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886Y1 - 수표입출금장치 - Google Patents

수표입출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886Y1
KR200208886Y1 KR2019960032514U KR19960032514U KR200208886Y1 KR 200208886 Y1 KR200208886 Y1 KR 200208886Y1 KR 2019960032514 U KR2019960032514 U KR 2019960032514U KR 19960032514 U KR19960032514 U KR 19960032514U KR 200208886 Y1 KR200208886 Y1 KR 2002088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ck
withdrawal
deposit
storage unit
temporary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25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9379U (ko
Inventor
이원기
Original Assignee
라종국
주식회사한틀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종국, 주식회사한틀시스템 filed Critical 라종국
Priority to KR20199600325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886Y1/ko
Publication of KR199800193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3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8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886Y1/ko

Links

Landscapes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표의 입금동작과 출금동작을 동시에 수행하고 아울러 입금 및 출금되는 수표의 진위여부도 판단하는 수표입출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수표입출금장치에 있어서, 입금되는 수표는 입금수표저장부로 수납되고 출금되는 수표는 출금수표적재재부로부터 인출된다. 그리고, 입금되는 수표 또는 출금되는 수표가 취소되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하여 입출금수표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임시저장부를 구비한다. 또한, 입출금에 따른 이송경로를 제어하기 위하여 이송경로 제어장치들이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며, 제어장치들 및 구동모터들은 해당하는 각종의 센서들의 감지신호에 의하여 작동하게 된다. 입출금되는 수표는 이송로울러들과 이 이송로울러들과 협동하는 아이들로울러들에 의하여 안내이송된다. 본 고안에 따른 수표입출금장치는 수표입금장치와 수표출금장치를 일체화하여 수표출금 및 수표입금의 두가지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표입출금장치를 단순화하고 수표입출금을 편리하게 하며, 입금되는 수표와 출금되는 수표의 진위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자기잉크문자를 인식할 수 있음으써 수표의 입출금에 안전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표입출금장치
본 고안은 수표입출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수표의 입금동작과 출금동작을 동시에 수행하고 아울러 입금 및 출금되는 수표의 진위여부도 판단하는 수표입출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은행등의 금융기관에서는 업무의 효율성제고 및 고객의 편의성제공 등을 위하여 고객이 직접 현금을 입금 또는 출금할 수 있는 장치와 수표를 입금 또는 출금할 수 있는 장치들을 함께 설치하고 있다.
현재, 수표를 입금 또는 출금하는 장치는 수표의 입금 및 출금기능을 모두 갖춘 일체형이 아니라 수표입금장치 또는 수표출금장치중에서 하나의 장치만이 선택적으로 현금자동입출금장치에 장착되거나 수표입금장치와 수표출금장치가 각각 독립된 형태로 현금자동입출금기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수표의 입출금장치는 일체형이 아니므로, 수표입금장치 또는 수표출금장치중 하나만이 현금자동지급기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고객이 타기능의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경우 해당 서비스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고객은 수표를 입출금함에 있어서 상당한 불편을 느끼고 있다.
한편, 수표입금장치 또는 수표출금장치가 모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두 장치가 서로 개별적으로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현금자동입출금기가 대형화되어 이러한 금융기기를 설치하기 위하여는 상당히 넓은 설치공간이 필요하게 됨은 물론 기기의 제작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수표의 입금 및 출금장치를 일체화한 수표입출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표입출금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표입출금장치의 구동메카니즘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표입출금장치의 자기잉크문자인식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고안에 따른 수표입출금장치의 입금동작의 단계들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들로서,
도 4a는 입금된 수표의 일단계의 입금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4b는 입금된 수표의 임시저장부로의 이송 및 임시저장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4c는 입금된 수표의 최종단계의 저장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4d는 입금된 수표의 취소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5a 내지 도 5d는 본 고안에 따른 수표입출금장치의 출금동작의 단계들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도들로서,
도 5a는 출금되는 수표의 일단계의 출금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5b는 출금되는 수표의 임시저장부로의 이송 및 임시저장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5c는 출금되는 수표의 최종단계의 출금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5d는 출금되는 수표의 취소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3: 수표입출금부
