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58030A - 링크가 설정된 단말기간의 호 자동 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링크가 설정된 단말기간의 호 자동 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58030A
KR20040058030A KR1020020083860A KR20020083860A KR20040058030A KR 20040058030 A KR20040058030 A KR 20040058030A KR 1020020083860 A KR1020020083860 A KR 1020020083860A KR 20020083860 A KR20020083860 A KR 20020083860A KR 20040058030 A KR20040058030 A KR 20040058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ll
hook
user
hand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3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3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58030A/ko
Publication of KR20040058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803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8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53Generation of additional signals, e.g. additional pul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8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received calls from one subscriber to another; Arrangements affording interim conversations between either the calling or the called party and a third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14Delay circuits; Ti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선 번호가 같은 유무선 단말기중 제1 단말기와 통화중에 제2 단말기로 호 전환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온훅 정보가 수신되면, 핸드오버 타이머를 구동시키고, 상기 핸드오버 타이머 구동시간내에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오프 훅이 감지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판단결과 핸드오버 타이머 구동시간내에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오프 훅이 감지되면, 상기 제2 단말기로 호를 전환하는 것으로서, 유무선 단말기를 지원하는 키폰 시스템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DECT 무선 단말기간의 호 핸드오버 기능외에 링크가 설정된 유무선 단말기간의 자동 호 전환이라는 추가적인 핸드오버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링크가 설정된 단말기간의 호 자동 전환 방법{Method for Converting Call Automatically among Terminal Linked Pair}
본 발명은 키폰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키폰 전화기와 DECT 무선 단말기간의 링크 설정(Link Pair) 환경에서 사용자의 임의 조작이 필요없이 자동으로 두 단말기간의 호 연결의 핸드오버(hand-over)가 이루어지는 링크가 설정된 단말기간의 호 자동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키폰 시스템은 사설교환기의 일종으로 내선단말기와 내선 단말기가 접속할 수 있는 국선 라인으로 구성된다.
각 단말기들은 고유의 번호를 부여받음으로써 단말기간의 호 연결 요구를 할수 있고, 외부 국선으로부터 개별적으로 호를 설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교환기의 주처리부는 호에 대한 처리 및 음성 스위칭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은 키폰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키폰 전화기와 DECT 무선 단말기간의 링크설정(Linked Pair)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DECT 단말기(120)는 키폰 시스템(100)에 무선 통신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화기로서 기존의 유선 단말인 키폰 전화기(130)와 같은 단말기 번호를 부여받음으로써 상기 키폰 전화기(130)와 링크가 설정된 단말기로 사용한다. 예를들어, DECT 단말기(120)는 키폰 전화기(130)와 내선 번호를 100으로 공유한다.
키폰 전화기(130)와 DECT 단말기(120)간에 링크를 설정하지 않으면, 키폰 전화기(130)와 DECT 단말기(120)는 각자 고유의 내선 번호를 할당받아 독립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키폰 전화기(130)는 내선번호 300으로, DECT 무선 단말기(120)는 내선번호 100으로 할당된다. 이 경우에는 서로 독립적으로 호 연결을 요구하거나 요구 받을수 있다.
상기와 같은 링크 설정 기능은 시스템 관리 프로그램에서 선택적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설정시 키폰 전화기(130)와 DECT 단말기(120)가 내선 번호를 공유한다.
따라서, 외부 국선으로부터 호 연결 요구 명령이 수신되면, 사용자는 키폰 전화기(130)와 DECT 단말기(120)중 하나를 선택하여 전화통화를 수행한다.
만약, 상기 사용자가 키폰 전화기(130)로 전화통화를 하다가 DECT 단말기(120)로의 전화통화를 원하면, 상기 사용자는 상기 키폰 전화기(130)에서 DECT 단말기(120)로의 호 전환 버튼을 선택한 후, 상기 DECT 단말기(120)의 통화 버튼을 선택한다. 그런다음 상기 사용자는 키폰 전화기(130)의 통화를 끊고, 상기 DECT 단말기(120)를 사용하여 전화 통화를 수행한다.
상기 사용자가 DECT 단말기(120)로 통화하다가 키폰 전화기(130)로의 통화를 원하면, 상기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과정을 수행한다.
도 2는 종래의 외부 국선으로부터 전송된 호에 대하여 핸드 오버를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 2를 참조하면, 외부 국선으로부터 내선 단말기로 호 연결 요구 명령이 수신되면(S200), 키폰 주장치는 상기 수신된 호 연결 요구 명령내의 단말기 번호를 판단하여 상기 판단된 단말기에 링 신호를 전송한다(S202).
