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0222B1 -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 - Google Patents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0222B1
KR101520222B1 KR1020140029628A KR20140029628A KR101520222B1 KR 101520222 B1 KR101520222 B1 KR 101520222B1 KR 1020140029628 A KR1020140029628 A KR 1020140029628A KR 20140029628 A KR20140029628 A KR 20140029628A KR 101520222 B1 KR101520222 B1 KR 101520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rotary block
locking
key
plu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동수
루셀 씨릴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9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02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0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0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5/00Other power-operated starting apparatus; 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N5/00 - F02N13/00
    • F02N15/02Gearing between starting-engines and started engines; Engagement or disengage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7/00Switches operated by a removable member, e.g. key, plug or plate; Switches operated by setting members according to a single predetermined combination out of several possible sett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리 블록과,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로터리 블록에 관통하여 적어도 일부가 길이 방향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로터리 블록을 통하여 삽입된 차량용 키에 의하여 길이 방향 가동되고, 차량용 키의 회전시 상기 로터리 블록이 함께 축회동하는 이그니션 키 플런저부와, 상기 로터리 블록의 회전에 따라 가동되어 차량의 시동을 포함하는 스위칭 동작을 실행하는 이그니션 스위치부와, 상기 하우징과 상기 로터리 블록에 배치되어 차량용 시동키를 통한 차량의 시동후 반복적 시동을 제한하는 로터리 록킹부를 구비하는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ROTARY IGNITION SWITCHING UNIT}
본 발명은 이그니션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차량 시동 후 반복적 동작으로 인한 과부하를 방지하는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이그니션 스위치는 차량의 시동을 걸고 시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스위치로 작동한다. 전통적인 차량용 키의 삽입을 통한 시동 ON/OFF 기능의 부여를 이루는 키 삽입 타입 이그니션 스위치와, 근래에 전자적 신호로 대체되는 버튼 타입 이그니션 스위치가 있는데, 버튼 타입의 이그니션 스위치의 연구 및 생산이 활발하나, 전통적 차량용 키 삽입 방식의 이그니션 스위치의 장점도 존재하는바, 이에 대한 생산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의 차량용 키 삽입 타입의 이그니션 스위치의 경우, 차량의 시동을 ON 그리고 시동을 OFF시키는 위치의 중간에 각종 차량의 전장 장치를 활성화시키는 드라이브 위치도 함께 구비한다. 차량의 시동후 차량용 이그니션 스위치는 차량용 키의 위치가 드라이브 위치 내지 이의 근접 위치를 점유하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차량의 정지 상태를 일정 기간 유지한 경우, 운전자는 차량용 이그니션 스위치의 시동 ON 상태를 까먹고 재차 차량용 키를 회전시켜 차량의 시동을 거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러한 반복적 시동이 이루어지는 경우, 차량용 스타트 모터에 과부하가 걸려 내구 연한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에 의한 차량용 키 이그니션 스위치의 시동 ON 상태 후 반복적 시동을 물리적으로 원천 차단하는 구조의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리 블록과,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로터리 블록에 관통하여 적어도 일부가 길이 방향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로터리 블록을 통하여 삽입된 차량용 키에 의하여 길이 방향 가동되고, 차량용 키의 회전시 상기 로터리 블록이 함께 축회동하는 이그니션 키 플런저부와, 상기 로터리 블록의 회전에 따라 가동되어 차량의 시동을 포함하는 스위칭 동작을 실행하는 이그니션 스위치부와, 상기 하우징과 상기 로터리 블록에 배치되어 차량용 시동키를 통한 차량의 시동후 반복적 시동을 제한하는 로터리 록킹부를 구비하는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
상기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록킹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상기 로터리 블록을 향하여 배치되는 록킹 수용부(540)와, 상기 로터리 블록의 상기 록킹 수용부를 향한 일면 상에 형성되는 록킹 그루브(510)와, 상기 록킹 수용부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록킹 그루브와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록킹 플런저와, 상기 록킹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록킹 플런저를 탄성 지지하는 록킹 탄성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블록은: 상기 이그니션 키 플런저부의 적어도 일부가 길이 방향 관통 배치되는 로터리 블록 샤프트와, 상기 로터리 블록 샤프트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록킹 그루브가 형성되는 로터리 블록 베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록킹 수용부는 상기 로터리 블록의 원주 방향의 길이보다 반경 방향의 길이가 더 긴 장방형 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록킹 그루브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로터리 블록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록킹 플런저와의 접촉 경로가 상이한 히스테리시스 구조일 수도 있다.
