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5169U - 자동차의 셀렉트 케이블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셀렉트 케이블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5169U
KR19990025169U KR2019970037676U KR19970037676U KR19990025169U KR 19990025169 U KR19990025169 U KR 19990025169U KR 2019970037676 U KR2019970037676 U KR 2019970037676U KR 19970037676 U KR19970037676 U KR 19970037676U KR 19990025169 U KR19990025169 U KR 199900251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ect cable
present
cable connection
washer
sel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76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우신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376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5169U/ko
Publication of KR199900251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5169U/ko

Links

Landscapes

  • Flexible Shaf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셀렉트 케이블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셀렉트 케이블(100)에 고정되는 볼트(101)와, 그에 체결되는 너트(102) 사이에 한 쌍의 완충와셔(110)를 개재하고 체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본 고안은 제작원가가 낮고, 조립성을 향상할 수 있을 뿐아니라 실차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셀렉트 케이블 연결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셀렉트 케이블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셀렉트 케이블을 플레인 와셔에 고무가 접착된 완충와셔를 개재하고 볼트와 너트로 연결함으로써 제작 원가를 절감하고, 조립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자동차의 셀렉트 케이블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운행 중 미션(mission)에서 노이즈(noise)가 발생하며, 이러한 미션 노이즈(mission noise)는 셀렉트 케이블(select cable)을 타고 실내로 유입되어 안늑한 승차감을 해치게 되므로 이러한 노이즈를 차단하기 위한 노이즈 흡수장치가 채용되고 있다.
이같은 일반적인 셀렉트 케이블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따르면, 일측 케이블(10)과 타측 케이블(20)이 볼트(30)와 너트(31)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일측 케이블(10)에 너트(31)가 결합되고, 타측 케이블(20)에 볼트(30)가 결합되어 체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셀렉트 케이블 연결구조는 제작 원가가 높고, 조립성에서 불리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셀렉트 케이블을 플레인 와셔에 완충와셔를 개재하고 볼트와 너트로 연결함으로써 제작 원가를 절감하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자동차의 셀렉트 케이블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완충와셔가 플레인 와셔(plain washer)에 고무를 접착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되는 자동차의 셀렉트 케이블 연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셀렉트 케이블 연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셀렉트 케이블 연결장치를 일분 절결하여 보인 분해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셀렉트 케이블 101 : 볼트
102 : 너트 110 : 완충와셔
111 : 플레인 와셔 112 : 고무
이같은 목적은 본 고안에 의해 달성되는 바,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르면 셀렉트 케이블에 고정되는 볼트와 그에 결합되는 너트 사이에 한 쌍의 완충와셔를 개재하고 체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면에 따르면 상기 완충와셔는 플레인 와셔에 고무를 접착시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따른 셀렉트 케이블 연결장치를 일분 절결하여 보인 분해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셀렉트 케이블 연결장치는 셀렉트 케이블(100)에 고정되는 볼트(101)와, 그에 체결되는 너트(102) 사이에 한 쌍의 완충와셔(110)를 개재하고 체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완충와셔(110)는 플레인 와셔(111)에 고무(112)를 접착시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셀렉트 케이블(100)은 파스너(200)의 연결공(201)에 단부가 삽입되고, 볼트(101)와 너트(102)의 체결에 의해 연결되며, 한 쌍의 완충와셔(110)에 의해 미션 노이즈의 전달이 방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 자동차의 셀렉트 케이블 연결장치는 제작원가가 낮고, 조립성을 향상할 수 있을 뿐아니라 실차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잇점이 있으며, 결과적으로 낮은 원가의 진동 흡수구조로서 미션의 진동 유입을 방지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제품의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2)

  1. 셀렉트 케이블(100)에 결합되는 볼트(101)와, 그에 체결되는 너트(102) 사이에 한 쌍의 완충와셔(110)를 개재하고 체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셀렉트 케이블 연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와셔(110)는 플레인 와셔(111)에 고무(112)를 접착시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셀렉트 케이블 연결장치.
KR2019970037676U 1997-12-16 1997-12-16 자동차의 셀렉트 케이블 연결장치 KR1999002516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676U KR19990025169U (ko) 1997-12-16 1997-12-16 자동차의 셀렉트 케이블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7676U KR19990025169U (ko) 1997-12-16 1997-12-16 자동차의 셀렉트 케이블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5169U true KR19990025169U (ko) 1999-07-05

Family

ID=69679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7676U KR19990025169U (ko) 1997-12-16 1997-12-16 자동차의 셀렉트 케이블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5169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0481B1 (ko) * 2000-12-14 2003-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케이블 고정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0481B1 (ko) * 2000-12-14 2003-12-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케이블 고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5359B1 (ko) 자동차용 엔진마운트
KR100405539B1 (ko) 자동차용 카울크로스멤버의 마운팅부 구조
US6321890B1 (en) Vibration reduc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KR19990025169U (ko) 자동차의 셀렉트 케이블 연결장치
KR100764213B1 (ko) 스티어링 기어 하우징의 마운팅 부시
KR100216040B1 (ko) 자동차 방진 부품설치용 인슐레이터
KR0120837Y1 (ko) 자동차용 토션바가 장착되는 콘트롤 암의 체결구조
KR100361923B1 (ko) 자동차용 트랜스미션 마운팅
KR100501436B1 (ko) 엔진 마운팅을 위한 인슐레이터
KR100537002B1 (ko) 차량용 윈드 실드 와이퍼 링케이지 방진체
KR0131250Y1 (ko) 크로스 멤버와 차체의 진동저감 결합구조
KR200339117Y1 (ko) 차량의 부속 장치 장착용 부재
KR100976129B1 (ko) 진동 절연을 위한 러버 부쉬 구조
KR19980021046U (ko) 자동차의 진동감소를 위한 러버마운트구조
KR0130848Y1 (ko) 자동차용 콘덴서의 단자와이어 연결구조
KR100210304B1 (ko) 자동차용 엔진 마운팅
KR19980040699U (ko) 자동차의 플라스틱 부품 조립용 인서트 볼트
KR19980075275A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KR0140269Y1 (ko) 자동차용 컨트롤 모듈 고정 브라켓의 구조
KR19980062112U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팅
KR19980062037U (ko) 차량용 엔진 마운팅 구조
KR20010059141A (ko) 자동차의 파워 플랜트 마운트
KR19980022062A (ko) 다이내믹 댐퍼
KR20010059831A (ko) 자동차의 조향컬럼 장착구조
KR970041224A (ko) 자동차 로커패널의 강성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