단말기에 링 신호가 수신되면(S204), 사용자는 링크가 설정된 유무선 단말기중에서 제 1 단말기의 오프 훅을 수행한다(S206). 단계 206의 수행으로 제1 단말기와 호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단말기는 키폰 전화기, 제2 단말기는 DECT 단말기 또는 그 역으로서, 내선 번호가 같다.
그런다음 상기 사용자가 제1 단말기와 링크가 설정된 제2 단말기로 호의 핸드오버를 원하면(S208), 상기 사용자는 링크가 설정된 제2 단말기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위하여 제1 단말기에서 미리 설정된 호 전환 버튼을 선택한다(S210).
그러면, 링신호가 제2 단말기에 전송되어 상기 사용자는 제2 단말기의 통화 버튼을 선택한 후(S212), 제1 단말기의 통화를 끊는다(S214).
그러면,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2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를 수행한다(S216).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에는 무선 단말기를 사용한 이동중 통화 상태에서 스피커 폰 기능 사용을 위해 키폰 전화기로 호를 전환하거나 키폰 전화기 통화 상태에서 이동을 위해 무선 단말기로 호를 전환하고자 할 경우, 일일이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특정 버튼을 눌러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키폰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키폰 전화기와 DECT 무선 단말기간의 링크 설정(Link Pair) 환경에서 사용자의 임의 조작이 필요없이 자동으로 두 단말기간의 호 연결의 핸드오버(hand-over)가 이루어지는 링크가 설정된 단말기간의 호 자동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키폰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키폰 전화기와 DECT 무선 단말기간의 링크설정(Linked Pair)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외부 국선으로부터 전송된 호에 대하여 핸드 오버를 실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가 설정된 단말기간의 호 자동 전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키폰 시스템 110 : 기지국
120 : DECT단말기 130 : 키폰 전화기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선 번호가 같은 유무선 단말기중 제1 단말기와 통화중에 제2 단말기로 호 전환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온훅 정보가 수신되면, 핸드오버 타이머를 구동시키고, 상기 핸드오버 타이머 구동시간내에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오프 훅이 감지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판단결과 핸드오버 타이머 구동시간내에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오프 훅이 감지되면, 상기 제2 단말기로 호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가 설정된 단말기간의 호 자동 전환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핸드오버 타이머 구동시간내에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오프훅이 감지되지 않으면, 호를 해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링크가 설정된 단말기간의 호 자동 전환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외부 국선으로부터 호 연결 요구 명령이 수신되면(S300), 키폰 주장치는 상기 수신된 호 연결 요구 명령내의 단말기 번호를 판단하여 해당 단말기에 링 신호를 전송한다(S302).
해당 단말기에 링신호가 수신되면(S304), 사용자는 링크가 설정된 유무선 단말기중에서 제1 단말기의 오프 훅을 수행한다(S306). 여기서, 상기 제1 단말기는 키폰 전화기, 제2 단말기는 DECT 단말기 또는 그 역으로서, 내선 번호가 같다.
그런다음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1 단말기와 링크가 설정된 제2 단말기로 호의 핸드오버를 원하면(S308),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1 단말기의 온 훅을 수행한다(S310).
그러면, 상기 제1 단말기의 온 훅 정보는 키폰 주장치에 전송되어 상기 키폰 주장치는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온 훅 정보를 수신한 후(S312), 핸드오버 타이머를 구동시킨다(S314).
그런다음 상기 키폰 주장치는 핸드오버 타이머 구동시간내에 제2 단말기의 오프 훅이 감지되는지의여부를 판단한다(S316).
단계 316의 판단결과 핸드오버 타이머 구동시간내에 제2 단말기의 오프 훅이 감지되면, 상기 키폰 주장치는 제2 단말기로 호를 전환한다(S318).
만약, 단계 316의 판단결과 핸드오버 타이머구동시간내에 제2 단말기의 오프 훅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키폰 주장치는 호를 해제한다(S320).
만약, 상기 사용자가 제1 단말기와 링크가 설정된 제2 단말기로 호의 핸드오버를 원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는 상기 제1 단말기를 이용하여 호를 계속 진행한다(S322).
