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6040B1 - 자동차 방진 부품설치용 인슐레이터 - Google Patents

자동차 방진 부품설치용 인슐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6040B1
KR100216040B1 KR1019960053298A KR19960053298A KR100216040B1 KR 100216040 B1 KR100216040 B1 KR 100216040B1 KR 1019960053298 A KR1019960053298 A KR 1019960053298A KR 19960053298 A KR19960053298 A KR 19960053298A KR 100216040 B1 KR100216040 B1 KR 100216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member
insulator
vibration
rubber
vibration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3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5067A (ko
Inventor
백상철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60053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6040B1/ko
Publication of KR19980035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5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6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60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방진 부품설치용 인슐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중앙이 관통되고 허리가 잘록한 홈(11)을 가지며 상단에 걸림턱(12)이 형성되는 방진고무(10)와; 상기 방진고무(10)의 일측으로 일체로 성형되는 금속재의 하측스페이서(20)와; 상기 방진고무(10)에 일체로 연결밴드(31)로 연결되며 상기 걸림턱(12)에 걸려지도록 걸림부(32)가 파여지는 캡부재(30)와; 상기 캡부재(30)의 상부로 부터 끼워지고 그 내부로 볼트(1)가 관통되도록 홀(41)이 뚫어지며 상단에 프랜지(42)를 갖는 상부스페이서(40)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캡부재(30)에 의해 분리가 가능하므로 방진고무(10)의 교체가 용이하고 반영구적으로 반복 사용할 수 있다.
또, 와셔와 같은 불필요한 부품수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그리고, 압축력의 향상으로 우수한 진동감쇄효과를 가질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방진 부품설치용 인슐레이터
본 발명은 자동차 방진 부품설치용 인슐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러버의 보수가 용이하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체결시 와셔가 불필요하며 압축력 향상에 의해 진동감쇄 효과가 뛰어나도록 발명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체에 진동전달을 방지한 상태로 부품을 조립할 때는 모재와 피재사이에 완충 및 방진용 인슐레이터를 설치하게 된다.
종래, 인슐레이터의 구조는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허리가 잘록하게 홈(11)이 파여지는 단면형상의 방진고무(10)의 중앙으로는 속이 빈 관형상으로 그 일단에 프랜지(3)를 갖는 스페이서(4)가 끼워진다.
따라서, 도 2 에서와 같이 홈(11)위치로 모재브라켓트(5)를 끼운 상태에서 프랜지(42) 하측으로 피재브라켓트(6)를 부착시킨 후 볼트(1)를 관통하여 너트(2)로 나사 체결하는 것에 의해 모재와 피재의 연결이 이루어 지는 것이다.
종래, 인슐레이터의 구성에 의하면 부품의 교환시에 홈(11)에 강제적으로 끼워진 모재브라켓트(5)로 부터 분리하여 교체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여 써비스성이 저하된다.
또, 프랜지(3)가 일측으로만 부착되어 볼트(1)의 체결시에 반드시 별도의 와셔(7)가 필요로 하므로, 부품수의 증가로 코스트가 상승되는 원인이 되었다.
그리고, 스페이서(4)의 길이와 방진고무(10)의 길이가 동일하여 볼트(1)와 너트(2)가 체결될 때 스페이서(4)에 의해 압축력을 가하지 못하여 고무재에 의한 진동감쇄효과가 저하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도 1 은 종래 인슐레이터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2 는 도 1 의 설치상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상부러버를 분리하여 도시한 종단면도,
도 4 는 도 1 에 대응되는 본 발명의 조립상태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볼트 2 - 너트
10 - 방진고무 11 - 홈
12 - 걸림턱20 - 하측스페이서
30 - 캡부재31 - 연결밴드
32 - 걸림부40 - 상부스페이서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앙이 관통되고 허리가 잘록한 홈(11)을 가지며 상단에 걸림턱(12)이 형성되는 방진고무(10)와;
상기 방진고무(10)의 일측으로 일체로 성형되는 금속재의 하측스페이서(20)와;
상기 방진고무(10)에 일체로 연결밴드(31)로 연결되며 상기 걸림턱(12)에 걸려지도록 걸림부(32)가 파여지는 캡부재(30)와;
상기 캡부재(30)의 상부로 부터 끼워지고 그 내부로 볼트(1)가 관통되도록 홀(41)이 뚫어지며 상단에 프랜지(42)를 갖는 상부스페이서(40)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캡부재(30)에 의해 분리가 가능하므로 방진고무(10)의 교체가 용이하고 반영구적으로 반복 사용할 수 있다.
또, 와셔와 같은 불필요한 부품수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그리고, 압축력의 향상으로 우수한 진동감쇄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은 본 발명의 구성을 분해도로 나타낸 것으로써, 중앙이 관통되고 허리가 잘록한 홈(11)을 가지며 상단에 걸림턱(12)이 형성되는 방진고무(10)의 일측으로 프랜지형상의 하측스페이서(20)가 일체로 성형된다.
이 하측스페이서(20)는 금속판재로 성형된다.
한편, 상기 방진고무(10)의 일측으로는 연결밴드(31)로 연결되며 상기 걸림턱(12)에 걸려지도록 걸림부(32)가 파여지는 캡부재(30) 일체로 연결되어 경사지게 성형되는 걸림턱(12)의 위치에서 강제적으로 압입하는 것에 의해 탄성을 갖는 걸림턱(12)이 캡부재(30)의 걸림부(32)에 의해 걸려지는 것에 의해 조립이 이루어 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 캡부재(30)의 상부로는 상부스페이서(40)가 조립된다.
즉, 그 내부로 볼트(1)가 관통되도록 홀(41)이 뚫어지는 상단에 프랜지(42)가 일체로 성형되는 상부스페이서(40)가 끼워 조립되는 데, 이 상부스페이서(40)의 원통부 길이는 도 4 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방진고무(10)의 길이보다 다소 짧게 성형하여 소정의 간격(D)을 유지토록 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볼트(1)가 관통되어 너트(2)와 체결될 때 방진고무(10)가 축방향으로 압축될 수 있는 길이를 허용하여 압축력, 즉 밀착성이 향상되므로 진동감쇄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인슐레이터의 설치는 종래와 같이 잘록한 허리형상의 홈(11)으로는 모재브라켓트(5)가 끼워지고, 하측스페이서(20) 하부에 피재브라켓트(6)가 접한 상태로 상부스페이서(40)의 상측으로 부터 조립되는 볼트(1)를 가장 하측에서 너트(2)와 나사 체결하는 것에 의해 체결이 이루어 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캡부재(30)에 의해 분리가 가능하므로 방진고무(10)의 교체가 용이하고 반영구적으로 반복 사용할 수 있다.
또, 와셔와 같은 불필요한 부품수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그리고, 압축력의 향상으로 우수한 진동감쇄효과를 가질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진고무의 교체가 용이하고 반영구적으로 반복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방진 부품설치용 인슐레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셔와 같은 불필요한 부품수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방진 부품설치용 인슐레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압축력의 향상으로 진동감쇄효과가 우수한 자동차 방진 부품설치용 인슐레이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Claims (2)

