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4331Y1 - 철도차량의 토션바와 아암의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철도차량의 토션바와 아암의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4331Y1
KR960004331Y1 KR2019940021461U KR19940021461U KR960004331Y1 KR 960004331 Y1 KR960004331 Y1 KR 960004331Y1 KR 2019940021461 U KR2019940021461 U KR 2019940021461U KR 19940021461 U KR19940021461 U KR 19940021461U KR 960004331 Y1 KR960004331 Y1 KR 9600043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torsion bar
hole
coupling means
connec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14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7814U (ko
Inventor
이원상
Original Assignee
현대정공 주식회사
류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정공 주식회사, 류기철 filed Critical 현대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214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4331Y1/ko
Publication of KR9600078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8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43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3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02Arrangements permitting limited transverse relative movements between vehicle underframe or bolster and bogie; Connections between underframes and bogies
    • B61F5/22Guiding of the vehicle underframes with respect to the bogies
    • B61F5/24Means for damping or minimising the canting, skewing, pitching, or plunging movements of the under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00Key-type connections; Keys
    • F16B3/06Key-type connections; Keys using taper slee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철도차량의 토션바와 아암의 연결장치
제1도는 종래의 토션바와 아암의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토션바와 아암의 연결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3a도는 본 고안에 따른 토션바의 상면도.
제3b도는 상기 토션바의 측면도.
제4a도는 본 고안에 따른 아암의 상면도.
제4b도는 상기 아암의 측면도.
제5a도는 본 고안에 따른 토션바와 아암의 결합에 사용되는 결합수단의 예로써 사용된 키이의 측면 확대도.
제5b도는 상기 키이의 하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토션바 2 : 아암
3 : 결합수단 4 : 고정수단
5 : 홈 6 : 제1관통구
7 : 제2관통구 8 : 구멍
본 고안은 철도차량에 사용되는 토션바와 아암의 결합성, 조립성 및 분해성을 개선한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철도차량에 적용되는 연결장치는 철도차량의 운행도중의 진동 및 급격한 충격에 의해 발생된 하중을 적절하게 흡수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제1도는 종래에 사용되는 철도차량의 토션바와 아암의 연결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현수장치에 가장 많이 쓰이며 차체의 롤링(진행방향을 축으로한 좌우로의 요동운동 또는 회전운동)현상을 완화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토션바(1)와, 그리고 이 토션바(1)에 강제 압입방식으로 결합 고정되는 아암(2)으로 종래의 연결장치를 구성한다.
