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687Y1 - 실차 조건화에서의 디젤엔진 연료 분사각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실차 조건화에서의 디젤엔진 연료 분사각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687Y1
KR200207687Y1 KR2019970042018U KR19970042018U KR200207687Y1 KR 200207687 Y1 KR200207687 Y1 KR 200207687Y1 KR 2019970042018 U KR2019970042018 U KR 2019970042018U KR 19970042018 U KR19970042018 U KR 19970042018U KR 200207687 Y1 KR200207687 Y1 KR 2002076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angle
fuel injection
injection angle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20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9361U (ko
Inventor
박관섭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420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7687Y1/ko
Publication of KR199900293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93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6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6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5/00Testing fuel-injection apparatus, e.g. testing injection timing ; Cleaning of fuel-injection apparatus
    • F02M65/001Measuring fuel delivery of a fuel injec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85Mounting of fuel injection apparatus
    • F02M2200/851Mounting of fuel injection apparatus provisions for adjusting the angular, rotational or axial position of inj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젤엔진의 연소실내 연료를 분사하는 노즐의 연료 분사각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시작차 단계에서 실차 엔진 조건과 같은 조건에서의 연료 분사각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고안에 관한 것으로, 사각형상을 한 베이스 내측 소정위치에 열십자형의 슬라이드홀이 천공된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이 플레이트의 열십자형 슬라이드홀에 높이 조절용 너트와 고정너트에 의해 설치되어서 전후, 좌우로 이동되어지는 노즐고정용 지그가 설치되어 있으며, 베이스의 상부에는 노즐의 연료분사각을 체크할 수 있도록 위선과 경선을 형성하여 위선과 경선이 만나는 좌표점에 의해 분사각을 측정할 수 있도록 된 연료분사각 측정볼을 가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노즐 고정용지그(100)는, 플레이트(110)의 열십자형 슬라이드홀(111)에 나사산(102)을 가지는 스텐드(101)가 높이조절용 너트(103)와 고정너트(104)에 의해 설치되어지고, 스텐드(101)의 상단부에는 "

Description

실차 조건화에서의 디젤엔진 연료 분사각 측정장치
본 고안은 디젤엔진의 연소실내 연료를 분사하는 노즐의 연료 분사각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시작차 단계에서 실차 엔진 조건과 같은 조건에서의 연료 분사각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고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젤엔진의 연소실은 차종에 따라 그 형태가 다르고, 연소실의 형태에 따라 연료의 분포도가 다르기 때문에 연료 분사각이 달라진다.
상기와 같이 연소실의 형태에 따른 연료 분사각을 엔진개발 시작단계에서 실차조건과 같은 상황에서 노즐의 연료분사각을 측정하게 된다.
도1은 실차 조건화에서의 디젤엔진 연료 분사각 측정장치의 구성도 이다.
사각형상을 한 베이스(1) 내측 소정위치에 열십자형의 슬라이드홀(2)이 천공된 플레이트(3)가 설치되고, 이 플레이트(3)의 열십자형 슬라이드홀(2)에 높이 조절용 너트(4)와 고정너트(5)에 의해 설치되어서 전후, 좌우로 이동되어지는 노즐 고정용 지그(6)가 설치되어 있으며, 베이스(1)의 상부에는 노즐(7)의 연료분사각을 측정할 수 있도록 위선(9)과 경선(9a)을 형성하여 위선과 경선이 만나는 좌표점에 의해 분사각을 측정할 수 있도록 된 연료분사각 측정볼(8)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연료분사각 측정볼(8)의 노즐 고정용 지그(6)에 설치된 노즐(7)을 통해 연료를 분사하여 분사된 연료가 연료분사각 측정볼(8)의 좌표점에 분사되는 것을 보고 연료분사각을 확인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실차 조건화에서의 디젤엔진 연료 분사각 측정장치의 연료 분사 노즐 고정지그를 발췌한 정면도 이다.