상기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록킹 그루브는: 차량의 이그니션 OFF 상태인 경우 상기 록킹 플런저가 접촉하는 그루브 스타팅부와, 차량의 이그니션 ON 상태인 경우 상기 록킹 플런저가 접촉하는 그루브 리미트부와, 상기 그루브 스타팅부와 상기 그루브 리미트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그루브 스타팅부와 상기 그루브 리미트부에 연결되고, 상기 그루브 스타팅부로부터 상기 그루브 리미트부의 방향으로 배치되는 그루브 포워딩부를 구비하는 그루브 리턴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 리턴부는: 상기 로터리 블록 베이스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상기 그루브 포워딩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그루브 포워딩부와 연결되어, 상기 그루브 플런저가 상기 그루브 스타팅부로부터 상기 그루브 리미트부로 진행하는 경우 상기 그루브 플런저를 상기 그루브 리미트부로 안내하는 그루브 리턴 연결부(516)와, 상기 로터리 블록 베이스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상기 그루브 리턴 연결부(516)와 실질적으로 등반경 상에 배치되는 그루브 리턴 디치(518)와, 상기 그루브 리턴 연결부(516)와 상기 그루브 리턴 디치(518)는 상기 로터리 블록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높이차를 구비하여, 상기 그루브 리턴 연결부와 상기 그루브 리턴 디치 사이에 단차 형성되는 그루브 리턴 포워딩 스톱퍼(515)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 리턴부는, 상기 그루브 리턴 디치의 타단에 배치되어, 상기 그루브 리턴 디치를 상기 로터리 블록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높이차를 갖는 상기 그루브 스타팅부 측에 연결시키는 그루브 리턴 경사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록킹부는 한 쌍이 대칭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이그니션 스위치부는: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스위치 고정 접점부와, 일단이 상기 기판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기판의 배선과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스위치 고정 접점부와 접촉 가능한 가동 단자가 배치되는 스위치 가동 접점부와, 상기 가동 단자와 상기 스위치 가동 접점부의 일단 사이로 상기 스위치 가동 접점부의 타단 측에, 그리고 상기 로터리 블록 베이스의 상기 기판을 향한 일면 상에 배치되는 스위치 캠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캠부는: 상기 로터리 블록 베이스의 상기 기판과의 거리가 변화되도록 상기 로터리 블록 베이스에 형성되는 스위치 캠과, 일단이 상기 스위치 캠과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고 타단이 상기 스위치 가동 접점부에 고정 장착되는 스위치 캠 스틱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이그니션 키 플런저부는: 삽입된 차량용 키의 삽입에 의하여 상기 로터리 블록의 길이 방향으로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키 플런저 바디(610)와, 상기 키 플런저 바디를 탄성 지지하는 키 플런저 탄성부(630)와,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차량용 키의 삽입으로 상기 키 플런저 바디가 길이 방향으로 가동되는 경우 함께 가동되는 키 플런저 가동부(620)와, 상기 키 플런저 가동부(620)의 일단이 상기 키 플런저 바디에 의하여 가동되는 경우 상기 키 플런저 가동부(620)의 타단에 의하여 가동되어 차량용 키의 삽입 여부 감지 가능한 키 플런저 스위치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키 플런저 스위치부는: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키 플런저 고정 접점부와, 일단이 상기 기판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기판의 배선과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키 플런저 고정 접점부와 접촉 가능한 키 플런저 가동 단자가 배치되는 키 플런저 가동 접점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블록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스톱퍼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스톱퍼부는: 상기 로터리 블록의 일면 상으로 상기 하우징을 향하여 배치되는 스톱퍼 리브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상기 스톱퍼 리브 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 리브와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스톱퍼 리스트레이너를 구비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는, 시동후 반복적 시동을 제한하는 로터리 록킹부를 구비하여 시동후 반복적 시동으로 인한 차량 스타트 모터 등의 과부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는, 히스테리시스 구조를 통하여 로터리 록킹부의 록킹 플런저와 록킹 그루브 간의 접촉 경로를 로터리 블록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적어도 일부가 상이한 경로를 이루는 구조를 형성하여 특정 방향으로의 반복적 회전 동작을 물리적으로 원천 차단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는, 로터리 블록 내 형성된 록킹 수용부는 록킹 플런저의 반경 방향으로의 가동만을 허용하여 록킹 그루브와의 원활한 접촉에 의한 록킹 기능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의 도 2의 선 A-A를 따라 취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이그니션 키 플런저부의 작동 상태 변화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로터리 블록의 개략적인 저면 사시도 및 측면 사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이그니션 키 스위치부의 작동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8은 로터리 록킹부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부분 확대 사시도 및 평단면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 19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의 로터리 블록에 형성된 록킹 그루브의 사시도 및 부분 확대 사시도 및 록킹 플런저와의 접촉 상태 변화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투영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10)는 차량의 시동 및 전장 장치의 ACC ON/OFF 기능을 선택하는 회전 방식의 스위치로 구현되는데, 본 발명의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10)는 반복적 시동으로 인한 차량 시동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리페티션 록킹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10)는 하우징부(100)와 기판(200)과 로터리 블록(300)과 이그니션 스위치부(400)와 이그니션 키 플런저부(500)를 포함하고, 본 발명의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10)는 과도한 반복적 회전으로 인한 차량 시동 모터의 과부하 방지를 위한 로터리 록킹부를 구비한다.
하우징(100)은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바디(120)와 하우징 베이스(130)를 포함하는데,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바디(120)와 하우징 베이스(130)는 서로 체결되어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다른 구성요소가 배치되는 위치를 형성한다.
하우징 커버(110)에는 하우징 커버 관통구(111)가 구비되고, 이를 통하여 차량용 키의 삽탈이 가능하다. 하우징 커버(110)는 하우징 바디(120)와 위치 고정되어 체결되어 하기되는 로터리 블록(300)의 회동 공간을 형성한다. 하우징 바디(120)는 하우징 커버(110)와 체결되는 반대 측에서 하우징 베이스(130)와 연결된다. 본 실시에에서 하우징 베이스(130)는 기판(200)을 이루는 배선의 인서트 사출을 통하여 일체화 형성 구조를 이룰 수도 있다.