5: 입구 9: 가이드부재
10: 제1안내수단 14: 셔터솔레노이드
16: 입출금로울러 20: 임시저장부
21: 출입로울러 23: 게이트
24: 솔레노이드 26: 저장로울러
30: 제2안내수단 32: 출입로울러
36: 게이트 38: 솔레노이드
40: 제3안내수단 42: 저장부안내로울러
50: 입금수표저장부 60:자기잉크문자인식부
61: 안내로울러 63a,63b: 입금헤드
64: 출금헤드 70: 잉크젯프린터
80: 출금수표적재부 82: 푸쉬플레이트
86,88: 방출로울러 90: 분리수단
92: 인출로울러94: 분리로울러
100: 제 4안내수단102,104: 안내로울러
M1∼M3: 모터S1∼S10: 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수표입출금장치는 수표의 입금 및 출금의 두기능을 모두 수행하면서 동시에 수표의 진위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구비한 수표입출금장치로서, 본체와; 수표입출금부로부터의 수표입금과 수표입출금부로의 수표출금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본체의 입구측에 설치된 제 1안내수단과; 이 제 1안내수단의 후방 에 배치되며, 입출금되는 수표를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임시저장부와; 이 임시저장부의 후방에 위치하며, 입금수표 또는 출금수표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제 2안내수단과; 입금이 결정된 또는 출금이 취소된 수표를 저장하기 위하여 제 2안내수단를 통과한 수표를 가이드하는 제 3안내수단과; 상기 제 2안내수단 및 제 3안내수단에 의하여 가이드된 수표가 저장되는 입금수표저장부와; 입금수표의 이송경로상에 있어서 상기 제 2안내수단의 후방에 배치되며, 수표의 진위를 판별하는 자기잉크문자인식부와; 이 자기잉크문자인식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입출금수표에 필요정보를 기재하는 인쇄부와; 출금예정인 수표가 적층되어 있으며 적층된 수표를 방출하는 출금수표적재부와; 이 출금수표적재부로부터 방출된 수표를 1장씩 분리이송시키는 분리수단과; 이 분리수단에 의하여 분리이송되는 수표를 상기 인쇄부로 가이드하는 제 4안내수단과; 상기 제 1안내수단 내지 제 4안내수단, 분리수단, 임시저장부 및 자기잉크문자인식부를 동작시키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수표입출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고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고로 하면, 먼저 도어부(2)는 입금하려는 수표를 투입하거나 출금하려는 수표를 인출하는 장소로서 본 고안에 따른 수표입출금장치의 본체(1)의 전방입구측에 위치한다. 도어부(2)에는 수표입출금장치의 입구측에 인접하여 수표입출금부(3)가 위치하고 수표입출금부(3)의 소정의 위치에는 수표의 입금을 감지하는 수표입금감지센서(S1)가 설치되어 있다. 수표입출금센서(S1)는 한 쌍의 발광센서(S11)와 수광센서(S12)로 이루어진 광센서로서 수표의 일단이 진입하거나 진출하면 센싱작용을 하게 된다. 이러한 광센서는 널리 잘 알려진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에서 설명되는 센서들은 모두 수표입출금센서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본체(1)의 입구(5)의 우측에는 승강동작에 의하여 입구(5)를 개폐하는 셔터(12)와 이 셔터(12)를 승강시키기 위하여 셔터(12)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셔터솔레노이드(14)가 배치되어 있다. 셔터(12)의 우측에는 본체(1)의 입구(5)를 통하여 입금되는 수표를 최초로 또는 수표입출금부(3)로 배출되는 수표를 최종적으로 가이드하는 입출금로울러(16)가 위치한다. 그리고, 이 로울러(16)와 맞닿아 수표를 안정적으로 이송시키는 아이들로울러(18)가 입출금로울러(16)의 상부에 위치한다. 도1에서는, 하나의 입출금로울러(16)와 아이들로울러(18)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에 있어서는 본체(1)의 폭방향으로 상기 로울러들(16, 18)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축결합된 한 쌍의 로울러들이 더 배치되어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되는 모든 로울러들도 2쌍씩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 입출금로울러(16)의 우측에는 센서(S2)가 배치된다. 이 센서(S2)는 1회에 2장이상의 수표가 입금되는 것을 감지하거나 또는 수표의 입금동작이 취소되어 본체(1)로부터 배출되는 수표의 끝단이 통과하면 이를 감지한다. 입금되는 수표가 2장이상이면, 후술하는 메인이송모터(M1)를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입금되는 2장이상의 수표를 다시 수표입출금부(3)로 배출시키도록 하고, 한편으로는 수표의 입금동작이 취소되어 본체(1)로부터 배출되는 수표의 끝단이 통과하면 셔터솔레노이드(14)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이에 따라 셔터(12)를 하강시켜 본체(1)의 입구(5)를 폐쇄시키도록 한다.
센서(S2)의 우측에는 임시저장부(20)가 배치되어 있다. 임시저장부(20)는 입금되는 수표가 최종적으로 후술하는 입금수표저장부(50)에 이송되기전에 또는 출금되는 수표가 수표입출금부(3)로 배출되기 전에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장소이다. 이 임시저장부(20)는 입금하려던 또는 출금하려던 고객이 입금 또는 출금을 취소하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입금 또는 출금이 취소되면 임시저장부(20)에 저장되어 있던 입금예정수표는 수표입출금부(5)로 다시 배출되고 출금예정수표는 입금수표저장부(50)에 이송되어 보관된다. 이와 같은 기능을 하는 임시저장부(20)의 구성을 살펴보면, 입구측에는 출입로울러(21)와 이 출입로울러(21)와 맞닿아 수표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아이들로울러들(22a, 22b)이 배치되어 있고, 출입로울러(21)의 좌측에는 입출금수표의 이송경로를 제어하는 임시저장부게이트(23)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게이트(23)는 작동적으로 연결된 솔레노이드(24)의 구동에 따라 선회동하여 수표의 임시저장부(20)로의 진입을 안내하거나 임시저장부(20)로의 진입을 방지한다. 임시저장부게이트(23)는 본체(1)의 폭방향으로 다수개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솔레노이드(24)의 구동에 따라 게이트(23)들은 동시에 선회하게 된다.
