에는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개의 수평세척솔(300)이 설치되며, 이 수평세척솔(300)은 일측 수직프레임(110)에 고정된 수평모터(31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특히, 상기 수평세척솔(300)은 수직프레임(110)을 따라 승,하강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차량의 상부면 및 후면을 세차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수직 및 수평세척솔(200),(300)을 구동시키는 수직모터(210) 및 수평모터(310)는 작업자가 단속할 수 있도록 컨트롤러(400)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 컨트롤러(400)는 본체(100) 일측에 장착되거나 또는 플랙시블 케이블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의 본체(100)는 한쌍의 수직프레임(110) 저부측으로 다수개의 롤러(13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 롤러(130)는 수직프레임(110) 내부에 설치된 롤러모터(14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됨으로써 레일(15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롤러모터(140)는 작업자의 조작력에 의해 구동 및 정지되도록 입력단이 컨트롤러(400)에 연결 구성된다.
레일(150)은 본체(100)를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으로, 차량 길이에 비례하는 길이를 가지며 전술한 수직프레임(110)의 저부측에 각각 마련됨으로써 각 수직프레임(110)의 롤러(130)가 구름 접촉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세차기는 차량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한쌍의 수직세척솔(200)이 차량 좌,우측에서 회전하면서 세차작업을 수행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수평세척솔(300)이 차량의 상부면을 세차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 세차기는 한쌍의 수직세척솔(200)이 항상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에서 세차를 수행하기 때문에 일정한 크기를 갖는 차량에 대해서만 세차가 가능한 단점이 있다. 즉, 종래의 자동 세차기는 한쌍의 수직세척솔(200)간의 간격이 고정된 상태이므로 이들 한쌍의 수직세척솔(200)간의 간격에 비례하는 차폭을 갖는 차량에 대해서만 제한적으로 세차가 가능하게 된다. 이는 결과적으로 차량 크기별로 자동 세차기를 제작 및 구비시켜야 하는 비효율적인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폭 크기에 따라 한쌍의 수직세척솔 간의 간격이 자동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세차기로 다양한 크기를 갖는 차량에 대해서 범용적인 세차를 가능하게 한 자동 세차기의 수직세척솔 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세차기는, 차량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한쌍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고 하부측에 롤러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롤러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며 수평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수평세척솔과,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의 일측에 종방향으로 배치되며 수직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수직세척솔과, 상기 본체의 롤러가 구름 접촉되며 본체를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안내하는 레일로 구성되는 세차기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수직프레임의 일측에서 그 상·하단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내부로는 수직세척솔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의 수직세척솔이 노출되게 구비하는 좌·우 회동프레임과; 상기 좌·우 회동프레임에 근접한 본체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그 끝단부에는 선택적으로 직선 출몰하는 로드를 구비하고, 이 로드는 상기 각 회동프레임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로드 끝단과 상기 좌·우 회동프레임의 일단을 각각 연결하여 로드의 작동력을 회동프레임에 전달하는 길이재의 부재로서, 일단은 상기 로드 또는 회동프레임중 어느 하나의 일단과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길이 방향으로 슬릿을 형성하여 이 슬릿상에 상기 로드 또는 회동프레임중 남은 하나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링크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액츄에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배선되어 상기 액츄에이터에 신호를 인가하여 좌·우 회동프레임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한쌍의 수직세척솔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수직세척솔을 구동시키는 수직모터의 부하전류를 검출하는 부하검출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부하전류 상·하한치에 따라 액츄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액츄에이터와 링크는 각각의 회동프레임 상·하측에 구성되어지는 것에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세차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차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차기에서 간격조절장치의 작동에 따른 좌·우 수직세척솔간의 간격조절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세차기에서 컨트롤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세차기는 수평세척솔(30)과 수직세척솔(20)이 설치되는 본체(10)와, 이 본체(10)를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안내하는 레일(15) 그리고 상기 수직세척솔(20)을 차량의 폭방향으로 회동 이동시키는 간격조절장치로 구성된다.
