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8829B1 - 스테이빌라이저 바의 클램프 및 부싱의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스테이빌라이저 바의 클램프 및 부싱의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8829B1
KR100208829B1 KR1019960051019A KR19960051019A KR100208829B1 KR 100208829 B1 KR100208829 B1 KR 100208829B1 KR 1019960051019 A KR1019960051019 A KR 1019960051019A KR 19960051019 A KR19960051019 A KR 19960051019A KR 100208829 B1 KR100208829 B1 KR 100208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ing
clamp
stabilizer bar
center
semicirc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1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1467A (ko
Inventor
문창영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51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8829B1/ko
Publication of KR19980031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8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88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4Torsion springs consisting of bar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스테이빌라이저 바의 양측을 고정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클램프와 부싱의 결합력을 개선시켜 부싱의 변형 방지 및 찢어지는 현상을 없앨 수 있도록 하는 스테이빌라이저 바의 클램프 및 부싱의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 클램프의 중앙으로 부싱이 설치되는 반원형 결합부가 형성되고, 그 일 측에 볼트공을 갖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타측으로 절곡된 걸림단을 갖도록 구성된 클램프와, 반원형 단면을 갖고 일 측 중앙으로 슬릿을 갖는 홀이 천공된 부싱에 있어서, 상기 부싱의 반원부 둘레 중앙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외향 돌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향 돌기부와 부합되게 클램프의 반원형 결합부의 내측 상부에 내향 오목부를 형성하여 상기 부싱의 외향 돌기부가 클램프의 내향 오목부에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테이빌라이저 바의 클램프 및 부싱의 결합 구조
본 발명은 스테이빌라이저 바에 사용되는 부싱과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싱의 구조 개선과 함께 클램프의 구조를 개선하여 클램프에 설치된 부싱의 강도를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스테이빌라이저 바의 클램프 및 부싱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체의 기울어짐을 줄이기 위해 토션력을 갖고 설치되는 스테이빌라이저 바는 차량의 앞 뒤 바퀴 모두에 설치되며, 스테이빌라이저 바의 양측은 컨트롤 암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스테이빌라이저 바의 양측을 고정하기 위해 스테이빌라이저 바에 부싱이 끼워지고, 이 부싱은 클램프를 매개로 컨트롤 암 플레이트에 설치가 이루어지게 된다.
도 3은 종래 클램프 및 부싱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종래 클램프의 조립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부호 50은 컨트롤 암 플레이트를 도시한 것으로, 컨트롤 암 플레이트(50)의 양측으로 볼트공(52)이 각각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대응되는 클램프(60)는 양측으로 플랜지부(62)가 형성되고, 플랜지부(62)에 볼트공(64)이 천공되며, 클램프(60)의 중앙으로 반원 형상의 결합부(66)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66)에 설치되는 부싱(70)은 중앙으로 슬릿(70a)을 갖는 홀(70b)이 천공되어 스테이빌라이저 바(80)가 끼워지고, 둘레의 양단부에는 상기 결합부(66)의 단부에 걸림되는 둘레턱(70c)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클램프(60) 및 부싱(70)의 구조에 의하면 클램프(60)의 결합부(66)에 부싱(70)이 설치된 스테이빌라이저 바(80)를 위치시킨 다음 볼트(90)를 클램프(60)에 형성된 볼트공(64)과 컨트롤 암 플레이트(50)에 설치된 볼트공(52)에 각각 설치하고, 이를 너트(92)로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스테이빌라이저 바(80)가 컨트롤 암 플레이트(50)에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종래의 클램프(60)와 부싱(70)의 구조에 의하면 스테이빌라이저 바(80)의 토션 작용력에 의해 부싱(70)에 큰 부하가 전달될 경우 부싱(30)에 형성된 양 둘레턱(70c)의 변형이 쉽게 발생하여 부싱(70)의 끝부분이 떨어져 나가거나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두 개의 볼트(90)와 너트(92)를 이용하여 스테이빌라이저 바(80)를 컨트롤 암 플레이트(50)에 고정시킴으로서 볼트, 너트의 조립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과 함께 볼트, 너트의 부품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부싱과 클램프의 구조를 개선하여 부싱의 강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이와 아울러 클램프 고정 구조를 개선하여 볼트 너트의 수를 반으로 줄임으로서 조립의 신속성과 함께 부품비용을 줄일 수 있게 하여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것이다.
