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7561Y1 - 전화기에 연결하는 통역지원장치 - Google Patents

전화기에 연결하는 통역지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7561Y1
KR200207561Y1 KR2020000022299U KR20000022299U KR200207561Y1 KR 200207561 Y1 KR200207561 Y1 KR 200207561Y1 KR 2020000022299 U KR2020000022299 U KR 2020000022299U KR 20000022299 U KR20000022299 U KR 20000022299U KR 200207561 Y1 KR200207561 Y1 KR 2002075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preter
present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interfa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2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강구
Original Assignee
김강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강구 filed Critical 김강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75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75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선 혹은 무선 전화기를 이용하여 외국인과의 통화에 대하여 원격지의 통역인을 연결하여 통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역지원장치에 관련된다.
본 고안은 적어도 하나의 단축키 다이얼번호와 장치별 고유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여, 통역언어 선택키가 눌러지면 저장된 통역사로의 대표전화번호가 다이얼링되고 통화로가 설정되면 장치별 고유번호가 순차적으로 출력되어 교환국에 연결된 인증용 컴퓨터에 의해 회원의 인증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또다른 양상에 의하면, 본 고안의 통역지원장치는 출력부가 이동통신단말기의 신호 인터페이스부로 연결되고, 자신이 접속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신호 인터페이스부와 동일한 인터페이스부를 자체에 더 구비하여 신호라인들을 바이패스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화기에 연결하는 통역지원장치{Apparatus for providing interpreting service which is coupled to a telephone set}
본 고안은 유선 혹은 무선 전화기를 이용하여 외국인과의 통화에 대하여 원격지의 통역인을 연결하여 통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역지원장치에 관련된다.
종래 이러한 통역지원장치에는 1997. 1. 16.자 간행된 PCT국제특허공보 WO97/01914호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장치는 하나의 전화기에 두 개의 핸드셋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한 개의 전화 라인에 연결된 한 개의 전화기를 통역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두 사람이 사용하며, 이 전화기에는 단축키 기능이 있어 통역자에게로 자동으로 전화를 연결시켜 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장치는 전화기 회로를 모두 포함하고 있어 장치가 복잡하고 고가일 뿐 아니라 이동통신단말기 등에 적용되기에는 힘들다는 단점이 있어 언제 어디서나 통역서비스를 이용하기에는 곤란하다.
또 위와 같은 장치는 사용자의 인증을 전화번호 만에 의존해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회원관리가 어렵고 호텔 등의 구내 서비스 에는 적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통역자로의 자동 다이얼링 기능에 추가하여 자동 인증 기능을 지원하는 통역지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고안은 기존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신호 인터페이스부에 단순히 삽입함에 의하여 통역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통역지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고안은 통역지원장치를 사용하더라도 이동통신단말기의 다른 기능에 전혀 장애를 주지않는 통역지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추가적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통역지원장치(100)의 운용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역지원장치(100)의 한 외형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통역지원장치(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역지원장치(100)의 동작흐름도를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0 : CPU 320 : 메모리
330 : 입출력버퍼 340 : 키로직
210 : 잭입력단 220 : 잭출력단
231∼234 : 키버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고안은 적어도 하나의 단축키 다이얼번호와 장치별 고유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구비하여, 통역언어 선택키가 눌러지면 저장된 통역사로의 대표전화번호가 다이얼링되고 통화로가 설정되면 장치별 고유번호가 순차적으로 출력되어 교환국에 연결된 인증용 컴퓨터에 의해 회원의 인증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또다른 양상에 의하면, 본 고안의 통역지원장치는 출력부가 이동통신단말기의 신호 인터페이스부로 연결되고, 자신이 접속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신호 인터페이스부와 동일한 인터페이스부를 자체에 더 구비하여 신호라인들을 바이패스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신호인터페이스로 연결되는 핸즈프리 장비 등 각종 장비들이 연결되는데 지장이 없게 되어 통역지원장치가 연결된 때에도 이동통신단말기의 원래의 기능을 완전히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고안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통역지원장치(100)의 운용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역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내국인과 외국인, 예를 들어 택시 운전기사와 승차한 외국인은 가운데 거치된 휴대폰(140)의 신호인터페이스부에 접속된 본 고안의 통역지원장치(100)의 언어선택버튼 중 하나를 누른다. 