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5491Y1 - 자동차 시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5491Y1
KR200215491Y1 KR2020000026603U KR20000026603U KR200215491Y1 KR 200215491 Y1 KR200215491 Y1 KR 200215491Y1 KR 2020000026603 U KR2020000026603 U KR 2020000026603U KR 20000026603 U KR20000026603 U KR 20000026603U KR 200215491 Y1 KR200215491 Y1 KR 2002154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h
section
contact
lock bar
sta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66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주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우진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우진산전 filed Critical 주식회사우진산전
Priority to KR20200000266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54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54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5491Y1/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엔진에 시동이 걸려 있는 상태에서 이를 재시동하게 되더라도 온(ON)구간에서 다시금 스타아트구간으로 키가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여 재시동으로 인한 스타아트 모터(Start Motor)등과 같은 자동차의 시동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자동차의 키셋트에 장작되어 이그니션스위치의 구성부품을 보호하고 록바의 이동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케이스(100)와; 시동후 온(ON)구간으로 복귀하기 위한 장치와 각 구간의 접점을 상호 연결시켜 주기 위한 콘텍트홀더(140); 키의 회전운동으로 인해 서로간의 접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콘텍트; 키의 회전에 의한 콘텍트와 베이스내부의 리벳과의 접점구성이 외부의 터미멀과 연결되도록 하는 터미널베이스; 그리고 상기 터미널을 보호하기 위한 터미널케이스등으로 구성되어진 이그니션 스위치(Ignition Switch)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는 그 내측면에 콘텍트홀더(140)의 일면에 장착되어진 록바(142)의 이동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단면상 반원형태로 구성된 내,외 측경로(110)(120)를 각각 형성시키되, 상기 내측경로(110)상의 원호를 따라서는 록포지션(112), 제 1 ACC 포지션(114), 제 1 온포지션(116)이 소정의 배치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되고, 이 내측경로(110)와 접하여 그 외곽으로 형성되어진 외측경로(120)상에는 스타아트구간(122), 상기 제 1 온포지션(116)에 비해 보다 깊은 홈으로 구성되면서 그 일측으로는 돌출된 형태의 걸림턱(124)이 형성되어진 구성을 갖는 제 2 온포지션(126), 그리고 상기 제 1 ACC 포지션(114)에 비해 깊지 않은 홈으로 된 제 2 ACC 포지션(128)이 소정의 배치간격을 두고 단계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경로(110)에 형성되어진 제 1 온포지션(114)으로 부터 그 외측의 외측경로(120)에 마련된 스타아트구간(122)을 거친 콘텍트홀더(140)의 록바(142)가 자체탄력에 의해 외측경로(120)에 마련된 제 2 온포지션(126)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여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스타아트구간(122)으로 록바(142)가 재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 시동장치{A car starting device}
본 고안은 자동차 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엔진에 시동이 걸려 있는 상태에서 이를 재시동하게 되더라도 온(ON)구간에서 다시금 스타아트구간으로 키가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여 재시동으로 인한 스타아트모터(Start Motor)등과 같은 시동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동장치는 운전대의 우측하단에 장착되어진다.
이러한 자동차의 시동장치는 자동차키를 시동장치의 일단으로 노출된 키구멍을 통하여 삽입한 후 LOCK 구간에서 단계적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오디오와 같은 간단한 전기제품을 작동시키는 ACC 구간과; 시동을 제외한 모든 곳에 전기를 전달하는 ON 구간; 그리고 자동차의 시동을 걸기 위하여 다름 모든 회로에 전기를 차단하고 시동에 관련된 곳에만 통전을 시키는 START 구간을 거치게 된다.
또한, 자동차의 시동을 걸기위해 키를 삽입한 후 상기와 같이 ACC - ON - START 구간까지 회전하여 시동이 걸린 후 키를 놓아주게 되면 시동장치의 내부에 장착되어진 스프링의 반발력이 작용하여 상기 키가 자동으로 온(ON)구간으로 복귀하게 되어 시동장치의 하나의 스타트 모터를 보호하게 된다.