본체(10)는 차량이 통과할 수 있도록 차량의 폭방향 양측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수직프레임(11)과, 이들 한쌍의 수직프레임(11)의 상부에서 횡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연결시키는 수평프레임(12)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직프레임(11)과 수평프레임(12)은 세차 대상 차량(대형 버스, 승합차, 트럭)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11)의 하부측에는 다수개의 롤러(13)가 설치되며, 이 롤러(13)중 일부는 수직프레임(11) 내에 설치된 구동모터(미도시)와 축이음되거나 또는 벨트나 체인으로 연결됨으로써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롤러(13)는 지면에 차량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한쌍의 레일(15)을 따라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에는 차량의 상부면과 측면을 세차하기 위한 수평세척솔(30)과 수직세척솔(20)이 각각 구비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수평세척솔(30)은 수평프레임(12)의 하측에서 평행하게 배치되며 그 양단부는 수직프레임(11)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수평세척솔(30)은 일단이 수직프레임(11)내에 설치된 수평모터(3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되며, 이 수평모터(3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세척솔(20)은 한쌍의 수직프레임(11)의 일측에 각각 위치되어 수직모터(21)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세척솔(30) 및 수직세척솔(20)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외부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회전시 분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세차기는 수직프레임(11)에 구비된 롤러모터(14)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게 되면, 상기 롤러모터(14)의 구동력을 받는 롤러(13)가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을 이루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본체(10)가 레일(15)을 따라 전·후 이동을 이루게 되며, 이와 동시에 수평모터(31)와 수직모터(21)의 구동력에 의해 수평세척솔(30)과 수직세척솔(20)이 회전함에 따라 차량의 상부면 및 측면이 세차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은 종전의 세차기의 구성과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발명은 차폭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된 한쌍의 수직세척솔(20)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다양한 차폭 크기를 갖는 차종에 대해 범용적으로 세차할 수 있도록 한 간격조절장치를 부가 설치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상기 간격조절장치는 각각의 수직세척솔(20)을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는 좌·우 회동프레임(40)과, 이들 좌·우 회동프레임(40)을 회전시키는 각각의 액츄에이터(50) 및 이 액츄에이터(50)를 제어하는 하나의 컨트롤러(70)로 구성된다.
상기 좌·우 회동프레임(40)은 상술한 한쌍의 수직프레임(11)의 일측에서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를 세차기의 정면 또는 그 배면에서 바라보면 대략 '[', ']'자 형상으로 마주보게 구비되며, 그 내측으로 수직세척솔(20)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좌·우 회동프레임(40)은 상·하측면 모두 또는 적어도 어느 한쪽면이 수직프레임(11)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구조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기 살펴보면 상기 좌·우 회동프레임(40)은 그 상·하측면에 돌기 형태의 힌지축(s)이 돌출 형성되며, 이 힌지축(s)은 그 외주면으로 베어링(b)이 압입된 상태로 수직프레임(11) 일측에 형성된 결합구멍(미도시)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 설치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힌지축(s)은 좌·우 회동프레임(40)상에서 편심된 위치 즉,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수직프레임(11)에 근접된 위치에 형성되며, 이는 상기 힌지축(s)에 대하여 반대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수직세척솔(20)이 상기 힌지축(s)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보다 큰 궤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수직세척솔(20)들은 그 상·하부에 포스트(미부호)가 돌출 형성되며, 이 포스트는 좌·우 회동프레임(40)의 상·하측면에 베어링(b)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이들 수직세척솔(20)은 각각의 좌·우 회동프레임(40)의 상단부에 고정된 수직모터(21)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지는 좌·우 회동프레임(40)은 각각의 힌지축(s)을 중심으로 상호 대응되는 각도로 회전시키게 되면 차폭방향으로 간격조절을 이룰 수 있게 되며, 본 발명에서의 좌·우 회동프레임(40)은 액츄에이터(50)에 연동하여 선택적으로 회전 동작이 이뤄지게 된다.
상기 액츄에이터(50)는 유압 또는 공기압을 이용하여 실린더(51)내에 위치하고 있는 막대형태를 취하고 있는 로드(52)를 전·후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기기로서, 그 일단은 수직프레임(11)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타단은 회동프레임(40)의 측부에 링크(60)로 연결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액츄에이터(50)는 회동프레임(40)을 기준으로 양측 또는 어느 일측에 설치되어지며,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인 실린더(51)가 상기 수직프레임(11)의 일측에 브라켓트(미도시)를 통해 고정 설치되고, 로드(52)의 선단부는 링크(60)를 통해 회동프레임(40)과 연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링크(60)는 로드(52)의 직선운동을 회동프레임(40)의 회전운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부재로서, 대략 소정의 길이를 갖는 판재형상으로 구비되며 일단에는 길이 방향으로 슬릿(61)(slit;장공)이 형성되고, 타단은 힌지 결합을 위한 결합구멍(미도시)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링크(60)는 양단에 로드(52)와 회동프레임(40)이 각각 힌지 결합되는 구조이며, 일예로 슬릿(61)이 형성된 일단으로 회동프레임(40)이 힌지 결합되고 그 타단으로 로드(52)의 선단이 힌지 결합되거나, 또는 슬릿(61)이 형성된 일단으로 로드(52)가 힌지 결합되고 그 타단으로는 회동프레임(40)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로드(52)의 선단이 링크(60)의 슬릿(61)상에 힌지 결합된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상술한 힌지 결합구조는 구멍(hole)과 핀(pin) 또는 베어링(bearing)을 이용한 다양한 결합구조가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액츄에이터의 직선운동을 회동프레임의 회전운동으로 절환시키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형태와 결합구조를 갖는 링크를 제안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액츄에이터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절환시킬 수 있는 구조적인 특징을 갖는다면 다양한 연결부재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액츄에이터(50)는 로드(52)를 실린더(51)로부터 출몰시키게 되면, 상기 로드(52)의 직선운동이 링크(60)를 통해 회동프레임(40)의 회전운동으로 전환되어 결과적으로 로드(52)의 출몰동작에 연동하여 회동프레임이 소정 각도만큼 일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을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액츄에이터(50)는 로드(52)가 최장상태로 신장된 상태에서 상기 좌·우 회동프레임(40)간의 간격이 최소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로드(52)와 각각의 회동프레임(40)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액츄에이터(50)는 컨트롤러(70)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되는 구조이다.
