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082Y1 - 스티어링 타이로드의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타이로드의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082Y1
KR200211082Y1 KR2019970030853U KR19970030853U KR200211082Y1 KR 200211082 Y1 KR200211082 Y1 KR 200211082Y1 KR 2019970030853 U KR2019970030853 U KR 2019970030853U KR 19970030853 U KR19970030853 U KR 19970030853U KR 200211082 Y1 KR200211082 Y1 KR 2002110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e rod
knuckle arm
steering tie
steering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08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17748U (ko
Inventor
송찬용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308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082Y1/ko
Publication of KR199900177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77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0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0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16Arrangement of linkage connections
    • B62D7/166Arrangement of linkage connection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e.g. between tie-rod and steering knuck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티어링 타이로드와 너클 아암의 체결부위에 무리한 하중이 걸려 체결상태의 파손으로 인한 위험성을 줄임과 동시에 조향장치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스티어링 타이로드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너클아암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공이 스터브 볼트로 체결된 것에 있어서, 너클 아암(1)의 상면에 고정홈(2)이 형성되고, 스터드 볼트(3)에 삽입되어 하향되게 절곡되면서 고정홈(2)에 일단이 고정되는 평와셔(5)의 타측이 너트(6) 체결후 상향되게 절곡되면서 너트(6)에 밀착된 스티어링 타이로드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티어링 타이로드의 체결구조
본 고안은 스티어링 타이로드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티어링 타이로드와 너클 아암의 체결부위에 무리한 하중이 걸려 체결상태의 파손으로 인한 위험성을 줄임과 동시에 조향장치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스티어링 타이로드의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티어링 핸들의 회전력은 스티어링 메인 샤프트와 스티어링 기어, 스티어링 타이로드 그리고 너클 아암을 통해서 바퀴에 전달되는데, 스티어링 타이로드와 너클 아암은 도 1에서와 같이 체결되어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스티어링 타이로드(7)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공과 너클 아암(1)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스터드 볼트(3)를 삽입하고, 이 스터드 볼트(3)의 단부에 홈붙이 너트(10)를 체결하게 된다. 특히 스티어링 타이로드(7)와 너클 아암(1) 사이의 스터드 볼트(3)에 완충부재(9)를 내입시켜 이들간이 마찰력을 줄임과 동시에 원활하게 유동되도록 한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스터드 볼트(3)와 함께 스티어링 타이로드(7)와 너클 아암(1)을 체결하는 홈붙이 너트(10)의 상단에 스터드 볼트(3)를 관통하는 분할핀(12)을 삽입하여 스티어링 타이로드(7)와 너클 아암(1)의 유동으로 인하여 홈붙이 너트(10)가 스터드 볼트(3)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스티어링 핸들의 회전력이 스티어링 메인 샤프트와 스티어링 기어, 스티어링 타이로드 그리고 너클 아암을 통해서 바퀴에 전달될 때 스티어링 타이로드와 너클아암의 체결부위에 무리한 하중이 걸리게 되면, 분할핀이 파손되면서 홈붙이 너트가 스터드 볼트로부터 분리되어 스티어링 핸들의 회전력이 바퀴에 전달되지 않는다. 이에따라 차량의 진행방향을 조절할 수 없어 차량을 운행하지 못할뿐만 아니라 운행중 이와같은 경우가 발생되게 되면 대형사고를 유발하게 되는 결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결점을 해결하기위해서 제안된 것으로, 스티어링 타이로드와 너클 아암의 체결부위의 체결력을 강화시켜 하중에 의해 스티어링 타이로드와 너클 아암의 체결이 해체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조향장치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스티어링 타이로드 체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스티어링 타이로드와 너클 아암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 스티어링 타이로드와 너클 아암을 체결하기위한 홈붙이 너트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티어링 타이로드와 너클 아암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티어링 타이로드와 너클 아암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너클 아암 2 : 고정홈
3 : 스터드 볼트 5 : 평와셔
6 : 너트 7 : 스티어링 타이로드
8 : 결합공 9 : 완충부재
10 : 홈붙이 너트 11 : 결합공
12 : 분할핀
상기한 바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한 본 고안은 스티어링 타이로드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너클아암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공이 스터브 볼트로 체결된 것에 있어서, 너클 아암의 상면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스터드 볼트에 삽입되어 하향되게 절곡되면서 고정홈에 일단이 고정되는 평와셔의 타측이 너트 체결후 상향되게 절곡되면서 너트에 밀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예시도면과 함께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티어링 타이로드와 너클 아암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티어링 타이로드와 너클 아암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고안은 스티어링 타이로드(7)의 결합공(8)과 너클 아암(1)의 결합공(11)을 관통하면서 스터드 볼트(3)가 결합되고, 이 스터드 볼트(3)의 단부에는 너트(6)가 결합되어있다.