그러나 최근에 출시되는 대부분의 자동차(특히 승용차)는 엔진의 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방음장치가 날로 향상되어 간혹 자동차의 실내에서 엔진소리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가 많으며, 따라서 대부분의 운전자는 자동차의 시동이 걸려 있는 상태에서 그 시동이 걸려 있는지를 모르고 다시금 시동을 걸게 되는 경험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같이 시동이 걸려 있는 상태에서 재시동을 하게 되는 경우에는 스타아트 모터와 같은 자동차의 시동부품에 많은 무리를 주게되어 결국, 이와 관련된 시동부품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는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엔진에 시동이 걸려 있는 상태에서 이를 재시동하게 되더라도 온(ON)구간에서 다시금 스타아트구간으로 키가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여 재시동으로 인한 스타아트 모터(Start Motor)등과 같은 시동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시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시동장치는, 자동차의 키셋트에 장작되어 이그니션스위치의 구성부품을 보호하고 록바의 이동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케이스(100)와; 시동후 온(ON)구간으로 복귀하기 위한 장치와 각 구간의 접점을 상호 연결시켜 주기 위한 콘텍트홀더(140); 키의 회전운동으로 인해 서로간의 접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콘텍트; 키의 회전에 의한 콘텍트와 베이스내부의 리벳과의 접점구성이 외부의 터미멀과 연결되도록 하는 터미널베이스; 그리고 상기 터미널을 보호하기 위한 터미널케이스등으로 구성되어진 이그니션 스위치(Ignition Switch)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그 내측면에 콘텍트홀더의 일면에 장착되어진 록바의 이동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단면상 반원형태로 구성된 내,외 측경로를 각각 형성시키되, 상기 내측경로상의 원호를 따라서는 록포지션, 제 1 ACC 포지션, 제 1 온포지션이 소정의 배치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되고, 이 내측경로와 접하여 그 외곽으로 형성되어진 외측경로상에는 스타아트구간, 상기 제 1 온포지션에 비해 보다 깊은 홈으로 구성되면서 그 일측으로는 돌출된 형태의 걸림턱이 형성되어진 구성을 갖는 제 2 온포지션, 그리고 상기 제 1 ACC 포지션에 비해 깊지 않은 홈으로 된 제 2 ACC 포지션이 소정의 배치간격을 두고 단계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경로에 형성되어진 제 1 온포지션으로 부터 그 외측의 외측경로에 마련된 스타아트구간을 거친 콘텍트홀더의 록바가 자체탄력에 의해 외측경로에 마련된 제 2 온포지션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여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스타아트구간으로 록바가 재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시동장치에 적용되어진 케이스의 내부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 -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시동장치에 적용되어진 콘텍트홀더의 일면을 보인 사시도,
도 3 -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시동장치에 적용되어진 케이스의 평면도,
도 4 - 상기 도 3 의 O - A 선 단면부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5 - 상기 도 3 의 O - B 선 단면부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6 -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시동장치에 의한 키(Key)의 이동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위치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케이스 110: 내측경로
112: 록포지션 114: 제 1 ACC 포지션
116: 제 1 온(ON)포지션 120: 외측경로
122: 스타아트구간 124: 걸림턱
126: 제 2 온 포지션 128: 제 2 ACC 포지션
130: 경계면 140: 콘텍트홀더
142: 록바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시동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시동장치에 적용되어진 케이스의 내부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시동장치에 적용되어진 콘텍트홀더의 일면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 시동장치에 적용되어진 케이스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의 키셋트에 장작되어 이그니션스위치의 구성부품을 보호하고 록바의 이동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케이스(100)와; 시동후 온(ON)구간으로 복귀하기 위한 장치와 각 구간의 접점을 상호 연결시켜 주기 위한 콘텍트홀더(140); 키의 회전운동으로 인해 서로간의 접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콘텍트; 키의 회전에 의한 콘텍트와 베이스내부의 리벳과의 접점구성이 외부의 터미멀과 연결되도록 하는 터미널베이스; 그리고 상기 터미널을 보호하기 위한 터미널케이스등으로 구성되어진 이그니션 스위치(Ignition Switch)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는 그 내측면에 콘텍트홀더(140)의 일면에 장착되어진 록바(142)의 이동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단면상 반원형태로 구성된 내,외측경로(110)(120)를 각각 형성시킨 구조이다.
