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532Y1 - 반도체패키지 포밍장치용 캠펀치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패키지 포밍장치용 캠펀치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532Y1
KR200213532Y1 KR2019950053431U KR19950053431U KR200213532Y1 KR 200213532 Y1 KR200213532 Y1 KR 200213532Y1 KR 2019950053431 U KR2019950053431 U KR 2019950053431U KR 19950053431 U KR19950053431 U KR 19950053431U KR 200213532 Y1 KR200213532 Y1 KR 2002135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punch
semiconductor package
forming
lead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34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6992U (ko
Inventor
이환용
Original Assignee
마이클 디. 오브라이언
앰코 테크놀로지 코리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클 디. 오브라이언, 앰코 테크놀로지 코리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마이클 디. 오브라이언
Priority to KR20199500534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532Y1/ko
Publication of KR9700469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699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5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532Y1/ko

Links

Landscapes

  • Lead Frames F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반도체 패키지 포밍장치용 캠펀치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패키지 성형완료된 반도체 패키지 자재를 폼장치(M)에서 리드(L)을 4차 포밍시키는 캠펀치(5)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구동장치(1)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1)의 베이스(2)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한 스프링(3)에 탄성력을 받는 베어링(4)을 설치하고, 베어링(4)에는 캠펀치(5)접촉시켜 설치한 것으로 캠펀치의 작동 성능을 향상시키고, 반도체 패키지 자재의 리드포밍을 정밀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반도체패키지 포밍 장치용 캠펀치 구동장치
본 고안은 반도체 패키지 포밍장치용 캠펀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반도체 패키지의 리드를 4차 포밍시킬수 있는 캠펀치에 구동장치를 구비하고, 구동장치에는 스프링에 탄력설치한 베어링을 구비하여 캠펀치의 작동성을 초고정밀로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한 반도체 패키지 포밍장치용 캠펀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패키지의 폼 캠펀치는 반도체 칩이 부착된 리드프레임 자재에 와이어 본딩을 완료시킨 후 몰딩공정에서 외부의 외적인 힘과 부식과 열 등에 의한 내부의 전기적인 특성회로를 보호하고 기계적인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컴파운드재로 패키지 성형시킨다.
패키지 성형이 완료된 리드프레임자재는 트림공정에서 댐바컷팅 및 리드컷팅 작업을 완료한 후 리드를 제품의 종류에 따라 제이(J) 폼 및 걸(Gull) 폼으로 포밍시킨다.
상기 제이(J) 폼으로 리드가 포밍되는 리드프레임 자재는 각 단계를 거쳐 포밍을 시행하는데 1차 포밍에서는 리드의 끝면을 약간 구부려 준후 2차 포밍에서는 1차 포밍 완료된 리드의 끝단을 내측으로 약간 포밍시킨다.
2차 포밍이 완료된 리드는 3차 포밍에서 70°정도의 각도로 포밍 형성되고, 4차 포밍에서는 리드를 90° 정도의 각도로 절곡시키는 동시에 끝단을 내측으로 원형부를 갖게 포밍시키며, 5차 포밍에서는 리드를 패키지의 요홈에 삽착시키도록 포밍하는 것이다.
상기한 자재의 리드를 각 단계로 리드포밍되는 폼장치에 각각 캠펀치가 설치되어 리드를 포밍시키도록 하였다.
이러한 리드를 포밍시키는 캠펀치를 구동시킬 수 있는 종래의 구동장치(1)는 도면 돌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이스(2)의 중앙에 패드(10)가 설치되고 베이스의 하부 양측에는 캠펀치(5)가 설치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캠펀치(5)를 작동시키는 구동장치(1)의 베이스(2)에는 반도체 패키지 자재(P)의 리드(L)를 4차 포밍시키는 캠펀치(5)가 고정식으로 설치되어 있어 캠다이(11)의 상부에 안치된 반도체 패키지 자재(P)의 리드(L)를 포밍시키기 위해 구동장치(1)을 하강시키면 캠펀치(5)가 동시에 하강하면서 리드(L)를 포밍시킨다.
이때 구동장치(1)와 동시에 하강되는 캠펀치(5)는 구동장치(1)의 상·하 동작 상태에 따라 수직방향으로만 작동함으로 인해 반도체 패키지 자재(P)의 리드(L)를 수직방에서 가압시킨 상태에서 포밍되게 하므로서, 리드(L)의 포밍 상태가 균일하게 형성되지 못하여 리드포밍 불량이 발생되었고, 또한 구동장치(1)의 구동작동조건에 의해 상·하 작동성이 정밀하게 될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반도체 패키지의 리드를 4차 포밍시킬수 있는 캠펀치에 구동장치를 구비하고, 구동장치에는 스프링에 탄력설치한 베어링을 구비하여 캠펀치의 작동성을 초고정밀로 동작시킬 수 있게 하여 캠펀치의 기계작동 성능을 향상시키고, 리드포밍되는 리드의 포밍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적용 상태 구조도.
제2도는 본 고안의 구동장치 단면 구조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
제5도는 종래의 단면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구동장치 2 : 베이스
3 : 스프링 4 : 베어링
5 : 캠펀치 6 : 홀더
7 : 가이드롤러 8 : 축
9 : 포밍부 10 : 패드
11 : 캠다이 M : 포밍장치
P : 반도체 패키지 자재 L : 리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패키지 성형완료된 반도체 패키지 자재를 폼장치(M)에서 리드(L)를 4차 포밍시키는 캠펀치(5)를 가진 구동장치(1)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1)의 베이스(2)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 스프링(3) 하부에 탄성력을 받는 베어링(4)을 설치하고, 베어링(4)에는 캠펀치(5)를 접촉시켜 설치한 것이다.
상기한 구동장치(1)의 베어링(4)은 캠펀치(5)에 설치한 가이드롤러(7)에 접촉설치한 것이다.
상기한 캠펀치(5)는 홀더(6)는 중앙을 베이스(2) 하부에 축(8)으로 축지하고, 홀더(6)의 하부에는 포밍부(9)를 구비하며, 홀더(6)의 상부에는 가이드롤러(7)를 설치하고, 홀더(6)의 중앙과 베이스(2)의 중앙에는 패드(10)를 설치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폼장치(M)의 구동장치(1)에 설치한 캠펀치(5)의 하부에 캠다이(11)를 설치하여 3차 포밍이 완료된 반도체 패키지자재(P)를 안치시키면 구동장치(1)가 하강하여 패드(10)와 캠펀치(5)의 포밍부(9)가 자재(P)의 상부와 리드(L) 상부에 접촉되어 가압시킨다.
이때 패드(9)는 상부에 설치한 스프링(5)의 탄성력을 받으면서 상측으로 상승하고 동시에 캠펀치(5)의 가이드롤러(7)가 접촉된 패드(10)의 경사부(10A)에 의하여 캠펀치(5)가 축(8)을 중심으로 가이드롤러(7)는 외부로 회동이송하고 포밍부(F)는 내측으로 회동이송하면서 리드(L)의 포밍을 완료시킨다.
이러한 가이드롤러(7)는 외부로 회동할때 구동장치(1)의 베이스(2)에 스프링(3)으로 설치한 베어링(4)에 의해 윤활작동을 하므로써 회동작용성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캠펀치(5)의 작동성을 초정밀 작용을 함에 따라 캠펀치(5)의 작동성능을 향상시키고, 4차 리드포밍 작업을 정밀하게 시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반도체 패키지의 리드를 4차 포밍시킬수 있는 캠펀치에 구동장치를 구비하고, 구동장치에는 스프링에 탄력설치한 베어링을 구비하여 캠펀치의 작동성을 초고정밀로 동작시킬 수 있게 하므로써, 캠펀치의 작동성능을 향상시키고, 반도체 패키지 자재의 리드포밍을 정밀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패키지 성형완료된 반도체 패키지 자재를 폼장치(M)에서 리드(L)를 4차 포밍시키는 캠펀치(5)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구동장치(1)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1)의 베이스(2)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한 스프링(3)에 탄성력을 받는 베어링(4)을 설치하고, 베어링(4)에는 캠펀치(5)를 접촉시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포밍장치용 캠펀치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4)은 캠펀치(5)에 설치한 가이드롤러(7)에 접촉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패키지 포밍장치용 캠펀치 구동장치.
KR2019950053431U 1995-12-29 1995-12-29 반도체패키지 포밍장치용 캠펀치 구동장치 KR2002135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3431U KR200213532Y1 (ko) 1995-12-29 1995-12-29 반도체패키지 포밍장치용 캠펀치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3431U KR200213532Y1 (ko) 1995-12-29 1995-12-29 반도체패키지 포밍장치용 캠펀치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6992U KR970046992U (ko) 1997-07-31
KR200213532Y1 true KR200213532Y1 (ko) 2001-04-02