기판(200)은 소정의 로터리 동작을 통하여 실행되는 차량의 시동 등의 스위칭 동작을 이루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배선 기능을 수행하는데, 기판은 별도의 인쇄회로기판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기판(200)은 하우징 베이스(130)와 일체화 몰딩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로터리 블록(300)은 하우징(10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로터리 블록(300)은 로터리 블록 샤프트(310)와 로터리 블록 베이스(3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로터리 블록 샤프트(310)와 로터리 블록 베이스(32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는데, 경우에 따라 서로 별개물로 형성되어 체결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로터리 블록 샤프트(310)는 이그니션 키 플런저부(600)의 적어도 일부가 길이 방향으로 관통 배치된다. 로터리 블록 샤프트(310)는 로터리 블록 샤프트 관통구(311)가 형성되고, 로터리 블록 샤프트(310)의 내부에는 이그니션 키 플런저부(600)의 키 플런저 바디(610)가 배치되는데, 로터리 블록 샤프트 관통구(311)를 통하여 차량용 키가 삽입되어 내부에 배치되는 키 플런저 바디(610)와의 접촉 상태 형성이 가능하다.
로터리 블록 베이스(320)는 로터리 블록 샤프트(310)의 일단에 배치되는데, 로터리 블록 샤프트(310)는 디스크 형상의 플레이트로 구현된다. 사용자에 의하여 차량용 키를 삽입한 후 회동시 이그니션 키 플런부가 관통된 로터리 블록 샤프트가 회동시 로터리 블록 베이스(310)도 함께 회동한다. 로터리 블록 베이스(320)의 일면 상에는 하기되는 로터리 록킹부(500)의 적어도 일부가 형성되는데, 로터리 블록 베이스(320)의 일면 상에는 로터리 록킹부(500)의 록킹 그루브(510)가 배치되고, 로터리 블록 베이스(320)의 저면에는 이그니션 스위치부(400)의 스위치 캠부(430)가 배치된다.
이그니션 스위치부(400)는 로터리 블록(300)의 회전에 따라 가동되어 차량의 시동을 포함하는 스위칭 동작을 실행하는데, 이니션 스위치부(400)는 스위치 고정 접점부(420)와 스위치 가동 접점부(410)와 스위치 캠부(430)를 포함한다. 스위치 고정 접점부(420)는 기판(200)에 배치되고, 스위치 가동 접점부(410)는 일단이 기판(200)에 고정 장착되어 기판(200)의 배선과 연결되고 타단에 스위치 고정 접점부(420)와 접촉 가능한 가동 단자(411)가 배치되고, 스위치 캠부(430)는 가동 단자(421)와 스위치 가동 접점부(410)의 일단 사이로 스위치 가동 접점부(420)의 타단 측에 그리고 로터리 블록 베이스(320)의 기판(200)을 향한 일면 상에 배치된다. 스위치 캠부(430)는 스위치 캠(431)과 스위치 캠 스틱(433)을 구비한다. 스위치 캠(431)은 로터리 블록 베이스(320)의 저면에 배치되는데, 스위치 캠(431)은 스위치 캠 홈(431b)와 스위치 캠 돌출부(431a)를 구비하여 스위치 캠(431)은 기판(200)과의 거리가 변화되는 형상을 구비하는 구조를 형성한다.
스위치 캠 스틱(433)은 일단이 스위치 캠(431)과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고 타단이 스위치 가동 접점부(410)에 고정 장착된다. 즉, 스위치 캠(431)은 로터리 블록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깊이 내지 경사를 갖는 디텐트 홈으로 형성되고, 스위치 캠 스틱(433)은 스위치 가동 접점부(410)에 고정 장착되고 일단이 스위치 캠(431)과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고, 스위치 캠(431)의 프로파일을 따라 스위치 캠 스틱(433)이 가동됨으로써, 스위치 가동 접점부(410)의 단부에 배치되는 가동 단자(411)와 스위치 고정 접점부(420)의 단속이 이루어진다. 즉,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 스위치 캠 스틱(433)의 단부는 스위치 캠 돌출부(431a)와 접촉 상태를 형성하고 이에 의하여 스위치 가동 접점부(410)의 가동 단자(411)는 스위치 고정 접점부(420)와 접촉이 해제되는 비접촉 상태를 형성하고, 로터리 블록(300)의 소정의 회동이 이루어져 사전 설정된 위치만큼 각회동이 이루어지는 경우, 스위치 캠 스틱(433)은 스위치 캠 홈(431b)과 접촉 상태를 형성하여 스위치 캠 스틱(433)이 위치 변동되어 스위치 가동 접점부(410)의 단부 측에서의 위치 변화가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가동 단자(411)와 스위치 고정 접점부(420) 간의 접속이 해제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그니션 스위치부는 복수 개의 스위치 가동 접점부, 스위치 고정 접점부 및 스위치 캠부를 구비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단수 개의 배치 구조를 이룰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이그니션 키 플런저부(600)는 하우징(100) 및 로터리 블록(300)에 관통하여 적어도 일부가 길이 방향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차량용 키를 삽입 가능하고 차량용 키의 회전시 로터리 블록(300)이 함께 축회동한다. 이그니션 키 플런저부(600)는 키 플런저 바디(610)와 키 플런저 탄성부(630)와 키 플런저 가동부(620)와 키 플런저 스위치부(640)를 포함한다. 로터리 블록 샤프트(310)의 상단에는 로터리 디스크 관통구(301)가 형성되는데, 로터리 디스크 관통구(301)를 통하여 차량용 키가 로터리 블록 샤프트(310)의 내부로 삽입된다. 로터리 디스크 관통구(301)는 소정의 형상을 구비하여 이물의 유입은 방지하고 차량용 키의 삽탈만을 허용한다.