상기 내측경로(110)상의 원호를 따라서는 록포지션(112), 제 1 ACC 포지션(114), 제 1 온포지션(116)이 소정의 배치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되고, 이 내측경로(110)와 접하여 그 외곽으로 형성되어진 외측경로(120)상에는 스타아트구간(122), 상기 제 1 온포지션(116)에 비해 보다 깊은 홈으로 구성되면서 그 일측으로는 돌출된 형태의 걸림턱(124)이 형성되어진 구성을 갖는 제 2 온포지션(126), 그리고 상기 제 1 ACC 포지션(114)에 비해 깊지 않은 홈으로 된 제 2 ACC 포지션(128)이 소정의 배치간격을 두고 단계적으로 형성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내측경로(110)에 형성되어진 제 1 온포지션(114)으로 부터 그 외측의 외측경로(120)에 마련된 스타아트구간(122)을 거친 콘텍트홀더(140)의 록바(142)가 자체탄력에 의해 외측경로(120)에 마련된 제 2 온포지션(126)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여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스타아트구간(122)으로 록바(142)가 재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진 본 고안은 우선, 자동차의 키를 이그니션키의 열쇠 삽입부분(구체적으로 미도시함)에 삽입시킨 상테에서 이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그 삽입되어진 키와 동일한 간격으로 콘텍트홀더(140)가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콘텍트홀더(140)상에 장착되어진 록바(142)가 케이스(100)의 내측에 형성되어진 내측경로(110)의 록포지션(112)으로 부터 제 1 ACC 포지션(114); 그리고 제 1 온 포지션(116)을 단계적으로 통과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내,외측경로(110)(120)상에 각각 마련되어진 제 1 온 포지션(116)및 제 2 온포지션(126)상에는 그 일면의 접촉부분에 경계면(130)이 형성됨으로서 이 경계면(130)의 제한작용으로 차량의 시동시 상기 콘텍트홀더(140)상에 마련된 록바(140)가 내측경로(110)의 제1 온 포지션(116)지점으로 부터는 그 궤적방향이 첨부된 도면의 도 1 및 도 6 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같이 상향으로 선회하면서 그 외측경로(110)상에 마련된 스타아트구간(122)으로 진행한 후 그 복귀되는 싯점에 최초의 경로인 내측경로(110)에 마련된 제 1 온포지션(116) 지점으로 복귀하지 않고 그 직선의 주로를 따라 후방으로 밀려 자동으로 상기 외측경로(120)상에 마련된 제 2 온포지션(126)의 홈내에 유입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2 온포지션(116)의 일면에는 걸림턱(124)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 걸림턱(124)의 제한작용으로 상기 걸림턱(124)을 극복하고 외측경로(120)의 제 2 온포지션(116)내에 안정적으로 유입된 록바(142)가 다시 스타아트 구간(122)으로 재이동하지 못하게 됨으로서, 본 고안은 최초의 이동경로인 내측경로(110)를 통하여 시동이 걸려진 상태에서는 운전자의 실수로 재시동되는 것으로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외측경로(120)에 마련된 제 2 온포지션(126)내에 유입된 록바(142)는 그 후방에 마련된 제 2 ACC 포지션(128)을 거쳐 내측경로(110)상으로 재 유입된 후 이 내측경로(110)상에 형성되어진 록포지션(112), 또는 제 1 ACC 포지션(114)의 방향으로 이동되어지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의 도 4 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바와같이 외측경로(120)의 홈깊이에 비해 내측경로(110)의 홈깊이가 보다 깊게 구성되어 있어 최초의 시동경로인 내측경로(110)를 따라 록바(142)가 이동되는 과정에서 그 일면에 형성되어진 외측경로(120) 구간으로 임의로 이탈되지 않고 다만, 그 선단의 제 1 온포지션(116)을 거친 후 근접된 부분에 위치한 경계면(130)을 타고 넘어 외측경로(120)에 마련된 스타이트구간(122)으로 경로가 변경되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자동차의 시동시 이그니션 키를 구성하는 케이스의 내측경로에 형성되어진 제 1 온포지션으로 부터 그 외측의 외측경로에 마련된 스타아트구간을 거친 콘텍트홀더의 록바가 그 자체탄력에 의해 외측경로에 마련된 제 2 온포지션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여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스타아트 구간으로 록바가 재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운전자의 부주의로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재시동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재시동에 의해 발생되는 시동부품의 사용수명 단축이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1)

