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4981A - 대형 차량용 세차시스템 - Google Patents

대형 차량용 세차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4981A
KR20160134981A KR1020150067339A KR20150067339A KR20160134981A KR 20160134981 A KR20160134981 A KR 20160134981A KR 1020150067339 A KR1020150067339 A KR 1020150067339A KR 20150067339 A KR20150067339 A KR 20150067339A KR 20160134981 A KR20160134981 A KR 20160134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vertical
sensor
main body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7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병기
Original Assignee
오병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병기 filed Critical 오병기
Priority to KR1020150067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4981A/ko
Publication of KR20160134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9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6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with rota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 차량용 세차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차량용 세차시스템는, 차량이 통과 할 수 있도록 한쌍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고 하부측에는 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지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차량의 상면에 대해 세차를 실시하는 것으로 일측의 수평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수평세척솔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등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의 일측에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차량의 양측면에 대해 세차를 실시하는 것으로 수직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좌·우 수직세척솔을 포함하며, 상기 좌·우 수직세척솔은 각각 차량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전·후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수직모터의 구동력을 분배 전달받아 회전되는 전·후 브러시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는 차량 진입 상태를 순차적으로 감지하도록 등간격을 두고 4개소에 설치되는 감지기 및 이들 감지기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롤러모터·노즐·수평 및 수직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콤으로 구성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대형 차량용 세차시스템은 차량의 측면에 대하여 세차를 실시하는 수직세척솔을 전·후 방향으로 한쌍씩 구성하는 것에 의해 세차효율을 높일 수 있어 세차시간을 종전에 비해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대형 차량용 세차시스템{Large vehicle car wash system}
본 발명은 대형 버스나 트럭 등과 같은 대형 차량의 양측면과 전·후면 및 상부면에 대해 각각의 세척솔을 회전 구동시켜 세차를 실시하는 대형 차량용 세차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차구역에 진입한 대형 차량의 위치를 확인하고 각각의 세척솔을 구동시켜 세척을 실시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이고 운전자의 오조작에 의한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대형 차량용 세차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일반적으로 세차기는 구동장치에 의해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세척솔을 회전시키면서 차량의 상면과 측면에 대하여 세척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크게 고정형과 이동형으로 대별되며, 상기 고정형은 지면에 고정 설치된 본체를 차량이 견인장치에 의해 견인되면서 통과하는 과정에서 세차가 실시되는 장치로서, 비교적 차량의 크기가 작으면서 경량인 승용 차량에 적합한 방식이고, 반면 이동형은 견인이 어려운 버스나 트럭 등과 같은 대형차량에 적합한 방식으로서 차량이 지정된 정차 라인에 정차된 상태에서 본체가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세차를 실시하는 장치이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형 세차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세차기는 차량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일종의 터널 형태의 틀을 형성하면서 각종 구성장치가 설치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차량에 대한 세차를 수행하는 수직세척솔(200) 및 수평세척솔(300)과, 상기 본체(100)를 전,후 방향으로 안내하는 레일(150)로 구성된다.