상기 컨트롤러(70)는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되어 각종 센서와 연결되어 수평세척솔(30)과 수직세척솔(20) 및 롤러(13) 등을 포함한 각종 전장품을 제어하는 일종의 마이컴으로서, 상술한 액츄에이터(5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제어회로를 내장하며, 상기 액츄에이터(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컨트롤러(70)는 상기 수직세척솔(20)이 차량의 측면에 접촉되는 정도를 감지하여 액츄에이터(50)의 동작을 단속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수직세척솔(20)이 차량의 측면에 접촉되는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직세척솔(20)을 회전시키는 수직모터(21)의 부하전류를 검출하는 부하검출센서(71)를 이용하였다. 즉, 상기 컨트롤러(70)는 상기 수직모터(21)의 부하전류를 검출하는 부하검출센서(71)의 신호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부하전류 상한치 또는 부하전류 하한치에 따라 액츄에이터(5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컨트롤러(70)가 부하검출센서(71)를 통해 수직모터(21)의 부하전류를 검출하여 액츄에이터(50)를 제어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수직세척솔(20)이 차량의 측면에 접촉되는 정도를 검출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면 다양한 센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도 무방할 것이다. 일예로 상기 센싱수단으로서 수직세척솔(20)의 일측에 설치하여 차량에 접촉시 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모터 부하량을 검출하여 수직세척솔(20)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간격조절장치의 구성은 수직세척솔(20)에 한정하지 않고 수평세척솔(30)에 적용시켜도 무방할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컨트롤러(70)는 좌·우 회동프레임(40)에 각각 연결된 액츄에이터(50)에 신호를 인가하여 결과적으로 좌·우 회동프레임(40)을 회전시킴으로써 한쌍의 수직세척솔(20)간의 간격조절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세차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차대상 차량이 한쌍의 수직프레임(11) 사이로 진입하게 되면 각종 센서와 연결된 컨트롤러(70)가 이를 감지하여 수평세척솔(30)과 수직세척솔(20) 및 롤러(13)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수평세척솔(30)과 수직세척솔(20)은 소정속도로 회전을 이루게 되면서 롤러(13)의 구동에 의해 본체(10)가 레일(15)을 따라 이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직세척솔(20)이 설치된 좌·우 회동프레임(40)은 액츄에이터(50)의 로드(52)가 전진이동 하는 것에 연동하여 차폭방향을 기준으로 상호간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회전 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좌·우 회동프레임(4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수직세척솔(20)은 차량의 측면으로 근접하게 이동되면서 회전을 이루게 되는데, 상기 수직세척솔(20)이 차량이 근접한 상태에서 회전을 이루게 되면 마찰력으로 인해 수직모터(21)에 부하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수직모터(21)의 부하는 부하검출센서(71)를 통해 일정한 신호로서 컨트롤러(70)로 인가된다.
이어서, 상기 컨트롤러(70)는 인가된 부하검출치를 미리 설정된 값과 비교하여 높을 경우 액츄에이터(50)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이 출력신호에 의해 결과적으로 로드(52)의 전진이동이 정지된다.
따라서, 상기 한쌍의 수직세척솔(20)은 차량의 측면에 적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된 상태에서 회전을 이루면서 본체(10)와 일체로 이동을 하게 된다.