Family

ID=60875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3431U KR200213532Y1 (ko) 1995-12-29 1995-12-29 반도체패키지 포밍장치용 캠펀치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53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6992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13532Y1 (ko) 반도체패키지 포밍장치용 캠펀치 구동장치
KR102408023B1 (ko) 제거 기구, 수지 성형 장치 및 제조 방법
KR200175857Y1 (ko) 리드프레임용 다운셋 장치
KR100354494B1 (ko) 반도체의 불량 패키지 컷팅 장치
JPS6334283Y2 (ko)
CN211218254U (zh) 一种芯片加工表面冲压装置
JP3216933B2 (ja) 外部リードの曲げ装置
CN210023576U (zh) 一种变压器针脚整型机
CN219851832U (zh) 一种半导体封装自动压机的压板结构
KR940010534B1 (ko) Ic 패키지의 캠폼방식 및 그 장치
KR0169817B1 (ko) 반도체 패키지의 리드 절곡장치
KR20090079555A (ko) 측면발광형 led램프의 리드 가공장치 및 방법
KR100510741B1 (ko)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트림/포밍 장치
JPH1079463A (ja) 半導体装置製造用切断装置
JPH0620794B2 (ja) 電子装置の樹脂モ−ルド装置
JP2546777Y2 (ja) 半導体装置用の樹脂封止金型
JPH0228262B2 (ja) Handotaisochinoriidotanshiorimagesochi
KR20030061150A (ko) 반도체 패키지 리드 성형장치
KR100203929B1 (ko) 돌출형 리드 컷팅 날을 갖는 리드 성형 장치
KR0184062B1 (ko) 반도체 제조장비의 리드절단장치
JPS6110984B2 (ko)
KR200301749Y1 (ko) 하향식 반도체 금형장치
KR100321163B1 (ko) 반도체 패키지의 아우터 리드 성형 장치
KR100210119B1 (ko) 트랜스퍼 몰딩 장치의 플런저 교체 방법
KR0184104B1 (ko) 소형 반도체 부품의 가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