즉, 상기 본체(100)는 차량의 폭넓이 비례하는 간격을 두고 양측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수직프레임(110)과, 이 수직프레임(110)의 상단부를 연결하는 수평프레임(120)으로 구성되며,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110)의 일측으로는 차량의 측면을 세차하는 수직세척솔(200)이 구비되고, 이 수직세척솔(200)은 일측 수평프레임(120)에 고정된 수직모터(210)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또한, 상기 수평프레임(120)의 하측으로는 즉, 한쌍의 수직프레임(110)의 상단부에는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개의 수평세척솔(300)이 설치되며, 이 수평세척솔(300)은 일측 수직프레임(110)에 고정된 수평모터(31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됨으로써 차량의 상부면을 세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수직 및 수평세척솔(200),(300)을 구동시키는 수직모터(210) 및 수평모터(310)는 작업자가 단속할 수 있도록 컨트롤러(400)에 연결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의 본체(100)는 한쌍의 수직프레임(110) 저부측으로 다수개의 롤러(130)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 롤러(130)는 수직프레임(110) 내부에 설치된 롤러모터(14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됨으로써 레일(15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세차기는 차량의 진행방향에 대하여 한쌍의 수직세척솔(200)이 차량 좌,우측에서 회전하면서 세차작업을 수행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수평세척솔(300)이 차량의 상부면을 세차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대형 차량용 세차시스템은 대형차량인 버스에 대하여 세차를 실시하는 경우 짧은 시간내에 세차를 완료하여야 하나 구조적으로 세차 시간을 단축시키는데 한계가 있는 단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버스 등과 같은 대형 차량에 대해 세차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버스가 정차 라인으로 진입을 완료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컨트롤러(400)를 동작시키면 본체(100)가 레일(150)을 따라 최소 2회 이상 왕복 이동하면서 장착된 수직세척솔(200)과 수평세척솔(300)을 회전시켜 차량에 대한 세차를 실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100)는 레일(150)을 따라 2회 이상 왕복 이동되도록 운영되는데 이는 차량의 측면 부분이 주행과정에서 도로상의 많은 오염물질에 쉽게 노출되어 고착되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대형 차량용 세차시스템은 차량이 세차를 위한 정차라인으로 진입을 완료한 상태에서 본체(100)가 동작을 실시하게 되고, 상기 본체(100)는 차량의 측면에 묻은 오염물질 의 제거를 위해 최소 2~3회 이상 왕복 동작을 실시해야 하므로 부득이 세차 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차량의 배차시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세차를 정기적으로 실시하지 못하는 원인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차량 오염으로 인한 불쾌감 유발과 도심의 미관을 저해하는 등의 폐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07704호를 통해 ′대형 자동세차기 및 그 운영방법′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대형 자동세차기는 그 청구항 1에 차량이 통과 할 수 있도록 한쌍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고 하부측에는 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지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차량의 상면에 대해 세차를 실시하는 것으로 일측의 수평모터로 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수평세척솔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등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의 일측에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차량의 양측면에 대해 세차를 실시하는 것으로 수직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좌·우 수직세척솔을 포함하며, 상기 좌·우 수직세척솔은 각각 차량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전·후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수직모터의 구동력을 분배 전달받아 회전되는 전·후 브러시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는 차량 진입 상태를 순차적으로 감지하도록 등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감지기 및 이들 감지기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롤러모터·노즐·수평 및 수직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콤으로 구성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차량용 세차시스템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대형 차량용 세차시스템은 수직세척솔을 차량의 전·후 방향에 대하여 인접하게 한쌍으로 구성하여 차량 측면에 대한 세차 성능을 높이도록 하면서 차량이 진입하는 과정에서 세차가 실시되도록 하여 세차 효율성을 높이고 시간단축을 가능하고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고 각 세척솔에 대한 정확한 위치 제어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10-2008-0007704, '대형 차량용 세차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2쪽 청구항 1, 도면 4.