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5042Y1 - 차량용 토크박스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토크박스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5042Y1
KR200205042Y1 KR2019970003393U KR19970003393U KR200205042Y1 KR 200205042 Y1 KR200205042 Y1 KR 200205042Y1 KR 2019970003393 U KR2019970003393 U KR 2019970003393U KR 19970003393 U KR19970003393 U KR 19970003393U KR 200205042 Y1 KR200205042 Y1 KR 2002050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que box
vehicle
front frame
torque
reinforc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33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8919U (ko
Inventor
류재광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20199700033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5042Y1/ko
Publication of KR199800589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89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50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50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토크 박스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론트프레임(30)의 단부에 다단으로 절곡 형성된 토크박스(10)의 일측단부가 취부 되고, 상기 토크박스(10)의 타측단부에는 차실의 바닥을 형성하는 플로어판넬(40)이 용착되며, 상기 토크박스(10)의 상부면에는 토크박스보강판(20)이 취부되어 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프레임(30)이 연결된 토크박스(10)의 상부면에 일측단부가 절곡되어 프론트프레임(30)의 상부면에 응착되고 타측부가 토크박스(10)의 상부면에 용착되는 보강판(50)을 설치하여, 차량을 운행중 정면충돌사고가 발생하여 차량의 전면에 설치된 프론트프레임(30)에 충격이가해지는 경우, 상기 프론트프레임에 일측부가 취부된 보강판(50)에서 1차적으로 충격에너지를 흡수 및 분산시킨 후, 프론트프레인(30)과 플로어판넬(40)을 연결하고 있는 토크박스(10)로 전달되어 폭넓은 분산이 이루어짐으로서, 충격에너지에 의해 차실의 내부가 변형되는 효과적으로 억제되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토크박스 보강구조
본 고안은 차량용 토오크박스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토오크박스의 프론트프레임과의 연결부분의 강성이 향상되도록 하여, 전방 추돌사고시 플로어패널의 변형이 억제되고, 엔진룸의 장착물들이 차실내쪽으로 밀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토오크박스는 플로어패널과 프론트프레임을 연결하는 것으로, 종래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면부를 형성하는 프론트프레임(30)의 하면에 계단형태로 굴곡되어진 토오크박스(10)의 선단부(11)가 취부되고, 차량 엔진룸부분의 바닥을 형성하는 플로어패널(40)의 하면에 토오크박스(10)의 후단부(13)가 취부되어, 토오크박스(10)를 매개로 플로어패널(40)에 프론트프레임(30)이 연결되고, 또한 토오크박스(10)의 상면에는 경사진 중간부(12)에서부터 후단부(13)까지를 덮는 제1보강판(20)이 구비되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전방 추돌사고가 발생되면 프론트프레임(30)이 외력에 의해서 차량후방(제1도상에서 우측)으로 밀리면서, 토오크박스(10)의 중간부(12)와 후단부(13)의 경계부분에 응력이 집중되지만, 상기 제1보강판(20)에 의해서 중간부(12)와 후단부(13)의 경계부분의 응력집중에 의한 굴곡변형이 억제되므로, 완충기능이 향상되어 플로어패널(40)의 외력에 의한 변형이 억제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르면, 토오크박스(10)의 선단부(11)와 중간부(12)의 경계부분을 보강하는 수단이 마련되지 못하여, 전방 추돌사고시, 선단부(11)와 중간부(12)의 경계부분이 응력집중에 의해 쉽게 굴절되어 프론트프레임(30)이 차량 후방으로 빠르게 밀리게 되면서, 중간부(12)와 후단부(13)의 경계부분에 급격한 응력집중이 가해지게 되어 이의 경계부분 또한 쉽게 굴절되게 되므로, 결국 외적이 충분히 완충되지 못하게 되어, 돌발적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플로어패널(40)이 변형되면서 엔진룸에 탑재되어진 장착물들이 후방으로 밀리게 됨에 따라 탑승자의 안전이 위협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토오크박스의 프론트프레임과의 연결부분의 강성을 향상시켜서, 전방 추돌사고시 플로어패널의 변형이 억제되고, 엔진룸의 장착물들이 차실내쪽으로 밀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차량용 토오크박스 보강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토오크박스 보강구조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토오크박스 보강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토오크박스 11 : 선단부
12 : 중간부 13 : 후단부
20 : 제1보강판 30 : 프론트프레임