종래의 노즐고정용 지그는, 열십자형 슬라이드홀(11)을 가지는 플레이트(10)에 나사산(22)을 가지는 스텐드(21)가 높이조절용 너트(23)와 고정너트(24)에 의해 설치되어지고, 스텐드(21)의 상단부에는 ""형상의 노즐 고정브래킷(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노즐 고정브래킷(25)의 상단면에는 노즐(30)의 플랜지(31)에 형성된 구멍(32)이 끼워져 너트(33)고정되어지는 볼트(26)가 성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노즐 고정용 지그(20)에 노즐(30)을 설치한 상태에서 스텐드(21)의 높이 조절용 너트(23)에 의해 높이를 조절 하고, 높이 조절이 완료되어지면, 열십자형의 슬라이드홀(11) 상에서 전후, 좌우로 이동시켜 연료분사각을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에 위치시킨 후, 고정너트(24)로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노즐(30)이 설치된 노즐 고정용 지그(20)가 고정되어진 상태에서 연료 라인을 통해 연료을 공급하여 연료의 분사각을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연료분사각 측정장치는, 노즐이 수직한 방향으로만 위치하고 있어 동일선상에서의 분공각만을 측정할 수 밖에 없었을 뿐만 아니라, 실제 엔진 연소실에서의 노즐 설치각도에 따른 분공각을 측정할 수가 없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노즐 고정용지그의 고정 브래킷에 각도조절블록을 설치하고, 이 각도조절블록에 노즐을 설치한 것으로, 노즐의 각도조절이 가능하여 설계된 엔진 연소실의 노즐 각도를 그대로 적용하여 실차에서의 연료 분사각과 같은 조건하에서 연료 분공각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료 분사각의 측정에 따른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엔진 개발에 따른 시간 및 노동력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실차 조건화에서의 디젤엔진 연료 분사각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실차 조건하에서의 디젤엔진 연료 분사각 측정장치의 구성도.
도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실차 조건화에서의 디젤엔진 연료 분사각 측정장치의 연료 분사 노즐 고정지그를 발췌한 정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실차 조건화에서의 디젤엔진 연료 분사각 측정장치의 연료 분사 노즐 고정지그를 발췌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 설명 ※
100 : 노즐 고정용 지그 101 : 스텐드
103 : 높이 조절용 너트 104 : 고정너트
105 : 노즐 고정브래킷 106 : 각도조절블록
107 : 힌지볼트 108 : 볼트
109 : 각도기 110 : 플레이트
111 : 열십자형 슬라이드홀 120 : 노즐
121 : 플랜지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사각형상을 한 베이스 내측 소정위치에 열십자형의 슬라이드홀이 천공된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이 플레이트의 열십자형 슬라이드홀에 높이 조절용 너트와 고정너트에 의해 설치되어서 전후, 좌우로 이동되어지는 노즐고정용 지그가 설치되어 있으며, 베이스의 상부에는 노즐의 연료분사각을 체크할 수 있도록 위선과 경선을 형성하여 위선과 경선이 만나는 좌표점에 의해 분사각을 측정할 수 있도록 된 연료분사각 측정볼을 가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노즐 고정용지그(100)는, 플레이트(110)의 열십자형 슬라이드홀(111)에 나사산(102)을 가지는 스텐드(101)가 높이조절용 너트(103)와 고정너트(104)에 의해 설치되어지고, 스텐드(101)의 상단부에는 ""형상의 노즐 고정브래킷(10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노즐 고정브래킷(105)에는 노즐(120)의 플랜지(121)에 형성된 구멍(122)이 끼워져 너트(123)고정되어지는 볼트(108)를 가지는 각도조절블록(106)이 힌지볼트(107)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각도 조절되도록 설치되되, 측면으로 설치된 각도기(109)에 의해 각도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실차 조건화에서의 디젤엔진 연료 분사각 측정장치의 연료 분사 노즐 고정지그를 발췌한 정면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실차 조건화에서의 디젤엔진 연료 분사각 측정장치의 노즐 고정용 지그(100)의 각도조절블록(106)에 형성되어진 볼트(108)에 노즐(120)의 플랜지(121)에 형성된 구멍(122)을 끼워 너트(123)로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각도조절블록(106)에 노즐(120)이 설치되어지면, 스텐드(101)의 높이 조절용 너트(103)에 의해 높이를 조절을 하고, 높이 조절이 완료되어지면, 열십자형의 슬라이드홀(111) 상에서 전후, 좌우로 이동시켜 연료분사각을 측정하고자 하는 위치에 위치시킨 후, 고정너트(104)로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노즐(120)이 설치된 노즐 고정용 지그(100)가 고정되어진 상태에서 각도조절블록(106)의 회전중심이 되는 힌지볼트(107)를 느슨하게 풀어 측면으로 설치된 각도기(109)에 의해 소정의 각도(연료분사각을 측정하기 위한 각도)로 회전시킨 후 힌지볼트(107)를 조여 세팅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연료 라인(130)을 통해 연료을 공급하여 노즐(120)에서의 연료 분사각을 측정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상술한 특성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노즐 고정용지그의 고정 브래킷에 각도조절블록을 설치하고, 이 각도조절블록에 노즐을 설치한 것으로, 노즐의 각도조절이 가능하여 설계된 엔진 연소실의 노즐 각도를 그대로 적용하여 실차에서의 연료 분사각과 같은 조건하에서 연료 분공각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료 분사각의 측정에 따른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엔진 개발에 따른 시간 및 노동력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사각형상을 한 베이스 내측 소정위치에 열십자형의 슬라이드홀이 천공된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이 플레이트의 열십자형 슬라이드홀에 높이 조절용 너트와 고정너트에 의해 설치되어서 전후, 좌우로 이동되어지는 노즐고정용 지그가 설치되어 있으며, 베이스의 상부에는 노즐의 연료분사각을 체크할 수 있도록 위선과 경선을 형성하여 위선과 경선이 만나는 좌표점에 의해 분사각을 측정할 수 있도록 된 연료분사각 측정볼을 가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노즐 고정용지그(100)는, 플레이트(110)의 열십자형 슬라이드홀(111)에 나사산(102)을 가지는 스텐드(101)가 높이조절용 너트(103)와 고정너트(104)에 의해 설치되어지고, 스텐드(101)의 상단부에는 ""형상의 노즐 고정브래킷(105)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노즐 고정브래킷(105)에는 노즐(120)의 플랜지(121)에 형성된 구멍(122)이 끼워져 너트(123)고정되어지는 볼트(108)를 가지는 각도조절블록(106)이 힌지볼트(107)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각도 조절되도록 설치되되, 측면으로 설치된 각도기(109)에 의해 각도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차 조건화에서의 디젤엔진 연료 분사각 측정장치.