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진입하여 세차 위치에 정지하였을 때 이를 감지하여 정확하고 신속한 세차가 실시되도록 하여 운영 효율성을 높임과 아울러 차량 위치에 따른 능동적인 세차를 가능하게 한 대형 차량용 세차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차량용 세차시스템는, 차량이 통과 할 수 있도록 한쌍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고 하부측에는 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지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차량의 상면에 대해 세차를 실시하는 것으로 일측의 수평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수평세척솔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등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의 일측에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차량의 양측면에 대해 세차를 실시하는 것으로 수직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좌·우 수직세척솔을 포함하며, 상기 좌·우 수직세척솔은 각각 차량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전·후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수직모터의 구동력을 분배 전달받아 회전되는 전·후 브러시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는 차량 진입 상태를 순차적으로 감지하도록 등간격을 두고 4개소에 설치되는 감지기 및 이들 감지기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롤러모터·노즐·수평 및 수직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콤으로 구성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전·후 브러시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일측 끝단에 휠을 구비하여 상호 체인 또는 벨트로 연결되어 연동되는 전·후 회전축과, 이들 회전축의 외측 둘레에 구비되는 실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제어수단은 차량의 진입 방향에 대하여 본체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차량 진입시 이를 감지하여 마이콤으로 전달하는 제1감지기와, 상기 제1감지기의 후방측인 본체의 중심 위치에 설치되어 진입 차량을 감지하여 마이콤으로 전달하는 제2감지기와, 상기 제2감지기의 후방측인 본체의 후단측에 설치되어 차량 감지 정보를 마이콤으로 전달하는 제3감지기와, 상기 제2감지기와 제3감지기 사이인 본체 일측에 설치되어 차량의 후미 통과시 이를 감지하여 마이콤으로 전달하는 제4감지기와, 상기 제1감지기로부터 감지 정보를 인가받아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노즐에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제2감지기로부터 감지 정보를 인가받아 수평 및 수직세척솔이 회전되도록 각각의 모터의 구동 제어신호를 인가하며, 제3감지기로부터 감지 정보를 인가받아 본체가 레일을 따라 차량의 진행방향측으로 이동되게 롤러 모터에 구동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제4감지기로부터 감지정보를 인가받으면 본체가 정지되게 롤러 모터에 구동정지 신호를 인가하는 마이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대형 차량용 세차시스템은 차량의 측면에 대하여 세차를 실시하는 수직세척솔을 전·후 방향으로 한쌍씩 구성하는 것에 의해 세차효율을 높일 수 있어 세차시간을 종전에 비해 대폭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특히, 차량의 진입 동작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본체 및 이에 장착되는 수평세척솔과 수직세척솔 및 노즐의 동작이 효율적으로 제어되므로 세척수의 낭비와 불필요한 구동원의 동작에 따른 전력낭비 및 수명단축을 개선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한층 향상된 자동화된 대형 차량용 세차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하여 산업상 대단히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초음파 세정형 금속 이온 살균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세정형 금속 이온 살균장치의 요부 구성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따른 초음파 세정형 금속 이온 살균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 세정형 금속 이온 살균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차량용 세차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차량용 세차시스템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세차기에서 수직세척솔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세차기에서 수직세척솔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사시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차량용 세차시스템은 정지된 차량을 수용한 상태에서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본체(1)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1)는 차량이 통과할 수 있도록 차량의 폭방향 양측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수직프레임(2a,2b)과, 이들 한쌍의 수직프레임(2a,2b)을 상부에 횡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프레임(3)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수직프레임(2a,2b)의 하부측에는 롤러모터(5a)의 정역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복수개의 롤러(5)가 설치되고, 이때의 상기 롤러(5)는 지면에 설치된 한쌍의 레일(4)에 구름 접촉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본체(1)는 롤러모터(5a)의 회전 방향에 따라 롤러(5)가 회전됨으로써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1)에는 차량의 상부면과 측면을 세차하기 위한 수평세척솔(6)과 수직세척솔(7,7')이 각각의 수평모터(6m)와 수직모터(7m)에 의해 회전되는 구성이며, 이들 수평세척솔(6)과 수직세척솔(7,7')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외부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회전시 분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에는 차량의 외면에 세척수를 고압 분사하기 위한 노즐(8)이 등간격으로 다수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종전의 대형 차량용 세차기의 시스템과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발명은 차량의 측면에 대하여 세차를 실시하는 한쌍의 좌·우 수직세척솔(7,7')을 차량의 진행 방향을 따라 전·후 한쌍으로 구성하여 세차성능을 높이도록 하면서 다수의 감지기를 통한 향상된 자동 세차 기능을 부가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좌·우 수직세척솔(7,7')을 차량의 진입방향에 대해 전·후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한쌍으로 구성 배치하고, 차량의 진입을 감지하여 본체(1)를 이동시키는 롤러모터(5a)·노즐(8)·수평모터(6m)·수직모터(7m)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제안한다.
수직세척솔(7,7')은 좌·우 대향 배치되므로 이하에서는 공통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서의 수직세척솔(7,7')은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의 진입 방향에 대해 전·후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한쌍의 전·후 브러시(10,10')가 배치되는 구성이며, 이들 전·후 브러시(10,10')는 하나의 수직모터(7m)의 구동력을 분배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성이다.