여기서, 너클 아암(1)의 상면에는 고정홈(2)이 형성되어있고, 스터드 볼트(3)에 삽입되어 하향되게 절곡되면서 고정홈(2)에 일단이 고정되는 평와셔(5)의 타측이 너트(6) 체결후 상향되게 절곡되면서 너트(6)에 밀착되어있다. 물론 종래의 기술에서와 같이 스티어링 타이로드(7)와 너클 아암(1) 사이의 스터드 볼트(3)에는 완충부재(9)를 내입시켜 스티어링과 너클 아암(1)의 원활한 유동을 도모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너클 아암(1)의 고정홈(2)에 고정된 평와셔(5)를 너트(6)에 밀착되게 절곡한 후 이 부위를 몰딩함으로써, 외부요인으로 인하여 너트(6)가 스터드 볼트(3)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스터드 볼트에 삽입된 평와셩의 양단이 너클 아암의 고정홈에 절곡되어 고정되는 한편 너트에 밀착되도록 상향 절곡됨으로써, 하중에 의해 너트가 움직여 스터드 볼트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는 스티어링 타이로드와 너클 아암의 체결상태를 완전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조향기능을 보다 완벽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스티어링 타이로드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공에 너클아암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공이 스터브 볼트로 체결된 것에 있어서,
    너클 아암(1)의 상면에 고정홈(2)이 형성되고, 스터드 볼트(3)에 삽입되어 하향되게 절곡되면서 고정홈(2)에 일단이 고정되는 평와셔(5)의 타측이 너트(6) 체결후 상향되게 절곡되면서 너트(6)에 밀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타이로드의 체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너트(6)에 밀착되어진 평와셔(5)가 몰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타이로드의 체결구조.
KR2019970030853U 1997-11-03 1997-11-03 스티어링 타이로드의 체결구조 KR2002110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853U KR200211082Y1 (ko) 1997-11-03 1997-11-03 스티어링 타이로드의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0853U KR200211082Y1 (ko) 1997-11-03 1997-11-03 스티어링 타이로드의 체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748U KR19990017748U (ko) 1999-06-05
KR200211082Y1 true KR200211082Y1 (ko) 2001-02-01

Family

ID=53896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0853U KR200211082Y1 (ko) 1997-11-03 1997-11-03 스티어링 타이로드의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08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7748U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50199A1 (en) Fix bolt-unfastening preventing structure
JPH08216Y2 (ja) エネルギー吸収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
KR200211082Y1 (ko) 스티어링 타이로드의 체결구조
KR960004331Y1 (ko) 철도차량의 토션바와 아암의 연결장치
KR0125220Y1 (ko) 자동차용 토크로드의 부쉬
JP2827220B2 (ja) コントロールアームの設置構造
KR19980018710U (ko) 크로스 멤버에 링크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
US3201157A (en) Sealed idler arm tension device
KR200182753Y1 (ko) 차량의 플로워 패널 이송용 행거
KR100423309B1 (ko) 전방현가장치의 로어암
KR100223787B1 (ko) 자동차의 타이로드
KR100371037B1 (ko) 스티어링 시스템의 타이로드 엔드용 더스트씰이탈방지구조
KR19980050735U (ko) 자동차의 너클과 타이로드의 결합구조
KR19980049045U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로우암 결합구조
KR200153097Y1 (ko) 자동차의 어퍼 현가 암에서의 이탈을 방지하는 어퍼 암 축의 구조
KR200152053Y1 (ko) 트레일링 링크의 포크구조
KR20010065889A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로어암과 볼죠인트암의 결합구조
KR19980038398U (ko)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볼조인트의 구조
KR100208829B1 (ko) 스테이빌라이저 바의 클램프 및 부싱의 결합 구조
KR890001526Y1 (ko) 경완금의 보강장치
KR20240054756A (ko) 풀림방지 기능을 가지는 4륜 구동용 트랜스퍼 케이스의 체결장치
KR100428449B1 (ko) 리어 트레일링 암 고정부
KR100462161B1 (ko) 차량의 토크로드의 핀 분리 방지장치
KR20060032281A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 바와 타이 로드의 조립부 구조
KR100189430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샤프트의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