키 플런저 바디(610)는 로터리 블록(300)의 로터리 블록 샤프트(310)의 길이 방향으로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키 플런저 바디(610)는 차량용 키의 삽입에 의하여 가동 가능하다. 키 플런저 바디(610)의 상단의 외주에는 키 플런저 바디 림(613)이 형성되는데, 키 플런저 바디(610)의 외주에는 코일 스프링 형상의 키 플런저 탄성부(630)가 배치되고, 키 플런저 탄성부(630)의 일단은 키 플런저 바디 림(613)에 의하여 지지되고, 키 플런저 탄성부(630)의 타단은 하우징 바디(120)에 의하여 지지됨으로써 키 플런저 바디(610)는 하우징 커버 측을 향하여 탄성 지지된다. 키 플런저 바디(610)의 하단에는 키 플런저 바디 돌출부(611)가 배치되는데, 키 플런저 바디 돌출부(611)는 하기되는 키 플런저 가동부(620)와 접촉하여 키 플런저 가동부(620)로 하여금 키 플런저 스위치부(640)의 접속 상태를 변화시킨다.
키 플런저 가동부(620)는 하우징(100)의 하우징 바디(120) 및 하우징 베이스(130) 중 적어도 하나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키 플런저 가동부(620)는 키 플런저 가동부 바디(621)의 측면에 키 플런저 시소 돌기(625)가 배치되고, 키 플런저 가동부 시소 돌기(625)는 하우징 바디 내지 하우징 베이스 중의 적어도 하나에 안정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삽입 장착된다. 키 플런저 가동부 바디(621)의 타단(623)은 키 플런저 스위치부(640)의 하기되는 키 플런저 가동 접점부(641) 측과 접촉 가능하고, 키 플런저 가동부 바디(621)의 일단(622)은 키 플런저 가동부 바디(610)의 단부인 키 플런저 바디 돌출부(611)와 접촉하여, 차량용 키의 삽입으로 키 플런저 바디(610)가 길이 방향으로 가동되는 경우 키 플런저 가동부(620)는 키 플런저 가동부 시소 돌기(625)를 중심으로 축회동을 이루고, 키 플런저 가동부(620)의 일단은 키 플런저 스위치부(640)의 키 플런저 가동 접점부(641)를 가동시켜 소정의 접점 상태를 변화시킴으로써 차량용 키의 삽입 여부를 감지 확인할 수 있다.
키 플런저 스위치부(640)는 차량용 키의 로터리 블록으로의 삽입에 의하여 키 플런저 바디(610)가 길이 방향으로 가동되는 경우 가동되어 차량용 키의 삽입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데, 키 플런저 스위치부(640)는 본 실시예에서 접촉식 단자 타입으로 구현된다. 키 플런저 스위치부(640)는 키 플런저 고정 접점부(643)와 키 플런저 가동 접점부(641)를 포함한다. 키 플런저 고정 접저뭅(643)는 기판(200)에 위치 고정되어 장착되고, 키 플런저 가동 접점부(641)는 일단이 기판(200)에 고정 장착되어 기판(200)의 배선과 연결되고 타단은 키 플런저 고정 접점부(643)의 대응되는 위치로 키 플런저 가동부(620)에 의하여 위치 변동되어 키 플런저 고정 접점부(643)와 접촉 가능한 구조를 취하는데, 키 플런저 가동 접점부(643)의 단부로 키 플런저 고정 점점부(643)와 접촉하는 위치에는 키 플런저 가동 단자(641a)가 배치되어 키 플런저 고정 접점부(643)와의 원활한 단속 및 전기적 도통을 수월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키 플런저 가동 점점부의 키 플런저 가동 단자는 별개물로 장착되는 구성을 취하였으나, 키 플런저 가동 접점부와 일체화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10)는 로터리 블록(300)의 회동을 제한하는 스톱퍼부(7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스톱퍼부(700)는 로터리 블록(300)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여 과도한 회동으로 인한 구성요소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스톱퍼부(700)는 스톱퍼 리브(710)와 스톱퍼 리스트레이너(720)를 포함하는데, 스톱퍼 리브(710)는 로터리 블록(300)의 일면, 즉 로터리 블록 베이스(320)의 일면으로, 로터리 블록 샤프트(310)의 외주에 위치 고정되어 돌출 형성되는데, 스톱퍼 리브(710)는 하우징(100)을 향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커버(110)를 향하여 돌출 배치된다. 스톱퍼 리스트레이너(720)는 스톱퍼 리브(710)와 접촉 가능한 구조를 취하는데, 스톱퍼 리스트레이너(720)는 하우징 커버(110)의 내측으로 로터리 블록 베이스(320)를 향하여 돌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한다. 즉,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스톱퍼부(700)는 스톱퍼 리브(710)와 스톱퍼 리스트레이너(720)의 접촉을 통한 맞물림으로 로터리 블록(300)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다. 여기서, 로터리 블록(300)의 회동 제한 범위는 스톱퍼 리스트레이너(720)의 배치 위치를 조정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스톱퍼부(700)의 스톱퍼 리브(710) 및 스톱퍼 리스트레이너(720)는 180도 쌍을 이루며 대칭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10)는 로터리 록킹부(500)를 구비하는데, 로터리 록킹부(500)는 하우징(100)과 로터리 블록(300)에 배치되어 차량용 시동키를 통한 차량의 시동후 반복적 시동을 제한다. 