그러면 본 고안의 통역지원장치(100)는 자체 메모리에 저장된 해당 대표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도록 이동통신단말기(140)에게 신호를 송출하고 이에 따라 송출된 다이얼링 신호는 기지국(110)을 거쳐 교환국(120)의 교환기(121)에 접수된다. 이때 추가적으로 본 고안의 통역지원장치(100)는 상기 자체 메모리에 저장된 기기별 고유번호를 잇따라 송출하며, 이 고유번호를 교환기에 연결된 컴퓨터(122)가 수신하여 정당한 사용자인가를 확인하고 과금처리를 행한다. 한편, 교환기(121)는 자체에서 이건 출원의 출원일 이전부터 대표전화 기능을 지원하고 있으므로 이 기능을 이용하여 만약 대표전화가 통화중이면 그 다음 통역사의 해당 전화번호로 자동적으로 넘어가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결국 등록된 통역자의 전화기(130)로 통화가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내국인과 외국인이 대화를 시작하면 이는 이동통신단말기(140)의 마이크 혹은 핸즈프리 마이크를 통해 통역자의 수화기(130)로 전달되고 통역자의 통역 내용이 이동통신단말기(140)로 전달되어 핸즈프리 스피커(150)로 크게 출력되므로 양호한 통역이 편리하게 지원된다.
도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역지원장치(100)의 한 외관을 도시한다. 이 실시예는 이동통신단말기에 적용된 실시예로, 이동통신단말기의 신호인터페이스부로 삽입되는 잭입력단(210)과 상기 신호 인터페이스부의 각 단자가 바이패스되고 상기 신호 인터페이스부와 동일한 규격으로 제작되는 잭출력단(220)을 포함한다. 또한 통역언어를 선택하기 위한 단축다이얼 버튼인 언어선택버튼(231, 232, 233, 234)이 돌출되어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외형을 가지지 않고 전화기 내부에 회로로 내장되어 일반적인 전화기 외부에 언어선택버튼 만이 선택적으로 돌출될 수도 있다.
도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역지원장치(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면에서 도2와 대응되는 부분은 동일한 도면부호로 도시되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통역지원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231, 232, 233, 234)과; 적어도 하나의 단축키 다이얼번호와 장치별 고유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320)와; 전화기로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출력부(330)와; 상기 키 버튼의 누름을 검출하여 눌러졌을 때에 메모리에 저장된 대응하는 단축키 다이얼 번호와 고유번호를 의미하는 신호를 순차적으로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는 제어부(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통역지원장치는 상기 출력부가 이동통신단말기의 신호 인터페이스부로 연결될 수 있는 잭입력단에 연결되고; 또한 자신이 접속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신호 인터페이스부와 동일한 규격의 잭출력단(220)을 자체에 더 포함하고, 상기 잭출력단(220)의 각 단자들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신호 인터페이스부의 대응되는 각각의 단자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키버튼(231, 232, 233, 234)은 키로직(340)을 거쳐 데이터버스로 연결된다.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에는 입출력 버퍼(330)를 통해 잭입력단(210)으로부터 단말기의 현재 상태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된 프로토콜은 이동통신단말기 기기마다 차이가 있어 통일적으로 기술할 수는 없으나, 호설정, 통화중 정보, 통화개시 명령, 통화종료 명령은 기본적으로 지원된다. 따라서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에는 CPU(310)는 먼저 입출력버퍼(330)로부터 이동통신단말기의 현재 상태를 읽고 호설정명령과 함께 다이얼링 정보를 송신하고 호설정을 확인한 이후에 인증데이터인 고유번호를 송신할 수도 있고, 이러한 상태정보가 지원되지 않거나 불필요한 이동통신단말기나 유선전화기의 경우에는 다이얼링 정보와 인증정보인 고유번호를 모두 DTMF 톤신호로 잇따라 송출할 수도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메모리(320), 입출력버퍼(330), 키로직(340)을 구별하기 위해서는 어드레스 버스와 디코딩 로직이 추가로 필요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므로 생략하였다. 또한 입출력버퍼(330)는 입력이 필요한 경우를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출력 버퍼만으로도 가능하고 또 입력 버퍼와 출력 버퍼로 분리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본 고안은 이러한 실시예를 모두 포괄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야 한다.
도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역지원장치(100)의 동작흐름도를 도시한다. 키 버튼을 누르면(S410), CPU(310)는 입력값을 해석하여 통화 요구를 인식하고 내부 메모리(320)에서 해당 키 값의 번호를 읽어온다(S420). 이때 키 값은 다이얼링 번호 정보이며, 메모리(320)는 ROM 이나 이 ROM 데이터를 복사하고 있는 RAM이 될 수도 있다. 이 전화번호 정보는 핸드폰으로 출력된다(S430). 핸드폰이 번호레 따라 전화를 걸고(S440), 상태정보를 읽어 통화 개시를 판단한다(S450). 만약 통화가 개시되면 CPU(310)는 회원인증정보를 메모리(320)로부터 독출하여(S460), 이를 입출력버퍼(330)로 출력한다(S470). 그러면 교환국(120)의 교환기(121)에 연결된 컴퓨터(122)는 인증여부를 결정하여 교환기(121)로 통보하고 교환기(121)는 인증이 성공되었다고 통지를 받으면 통화로 설정을 시도하고 그렇지 않으면 통화를 거부하여 끊어 버린다. 통화종료를 기다리다가 종료되면(S480), 본 고안의 통역지원장치(100)는 대기모드(S490)로 들어가 또다른 키버튼의 누름을 기다리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기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기존의 장치에 간편하게 장착될 수 있고 자동화된 인증을 통하여 과금등을 편리하게 지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통역장치는 물론 사설 외국어교육 등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휴대폰에 적용될 경우에는 통역 서비스 중에도 핸즈프리 장비나 충전기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더욱 편리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문언에 의해서만 제한 해석될 수 있다.