  1. 중앙이 관통되고 허리가 잘록한 홈(11)을 가지며 상단에 걸림턱(12)이 형성되는 방진고무(10)와;
    상기 방진고무(10)의 일측으로 일체로 성형되는 금속재의 하측스페이서(20)와;
    상기 방진고무(10)에 일체로 연결밴드(31)로 연결되며 상기 걸림턱(12)에 걸려지도록 걸림부(32)가 파여지는 캡부재(30)와;
    상기 캡부재(30)의 상부로 부터 끼워지고 그 내부로 볼트(1)가 관통되도록 홀(41)이 뚫어지며 상단에 프랜지(42)를 갖는 상부스페이서(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방진 부품설치용 인슐레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스페이서(40)의 길이는 방진고무(10)의 길이보다 짧게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방진 부품설치용 인슐레이터.
KR1019960053298A 1996-11-11 1996-11-11 자동차 방진 부품설치용 인슐레이터 KR100216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3298A KR100216040B1 (ko) 1996-11-11 1996-11-11 자동차 방진 부품설치용 인슐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3298A KR100216040B1 (ko) 1996-11-11 1996-11-11 자동차 방진 부품설치용 인슐레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067A KR19980035067A (ko) 1998-08-05
KR100216040B1 true KR100216040B1 (ko) 1999-08-16

Family

ID=19481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3298A KR100216040B1 (ko) 1996-11-11 1996-11-11 자동차 방진 부품설치용 인슐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60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3256A (ko) * 2013-12-20 2015-07-0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농기계의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의 장착구조
CN106122328A (zh) * 2016-08-15 2016-11-16 江阴万事兴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硅胶弹簧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3256A (ko) * 2013-12-20 2015-07-0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농기계의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의 장착구조
KR102206746B1 (ko) * 2013-12-20 2021-01-25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농기계의 배기가스 후처리 장치의 장착구조
CN106122328A (zh) * 2016-08-15 2016-11-16 江阴万事兴医疗器械股份有限公司 硅胶弹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5067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2243A (en) Plastic holding device with noise dampening
US6321890B1 (en) Vibration reduc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KR102487792B1 (ko) 스티어링 시스템용 기어박스의 마운팅부시
CN100445142C (zh) 一个刮水器设备的固定方法
KR100216040B1 (ko) 자동차 방진 부품설치용 인슐레이터
JPH0949547A (ja) 防振クリップ
CN112585376A (zh) 用于盲孔的支承套和用于车辆的转向机构悬置装置
KR100465206B1 (ko) 자동차용 엔진 마운팅 구조
JP2005147226A (ja) 減衰機能付き締結部材およびその締結部材を用いた防振装置
JPS6235126A (ja) 防振装置用ストツパ取付構造
KR100369295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기어박스용 체결구조
JPS5920048B2 (ja) 緩衝装置の取付構造
JPH0516498Y2 (ko)
KR0138663B1 (ko) 자동차의 케이블접속 및 스티어링휠과 컬럼조립용 컨넥터
KR100423309B1 (ko) 전방현가장치의 로어암
KR930000294Y1 (ko) 수지제 지지구
KR200145384Y1 (ko) 포그램프 취부구조
KR200147118Y1 (ko) 부쉬
KR100214827B1 (ko) 자동차의 클레비스 마운팅 구조
KR100205901B1 (ko) 케이블 및 와이어링 고정용 더블 클립 어셈블리
KR19980040699U (ko) 자동차의 플라스틱 부품 조립용 인서트 볼트
KR100445359B1 (ko) 자동차의 후드 톱 마크 장착구조
KR200206513Y1 (ko) 엔진마운트용 인슐레이터
KR970034307A (ko) 자동차의 현가장치용 스테빌라이져의 설치구조
KR980001665A (ko) 차량의 대쉬 인슐레이터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