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3490Y1 - 이씨유 전원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이씨유 전원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3490Y1
KR200213490Y1 KR2019950041413U KR19950041413U KR200213490Y1 KR 200213490 Y1 KR200213490 Y1 KR 200213490Y1 KR 2019950041413 U KR2019950041413 U KR 2019950041413U KR 19950041413 U KR19950041413 U KR 19950041413U KR 200213490 Y1 KR200213490 Y1 KR 2002134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start switch
driving
control signal
control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14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1597U (ko
Inventor
김광준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414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3490Y1/ko
Publication of KR9700415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15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34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3490Y1/ko

Links

Landscapes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동작 상태에 따라 배터리 전원 공급 상태가 가변되는 시동 스위치와; 자동차 주행중에 상기 시동 스위치가 오프되면, 현재 엔진 구동에 따른 모드를 수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전원 공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현재 엔진구동에 따른 모드 수행이 종료된 경우에는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 상태가 가변되어 상기 제어수단과 각 엔진 구동 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릴레이로 이루어지는 이씨유 전원 공급장치는, 자동차 주행중에 시동 스위치가 작동되지 않아도 ECU가 각 장치로의 제어 신호 출력 등의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계속하여 전원 공급 상태를 유지하고, 현재 수행중인 동작이 종료하면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시동 스위치가 오프되어도 현재 작동중인 EMS 모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씨유 전원 공급장치
제1도는 종래의 이씨유 전원 공급장치의 구성 블록도이고,
제2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씨유 전원 공급장치의 구성 블록도이고,
제3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이씨유 전원 공급 방법의 동작순서도이다.
이 고안은 이씨유(ECU:Engin Control Unit, 이하 ECU라 명명함)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자동차 주행중에 시동 스위치가 작동되지 않아도 ECU가 각 장치로의 제어 신호 출력 등의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계속하여 전원 공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ECU 전원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 발전과 더불어 현재 생산중인 자동차는 기계적 제어와 전자적 제어가 혼합되어 구동되고 있으며, 점점 전자적 제어에 따른 구동 방향으로 발전되어 가고 있다.
자동차 생산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전자적 제어의 발전에 따라 자동차의 전반적인 구동 동작을 ECU가 제어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시동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첨부한 제1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릴레이(10)가 구동되어 배터리의 전원이 전원부(20)로 공급된다.
상기 전원부(20)는 인가되는 배터리 전원을 ECU(30)로 출력하고, ECU(30)는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구동되어 엔진을 구동시키기 위한 각 장치들로 전원을 공급시켜 해당하는 엔진 구동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동되는 종래의 ECU 전원 공급장치는 시동 스위치가 오프되면 ECU로 공급되는 전원 차단됨으로써, 사용자가 실수로 시동 스위치를 오프시킨 경우에 원하는 주행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이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동차 주행중에 시동 스위치가 작동되지 않아도 ECU가 각 장치로의 제어 신호 출력 등의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계속하여 전원 공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ECU 전원 공급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의 구성은, 동작 상태에 따라 배터리 전원 공급 상태가 가변되는 시동 스위치와; 자동차 주행중에 상기 시동 스위치가 오프되면, 현재 엔진 구동에 따른 모드를 수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전원 공급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현재 엔진 구동에 따른 모드 수행이 종료된 경우에는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 상태가 가변되어 상기 제어수단과 각 엔진 구동 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릴레이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의 다른 구성은, 자동차 주행중에 제어수단이 시동 스위치의 작동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에서 시동 스위치가 오프된 경우에 현재 제어수단이 엔진 구동에 따른 모드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시동 스위치가 오프된 상태에서 현재 제어수단이 엔진 구동에 따른 모드를 수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계속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와; 시동 스위치가 오프된 상태에서 현재 제어수단이 엔진 구동에 따른 모드 수행이 종료된 경우에는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이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ECU 전원 공급장치의 구성 블록도이고, 제3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ECU 전원 공급 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첨부한 제2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ECU 전원공급장치의 구성은, 일측단이 배터리에 연결되어 있는 릴레이(10)와, 일측단이 배터리에 연결되어 있는 시동 스위치(S1)와, 상기 릴레이(10)의 출력단에 연결된 전원부(20)와, 상기 전원부(20)와 시동 스위치(S1)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릴레이(10)를 구동시키는 제어부(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한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ECU 전원 공급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시동 스위치(S1)를 작동시키면, 배터리 전원이 시동 스위치(S1)를 통하여 제어부(30)로 공급된다.
상기 제어부(30)는 시동 스위치(S1)의 작동 상태를 판단하여(S110), 시동 스위치(S1)가 온되면 모든 사용 변수를 초기화시킨다(S120).
상기에서 초기화가 이루어진 다음, 제어부(30)는 릴레이(10)를 구동시켜 배터리 전원을 전원부(20)로 공급하고, 전원부(20)는 인가되는 배터리 전원을 제어부(30) 및 엔진 구동에 사용되는 각종 장치로 전원을 공급한다(S130).
엔진 구동 동작을 수행하면서 제어부(30)는 시동 스위치(S1)의 작동 상태를 계속해서 판단하여(S140), 시동 스위치(S1)가 오프되면 현재 수행중인 EMS(Engine Management System) 서비스 모드의 종료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전원 공급상태를 제어한다(S140∼S150).
다시 말하자면, 시동 스위치(S1)가 오프된 시점에 제어부(30)가 현재 엔진구동 동작에 따른 센서 신호 감지 및 그에 따른 제어 신호 출력을 수행하고 있는 중에는, 계속하여 릴레이(10)를 구동시켜 각 구동 장치 및 제어부(30)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한다(S160).
상기에서 시동 스위치(S1)가 오프된 시점에 제어부(30)가 현재 엔진 구동동작에 따른 센서 신호 감지 및 그에 따른 제어 신호 출력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릴레이(10) 구동을 정지시킨다(S170).
시동 스위치(S1)가 오프된 상태에서 릴레이(10)이 구동이 정지됨에 따라 전원부(20)로 배터리 전원 공급이 차단됨으로써, 제어부(30)로 배터리 전원이 공급되지 않게 되어 동작이 종료되고, 각 구동 장치로의 전원 공급도 차단되어 엔진 구동 동작이 정지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라, 자동차 주행중에 시동 스위치가 작동되지 않아도 ECU가 각 장치로의 제어 신호 출력 등의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계속하여 전원 공급 상태를 유지하고, 현재 수행중인 동작이 종료하면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시동 스위치가 오프되어도 현재 작동중인 EMS 모드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자동차 주행중에 시동 스위치가 작동되지 않아도 ECU가 각 장치로의 제어 신호 출력 등의 동작을 수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계속하여 전원 공급 상태를 유지하고, 현재 수행중인 동작이 종료하면 전원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시동 스위치가 오프되어도 현재 작동중인 EMS 모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ECU 전원 공급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동작 상태에 따라 배터리의 전원 공급 상태가 가변되는 시동 스위치와; 자동차의 주행중에 상기 시동 스위치가 오프되면, 현재의 엔진 구동에 따라 작동모드를 수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전원을 공급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현재의 엔진 구동에 따른 모드 수행이 종료된 경우에는 전원의 공급을 차단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 상태가 가변되어 상기 제어수단과 각 엔진의 구동 장치로 전원을 공급하는 릴레이;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씨유 전원 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의 구동 상태에 따라 공급되는 배터리의 전원을 제어수단과 각 엔진의 구동 장치로 공급하는 전원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씨유 전원 공급장치.
KR2019950041413U 1995-12-14 1995-12-14 이씨유 전원 공급장치 KR2002134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1413U KR200213490Y1 (ko) 1995-12-14 1995-12-14 이씨유 전원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1413U KR200213490Y1 (ko) 1995-12-14 1995-12-14 이씨유 전원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1597U KR970041597U (ko) 1997-07-29
KR200213490Y1 true KR200213490Y1 (ko) 2001-04-02