  1. 자동차의 키셋트에 장작되어 이그니션스위치의 구성부품을 보호하고 록바의 이동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케이스(100)와; 시동후 온(ON)구간으로 복귀하기 위한 장치와 각 구간의 접점을 상호 연결시켜 주기 위한 콘텍트홀더(140); 키의 회전운동으로 인해 서로간의 접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콘텍트; 키의 회전에 의한 콘텍트와 베이스내부의 리벳과의 접점구성이 외부의 터미멀과 연결되도록 하는 터미널베이스; 그리고 상기 터미널을 보호하기 위한 터미널케이스등으로 구성되어진 이그니션 스위치(Ignition Switch)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는 그 내측면에 콘텍트홀더(140)의 일면에 장착되어진 록바(142)의 이동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단면상 반원 형태로 구성된 내,외측경로(110)(120)를 각각 형성시키되, 상기 내측경로(110)상의 원호를 따라서는 록포지션(112), 제 1 ACC 포지션(114), 제 1 온포지션(116)이 소정의 배치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되고, 이 내측경로(110)와 접하여 그 외곽으로 형성되어진 외측경로(120)상에는 스타아트구간(122), 상기 제 1 온포지션(116)에 비해 보다 깊은 홈으로 구성되면서 그 일측으로는 돌출된 형태의 걸림턱(124)이 형성되어진 구성을 갖는 제 2 온포지션(126), 그리고 상기 제 1 ACC 포지션(114)에 비해 깊지 않은 홈으로 된 제 2 ACC 포지션(128)이 소정의 배치간격을 두고 단계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경로(110)에 형성되어진 제 1 온포지션(114)으로 부터 그 외측의 외측경로(120)에 마련된 스타아트구간(122)을 거친 콘텍트홀더(140)의 록바(142)가 자체탄력에 의해 외측경로(120)에 마련된 제 2 온포지션(126)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여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스타아트구간(122)으로 록바(142)가 재이동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동장치.
KR2020000026603U 2000-09-21 2000-09-21 자동차 시동장치 KR2002154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603U KR200215491Y1 (ko) 2000-09-21 2000-09-21 자동차 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6603U KR200215491Y1 (ko) 2000-09-21 2000-09-21 자동차 시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5491Y1 true KR200215491Y1 (ko) 2001-03-15

Family

ID=73058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6603U KR200215491Y1 (ko) 2000-09-21 2000-09-21 자동차 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549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254B1 (ko) 2006-07-06 2007-06-21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동키 모듈의 작동구조
KR101520222B1 (ko) * 2014-03-13 2015-05-1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254B1 (ko) 2006-07-06 2007-06-21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시동키 모듈의 작동구조
KR101520222B1 (ko) * 2014-03-13 2015-05-13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2797B1 (ko) 푸시 릴리이즈 기능을 갖춘 스티어링컬럼 록장치
US8857231B2 (en) Steering lock antitheft device for motor vehicle
JPH07230850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KR200215491Y1 (ko) 자동차 시동장치
JP6564854B2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コラム用盗難防止装置
KR100986475B1 (ko) 키 인터록 장치
KR100757247B1 (ko) 이그니션 키 스위치의 재시동 방지구조
KR100986462B1 (ko) 자동차의 키 인터록
KR200407835Y1 (ko) 자동차 시동장치
JP4355068B2 (ja) 車両用電子キー装置
EP2894652B1 (en) Engine starting device
KR100911078B1 (ko) 차량의 시동장치
JP3258810B2 (ja) 回転コネクタ
JP4087748B2 (ja) 錠装置
KR100405861B1 (ko) 자동차의 도난 방지형 이그니션 록킹 장치
KR100383937B1 (ko) 자동차의 조향잠금장치
KR101241502B1 (ko) 차량용 이그니션 스위치 장치
KR100731254B1 (ko) 자동차용 시동키 모듈의 작동구조
JP5442548B2 (ja) エンジン始動装置
KR940007713B1 (ko) 자동차의 도난방지장치를 겸한 엔진시동키이
KR100890130B1 (ko) 스티어링 컬럼 록킹장치
KR100656028B1 (ko) 자동차의 키 스위치 로크 장치
KR100358840B1 (ko) 자동차용 알터네이터와 진공펌프의 조립구조
AU2017202292B2 (en) Key cylinder device
KR100658044B1 (ko) 포그램프 스위치 겸용 라이트 스위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