먼저, 상기 전 브러시(10)는 본체(1)의 일측에 용접 등으로 결합된 브라켓트(2f)에 베어링(미부호)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1)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11)의 둘레에는 합성수지사 또는 천연사로 된 실채(1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1)의 상측단에는 휠(12)이 축끼움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구성이고, 상기 회전축(11)은 수직모터(7m)에 축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일체로 회전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후 브러시(10')는 상기 전 브러시(10)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브라켓트(2f)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1')을 구비하며, 이 회전축(11')의 둘레에는 합성수지사 또는 천연사로 된 실채(13')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11')의 상측단에는 휠(12')이 축끼움되어 일체로 회전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의 전·후 브러시(10,10')는 체인 또는 벨트 등으로 된 연결체(15)에 의해 연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구조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휠(12,12')을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스프로킷 형태로 가공하였으며, 이때의 연결체(15)로는 체인을 사용하였다. 만약, 상기 휠(12,12')이 풀리 및 타이밍 풀리 형태로 가공되는 경우에는 연결체로서 벨트 및 타이밍 벨트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후 브러시(10,10')를 상호 동일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제안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전·후 브러시(10,10')를 연결하는 연결체(15) 사이에 회전방향을 전환하는 하나 이상의 휠을 부가 설치하여 상기 전·후 브러시(10,10')를 상호 역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상기 전·후 브러시(10,10')는 하나의 수직모터(7m)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구성이므로 안정된 구동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전·후 브러시(10,10')를 구성하는 전·후 회전축(11,11)'은 각각 상·하로 한쌍의 휠(12,12')을 구성하고, 이들 휠은 두 개의 연결체(15)로 연결 구성되는 구조이다.
제어수단은 본체(1)측에 등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차량의 진입 및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기와, 이들 감지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롤러모터(5a)·노즐(8)·수평모터(6m)·수직모터(7m)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마이콤(25)으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감지기는 정차구역내로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하는 것으로 본체(1)의 선단측에 설치되는 제1감지기(21)와, 상기 제1감지기(21)의 후방측인 본체(1)의 중심 위치에 설치되어 진입 차량을 감지하는 제2감지기(22) 그리고 상기 제2감지기(22)의 후방측인 본체(1)의 후단측에 설치되어 차량을 감지하는 제3감지기(23) 끝으로 상기 제2감지기(22)과 제3감지기(23) 사이인 본체(1)의 일측에 설치되어 차량의 후미 통과시 이를 감지하는 제4감지기(24)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제1감지기(21)은 차량의 최초 진입을 감지하고 감지정보를 마이콤(25)으로 인가하고, 상기 제2감지기(22) 역시 제1감지기(21)을 통과한 진입 차량의 선단부를 감지하고 이를 마이콤(25)으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제3감지기(23)은 차량의 통과 정보를 감지하여 마이콤(25)으로 인가하고, 제4감지기(24)은 진입차량을 따라 차량의 앞쪽으로 이동한 본체(1)가 다시 차량의 후미측으로 이동될 때 본체(1)로부터 차량이 벗어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마이콤(25)으로 인가한다.
한편, 마이콤(25)은 상기 여러 감지기(21,22,23,24)로부터 감지정보를 인가받아 각종 구동기기에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것으로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본체(1)의 일측에 제어박스 내에 설치되는 구성이며 이러한 마이콤(25)의 제어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기 마이콤(25)은 상기 제1감지기(21)로부터 감지정보가 인가되면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노즐(8)에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이때, 상기 노즐(8)은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세척수를 저장하는 탱크와, 이 탱크에 저장된 물을 고압으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는 구성이며, 이러한 노즐(8) 제어는 통상의 공지된 기술에 의해 실시되어도 무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둘째, 상기 마이콤(25)은 상기 제2감지기(22)로부터 감지정보가 인가되면 수평세척솔(6)과 수직세척솔(7,7')이 회전될 수 있도록 각각의 수평모터(6m) 및 수직모터(7m)에 구동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셋째, 상기 마이콤(25)은 상기 제3감지기(23)로부터 감지정보가 인가되면 상기 본체(1)가 레일(4)을 따라 정차구역(100)으로 진입하는 차량을 따라가도록 롤러모터(5a)에 구동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넷째, 상기 마이콤(25)은 상기 제4감지기(24)로부터 감지정보가 인가되면 상기 본체(1)의 이동이 정지되게 하면서 수평모터(6m) 및 수직모터(7m) 그리고 노즐(8)에 정지신호를 인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차량용 세차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차 대상 차량이 본체(1)를 통과하면서 세차가 실시되는 정차구역(100)내로 진입을 실시하게 되면, 상기 본체(1)에 설치된 여러 감지기(21,22,23,24)가 차량의 이동에 따른 위치 상태를 감지하여 마이콤(25)으로 전송하게 되고, 상기 마이콤(25)은 감지정보에 따라 상기 본체(1)에 구성되는 롤러모터(5a)·노즐(8) ·수평모터(6m)·수직모터(7m)를 제어하게 된다.