Claims (2)

  1.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과;
    적어도 하나의 단축키 다이얼번호와 장치별 고유번호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전화기로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출력부와;
    상기 키 버튼의 누름을 검출하여 눌러졌을 때에 메모리에 저장된 대응하는 단축키 다이얼 번호와 고유번호를 의미하는 신호를 순차적으로 상기 출력부로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역지원장치.
  2.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가 이동통신단말기의 신호 인터페이스부로 연결될 수 있는 잭입력단에 연결되고;
    상기 통역지원장치가 :
    자신이 접속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신호 인터페이스부와 동일한 규격의 잭출력단을 자체에 더 포함하고, 상기 잭출력단의 각 단자들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신호 인터페이스부의 대응되는 각각의 단자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역지원장치.
KR2020000022299U 2000-08-04 2000-08-04 전화기에 연결하는 통역지원장치 KR20020756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5378A KR100350654B1 (ko) 2000-08-04 2000-08-04 전화기에 연결하는 통역지원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5378A Division KR100350654B1 (ko) 2000-08-04 2000-08-04 전화기에 연결하는 통역지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7561Y1 true KR200207561Y1 (ko) 2000-12-15

Family

ID=196818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5378A KR100350654B1 (ko) 2000-08-04 2000-08-04 전화기에 연결하는 통역지원장치
KR2020000022299U KR200207561Y1 (ko) 2000-08-04 2000-08-04 전화기에 연결하는 통역지원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5378A KR100350654B1 (ko) 2000-08-04 2000-08-04 전화기에 연결하는 통역지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03506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6846A (ko) * 2002-02-05 2003-08-14 조용덕 동시 통역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2893A (ja) * 1996-07-17 1998-02-03 N B C Kk 通訳システム並びに通訳システムに利用することができる携帯電話用のフォンマイク
KR20000049875A (ko) * 2000-01-27 2000-08-05 황용안 회원인증식원격전화통역서비스시스템
KR20010086930A (ko) * 2000-03-04 2001-09-15 김기수 핸드폰 단말기를 이용한 동시통역 서비스 방법.
KR20020009279A (ko) * 2000-07-25 2002-02-01 정진구 휴대전화를 이용한 전 세계 언어 통역서비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0654B1 (ko) 2002-08-30
KR20000063813A (ko) 200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90938C2 (ru) Интерфейс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работы радиотелефона и вспомогательных устройств в условиях мобильного офиса
RU2273108C2 (ru) Система обеспечения и способ работы терминала,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в двух режимах связи
US20060194609A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ng method thereof
KR100350445B1 (ko) 지원장치를 이용한 원격통역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7561Y1 (ko) 전화기에 연결하는 통역지원장치
JP3454425B2 (ja) 無線通信機の利用権移動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378405B1 (ko) 무선전화기에서베이스절환방법
JPH0846677A (ja) イヤホンマイク端子を利用した移動通信機・端末装置間データ送信方式
JP2003092785A (ja) 携帯電話機
JP3692710B2 (ja) 無線電話システムの識別コード登録方式
JP3004855B2 (ja) ボタン電話装置
JPH08139680A (ja) 携帯情報通信装置
JP2005341157A (ja) ハイブリッド型ip電話機
JP2759355B2 (ja) 同時通信発信接続制御方式
KR100400407B1 (ko) 음성인식 전화기 사용방법
JPH11313166A (ja) 携帯形テレビ電話端末対応インターホン装置
JPH08168077A (ja) 簡易型携帯電話装置及びその通信方式
KR10030223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있어서발신자의대기시간을최소화하는방법
JPH0637912A (ja) 遠隔制御装置
KR100506257B1 (ko) 키폰시스템에서 착신 국선 호 구별 착신음 발생 방법
JPH07154496A (ja) 無線通信機能付き電話機
JP2000125354A (ja) 無線端末装置
KR20040058030A (ko) 링크가 설정된 단말기간의 호 자동 전환 방법
JPH06169334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20000067091A (ko) 휴대폰의 음성인식 조작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