이에 따른 수단으로 클램프의 중앙으로 부싱이 설치되는 반원형 결합부가 형성되고, 그 일 측에 볼트공을 갖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타측으로 절곡된 걸림단을 갖도록 구성된 클램프와, 반원형 단면을 갖고 일 측 중앙으로 슬릿을 갖는 홀이 천공된 부싱에 있어서, 상기 부싱의 반원부 둘레 중앙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외향 돌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외향 돌기부와 부합되게 클램프의 반원형 결합부의 내측 상부에 내향 오목부를 형성하여 상기 부싱의 외향 돌기부가 클램프의 내향 오목부에 결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클램프 및 부싱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클램프의 조립단면도.
도 3은 종래 클램프 및 부싱의 사시도.
도 4는 종래 클램프의 조립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컨트롤 암 플레이트12 : 걸림 홀
14, 26 : 볼트공20 : 클램프
21 : 내향 오목부22 : 결합부
24 : 플랜지부28 : 걸림단
30 : 부싱32 : 외향 돌기부
80 : 스테이빌라이저 바90 : 볼트
92 : 너트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종래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도면부호로 표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클램프 및 부싱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클램프의 조립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20)의 중앙으로 부싱(30)이 설치되는 반원형 결합부(22)가 형성되고, 그 일 측에 볼트공(24)을 갖는 플랜지부(26)가 형성되며, 타측으로 절곡된 걸림단(28)을 갖도록 구성된 클램프(20)와, 상기 반원형 단면을 갖고 일 측 중앙으로 슬릿(30a)을 갖는 홀(30b)이 천공된 부싱(30)에 있어서, 상기 부싱(30)의 반원부 둘레(30c) 중앙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외향 돌기부(32)를 형성하고, 상기 외향 돌기부(32)와 부합되게 클램프(20)의 반원형 결합부(22)의 내측 상부에 내향 오목부(21)를 형성하여 상기 부싱(30)의 외향 돌기부(32)가 클램프(20)의 결합부(22)에 형성된 내향 오목부(21)를 통해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부싱(30)에 형성된 홀(30b)을 통해 스테이빌라이저 바(80)에 부싱(30)을 설치한 상태에서 부싱(30)을 클램프(20)의 결합부(22)에 설치한다. 이때 부싱(30)의 외향 돌기부(32)가 클램프(20)의 결합부(22)에 형성된 내향 오목부(21)를 통해 결합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클램프(20)에 형성된 걸림단(28)을 컨트롤 암 플레이트(10)에 형성된 걸림 홀(12)에 삽입하고, 이어서 클램프(20)에 형성된 볼트공(24)과 컨트롤 암 플레이트(10)에 설치된 볼트공(14)에 볼트(90)를 설치하고 이를 너트(92)로 고정시킴에 따라 상기 스테이빌라이저 바(80)가 클램프(20)와 부싱(30)을 매개로 컨트롤 암 플레이트(10)에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부싱(30)에 형성된 외향 돌기부(32)가 클램프(20)의 결합부(22)에 형성된 내향 오목부(21)를 통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스테이빌라이저 바(80)의 토션 작용력에 의한 부싱(30)의 외부 변형이 방지되고, 이와 아울러 찢김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부싱(30)의 역할 및 수명을 연장시키게 된다.