즉,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대형 차량용 세차시스템의 대기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본체(1)는 차량이 진입하는 입구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이 진입하게 되면 상기 본체(1)의 전방측에 설치된 상기 제1감지기(21)이 이를 감지하여 마이콤(25)으로 감지정보를 인가한다. 그러면, 상기 마이콤(25)은 노즐(8)을 구동시켜 진입하는 차량에 대해 세척수를 분사를 실시한다.
이어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차량이 정차구역(100)을 향해 전진 이동을 하게 되면, 상기 제2감지기(22)가 진입 차량의 선두 부분을 감지하게 되고, 이러한 제2감지기(22)에서 감지된 정보는 마이콤(25)에 인가된다. 상기 마이콤(25)은 상기 수평모터(6m)와 수직모터(7m)에 구동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수평세척솔(6)과 수직세척솔(7,7')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본체(1)를 통과하는 차량에 대해 상면과 측면에 대한 세차를 실시한다.
이어서, 상기 제2감지기(22)를 통과한 차량이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3감지기(23)를 통과하게 되면, 상기 제3감지기(23)가 이를 감지하여 마이콤(25)에 감지정보를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마이콤(25)은 정차구역(100)내로 진입하는 차량을 따라 본체(1)가 전진 이동될 수 있도록 롤러모터(5a)에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즉, 상기 제3감지기(23)의 감지정보에 의해 상기 본체(1)는 차량을 따라 이동하면서 세차를 실시하게 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차량을 따라 이동되는 본체(1)는 차량의 선두측을 향해 이동되면서 세차를 실시하게 되고, 차량의 선두를 통과하면 이를 제1감지기(21)가 감지하여 마이콤(25)에 전달한다. 그러면, 상기 마이콤(25)은 본체(1)를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초기 위치 즉, 차량의 후미측으로 이동되도록 롤러모터(5a)에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이에 본체(1)가 차량의 후미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본체(1)의 이동시에는 노즐(8)과 수평세척솔(6) 및 수직세척솔(7,7')은 계속 동작중이므로 세차가 실시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어서,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가 차량의 후미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4감지기(24)가 감지하게 되면, 이는 상기 본체(1)가 차량으로부터 벗어났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이러한 제4감지기(24)로부터 감지정보를 인가받은 마이콤(25)은 본체(1)의 이동이 정지되도록 상기 롤러모터(5a)에 정지신호를 인가함과 동시에 노즐(8)과 수평모터(6m) 그리고 수직모터(7m)가 정지하도록 구동 단속신호를 인가하여 결과적으로 세차를 종료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수직세척솔(7,7')은 각각 한쌍의 전·후 브러시(10,10')로 구성됨에 따라 차량에 대한 세차성능이 높아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용 부위를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 본체 2a,2b : 수직프레임 3 :수평프레임
4 : 레일 5 : 롤러 5a : 롤러모터
6 : 수평세척솔 6m : 수평모터 7,7' : 수직세척솔
7m : 수직모터 8 : 노즐 10,10' : 전·후 브러시
12,12' : 휠 13,13' : 실채 15 : 연결체
21 : 제1감지기 22 : 제2감지기 23 : 제3감지기
24 : 제4감지기 2f : 브라켓트 25 : 마이콤

Claims (3)

  1. 차량이 통과 할 수 있도록 한쌍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으로 구성되고 하부측에는 모터의 구동력을 받아 지면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에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차량의 상면에 대해 세차를 실시하는 것으로 일측의 수평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수평세척솔과;
    상기 본체의 내부에 등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세척수를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한쌍의 수직프레임의 일측에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차량의 양측면에 대해 세차를 실시하는 것으로 수직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좌·우 수직세척솔을 포함하며,