한편, 도 6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차량의 측면 폭이 일정하지 않고 굴곡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본체(10)가 레일(15)을 따라 이동될 때 상기 수직세척솔(20)을 구동시키는 수직모터(21)의 부하량이 변동하게 되고, 이러한 부하변동치는 부하검출센서(71)를 통해 컨트롤러(70)로 인가된다. 따라서, 상기 컨트롤러(70)는 부하변동량에 따라 액츄에이터(50)의 동작을 실시간으로 제어하므로 상기 수직세척솔(20)이 차량의 측면에 대해 항상 적절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수직세척솔(20)간의 간격조절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세차기는 폭 크기가 상이한 차종, 일예로 대형버스나 소형버스 또는 승합차에 대해 범용적으로 세차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세차기는 간격조절장치를 통해 좌·우로 설치된 수직세척솔간의 간격 조절이 가능해지므로 차량의 측면이 굴곡이 있는 경우 또는 차폭크기가 상이한 차종에 대해 범용적으로 세차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세차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세차기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차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차기에서 요부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차기에서 간격조절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6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차기에서 간격조절장치의 작동에 따른 좌·우 수직세척솔간의 간격조절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세차기에서 컨트롤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20 : 수직세척솔 30 : 수평세척솔
40 : 회동프레임 50 : 액츄에이터 60 : 링크
70 : 컨트롤러

Claims (2)

  1. 삭제
  2. 차량이 통과할 수 있도록 한쌍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고 하부측에 롤러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롤러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에 횡방향으로 배치되며 수평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수평세척솔과,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의 일측에 종방향으로 배치되며 수직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수직세척솔과, 상기 본체의 롤러가 구름 접촉되며 본체를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안내하는 레일로 구성되는 세차기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수직프레임의 일측에서 그 상·하단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내부로는 수직세척솔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각각의 수직세척솔이 노출되게 구비하는 좌·우 회동프레임과;
    상기 좌·우 회동프레임의 하측에 근접한 본체의 일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그 끝단부에는 선택적으로 직선 출몰하는 로드를 구비하고, 이 로드는 상기 각 회동프레임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의 로드 끝단과 상기 좌·우 회동프레임의 일단을 각각 연결하여 로드의 직선운동을 회전운동으로 전환하여 회동프레임에 전달하는 길이재의 부재로서, 일단은 상기 로드 또는 회동프레임중 어느 하나의 일단과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길이 방향으로 슬릿을 형성하여 이 슬릿상에 상기 로드 또는 회동프레임중 남은 하나의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링크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되며 액츄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배선되어 상기 액츄에이터에 신호를 인가하여 좌·우 회동프레임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한쌍의 수직세척솔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것으로 상기 수직세척솔을 구동시키는 수직모터의 부하전류를 검출하는 부하검출센서의 신호를 입력받아 미리 설정된 부하전류 상·하 한치에 따라 액츄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차기.
KR10-2003-0030101A 2003-05-13 2003-05-13 자동 세차기 KR100491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101A KR100491086B1 (ko) 2003-05-13 2003-05-13 자동 세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101A KR100491086B1 (ko) 2003-05-13 2003-05-13 자동 세차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4662U Division KR200322398Y1 (ko) 2003-05-13 2003-05-13 자동 세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7721A KR20040097721A (ko) 2004-11-18
KR100491086B1 true KR100491086B1 (ko) 2005-05-24

Family

ID=37375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0101A KR100491086B1 (ko) 2003-05-13 2003-05-13 자동 세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10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938Y1 (ko) 2015-11-13 2017-03-27 주식회사 한성브라보 대형차량용 터널식 자동세차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369B1 (ko) * 2015-05-27 2016-09-08 디와이 주식회사 자동세차기의 브러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938Y1 (ko) 2015-11-13 2017-03-27 주식회사 한성브라보 대형차량용 터널식 자동세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7721A (ko) 2004-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51085A (en) Vehicle wash systems
KR100491086B1 (ko) 자동 세차기
US3613255A (en) Vehicular drying apparatus
JPH0645030Y2 (ja) ウインドレギユレータ装置
KR200322398Y1 (ko) 자동 세차기
US3942207A (en) Vehicle washing apparatus
JP4667172B2 (ja) 洗車機
JP2006224908A (ja) ウインドスクリーンの昇降装置
KR20080007704A (ko) 대형 자동 세차기 및 그 운영방법
US20050268411A1 (en) Vehicle washing apparatus with adjustable bumper assembly and movable brush arm pivot point
US3510899A (en) Vehicle washing installation
JPH09305225A (ja) 無人搬送車の走行方法
KR200365508Y1 (ko) 대형 자동세차기
JP7148342B2 (ja) 電動車両の給電システム
JP2005335633A (ja) 洗車機
US20040069328A1 (en) Gravity-return type cleaning apparatus for a car wash
JP3634990B2 (ja) 位置検出装置
JPH01306350A (ja) 洗車機の側面乾燥ノズル装置
JP2562066B2 (ja) 車両の車体側面乾燥装置
JP3548086B2 (ja) 洗車装置
JP2677530B2 (ja) 洗車機のブラシ負荷検出装置
JP2005329775A (ja) 洗車機
KR20060090031A (ko) 차량용 슬라이드식 비 차단장치
JP4782388B2 (ja) 洗車機
JP3193174B2 (ja) 門型洗車機における回転ブラシの接触圧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