KR2019970042018U 1997-12-29 1997-12-29 실차 조건화에서의 디젤엔진 연료 분사각 측정장치 KR2002076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2018U KR200207687Y1 (ko) 1997-12-29 1997-12-29 실차 조건화에서의 디젤엔진 연료 분사각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2018U KR200207687Y1 (ko) 1997-12-29 1997-12-29 실차 조건화에서의 디젤엔진 연료 분사각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361U KR19990029361U (ko) 1999-07-15
KR200207687Y1 true KR200207687Y1 (ko) 2001-03-02

Family

ID=53896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2018U KR200207687Y1 (ko) 1997-12-29 1997-12-29 실차 조건화에서의 디젤엔진 연료 분사각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768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501B1 (ko) 2011-09-16 2011-12-26 엄찬기 인젝션노즐의 분사각도 측정용 지그
KR20220002388U (ko) * 2021-03-29 2022-10-06 허인순 노즐용 각도 측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6237A (ko) * 2002-08-16 2004-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디젤 엔진 인젝터의 노즐 가공형상 측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501B1 (ko) 2011-09-16 2011-12-26 엄찬기 인젝션노즐의 분사각도 측정용 지그
KR20220002388U (ko) * 2021-03-29 2022-10-06 허인순 노즐용 각도 측정 장치
KR200496692Y1 (ko) 2021-03-29 2023-04-25 송기태 노즐용 각도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9361U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7687Y1 (ko) 실차 조건화에서의 디젤엔진 연료 분사각 측정장치
KR20010092436A (ko) 노즐 니들에 환형 홈을 구비한 내연 기관용 분사 노즐
KR20000047962A (ko) 통내 분사식 엔진
JP3176696B2 (ja) 装置を調節する方法
JPH11343947A (ja) 内燃機関用燃料噴射弁
KR200149889Y1 (ko) 자동차의 크랭크 각 표시장치
KR100217609B1 (ko) 샌드 치핑 테스트 장비
KR100383486B1 (ko) 연료분사장치를엔진에장착하는방법과연료분사장치
KR100334181B1 (ko) 윈드 쉴드 와이퍼 시험용 유량 조절기
US4070842A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orienting objects on support structures
KR20040016237A (ko) 디젤 엔진 인젝터의 노즐 가공형상 측정장치
JPS588897Y2 (ja) 直接噴射式ディ−ゼル機関におけるスワ−ル強度調節装置を備えた吸気管
KR100394613B1 (ko) 인젝션 펌프 센터링 방법
GB2074233A (en) Fuel-handling arrangement in an I.C. engine fuel-injection system
US2659152A (en) Fuel gauge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 carburetors
CN109113908B (zh) 喷油器夹具
KR100188159B1 (ko) 자동차 엔진용 인젝터의 연료분사각 실험장치
KR100422768B1 (ko) 고속 카메라 장착용 지그장치
CN203614301U (zh) 喷油器组件以及具有其的燃油机和汽车
KR200175756Y1 (ko) 러버 눌림량 측정 지그
CN210108729U (zh) 测试装置
JP3121472B2 (ja) アンカーボルト支持構造
JPH04216915A (ja) 射出装置
Xu et al. Soft spray formation of a low-pressure high-turbulence fuel injector for direct injection gasoline engines
KR0119224Y1 (ko) 희박연소 엔진용 인젝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