40 : 플로어패널 50 : 제2보강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프론트프레임의 하면에 계단형태로 굴곡되어진 토오크박스의 선단부가 취부되고, 차량 엔진룸부분의 바닥을 형성하는 플로어패널의 하면에 토오크박스의 후단부가 취부되며 , 토오크박스의 상면에는 경사진 중간부에서부터 후단부까지를 덮는 제1보강판이 구비되어진 차량용 토오크박스 보강구조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에 취부되는 프론트프레임 부분의 상면에서부터 토오크박스의 중간부에 덧붙여진 제1보강판의 상면까지를 덮는 제2보강판이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토오크박스 보강구조를 도시한 도면인 바, 종래 기술을 도시한 제1도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인출부호를 붙이면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2도에 의하면, 본 고안에 따른 토오크박스 보강구조는, 프론트프레임(30)의 하면에 계단형태로 굴곡되어진 토오크박스(10)의 선단부(11)가 취부되고, 차량 엔진룸부분의 바닥을 형성하는 플로어패널(40)의 하면에 토오크박스(10)의 후단부(13)가 취부되어, 토오크박스(10)를 매개로 플로어패널(40)에 프론트프레임(30)이 연결되고, 또한 토오크박스(10)의 상면에는 경사진 중간부(12)에서부터 후단부(13)까지를 덮는 제1보강판(20)이 구비되고, 선단부(11)에 취부되는 프론트프레임(30)부분의 상면에서 부터 토오크박스(10)의 중간부(12)에 덧붙여진 제1보강판(20)의 상면까지를 덮는 제2보강판(20)이 구비되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전방 추돌사고가 발생되면, 프론트프레임(30)에 가해진 외력이 1차적으로 토오크박스(10)를 통해서 플로어패널(40)에 전달되면서, 제2보강판(50)과 제1보강판(20)을 통해서 플로어패널(40)에 전달되어서 차체로 분산되고, 이후 토오크박스(10)의 선단부(11)와 중간부(12)의 경계부분과, 제2보강판(50)의 굴곡부분이 굴절되면서 1차적으로 완충된 후, 토오크박스(10)의 중간부(12)와 후단부(13)의 경계부분과, 제1보강판(20)의 굴곡부분이 굴절되면서 2차적으로 완충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제1보강판(20)에 의해서 토오크박스(10)의 중간부(12)와 후단부(13)의 경계부분에 발생되는 응력집중에 의한 굴곡변형이 억제되면서, 제2보강판(20)에 의해서 토오크박스(10)의 선단부(11)와 중간부(12)의 경계부분에 발생되는 응력집중에 의한 굴곡변형이 억제되어, 외력이 만족스럽게 완충되므로, 플로어패널(40)의 변형이 억제되면서, 엔진룸에 탑재되어진 장착물들이 후방으로 밀리는 것이 억제된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제1보강판과 제2보강판에 의해서 토오크박스의 양쪽 굴곡부분이 지지되어 완충기능이 향상되므로, 플로어패널의 편형이 억제되면서 엔진룸에 탑재되어진 장착 물들의 차실내로의 침입이 억제되어, 탑승자의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프론트프레임(30)의 하면에 계단형태로 굴곡되어진 토오크박스(10)의 선단부(11)가 취부되고, 차량 엔진룸부분의 바닥을 형성하는 플로어패널(40)의 하면에 토오크박스(10)의 후단부(13)가 취부되며, 토오크박스(10)의 상면에는 경사진 중간부(12)에서부터 후단부(13)까지를 덮는 제1보강판(20)이 구비되어진 차량용 토오크박스 보강구조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11)에 취부되는 프론트프레임(30) 부분의 상면에서부터 토오크박스(10)의 중간부(12)에 덧붙여진 제1보강판(20)의 상면까지를 덮는 제2보강판(20)이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오크박스 보강구조.
KR2019970003393U 1997-02-27 1997-02-27 차량용 토크박스 보강구조 KR2002050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393U KR200205042Y1 (ko) 1997-02-27 1997-02-27 차량용 토크박스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3393U KR200205042Y1 (ko) 1997-02-27 1997-02-27 차량용 토크박스 보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919U KR19980058919U (ko) 1998-10-26
KR200205042Y1 true KR200205042Y1 (ko) 2000-12-01

Family

ID=19496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3393U KR200205042Y1 (ko) 1997-02-27 1997-02-27 차량용 토크박스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504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8919U (ko) 1998-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006902A (ja) 自動車の車体構造
KR200205042Y1 (ko) 차량용 토크박스 보강구조
KR100339221B1 (ko) 자동차의 차체보강구조
KR20010005168A (ko) 차량의 측면 보강구조
KR0170101B1 (ko) 자동차의 리어프레임 취부구조
KR200197875Y1 (ko) 자동차의 리어멤버 보강구조
KR0133775B1 (ko) 자동차 전면기등 하단부의 보강구조
KR200224109Y1 (ko) 차량용 크로스멤버의 보강구조
KR960005406Y1 (ko) 자동차의 카울부구조
KR100262173B1 (ko) 자동차 지붕의 보강구조
KR100513684B1 (ko) 충돌성능 향상을 위한 범퍼 구조
KR100308977B1 (ko) 차량용대쉬로워맴버보강구조
JP2592585Y2 (ja) 自動車のサイドドア
KR100275203B1 (ko) 차량의 리어엔드패널 보강구조
KR100350268B1 (ko) 자동차용 범퍼의 사이드부 보강구조
KR930008315Y1 (ko) 자동차의 후론트 사이드부재
KR0184173B1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20010087446A (ko) 자동차의 에이프런패널부 보강구조
KR19980045700A (ko) 크로스바에 의한 차체 프론트부의 보강구조
KR100394706B1 (ko) 자동차의 리어범퍼 보강구조
KR970000614Y1 (ko) 자동차의 앞차체 보강구조
KR900001827Y1 (ko)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구조
KR100482965B1 (ko) 차량용 범퍼
KR19980026507U (ko) 프레임 장착 차량의 정면 충격 흡수구조
KR200152954Y1 (ko) 자동차용 후방도어 임팩트바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