이러한 반복적 시동 시도의 제한은 물리적 제한으로 형성되어 반복적 시동 시도를 통한 시동 전기 장치의 과도한 부하 형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리 록킹부(500)는 록킹 수용부(540)와 록킹 그루브(510)와 록킹 플런저(520)와 록킹 탄성부(530)를 포함한다. 록킹 수용부(540)는 하우징(100)의 내부로, 보다 구체적으로 하우징 커버(110)의 내부로 로터리 블록(300)을 향하여 형성되는데, 하우징 커버(100)의 내측에 형성되는 록킹 수용부(540)는 수용 공간을 이루는 홈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록킹 수용부(540)는 하우징 커버(110)의 내측으로 측면이 스톱퍼 리브(710)와 접촉 가능한 스톱퍼 리스트레이너(720)의 중앙에 형성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이는 본 발명의 일예로서 록킹 수용부(540)는 하우징 커버(110)의 내측으로 로터리 블록(300)을 향하여 형성되는 범위에서 스톱퍼 리스트레이너와 상이한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록킹 그루브(510)는 로터리 블록(300)의 록킹 수용부(540)를 향한 일면 상에 형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록킹 그루부(510)는 로터리 블록(300)의 로터리 블록 베이스(320)의 일면 상에 형성된다.
록킹 플런저(520)는 록킹 수용부(540)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록킹 그루브(510)와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한다. 즉, 록킹 플런저(520)는 소정 길이의 스틱 구조를 형성하는데, 록킹 플런저(520)의 일단은 라운딩 처리되어 록킹 그루브(510)와 상시 접촉하는 구조를 이루고, 록킹 플런저(520)의 타단은 소정의 반경 변화를 이루는 구조를 취하여 록킹 탄성부(530)와의 원활한 접촉을 가능하게 한다.
록킹 탄성부(530)는 록킹 플런저(520)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구조를 취하는데, 록킹 탄성부(530)는 본 실시예에서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나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록킹 탄성부(530)의 일단은 록킹 수용부에 수용되어 록킹 수용부(540)의 내측면과 접촉하고 록킹 탄성부(530_)의 타단은 록킹 플런저(520)와 접촉하여 록킹 플런저(520)를 탄성 지지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록킹 수용부(540)는 소정의 형상을 구비하는데, 록킹 수용부(540)는 반경 방향 장방형 구조를 취한다. 즉, 록킹 수용부(540)는 원주 방향의 길이보다 반경 방향의 길이가 더 긴 장방형 구조를 취하여, 록킹 수용부(540)로부터 돌출 배치되는 록킹 플런저(520)의 단부가 로터리 블록(300)의 로터리 블록 베이스(320)의 반경 방향으로 가동 가능한 구조를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로터리 록킹부(500)의 록킹 그루브(510)는 적어도 일부가 로터리 블록(30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록킹 플런저와의 접촉 경로(Tp)가 상이한 히스테리시스 구조를 형성한다. 즉, 로터리 블록(300)을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시켰을 경우 형성되는 록킹 그루브(510)와 록킹 플런저(520)의 접촉 이동 경로와, 로터리 블록(300)을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경우 형성되는 록킹 그루브(510)와 록킹 플런저(520)의 접촉 이동 경로는 적어도 일부가 상이한 구조를 이룬다.
이러한 경우 록킹 그루브(510)는 그루브 스타팅부(511)와 그루브 리미트부(513)와 그루브 포워딩부(512)와 그루브 리턴부(515,516,517,518)을 포함한다. 그루브 스타팅부(511)는 차량의 이그니션 OFF 상태인 경우 록킹 플런저(520)가 접하는 록킹 그루브(510)의 지점(Ps)을 형성하는 부분을 지시하는데, 그루브 스타팅부(511)는 록킹 그루브(510)의 시작을 형성하는 소정의 수직 측벽 부분을 구비하여 이에 접촉하는 록킹 플런저(520)가 록킹 그루브(5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루브 리미트부(513)는 차량의 이그니션 ON 상태인 경우 록킹 플런저(520)와 접하는 록킹 그루브(510)의 지점(Pe)을 형성하는 부분을 지시하는데, 그루브 리미트부(513)는 록킹 그루브(510)의 종료를 형성하는 소정의 수직 측벽 부분을 구비하여 이에 접촉하는 록킹 플런저(520)가 록킹 그루브(5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루브 포워딩부(512)는 그루브 스타팅부(511)와 그루브 리미트부(513)의 사이에 배치되고, 그루브 포워딩부(512)는 그루브 스타팅부(511)로부터 그루브 리미트부(513) 방향으로 배치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그루브 포워딩부(512)는 록킹 플런저(520)와 록킹 그루브(510)의 접촉에 있어 그루브 스타팅부(511)로부터 그루브 리미트부(513)로 접촉 진행되는 방향에서만 접촉이 허용되고, 반대의 경우 즉 그루브 리미트부(513)로부터 그루브 스타팅부(511)로 록킹 플런저(520)와의 접촉 이동 경우에는 접촉 상태가 형성되지 않는다.