또한, 임시저장부(20)에는 상기 임시저장부게이트(23)와 대향하여 임시저장부진입방지부재(2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부재(25)는 출입로울러(21)를 통과한 수표가 이송중에 출입로울러(21)을 따라 임시저장부(20)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임시저장부(20)에 저장된 수표는 어떠한 장애도 없이 수표입출금부(3)로 배출하기 위하여 탄력적으로 선회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출입로울러(21)의 하측에는 출입로울러(21)와 대향하여 저장로울러(26)가 배치되고 저장로울러(26)는 아이들로울러들(27a, 27b)과 맞닿아 있다. 저장로울러(26)는 도2를 참고하면, 기어풀리들(m2, 26a)및 타이밍벨트(28)에 의하여 임시저장부모터(M2)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출입로울러(21)와 저장로울러(26)의 사이에는 안착시점감지센서(S3)가 배치되어 있다. 저장로울러(26)를 통과한 수표의 전단을 센서(S3)가 감지하게 되면, 임시저장부모터(M2)의 구동을 중단하여 수표가 더 이상 이송되지 못하도록 하여 저장로울러(26)에 안착시킨다.
임시저장부출입로울러(21)의 우측에는 타이밍감지센서(S4)가 배치된다. 이 센서(S4)는 수표입출금부(3)로부터 본체(1)의 내부로 수표가 진입하여 수표의 선단이 감지되면 셔터솔레노이드(14)의 구동을 중지시키고, 또한 임시저장부모터(M2)의 구동시점을 결정하여 임시저장부(20)로 진입하는 수표의 진입타이밍을 제어한다.
타이밍감지센서(S4)의 우측에는 후술하는 입금수표저장부(50) 또는 자기잉크문자인식부(60)로 수표이송을 안내하는 자기잉크문자인식부출입로울러(32)와 아이들로울러(34)가 배치되어 있다. 출입로울러(32)와 인접하여 출입로울러(32)의 후측에는 입출금수표의 이송경로를 제어하는 자기잉크문자인식부게이트(36)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게이트(36)는 작동적으로 연결된 솔레노이드(38)의 구동에 따라 선회동하여 수표의 자기잉크문자인식부(60)로의 진입을 안내하거나 입금수표저장부(50)로의 진입을 안내한다.
출입로울러(32)의 하부에는 자기잉크문자인식부(60)가 위치한다. 자기잉크문자(Magnetic Ink Character)는 수표의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수표의 진위를 판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자기잉크문자인식부(60)는 안내로울러(61)와 아이들로울러(62)에 의하여 수표를 이송시키고 이송중에는 입금헤드(63a, 63b) 또는 출금헤드(64)가 수표의 자기잉크문자를 독취한다. 안내로울러(61)는, 도 2를 참고로 하면, 기어풀리들(m1, 61a)과 타이밍벨트(68)에 의하여 메인이송모터(M1)와 연결되어 있고, 입금헤드(63a, 63b) 및 출금헤드(64)의 각각에는 헤드로울러들(65a,65b;66)이 각각 탄력적으로 맞닿아 있다. 입금헤드(63a, 63b)와 출금헤드(64)의 중앙부와 동일한 위치선상에는 입금수표 또는 출금수표의 독취시점을 감지하는 입금수표용 독취시작감지센서(S5)와 출금수표용 독취시작감지센서(S6)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입금헤드(63a, 63b)와 헤드로울러(65a, 65b)는 서로 대향하여 양측에 한 쌍이 설치되고, 이에 대하여 출금헤드(64)와 헤드로울러(66)는 전방의 입금헤드(63a)와 헤드로울러(65a)의 하부에 1개가 설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입금헤드(63a, 63b)가 2개 설치되고, 출금헤드(64)가 1개 설치되어 있다. 입금헤드(63a, 63b)가 2개 설치되어 있는 이유는 고객이 수표를 입금하는 경우 고객이 입금되는 수표를 바라볼 때, 자기잉크문자가 기재되어 있는 부분을 좌측편에 두고 수표입출금부(3)에 투입하는 경우 또는 우측편에 두고 수표입출금부(3)에 투입하는 경우의 2가지 상황이 존재하기 때문에 입금수표의 투입방향에 관계없이 언제나 자기잉크문자를 독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출금헤드(64)가 1개만이 설치되어 있는 이유는 금융기관의 담당자가 출금수표를 자기잉크문자가 기재되어 있는 부분을 일측으로, 도 1을 참조하면 본체(1)의 전방측으로, 모두 가지런히 정렬하여 후술하는 출금수표적재부(80)에 적재하여 두면, 출금되는 수표는 자기잉크문자가 기재되어 있는 부분이 모두 동일한 일측편을 따라 이송되기 때문이다.