예를들어, 실험실과 같은 장소에서 무선 단말기로 통화중인 상태에서 책상으로 이동하여 스피커폰과 같은 기능을 이용하고자 할 경우에 키폰 전화기로 호 전환의 필요성이 있다. 이때, 무선 단말기의 통화버튼을 선택하거나 충전기에 올려놓는 경우, 핸드오버타이머 구동시간내에 키폰 전화기의 오프훅을 수행하면, 호가 자동으로 키폰 전화기로 전환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유무선 단말기를 지원하는 키폰 시스템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고 있는 DECT 무선 단말기간의 호 핸드오버 기능외에 링크가 설정된 유무선 단말기간의 자동 호 전환이라는 추가적인 핸드오버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링크가 설정된 단말기간의 호 자동 전환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내선 번호가 같은 유무선 단말기중 제1 단말기와 통화중에 제2 단말기로 호 전환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온훅 정보가 수신되면, 핸드오버 타이머를 구동시키는 단계;
    상기 핸드오버 타이머 구동시간내에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오프 훅이 감지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및
    상기 판단결과 핸드오버 타이머 구동시간내에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오프 훅이 감지되면, 상기 제2 단말기로 호를 전환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가 설정된 단말기간의 호 자동 전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 타이머 구동시간내에 상기 제2 단말기로부터 오프훅이 감지되지 않으면, 호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크가 설정된 단말기간의 호 자동 전환 방법.
KR1020020083860A 2002-12-26 2002-12-26 링크가 설정된 단말기간의 호 자동 전환 방법 KR200400580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3860A KR20040058030A (ko) 2002-12-26 2002-12-26 링크가 설정된 단말기간의 호 자동 전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3860A KR20040058030A (ko) 2002-12-26 2002-12-26 링크가 설정된 단말기간의 호 자동 전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8030A true KR20040058030A (ko) 2004-07-03

Family

ID=37350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3860A KR20040058030A (ko) 2002-12-26 2002-12-26 링크가 설정된 단말기간의 호 자동 전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5803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488B1 (ko) * 2010-02-18 2013-09-1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실시간 호 전환 단말기 및 그 방법
WO2014014286A1 (ko) * 2012-07-18 2014-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그널링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N109710429A (zh) * 2014-12-26 2019-05-03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进程间进行方法调用的方法及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488B1 (ko) * 2010-02-18 2013-09-1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실시간 호 전환 단말기 및 그 방법
WO2014014286A1 (ko) * 2012-07-18 2014-0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그널링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KR20160130327A (ko) * 2012-07-18 2016-1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그널링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9860799B2 (en) 2012-07-18 2018-01-0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igna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supporting same
US10506477B2 (en) 2012-07-18 2019-12-1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igna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supporting same
US10939335B2 (en) 2012-07-18 2021-03-0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igna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supporting same
CN109710429A (zh) * 2014-12-26 2019-05-03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进程间进行方法调用的方法及装置
CN109710429B (zh) * 2014-12-26 2021-08-31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进程间进行方法调用的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8665A (en) Wireless terminal with auxilary desktop unit
KR100406071B1 (ko) 통신시스템
JPH07250376A (ja) コードレス端末制御システム
JP3015705B2 (ja) 電話装置及び携帯電話システム
KR10062816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KR20040058030A (ko) 링크가 설정된 단말기간의 호 자동 전환 방법
KR100378405B1 (ko) 무선전화기에서베이스절환방법
JP2001127874A5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
JP3501067B2 (ja) 事業所用phs無線通信システム、構内交換機及びphs子機
JP3886444B2 (ja) 電話機
KR10030223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있어서발신자의대기시간을최소화하는방법
JP2010041148A (ja) 交換機、電話システム及び中継方法
JP2010041147A (ja) 端末、サーバ、電話システム、及び中継通信方法
JP3911887B2 (ja) 通信端末装置
KR101033687B1 (ko) 원폰 단말기 통화중 대기 방법 및 그 장치
JP2938021B1 (ja) Phsによる電話回線切替方法及び装置及び記録媒体
KR100777303B1 (ko) 유무선 통신 겸용 폰과, 그 폰에서의 통신 방법
JPH11243440A (ja) 有線電話機能を有する移動体電話機およびそのシステム
KR100572698B1 (ko) 유무선 통합 가능 유선 단말 장치 및 그의 유무선 통합서비스 방법
JPH11215239A (ja) 電話通信システム、交換システム及び電話転送方法
JP3665154B2 (ja) 応答機能付きページャおよびページャシステム、それに関連する無線基地局およびページャ制御局
JP3106138B2 (ja) 通信アダプタ
JP2000278737A (ja) 移動通信システム
JPH0759144A (ja) 無線電話装置
JPH10108239A (ja) Phs自動着信方式及び簡易携帯電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