Family

ID=60878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1413U KR200213490Y1 (ko) 1995-12-14 1995-12-14 이씨유 전원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349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744B1 (ko) * 2001-10-16 2004-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와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1597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66076A (ko) 자동차 스타터의 컷 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6683436B2 (en) Self-starting motor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engine
MY128423A (en) Automatic engine stoppage/start-up control system
KR200213490Y1 (ko) 이씨유 전원 공급장치
KR100188649B1 (ko) 자동차의 연료 펌프 구동장치
ES2177189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arrancar un vehiculo automovil.
KR100350272B1 (ko) 시동시 오토 크랭킹 스톱 제어 방법
KR19980084932A (ko) 차량의 에어콘 구동 방법 및 장치
KR0141397B1 (ko) 자동차의 안개등 장치
KR0148540B1 (ko) 자동차용 배터리의 무단방전 방지장치
KR0184545B1 (ko) 보조 배터리를 이용한 전원 공급방법
KR19980037739A (ko) 댐퍼 클러치를 이용한 엔진 시동 제어장치
KR200147656Y1 (ko) 차량 출발전 엔진 예열 제어 장치
KR0134554Y1 (ko) 알터네이터의 역전류 방지장치
KR19980053724U (ko) 태양 자동차 컨택터 구동 장치
KR0165094B1 (ko) 배터리의 충전 시험장치
KR19980047968U (ko) 차량용 재시동 방지장치
KR970039102A (ko) 배터리의 완전방전 방지장치
JPH051592A (ja) エンジンの自動停止始動制御装置
KR970021720A (ko) 차량의 축전기 방전시 비상 시동장치 및 방법
KR100535420B1 (ko) 차량용 42v 시스템의 전원 차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970054782A (ko) 자동차용 밧데리
KR19980053885A (ko)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
JPS5818557A (ja) エンジン自動停止始動装置
KR20020096294A (ko) 차량용 교류 발전기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