헤드들(63a, 64)의 하부의 좌측에는 입금되는 수표의 후면에는 입금고객의 통장번호 또는 카드번호 등을 배서하고 또는 출금되는 수표의 전면에는 발행일 등을 인쇄할 수 있는 잉크젯 프린터(70)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잉크젯프린터가 채용되고 있으나 다른 인쇄기기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2개의 입금헤드(63a, 63b)및 1개의 출금헤드(64)와 1개의 잉크젯프린터(70)가 배치되어 있으나, 고객에게 사전에 입금수표를 일방향으로만 한정하여 투입하도록 하면 입금헤드는 1개이어도 무방할 것이다. 또한, 입금겸용 출금헤드가 1개만 설치되어도 가능하며 이 때에는 물론 잉크젯프린터는 이송경로의 양편에 2개가 배치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
자기잉크문자인식부출입로울러(32)의 우측에는 입금수표저장부(50)로 수표를 수납시키기 위하여 입금수표저장부로울러(42)와 아이들로울러(44)가 배치되어 있으며, 입금수표저장부로의 수표입금을 감지하는 입금완료확인센서(S7)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입금수표저장부(50)에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납되는 수표가 적층되며. 이와 같이, 입금수표저장부에 수표를 펼쳐서 안착시키기 위하여 입금수표저장부(50)의 상부에는 입금수표가 낙하하면서 상면과 맞닿으며 상면을 가볍게 가압하는 저장안내레버들(52, 54)가 탄력적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서로 평행하게 2개가 설치되어 있다. 좌측의 저장안내레버(52)의 상면 소정의 위치에는 감지돌기(52a)가 형성되어 있으며 감지돌기(52a)의 상부에는 감지돌기(52a)가 회동하게 되면 감지돌기(52a)를 센싱할 수 있도록 저장불능감지센서(S8)가 배치되어 있다. 도1에서는 하나의 센서(S8)만이, 예를 들면 발광센서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발광센서(S8)와 대향하여 다른 하나의 센서(도시되지 않음)가, 이 예에서는 수광센서가, 위치하고 있다. 입금수표가 입금수표저장부(50)에 서서히 적층되어 완전히 충전되면, 저장안내레버(52)가 상부로, 도면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어느 시점에서는 센서(S8)가 감지돌기(52a)를 감지한다. 이때에는 센서(S8)의 작동이 중지되어 더 이상의 수표입금은 불가능하게 되고 적층된 수표는 제거하여 저장안내레버(52)를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켜야 한다.
한편, 본체(1)의 우측 하부에는 출금수표적재부(80)가 배치되어 있으며, 출금수표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적재프레임(81)에 적층되어 있다. 적재프레임(81)의 저면에는 작동구멍(8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작동구멍(81a)에는 출금수표적재부(80)의 하단부의 수표를 이송시키는 방출로울러들(86, 88)의 상부가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있다. 방출로울러들(86, 88)은 최하단의 수표의 저면과 맞닿아 있으며, 우측의 방출로울러(86)는, 도 2를 참고로 하면, 기어풀리들(m3, 86a)과 타이밍벨트(89)에 의하여 출금모터(M3)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적층된 수표의 최상단의 상면에는 적층된 수표에 하중을 가하여 방출로울러들(86, 88)의 동작을 원활하게 하는 푸쉬플레이트(82)가 위치하고 있다. 이 푸쉬플레이트(82)에는 푸쉬플레이트(82)에 대하여 선회동하는 레버(84)가 연결되어 있다. 레버(84)의 타단에는 감지편(84a)이 길게 연장되어 있으며, 레버(84)의 선회에 따라 감지편(84a)이 회동하여 소정의 각도만큼 상승한 소정의 위치에는 출금수표부존재감지센서(S9)가 배치되어 있다. 이 센서(S9)는 상술한 저장불능감지센서(S9)와 같이 일측의 센서(예컨대, 발광센서)만이 도시된 것이고 이 센서와 대향하여 또 다른 하나의 센서(예컨대, 수광센서)가 위치하고 있다(도시 안됨). 출금수표적재부(80)에 적층된 수표가 서서히 방출되게 되면 푸쉬플레이트(82)가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레버(84)가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최종적으로는 출금수표가 소진되어 완전히 방출되면 레버(84)의 감지편(84a)이 회동하여 센서(S9)가 감지편(84a)을 센싱한다. 이 때에는 센서(S9)의 작동이 중지되어 더 이상의 수표출금이 불가능하며, 출금수표적재부(80)에는 출금수표가 존재하지 아니하므로 수표를 충전하여야 한다.
출금수표적재부(80)의 전방에는 출금수표적재부(80)로부터 방출되는 수표를 1장씩 이송시키기 위하여 인출로울러(92)와 이 인출로울러(92)와 협동하는 분리로울러(94)가 설치되어 있다. 수표를 1장씩 분리이송시키는 작용은 인출로울러(92)와 분리로울러(94)의 틈새와 이 틈새를 통과하는 수표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에 기인한 것이다. 이와 같은 마찰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분리로울러(94)에는 틈새를 조정하는 조정부재(96)가 고정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조정부재(96)의 상부에는 작동공(96a)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이 작동공(96a)에는 나사(97)가 끼워맞춤되어 작동공(96a)과 나사(97)의 체결위치에 따라 분리로울러(94)의 위치가 어느 정도의 범위내에서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틈새가 조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인출로울러(92)의 좌측에는 한 쌍의 이송로울러들(102, 104)과 이 이송로울러들(102, 104)과 연동하여 협동하는 아이들로울러들(103, 105)이 배치되어 있다. 이송로울러들(102, 104)의 사이에는 감지센서(S10)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 센서(S10)는 2장이상의 수표가 출금되는 것을 감지하고 또한 출금되는 수표의 끝단이 통과하면 출금모터(M3)의 구동을 중단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은 본 고안에 따른 수표입출금장치의 구동메카니즘을 설명한다. 먼저, 도1을 참고하면, 본 고안에 있어서는 메인이송모터(M1), 임시저장부모터(M2)와 출금모터(M3)의 3개의 구동모터가 사용된다. 도 1에는 각각의 모터에 의하여 직접 구동되고 또한 연동되는 로울러들의 구동관계가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메인모터(M1)는 자기잉크문자인식부(60)의 안내로울러(61)를 직접적으로 구동시키고 계속하여 임시저장부(20)의 출입로울러(21), 입출금로울러(16), 자기잉크문자인식부출입로울러(32), 저장안내로울러(42) 및 이송로울러들(102, 104)을 구동시킨다. 임시저장부모터(M2)는 임시저장부(20)의 저장로울러(26)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출금모터(M3)는 방출로울러(86)를 직접적으로 구동시키고, 계속하여 방출로울러(88)와 인출로울러(92)를 구동시킨다.