그루브 리턴부(515,516,517,518)는 그루브 스타팅부(511)와 그루브 리미트부(513)의 사이에 배치되어 그루브 스타팅부(511)와 그루브 리미트부(513)에 연결되고, 그루브 포워딩부(512)에 대응하여 그루브 리미트부(513)로부터 그루브 스타팅부(511)의 방향으로 록킹 플런저(520)와의 접촉 가능 상태를 형성한다.
보다 상세하게, 그루브 리턴부는 그루브 리턴 연결부(516)와, 그루브 리턴 디치(518)과, 그루브 리턴 포워딩 스톱퍼(515)를 포함하는데, 그루브 리턴 연결부(516)는 적어도 일부가 그루브 포워딩부(512)와 연결되어 그루브 플런저(520)가 그루브 스타팅부(511)로부터 그루브 리미트부(513)로 진행하는 경우 그루브 플런저(520)를 그루브 리미트부(513)로 안내하고, 그루브 리턴 디치(518)는 로터리 블록 베이스(320)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그루브 리턴 연결부(516)와 실질적으로 등반경 상에 배치되되 로터리 블록 샤프트(310)의 길이 방향에서 그루브 리턴 연결부(516)와 높이 단차를 구비하여 그루브 리턴 연결부(516)와 높이차를 갖는다. 그루브 리턴 연결부(516)와 그루브 리턴 디치(518)가 로터리 블록 샤프트(320)의 길이 방향으로 높이 차를 구비하고, 그루브 리턴 스톱퍼(515)는 그루브 리턴 연결부(516)와 그루브 리턴 디치(518)의 사이로 단차 형성되는 구조로 로터리 블록 베이스(320)의 원주 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어 록킹 플런저(520)와의 접촉 상태가 그루브 리턴 디치(518) 및 그루브 리턴 연결부(516)와 등반경 내지 연속선 상에서 이루어지는 경우, 그루브 리미트부(513)로부터 그루브 스타팅부(511) 방향으로의 진행은 허용하되, 그루브 스타팅부(511)로부터 그루브 리미트부(513)로의 진행은 물리적으로 원천 차단한다.
한편, 본 발명의 그루브 리턴부는 그루브 리턴 경사부(517)을 구비하는데, 그루브 리턴 경사부(517)는 차량의 이그니션 ON 상태인 엔드 지점(Pe)으로부터 차량 시동의 OFF 상태인 스타팅 지점(Ps)인 경우 록킹 플런저(520)와 접하는 록킹 그루브(510)의 지점(Pe)의 방향 중 해당 경로(Tp)의 중간에 배치되는 그루브 리턴 디치와 함께 높이 단차를 극복하고 복귀하도록 하는 드라이브 지점(Pd)을 형성한다. 드라이브 지점(Pd)에서는 통상적으로 차량의 시동 OFF 상태로부터 시동 ON상태로의 전환후 차량의 각종 전장 장치, 예를 들어 오디오, 차량의 ECU 체크 등과 같은 상태를 ON시키기 위한 대기 상태를 형성하는데,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록킹 플런저(520)는 드라이브 지점(Pd)에 배치되되, 그루브 리턴 디치(518)에 위치 점유한다.