그리고 컨트롤 암 플레이트(10)에 고정된 클램프(20)는 걸림단(28)이 걸림 홀(12)의 안쪽으로 걸린 상태로 지지되어 있고, 다른 한쪽에는 볼트(90), 너트(92)로 고정되어 있어 견고한 고정력을 발휘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클램프에 설치되는 부싱의 결합구조를 개선함으로서 부싱의 성능 향상과 함께 수명을 연장시키는 효과를 갖고, 종래 두 개의 볼트, 너트로 고정하는 대신 한 개의 볼트, 너트와 클램프 자체의 걸림단 형상에 의해 컨트롤 암 플레이트에 고정시킴으로서 볼트, 너트의 풀림으로 인한 장착 강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클램프의 고정을 신속하게 할 수 있으며, 볼트, 너트의 부품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스테이빌라이저 바의 양측을 고정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클램프와 부싱의 결합력을 개선시켜 부싱의 변형 방지 및 찢어지는 현상을 없앨 수 있도록 하는 스테이빌라이저 바의 클램프 및 부싱의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Claims (1)

  1. 클램프(20)의 중앙으로 부싱(30)이 설치되는 반원형 결합부(22)가 형성되고, 그 일 측에 볼트공(24)을 갖는 플랜지부(26)가 형성되며, 타측으로 절곡된 걸림단(28)을 갖도록 구성된 클램프(20)와, 상기 반원형 단면을 갖고 일 측 중앙으로 슬릿(30a)을 갖는 홀(30b)이 천공된 부싱(30)에 있어서,
    상기 부싱(30)의 반원부 둘레(30c) 중앙으로 볼록하게 돌출된 외향 돌기부(32)를 형성하고, 상기 외향 돌기부(32)와 부합되게 클램프(20)의 반원형 결합부(22)의 내측 상부에 내향 오목부(21)를 형성하여 상기 부싱(30)의 외향 돌기부(32)가 클램프(20)의 결합부(22)에 형성된 내향 오목부(21)를 통해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이빌라이저 바의 클램프 및 부싱의 결합 구조.
KR1019960051019A 1996-10-31 1996-10-31 스테이빌라이저 바의 클램프 및 부싱의 결합 구조 KR100208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1019A KR100208829B1 (ko) 1996-10-31 1996-10-31 스테이빌라이저 바의 클램프 및 부싱의 결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1019A KR100208829B1 (ko) 1996-10-31 1996-10-31 스테이빌라이저 바의 클램프 및 부싱의 결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467A KR19980031467A (ko) 1998-07-25
KR100208829B1 true KR100208829B1 (ko) 1999-07-15

Family

ID=19480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1019A KR100208829B1 (ko) 1996-10-31 1996-10-31 스테이빌라이저 바의 클램프 및 부싱의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882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467A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3164A (en) Band clamp for axle assembly and the like
KR100208829B1 (ko) 스테이빌라이저 바의 클램프 및 부싱의 결합 구조
KR19980064370U (ko) 차량의 서스펜션 로어 암 조립체
KR19980023901U (ko) 스테이빌라이저 바의 클램프 구조
KR950002647Y1 (ko) 자동차 오일쿨러(Oil Cooler)용 어댑터(Adapter)
JPH07137523A (ja) 自動車のスタビライザバー取付構造
KR100334271B1 (ko) 다이내믹 댐퍼와 리프스프링의 취부구조
KR100199727B1 (ko) 자동차의 후방현가장치용 후방 트레일링아암
KR0114407Y1 (ko) 자동차의 서브 프레임 장착구조
KR0152734B1 (ko) 자동차의 쇽업소버 지지장치
KR19980043911A (ko) 크로스 멤버 장착구조
KR19990031164U (ko) 리프스프링 장착구조
KR200198932Y1 (ko) 자동차용 리어 액슬 캐리어 어셈블리와 스트러트 어셈블리와의 체결구조
JPH11245640A (ja) ストラットの車輪側取付部構造
KR100305813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트레일링 암 장착 구조
KR200183517Y1 (ko) 어시스트 핸들 커버 고정구조
KR200250461Y1 (ko) 자동차용브라켓트
KR0166311B1 (ko) 자동차의 타이로드 연결구조
KR19980067947U (ko) 크로스멤버와 콘트롤암의 조립구조
KR19980041537U (ko) 차량 스테빌라이져의 러버부시
JPH10217041A (ja) 鋼板の固定方法
KR20050068632A (ko) 리어서스펜션의 액슬 고정용 보울트
KR19980020969U (ko) 일체차축식 현가장치용 레이디어스로드의 마운팅샤프트
KR19980018710U (ko) 크로스 멤버에 링크를 고정하기 위한 볼트
KR19980029751A (ko) 차량의 링크체결용 너트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