도 2를 참고로하여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이송모터(M1)의 축단에 설치된 기어풀리(m1)와 자기잉크문자인식부안내로울러(61)의 축단에 설치된 기어풀리(61a)가 타이밍벨트(68)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안내로울러(61)의 기어풀리(61a)의 후방에 위치하는 다른 기어풀리(도시 안됨)는 타이밍벨트(69)와 소정의 위치들에 개재되는 다수의 아이들기어풀리들(8)에 의하여 입출금로울러(16)의 기어풀리(16a), 임시저장부(20)의 출입로울러(21d)의 기어풀리(21a), 자기잉크문자인식부출입로울러(32)의 기어풀리(32a), 저장안내로울러(42)의 기어풀리(42a), 이송로울러들(102, 104)의 기어풀리들(102a, 104a)와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임시저장부모터(M2)는 축단에 설치된 기어풀리(m2)가 타이밍벨트(28)에 의하여 축단에 설치된 기어풀리(26a)와 연결됨으로써 임시저장부(20)의 저장로울러(26a)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출금모터(M3)는 축단에 설치된 기어풀리(m3)가 타이밍벨트(89)에 의하여 축단에 설치된 기어풀리(86a)와 연결됨으로써 방출로울러(86)와 연결되며, 계속하여 소정의 위치에 개재되는 아이들기어풀리들(8)에 의하여 방출로울러(88)의 기어풀리(88a), 인출로울러(92)의 기어풀리(92a)와 연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도 1에서 도면번호 9는 이송통로를 형성하여 입출금수표의 이송을 안내하는 판형상의 가이드부재들이고 도면번호 7는 입금수표저장부(50)및 출금수표적재부(80)를 개폐하는 록킹부재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수표입출금장치의 입금동작들과 출금동작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a 내지 도 4d를 참고로하여 입금동작들을 살펴본다.
도 4a는 입금되는 수표의 일단계의 입금동작을 나타낸다. 도 4a를 참고로 하면, 수표입출금부(3)에 수표가 투입되면, 입출금감지센서(S1)가 이를 감지하여 셔터솔레노이드(14)를 구동시키고 메인이송모터(M1)를 정방향으로(도 1을 기준으로 하면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셔터솔레노이드(14)의 구동에 따라 셔터(12)가 하강하여 본체(1)의 입구(5)가 개방되어 수표가 본체내부로 진입하고, 본체(1)의 내부로 진입한 수표는 입출금로울러(16)에 의하여 이송된다. 입금수표가 2장이상 입금되는 경우에는 입금이상감지센서(S2)에 의하여 감지되어 메인이송모터(M1)가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입금수표를 다시 수표입출금부(3)로 배출시킨다. 정상적으로 1장의 수표가 입금된 경우에는 솔레노이드(24)가 구동하여 임시저장부게이트(23)를 선회시켜 입금수표가 게이트(23)에 간섭받지 않고 임시저장부(20)를 통과하게 되고, 타이밍감지센서(S4)에 수표가 감지되면 셔터솔레노이드(14)의 구동이 중단되어 셔터(12)가 상승하여 본체(1)의 입구(5)는 폐쇄된다.
그리고, 입금된 수표는 계속 이송되어 자기잉크문자인식부출입로울러(32)에 도달하게 된다. 이 때에는 솔레노이드(38)는 구동하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에 자기잉크문자인식부게이트(36)는 도 4a의 위치에 있어 이송되는 수표는 입금수표저장부(50)로 이송되지 않고 게이트(36)의 안내에 의하여 자기잉크문자인식부(60)를 향하여 이송된다. 자기잉크문자인식부(60)로 이송된 수표가 입금수표용 독취시작감지센서(S5)에 감지되면 수표의 진위를 판별하기 위하여 입금헤드(63a, 65a)에 의하여 입금수표의 자기잉크문자가 독취된다. 독취가 완료되어 입금수표가 진정한 것으로 판정되면, 메인이송모터(M1)가 정지되고 입금된 수표는 이송로울러들(102, 104)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상의 동작은 도 4a에서 "A"지점에서 "B"지점 까지를 나타낸다.
다음은 이단계의 입금동작으로서 도 4b는 독취된 수표를 임시저장부(20)에 저장시키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4b를 참고로 하면, 이 때에는 메인이송모터(M1)가 역방향으로(도 1을 기준으로 하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이송로울러들(102, 104)의 사이에 위치하는 수표를 자기잉크문자인식부(60)를 향하여 이송시킨다. 이송과정에서 잉크젯프린터(70)는 입금수표의 후면에 수표입금자의 카드번호 또는 통장번호를 인쇄하게 된다. 입금수표는 계속하여 역방향으로 안내되어 타이밍감지센서(S4)에 도달하게 되고 타이밍감지센서(S4)에 의하여 수표가 감지되면 이때 임시저장부모터(M2)가 구동하게 된다. 임시저장부(20)의 출입로울러(21)에 도달한 수표는 솔레노이드(24)의 구동중단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 임시저장부게이트(23)에 의하여 수표입출금부(3)로 이송되지 않고 게이트(23)에 의하여 안내되어 임시저장부(20)로 진입하게 된다. 저장로울러(26)에 의하여 계속 안내되는 수표가 안착시점감지센서(S3)에 감지되면, 임시저장부모터(M2)가 정지하게 되어 수표는 저장로울러(26)의 외주연에 안착된다. 그리고, 이때에는 메인이송모터(M1)도 정지하게 된다. 이상의 동작은 "B"지점에서 "C"지점 까지를 나타낸다.