그루브 리턴 경사부(517)는 그루브 리턴 디치(518)의 타단에 배치되어, 그루브 리턴 디치(518)를 로터리 블록 샤프트(320)의 길이 방향으로 높이차를 갖는 그루브 스타팅부(511) 측에 연결시킨다. 즉, 그루브 리턴 경사부(517)는 높이 차를 갖고 로터리 블록 베이스(320)의 일면 상에서 반경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를 갖는 그루브 리턴 디치(518)의 일측과 그루브 스타팅부(511) 측을 연결하도록 경사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이와 같은 로터리 블록 베이스의 반경 방향 및 로터리 블록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의 입체적 경사 연결 배치 구조를 통하여 록킹 플런저(520)가 그루브 리턴 디치(518)로부터 그루브 스타팅부(511) 측으로의 원활한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그루브 스타팅부(511)로부터 그루브 리미트부(513)로의 진행 방향과, 그루브 리미트부(513)로부터 그루브 스타팅부(511)로의 진행 방향에 있어 록킹 플런저(520)와의 접촉 경로는 적어도 일부가 서로 상이한 구조를 취함으로써 히스테리시스 접촉 구조를 이루고,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로터리 블록(300)의 그루브 스타팅부(511)로부터 그루브 리미트부(513) 방향으로의 회전으로 인한 차량용 키를 통한 반복적 시동으로 인한 스타트 모터(미도시)의 과부하 형성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그루브 포워딩부(512) 및 그루브 리턴부에서의 록킹 플런저(520)의 상시 접촉 가능 상태 형성은, 록킹 플런저(520)의 단부가 노출되도록 수용하되 원주 방향으로의 너비보다 반경 방향으로의 길이가 더 큰 값을 갖는 록킹 수용부(540)와의 상호 작용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즉, 도면들, 특히 도 20에 도시된 접촉 경로(Tp)는 록킹 플런저(520)와 록킹 그루브(510)의 접촉 이동 상태를 나타내는데, 이 중에서 그루브 포워딩부 및 그루브 리턴부에서의 히스테리시스 접촉 이동 구조는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플런저(520)가 로터리 블록 베이스(320)의 원주 방향으로의 가동은 제한되고 반경 방향으로의 가동만이 허용됨으로써 록킹 그루브(510)와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록킹 플런저(520)와의 원활한 상호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로터리 블록의 일방향으로의 반복적 회전 동작을 물리적으로 원천 차단하는 로터리 록킹부(500)는 로터리 블록 베이스(320)가 이루는 평면 상에서의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한 쌍이 대칭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은 소정의 로터리 블록의 록킹 기능을 이루는 범위에서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
100..하우징 110...하우징 커버
120..하우징 바디 130...하우징 베이스
200...기판 300...로터리 블록
400...이그니션 스위치부 500...로터리 록킹부
600...이그니션 키 플런저부 700...스톱퍼부

Claims (14)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리 블록과,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로터리 블록에 관통하여 적어도 일부가 길이 방향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로터리 블록을 통하여 삽입된 차량용 키에 의하여 길이 방향 가동되고, 차량용 키의 회전시 상기 로터리 블록이 함께 축회동하는 이그니션 키 플런저부와, 상기 로터리 블록의 회전에 따라 가동되어 차량의 시동을 포함하는 스위칭 동작을 실행하는 이그니션 스위치부와, 상기 하우징과 상기 로터리 블록에 배치되어 차량용 시동키를 통한 차량의 시동후 반복적 시동을 제한하는 로터리 록킹부를 구비하고,
    상기 로터리 록킹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상기 로터리 블록을 향하여 배치되는 록킹 수용부(540)와, 상기 로터리 블록의 상기 록킹 수용부를 향한 일면 상에 형성되는 록킹 그루브(510)와, 상기 록킹 수용부에 가동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록킹 그루브와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는 록킹 플런저와, 상기 록킹 수용부에 수용되어 상기 록킹 플런저를 탄성 지지하는 록킹 탄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블록은:
    상기 이그니션 키 플런저부의 적어도 일부가 길이 방향 관통 배치되는 로터리 블록 샤프트와,
    상기 로터리 블록 샤프트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록킹 그루브가 형성되는 로터리 블록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수용부는 상기 로터리 블록의 원주 방향의 길이보다 반경 방향의 길이가 더 긴 장방형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그루브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로터리 블록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록킹 플런저와의 접촉 경로가 상이한 히스테리시스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그루브는:
    차량의 이그니션 OFF 상태인 경우 상기 록킹 플런저가 접촉하는 그루브 스타팅부와,
    차량의 이그니션 ON 상태인 경우 상기 록킹 플런저가 접촉하는 그루브 리미트부와,
    상기 그루브 스타팅부와 상기 그루브 리미트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그루브 스타팅부와 상기 그루브 리미트부에 연결되고, 상기 그루브 스타팅부로부터 상기 그루브 리미트부의 방향으로 배치되는 그루브 포워딩부를 구비하는 그루브 리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 리턴부는:
    상기 로터리 블록 베이스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상기 그루브 포워딩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그루브 포워딩부와 연결되어, 상기 그루브 플런저가 상기 그루브 스타팅부로부터 상기 그루브 리미트부로 진행하는 경우 상기 그루브 플런저를 상기 그루브 리미트부로 안내하는 그루브 리턴 연결부(516)와,
    상기 로터리 블록 베이스의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상기 그루브 리턴 연결부(516)와 실질적으로 등반경 상에 배치되는 그루브 리턴 디치(518)와,
    상기 그루브 리턴 연결부(516)와 상기 그루브 리턴 디치(518)는 상기 로터리 블록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높이차를 구비하여, 상기 그루브 리턴 연결부와 상기 그루브 리턴 디치 사이에 단차 형성되는 그루브 리턴 포워딩 스톱퍼(51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 리턴부는,
    상기 그루브 리턴 디치의 타단에 배치되어, 상기 그루브 리턴 디치를 상기 로터리 블록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높이차를 갖는 상기 그루브 스타팅부 측에 연결시키는 그루브 리턴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록킹부는 한 쌍이 대칭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
  10.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그니션 스위치부는: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스위치 고정 접점부와,
    일단이 상기 기판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기판의 배선과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스위치 고정 접점부와 접촉 가능한 가동 단자가 배치되는 스위치 가동 접점부와,
    상기 가동 단자와 상기 스위치 가동 접점부의 일단 사이로 상기 스위치 가동 접점부의 타단 측에, 그리고 상기 로터리 블록 베이스의 상기 기판을 향한 일면 상에 배치되는 스위치 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캠부는:
    상기 로터리 블록 베이스의 상기 기판과의 거리가 변화되도록 상기 로터리 블록 베이스에 형성되는 스위치 캠과,
    일단이 상기 스위치 캠과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고 타단이 상기 스위치 가동 접점부에 고정 장착되는 스위치 캠 스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
  12.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리 블록과,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로터리 블록에 관통하여 적어도 일부가 길이 방향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로터리 블록을 통하여 삽입된 차량용 키에 의하여 길이 방향 가동되고, 차량용 키의 회전시 상기 로터리 블록이 함께 축회동하는 이그니션 키 플런저부와, 상기 로터리 블록의 회전에 따라 가동되어 차량의 시동을 포함하는 스위칭 동작을 실행하는 이그니션 스위치부와, 상기 하우징과 상기 로터리 블록에 배치되어 차량용 시동키를 통한 차량의 시동후 반복적 시동을 제한하는 로터리 록킹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그니션 키 플런저부는:
    삽입된 차량용 키의 삽입에 의하여 상기 로터리 블록의 길이 방향으로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키 플런저 바디(610)와,
    상기 키 플런저 바디를 탄성 지지하는 키 플런저 탄성부(630)와,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차량용 키의 삽입으로 상기 키 플런저 바디가 길이 방향으로 가동되는 경우 함께 가동되는 키 플런저 가동부(620)와,
    상기 키 플런저 가동부(620)의 일단이 상기 키 플런저 바디에 의하여 가동되는 경우 상기 키 플런저 가동부(620)의 타단에 의하여 가동되어 차량용 키의 삽입 여부 감지 가능한 키 플런저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키 플런저 스위치부는: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키 플런저 고정 접점부와,
    일단이 상기 기판에 고정 장착되어 상기 기판의 배선과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키 플런저 고정 접점부와 접촉 가능한 키 플런저 가동 단자가 배치되는 키 플런저 가동 접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
  14.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로터리 블록과,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로터리 블록에 관통하여 적어도 일부가 길이 방향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로터리 블록을 통하여 삽입된 차량용 키에 의하여 길이 방향 가동되고, 차량용 키의 회전시 상기 로터리 블록이 함께 축회동하는 이그니션 키 플런저부와, 상기 로터리 블록의 회전에 따라 가동되어 차량의 시동을 포함하는 스위칭 동작을 실행하는 이그니션 스위치부와, 상기 하우징과 상기 로터리 블록에 배치되어 차량용 시동키를 통한 차량의 시동후 반복적 시동을 제한하는 로터리 록킹부를 구비하고,
    상기 로터리 블록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스톱퍼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스톱퍼부는:
    상기 로터리 블록의 일면 상으로 상기 하우징을 향하여 배치되는 스톱퍼 리브와,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 상기 스톱퍼 리브 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스톱퍼 리브와 접촉 가능하게 형성되는 스톱퍼 리스트레이너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
KR1020140029628A 2014-03-13 2014-03-13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 KR101520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628A KR101520222B1 (ko) 2014-03-13 2014-03-13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628A KR101520222B1 (ko) 2014-03-13 2014-03-13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0222B1 true KR101520222B1 (ko) 2015-05-13

Family

ID=53394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628A KR101520222B1 (ko) 2014-03-13 2014-03-13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02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491Y1 (ko) * 2000-09-21 2001-03-15 주식회사우진산전 자동차 시동장치
KR100757247B1 (ko) * 2006-07-12 2007-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그니션 키 스위치의 재시동 방지구조
KR100765834B1 (ko) * 2006-10-10 2007-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시동키 안전장치
KR20090062870A (ko) * 2007-12-13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시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5491Y1 (ko) * 2000-09-21 2001-03-15 주식회사우진산전 자동차 시동장치
KR100757247B1 (ko) * 2006-07-12 2007-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그니션 키 스위치의 재시동 방지구조
KR100765834B1 (ko) * 2006-10-10 2007-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시동키 안전장치
KR20090062870A (ko) * 2007-12-13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시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5043B2 (en) Multidirectional switch
EP1873803B1 (en) Compound operation input device
US8076603B2 (en) Axially-movable rotary switch
JP5802111B2 (ja) 多方向スイッチ装置
US8981244B2 (en) Forward/backward rotation switching mechanism
KR101698647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JP3173137U (ja) 多方向入力装置
JP4241798B2 (ja) 回転形パルススイッチ
JP4019601B2 (ja) レバースイッチ
KR101520222B1 (ko) 로터리 이그니션 스위치 유니트
US8390275B2 (en) Component including magnets for input operation
JP2004342496A (ja) スイッチ装置
JP2004355903A (ja) サイドスタンドの位置検出装置
KR101706426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JP2004349006A (ja) スイッチ装置
JP4703526B2 (ja) 多機能型電子部品
US6995650B2 (en) Electrical part prevented from improper mounting on circuit board, and mounting structure for the electrical part
JP2009021059A (ja) 電池収納ユニット
JP2008071589A (ja) 多方向押圧形スイッチ
KR101109711B1 (ko) 회전형 전기부품
KR100556889B1 (ko) 이동단말기용 조그스위치 결합체
JP6231424B2 (ja) スイッチ装置
KR100947171B1 (ko) 비접촉 로터리 스위치 유니트
KR101481259B1 (ko)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니트
JP5613526B2 (ja) 電池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