    상기 좌·우 수직세척솔은 각각 차량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전·후 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수직모터의 구동력을 분배 전달받아 회전되는 전·후 브러시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는 차량 진입 상태를 순차적으로 감지하도록 등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감지기 및 이들 감지기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롤러모터·노즐·수평 및 수직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마이콤으로 구성되는 제어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차량용 세차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 브러시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일측 끝단에 휠을 구비하여 상호 체인 또는 벨트로 연결되어 연동되는 전·후 회전축과, 이들 회전축의 외측 둘레에 구비되는 실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차량용 세차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차량의 진입 방향에 대하여 본체의 선단측에 설치되어 차량 진입시 이를 감지하여 마이콤으로 전달하는 제1감지기와;
    상기 제1감지기의 후방측인 본체의 중심 위치에 설치되어 진입 차량을 감지하여 마이콤으로 전달하는 제2감지기와;
    상기 제2감지기의 후방측인 본체의 후단측에 설치되어 차량 감지 정보를 마이콤으로 전달하는 제3감지기와;
    상기 제2감지기와 제3감지기 사이인 본체 일측에 설치되어 차량의 후미 통과시 이를 감지하여 마이콤으로 전달하는 제4감지기와;
    상기 제1감지기로부터 감지 정보를 인가받아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노즐에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제2감지기로부터 감지 정보를 인가받아 수평 및 수직세척솔이 회전되도록 각각의 모터의 구동 제어신호를 인가하며, 제3감지기로부터 감지 정보를 인가받아 본체가 레일을 따라 차량의 진행방향측으로 이동되게 롤러 모터에 구동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제4감지기로부터 감지정보를 인가받으면 상기 노즐 및 모터를 정지시키는 제어신호를 인가하는 마이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 차량용 세차시스템.
KR1020150067339A 2015-05-14 2015-05-14 대형 차량용 세차시스템 KR201601349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339A KR20160134981A (ko) 2015-05-14 2015-05-14 대형 차량용 세차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339A KR20160134981A (ko) 2015-05-14 2015-05-14 대형 차량용 세차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981A true KR20160134981A (ko) 2016-11-24

Family

ID=57705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339A KR20160134981A (ko) 2015-05-14 2015-05-14 대형 차량용 세차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49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286B1 (ko) 2021-02-19 2021-07-12 배상철 농기계 및 전차 세척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6286B1 (ko) 2021-02-19 2021-07-12 배상철 농기계 및 전차 세척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760B1 (ko) 자동 세차장치
KR101824594B1 (ko) 자동차용 휠 세척장치
CN110371084A (zh) 一种自动洗车装置
KR20080007704A (ko) 대형 자동 세차기 및 그 운영방법
US20040065349A1 (en) Vehicle washing apparatus with improved control
KR20160134981A (ko) 대형 차량용 세차시스템
CN107745699A (zh) 一种非接触式智能洗车装置及方法
KR200421035Y1 (ko) 대형차량용 이동식 자동세차기
KR200482938Y1 (ko) 대형차량용 터널식 자동세차기
KR200365508Y1 (ko) 대형 자동세차기
JP2010018216A (ja) 洗車機
JP7336111B2 (ja) 洗車機
KR200428443Y1 (ko) 대형 자동 세차기 및 그 운영방법
JP3555310B2 (ja) 門型スプレー洗車機
KR20120094652A (ko) 운반대차 바퀴 세척장치
JP2005335633A (ja) 洗車機
JPH03258638A (ja) 自動スプレー式洗車機
JP6269402B2 (ja) 洗車機
JP6567961B2 (ja) 洗車機
JP2722911B2 (ja) 洗車装置
JP3344225B2 (ja) 洗車機および洗車機を用いた洗車方法
CN215709447U (zh) 一种行走机构
CN209938541U (zh) 一种洗车机输送装置及包括该输送装置的洗车机
US20240149838A1 (en) Vehicle wash system
JP7154162B2 (ja) 洗車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