이상과 같은 도 4a 및 도 4b의 동작은 계속하여 입금되는 수표에도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2장이상의 수표가 입금되는 경우에는 임시저장부(20)에 입금된 수표가 겹쳐져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술한 타이밍감지센서(S4)에 의하여 임시저장부모터(M2)의 구동시점을 정확히 결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다음은 삼단계의 입금동작으로서, 도 4c는 임시저장부에 저장된 수표들을 최종적으로 입금수표저장부에 안착시키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4c를 참고로 하면, 이 때에는 다시 임시저장부모터(M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또한 메인이송모터(M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수표들은 임시저장부(20)를 벗어나게 되고 자기잉크문자인식부출입로울러(32)를 향하게 된다. 모터들(M1, M2)이 구동하면 이와 함께 솔레노이드(38)가 구동하여 게이트(36)를 선회시켜 자기잉크문자인식부(60)로의 이송경로를 차단하고 입금수표저장부(50)로의 이송경로를 개방시킨다. 이에 따라, 자기잉크문자인식부출입로울러(32)에 도달한 수표는 입금수표저장부(50)를 향하여 입금수표저장부로울러(42)에 도달하게 되고 로울러(42)와 아이들로울러(44)의 협동에 의하여 입금수표저장부(50)를 향하여 낙하되어 안착된다. 이때, 입금완료확인센서(S7)에 의하여 입금수표의 끝단의 통과가 감지되면, 솔레노이드(38)의 구동은 정지되고 계속하여 메인이송모터(M1) 및 임시저장부모터(M2)의 구동은 정지되어 입금동작은 완료된다. 이상의 동작은 "C'"지점에서 "D"지점 까지를 나타낸다.
한편, 고객이 입금하려던 계획을 중간에 취소하여 입금하였던 수표를 환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임시저장부에 저장된 수표를 수표입출금부로 이송시켜야 한다. 이러한 동작은 도 4d에 도시되어 있다. 도 4d를 참고로 하면, 이 때에는 임시저장부모터(M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또한 메인이송모터(M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한편으로는, 솔레노이드(24)를 구동시켜 게이트(23)를 하방으로 선회하여 수표입출금부(3)로의 이송경로를 개방하고, 또한 셔터솔레노이트(14)를 구동시켜 셔터(12)를 하강시켜 본체(1)의 입구(5)를 개방한다. 따라서, 수표들은 게이트(14)와 셔터(12)에 의하여 방해받음이 없이 저장로울러(26), 출입로울러(21) 및 입출금측로울러(16)에 의하여 이송되어 수표입출금부(3)로 다시 배출된다. 배출되는 수표의 끝단이 감지센서(S2)에 의하여 감지되면, 솔레노이드들(14, 24), 모터들(M1, M2)의 구동이 정지되어 입금동작의 초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상의 동작은 "C'"지점에서 "E"지점 까지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도 5a 내지 도 5d를 참고로하여 출금동작들을 살펴본다.
도 5a는 출금되는 수표의 일단계의 출금동작을 나타낸다. 도 5a를 참고로 하면, 먼저 출금모터(M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방출로울러(86, 88)들이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방출로울러들(86, 88)은 출금수표적재부(80)의 작동구멍(81a)을 통하여 최하단에 있는 수표의 표면에 마찰력를 발생시켜 겹쳐진 수표들을 다수장 인출로울러(92)와 분리로울러(94)의 사이로 진입시킨다. 진입된 수표들은 인출로울러(92)와 분리로울러(94)의 작용에 의하여 분리된 1장의 수표만이 인출로울러(92)와 분리로울러(94)를 통과하여 이송로울러(104)로 안내된다. 이송된 수표가 감지센서(S10)에 의하여 감지되면, 메인이송모터(M1)가 구동하고 수표는 계속하여 이송로울러들(102, 104)에 의하여 이송된다. 한편, 이송되는 출금수표의 선단이 감지센서(S10)에 진입하게 되면, 출금모터(M3)는 구동을 중지하게 된다. 그리고, 만일 2장이상의 수표가 출금되는 것이 감지센서(S10)에 의하여 감지되면, 메인이송모터(M1)는 구동하지 않아 출금수표는 더 이상 이송되지 않고 장치는 동작을 하지 않게 된다. 이상의 동작은 "가"지점에서 "나"지점 까지를 나타낸다.
다음은 이단계의 출금동작으로서 도 5b는 출금되는 수표가 임시저장부(20)에 저장되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5b를 참고로 하면, 이송로울러들(102, 104)를 통과하는 수표의 이송과정에서 잉크젯프린터(70)는 수표의 전면에 출금일자 등을 인쇄하게 된다. 잉크젯프린터(70)를 통과한 수표가 출금수표용 독취시점감지센서(S6)에 의하여 감지되면, 출금헤드(64)에 의하여 자기잉크문자가 독취되고 계속하여 임시저장부(20)로 이송된다. 출금헤드(64)를 통과한 이후의 이송동작은 도 4b의 과정과 동일하게 된다. 따라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동작은 "나"지점에서 "다"지점까지를 나타낸다.