이 경우 차량의 운행 도중에 발생하는 진동 또는 급격한 충격으로 인한 하중이 아암(2)을 거쳐 토션바(1)가 완전히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두 부재는 상호 견고하게 결합고정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토션바(1)와 아암(2)은 적절한 부가장치(도시 생략)를 사용한 강제 압입방식으로 상호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연결장치는 강제 압입방식으로 끼워지게 되므로, 연결작업시에는 이들간의 끼워맞춤 공차를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하므로 토션바 및 아암의 정밀한 가공이 요구되어 제작성이 떨어지고 제조비용이 상승하며 또, 강제 압입작업으로 인한 부가 장치의 필요로 부가 장치의 구입, 사용, 유지, 보수로 과다한 비용이 소요되고, 강제 압입작업 자체도 압입톤수를 적절히 조절해야 하는 어려움이 따른다. 그리고, 토션바와 아암은 차체에서 발생되는 비교적 큰 하중을 전달 및 흡수해야 하므로, 충분한 강도 및 강성을 구비할 것이 요구되나 강제 압입방식으로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호 대향하는 면압력이 존재하여 시간의 경과, 외부온도의 변화, 그리고 지속적이거나 또는 급격한 외부하중에 과도하게 노출되는 경우에는 인장, 수축, 또는 비틀림등의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연결장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토션바와 아암으로 이루어지는 공지의 연결장치에 홈을 갖는 토션바와, 제1관통구 및 제2관통구를 갖는 아암과, 하단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아암의 제2관통구에 끼워지는 결합수단과, 그리고 상기 결합수단의 상기 나사부에 체결되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결합수단은 키이, 경사키이(taper key), 또는 볼트로 이루어지며, 또한 고정수단은 상기 결합수단의 나사부와 나사체결되는 너트로 이루어진다. 참고로, 상기 결합수단은 그 하단에서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에는 분할핀(split pin)을 체결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제2도 내지 제5도를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토션바와 아암의 연결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홈(5)이 형성된 토션바(1)를 아암(2)의 제1관통구(6)내로 삽입하면, 결합수단(3)(예로써, 키이 또는 볼트)을 받아 들이는 통로가 상기홈(5)과 제2관통구(7)에 의해 확보된다. 이후 결합수단(3)을 상기 통로에 삽입하여 최종적으로 고정수단(너트)(4)으로 조임으로써, 토션바(1)와 아암(2)의 연결을 완료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연결장치는, 종래의 토션바에 홈을 부가하고, 종래의 아암에 또 하나의 관통구, 즉 제2관통구를 수직형성 시킨후,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토션바와 아암을 견고히 결합함으로써, 종래 연결장치의 문제점이었던 결합성을 개선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연결장치의 결합수단(3)의 일예인 키이는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기울기를 갖고 테이퍼 가공된 경사 키이이며, 이에 따라 결합수단(3)을 상기 통로에 삽입하면 토션바(1)와 아암(2)의 상호 대향하는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면압력에 의한 쐐기작용으로 토션바(1)와 아암(2)이 상호 견고히 결합된다. 따라서, 종래의 연결장치가 제공했던 것과 동일한 하중 및 토오크의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결합수단(3)은 후술하는 고정수단(4)과의 결합을 위한 나사부를 가짐으로써 더욱 견고한 결합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결합수단(3)의 일실시예인 키이는 그 하단에 분할핀을 수납하는 구멍(8)을 구비하여 후술되는 고정수단(4)으로 키이를 조인후 상기 구멍(8)에 분할핀을 삽입하여 고정수단(4)이 회전하여 풀리는 것을 확실히 방지한다. 상기 결합수단(3)은 전달하중, 전달 토오크등을 고려하여 그 길이, 폭, 두께, 단면형상이 결정되며, 이 형상은 후술하는 토션바의 홈, 그리고 아암의 제2관통구의 형상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토션바(1)와 아암(2), 그리고 결합수단(3)의 일실시예인 키이만으로도 본 고안에 따른 연결수단이 결합성을 확보할 수 있으나, 비교적 큰 하중을 받는 토션바(1)와 아암(2)의 결합성을 더욱 개선하기 위하여 고정수단(4)의 예로써 너트가 추가적으로 채택된다. 이 경우에는, 결합수단(3)의 하단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고정수단(4)인 너트는 상기 결합수단(3)의 하단에 형성된 나사부와 나사체결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연결장치의 더욱 확실한 결합성을 확보한다.
제3도는 아암(2)과의 결합부위에 대응하는 토션바(1)의 결합부위에 형성된 홈(5)을 도시하였다. 이 홈(5)은 전술한 바와같이, 결합수단(3), 즉 키이의 단면형상에 따라 그 형태가 정해지는바, 제3도에서는 상기 홈(5)이 소정의 깊이를 갖는 장방형의 형태로 형성되었으나, 상기 아암(2)의 제2관통구의 형상 또는 상기 결합수단의 단면 형상에 따라 그 형태가 변화가능하다.
제4도는 토션바(1)를 받아들이는 기존의 제1관통구(6) 이외에 키이를 받아들이는 또다른 제2관통구(7)를 갖는 아암(2)을 도시한 것이다.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결합수단(3)의 다른 일실시예인 경사 키이의 상세도로써 전술한 바와같이 경사키이는 소정의 기울기를 붙인 테이퍼로 가공되었으며, 그 하단에는 나사부를 형성시켜 고정수단(4)인 너트로 조일 수 있게 하였으며, 공지의 분할핀을 받아들이는 구멍(8)이 또한 형성되어 고정수단(4)이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종래 차량의 연결장치에 사용되었던 강제압입방식과는 달리, 결합수단과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토션바와 아암을 연결함으로써, 강제 압입방식을 취하지 않아 토션바의 외경과 아암 내경의 가공을 정밀하게 할 필요가 없어져 상대적으로 끼워 맞춤공차의 용이한 조립으로 용이한 조립으로 작업성이 향상되며, 토션바와 아암의 연결작업시, 강제압입에 요구되는 추가 장비가 필요치 않아 조립비용이 절감되고 또한, 결합후 분해시에 고정수단인 너트만 풀면 분해가 가능하여 용이한 정비가 가능함은 물론 고정수단인 너트를 사용하여 결합수단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여 연결을 신뢰할 수 있다.

Claims (5)

  1. 공지의 철도차량 토션바와 아암의 연결장치에 있어서, 선단쪽에 홈(5)를 갖는 토션바(1)와, 상기 토션바(1)를 수용하는 제1관통구(6)에 수직으로 형성시킨 제2관통구(7)를 갖는 아암(2)과, 아암(2)의 제2관통구(7)에 끼워지는 결합수단(3)과, 이 결합수단(3)과 체결되는 고정수단(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토션바와 아암의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3)은 키이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토션바와 아암의 연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3)인 키이는 테이퍼 가공된 경사키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토션바와 아암의 연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3)은 볼트로하고, 이와 체결하는 고정수단(4)은 너트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차량의 토션바와 아암의 연결장치.
  5. (삭제)
KR2019940021461U 1994-08-24 1994-08-24 철도차량의 토션바와 아암의 연결장치 KR9600043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1461U KR960004331Y1 (ko) 1994-08-24 1994-08-24 철도차량의 토션바와 아암의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1461U KR960004331Y1 (ko) 1994-08-24 1994-08-24 철도차량의 토션바와 아암의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814U KR960007814U (ko) 1996-03-15
KR960004331Y1 true KR960004331Y1 (ko) 1996-05-25

Family

ID=19391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1461U KR960004331Y1 (ko) 1994-08-24 1994-08-24 철도차량의 토션바와 아암의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433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814U (ko) 199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50199A1 (en) Fix bolt-unfastening preventing structure
JP2794422B2 (ja) 取はずし可能なピン
GB2140075A (en) Ball joint for the suspension of a wheel
US5188474A (en) Yoke for universal joint
JPH0155699B2 (ko)
KR960004331Y1 (ko) 철도차량의 토션바와 아암의 연결장치
CN201041183Y (zh) 扭簧式防松螺栓
ZA200401420B (en) Flexible element
US20090134593A1 (en) mounting system for a v-stay in a large vehicle
US20050045797A1 (en) Interconnecting members with bushing including external threading and tapered end
KR200211082Y1 (ko) 스티어링 타이로드의 체결구조
KR19980064370U (ko) 차량의 서스펜션 로어 암 조립체
JP2903470B1 (ja) ボックス構造用ボルト
JPH0357153Y2 (ko)
KR890002863Y1 (ko) 철도차량의 액슬하우징과 대차연결용 판스프링의 결합구조
JPH0626727Y2 (ja) 車両用メンバ構造
US6415682B1 (en) Pedal assembly with wedge fastener
JP3052547U (ja) ナット緩み止め具
JPH0520631Y2 (ko)
JPS6020832Y2 (ja) 重荷重用フック型自在継手のフランジヨ−ク
CN116198552A (zh) 一种强化转向架中心牵引装置的连接结构受力的方法
JPS636514Y2 (ko)
KR0131250Y1 (ko) 크로스 멤버와 차체의 진동저감 결합구조
KR970010516A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인터메디에이트 샤프트 풀림방지장치
KR19980049045U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로우암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7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