다음은 삼단계의 출금동작으로서, 도 5c는 임시저장부(20)에 저장된 출금수표가 최종적으로 수표입출금부(3)로 배출되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5c를 참고로 하면, 최종의 출금동작은 입금동작에서 도 4d에 도시된 취소동작과 동일한 동작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이 단계의 동작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 단계의 동작은 "다'"지점에서 "라"지점 까지를 나타낸다.
한편, 고객이 출금하려던 계획을 중간에 취소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임시저장부에 저장된 수표를 입금수표저장부로 이송시켜야 한다. 이러한 동작은 도 5d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5d에 따른 동작은 입금동작에서 도 4c의 동작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이 단계의 동작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 단계의 동작은 "다"지점에서 "마"지점 까지를 나타낸다.
이상의 설명은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한 등록청구범위 내에서 가능하게 변형되거나 또는 변경되는 장치들을 포함할 것이다. 예컨대, 모든 센서들, 게이트와 솔레노이드, 이송로울러들등은 모두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요소들로 치환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라면자명한 사항일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표입출금장치는 수표입금장치와 수표출금장치를 일체화하여 수표출금 및 수표입금의 두가지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표입출금장치를 단순화하고 수표입출금을 편리하게 하며, 입금되는 수표와 출금되는 수표의 진위여부를 판별하기 위하여 자기잉크문자를 인식할 수 있음으로써 수표의 입출금에 안전성을 제공한다.

Claims (6)

  1. 수표의 입금 및 출금의 두기능을 모두 수행하면서 동시에 수표의 진위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구비한 수표입출금장치로서,
    본체(1)와:
    수표입출금부(3)로부터의 수표입금과 수표입출금부로의 수표출금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1)의 입구(5)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표입출금부(3)에서 수표입금을 감지하기 위하여 상기 수표입출금부(3)에 설치된 수표입금감지센서(S1)와, 수표입출금부로부터 입금되는 수표를 최초로 또는 상기 수표입출금부(3)로 출금되는 수표를 최종적으로 가이드하는 입출금로울러(16) 및 아이들로울러(18)로 구성된 제 1안내수단(10)과;
    이 제 1안내수단(10)의 후방에 배치되며, 입출금되는 수표를 임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하여 출입로울러(21) 아이들로울러(22a, 22b)과, 이 출입로울러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입출금수표의 이송경로를 제어하는 조절수단과, 임시저장부로 저장되는 수표를 저장하는 저장로울러(26) 및 아이들로우러(27a, 27b)과, 수표가 임시저장부(20)에 안착되는 시점을 감지하는 안착시점감지센서(S3)로 구성된 임시저장부(20)와;
    이 임시저장부(20)의 후방에 위치하며, 입금수표 또는 출금수표의 이송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자기잉크문자인식부출입로울러(50)로 수표를 선택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이송경로조절수단으로 구성된 제 2 안내수단(30)과;
    입금이 결정된 또는 출금이 취소된 수표를 저장하기 위하여 제 2안내수단(30)을 통과한 수표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입금수표저장부(50)로 수표를 수납시키기 위하여 수표를 입금수표저장부(50)로 안내하는 입금수표저장부로울러(42) 및 아이들로울러(44)와, 입금수표저장부(50)로의 수표입금을 감지하는 임금완료확인서(S7)로 구성된 제 3안내수단(40)과;
    상기 제 2안내수단(30) 및 제 3안내수단(40)에 의하여 가이드된 수표가 저장되는 입금수표저장부(50)와;
    입금수표의 이송경로상에 있어서 상기 제 2안내수단(30)의 후방에 배치되며, 수표의 진위를 판별하기 위하여 자기잉크문자인식부로울러(61) 및 아이들로우러(62)와, 입금수표의 자기잉크문자를 인식하기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한쌍의 입금헤드(63a, 63b)와, 출금수표의 자기잉크문자를 인식하기 위하여 상기 입금헤드(63a)의 하부에 설치된 출금헤드(63b)와, 상기 입금헤드(63a, 63b) 및 출금헤드(64)와 탄력있게 맞닿아 있는 헤드로울러들(65a, 65b; 66)과, 입금수표 또는 출금수표의 인식시점을 감지하는 센싱수단(S5, S6)으로 구성된 자기잉크문자인식부(60)와;
    이 자기잉크문자인식부(60)의 후방에 배치되어 입출금수표에 필요정보를 기재하는 인쇄부(70)와;
    출금예정인 수표가 적층되어 있으며 적층된 수표를 방출하기 위하여 수표들이 적층된 적재프레임(81)과, 적층된 수표들중 하단부의 수표를 방출하는 수단과, 적층된 수표들의 상부를 가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출금수표적재부(80)와;
    이 출금수표적재부(80)로부터 방출된 수표을 1장씩 분리이송시키ㄱ기 위하여 상기 출금수표적재부(80)로부터 방출된 수표를 1장씩 이송시키기 위하여 출금수표적재부의 전방에 설치된 인출로울러(92)와, 이 인출로울러(92)와 협동하는 분리로울러(94)로 구성된 분리수단(90)과;
    이 분리수단(90)에 의하여 분리이송되는 수표를 상기 인쇄부(70)로 가이드하기 위하여 한 쌍의 로울러(102, 104)와 아이들로우러(103, 105)로 구성된 제 4 안내수단)100)과;
    상기 제 1안내수단 내지 제 4안내수단(10, 30, 40, 100), 분리수단(90), 임시저장부(20) 및 자기잉크문자인식부(60)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메인이송모터(M1)와, 임시저장부모터(M2)와, 출금모터(M3)로 구성된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수표입출금장치.
  2.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저장부(20)의 조절수단은 임시저장부(20)로의 진입을 안내하거나 임시저장부로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선회작동하는 임시저장부게이트(23)와 이 게이트를 선회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게이트(23)와 작동적으로 연결된 솔레노이드(24)로 구성되며, 상기 임시저장부(20)의 출입로우러(21)을 통과한 수표가 이송중에 임시저장부(20)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임시저장부진입방지부재(25)가 상기 임시저장부게이트(23)와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는 수표입출금장치.
  3. 제 10항에 있어서, 입금수표저장부(50)의 상부에는 입금되는 수표를 입금수표저장부(50)에 안착시키기 위하여 저장안내레버(52)가 설치되어 있으며 , 입금수표가 입금수표저장부(50)에 완전히 충전되어 더 이상 저장될 수 없는 상태를 간지하기 위하여 입금수표저장부의 상측에는 센싱수단(52a, S8)이 구비되어 있는 수표입출금장치.
  4.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출금수표적재부(80)의 방출수단은 적재프레임(81)의 저면에 형성된 작동구멍(81a)과 이 작동구멍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최하단의 수표의 저면과 맞닿아 있는 방출로울러(86, 88)로 구성되며, 상기 출금수표적재부(80)의 가압수단은 최상단의 수표의 상면위에 위치하는 푸쉬플레이트(82)와 이 푸쉬플레이트(82)에 대하여 선회동하는 레버(84)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출금수표적재부(80)에는 출금수표적재부에 잔존하는 수표가 없어 출금수표가 공급되어야 하는 상태를 감지하는 센싱수단(S9, 84a)이 설치되어 있는 수표입출금장치.
  5. 제 17항에 있어서, 2장 이상의 수표가 출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분리수단(90)의 인출로울러(92)와 분리로울러(94)사이의 틈새를 조정하는 수단(96, 96a;97)이 더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인출울러(92)의 전방에는 2장이상의 수표가 출금되는 것을 감지하는 출금방지센서(S10)가 설치되어 있는 수표입출금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안내수단과 임시저장부(20)의 사이에는 2장이상의 수표가 입금되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S2)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임시저장부(20)와 제 3안내수단(40)의 사이에는 임시저장부(20)에 저장되는 수표들이 겹쳐지어 저장되도록 임시저장부(20)로 안내되는 수표의 진입을 감지하는 타이밍감지센서(S4)가 배치되어 있는 수표입출금장치.
KR2019960032514U 1996-10-01 1996-10-01 수표입출금장치 KR2002088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514U KR200208886Y1 (ko) 1996-10-01 1996-10-01 수표입출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2514U KR200208886Y1 (ko) 1996-10-01 1996-10-01 수표입출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379U KR19980019379U (ko) 1998-07-15
KR200208886Y1 true KR200208886Y1 (ko) 2001-01-15

Family

ID=53978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2514U KR200208886Y1 (ko) 1996-10-01 1996-10-01 수표입출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88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100B1 (ko) * 1999-11-13 2006-07-05 엘지엔시스(주) 수표인자기능을 구비한 지폐자동지급기용 지폐박스
KR20020043207A (ko) * 2002-05-22 2002-06-08 함현철 무인자동화기기의 수표입출금장치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0613889B1 (ko) * 2004-12-30 2006-08-21 주식회사 푸른기술 양방향 인식이 가능한 수표인식장치
KR100711316B1 (ko) * 2006-02-03 2007-04-27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지폐류 자동수납처리기의 카세트장치
KR100834460B1 (ko) * 2006-11-27 2008-06-05 엘지엔시스(주)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처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379U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44914B2 (en) Bill deposit/withdrawal machine for depositing/withdrawing bills
JPH07187454A (ja) 文書整合システム
KR20130009605A (ko) 지폐 취급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지폐 입금 방법
US20090134567A1 (en) Sheet handling device
EP0965956B1 (en) Banking machine with front and rear loading configurations
KR200208886Y1 (ko) 수표입출금장치
US4696426A (en) Document reading envelope depository
EP0965955B1 (en) Sheet dispensing mechanism in a banking machine
KR100232988B1 (ko) 지폐 자동 지불장치
US6241150B1 (en) Sheet dispensing mechanism
US11989994B2 (en) Bundle module of medium deposit device
JP4686940B2 (ja) 表裏反転機構
KR100339739B1 (ko) 현금자동지급기의미인도또는잔류지폐회수장치
KR100526581B1 (ko) 지폐류입출금기의 출금장치
KR100526580B1 (ko) 지폐류 입출금기의 일시저장장치
JP2565722Y2 (ja) 紙幣自動支払い装置
JP2753050B2 (ja) 冊子類の改頁装置
JPH11259731A (ja) 自動取引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577756B2 (ja) 紙幣自動支払い装置
JP2002329230A (ja) 自動取引装置
JP2512767B2 (ja) 紙幣自動支払い装置
JP2661691B2 (ja) 紙幣自動支払い装置
JP2763260B2 (ja) 有価証券収納庫における搬送方向切り換え方法
JPH11259719A (ja) 紙葉類処理装置
JPH06215235A (ja) 紙幣自動取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19990528

Effective date: 200008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15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