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827Y1 -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827Y1
KR900001827Y1 KR2019850007995U KR850007995U KR900001827Y1 KR 900001827 Y1 KR900001827 Y1 KR 900001827Y1 KR 2019850007995 U KR2019850007995 U KR 2019850007995U KR 850007995 U KR850007995 U KR 850007995U KR 900001827 Y1 KR900001827 Y1 KR 9000018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frame
branch
closed cross
sect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79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14687U (ko
Inventor
요시가즈 이데
아끼라 히에다
마꼬도 도꾸다
Original Assignee
마쓰다 가부시기 가이샤
야마모도 겐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쓰다 가부시기 가이샤, 야마모도 겐이찌 filed Critical 마쓰다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146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146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8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8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2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구조
도면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제1도는 제2도의 A방향에서 일부를 절개하여본 사시도.
제2도는 자동차 앞부분 차체구조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Ⅲ-Ⅲ선의 확대단면도.
제4도는 제2보강재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엔진통 3 : 휠 에이프런
6 : 옆프레임 7 : 위쪽 분기프레임
8 : 아래쪽분기프레임 12 : 제1보강재
13 : 제2보강재
본 고안은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있어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 구조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개 소58-4766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엔진룸의 측벽을 구성하는 휠 에이프런에 접합되어서 폐단면을 형성하는 옆프레임을 차체의 전후 방향으로 설치하고, 그 옆프레임의 앞부분을 상하로 분기시켜서, 분기 옆프레임을 형성하여 정면충돌시 우선 범퍼가 부착되어 있는 위쪽 분기 옆프레임이 좌굴(座窟)하고, 그런후에 옆프레임의 다른부분(아래쪽 분기 옆프레임 및 옆프레임 뒷부분이 좌굴하므로 충격을 유효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런 경우에 옆프레임의 분기부는 충력 하중을 받았을 때에 응력집중이 발생하기 쉽게 되어 있기 때문에 그 분기부만이 좌굴을 일으켜서 옆프레임의 전체의 좌굴에 의한 충격하중의 흡수효과가 설정한 대로 발휘하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옆프레임은 차체 앞부분의 강도 부재로서, 엔진이나 변속기 등을 지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만곡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필요가 있다.
종래와 같이 휠에어프런에 접합하여 폐단면을 형성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한 만곡강성을 확보할 수 없는 것이 현상인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여러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하는 바를 상술한 바와같이 휠에어프런에 접합되어서 폐단면을 형성하고 아울러 앞부분이 상하로 분기된 옆프레임을 유효하게 보강하므로서 그 옆프레임의 만곡강성을 충분히 확보함과 동시에 정면 충돌시에 옆프레임의 분기부 만이 좌굴방지하고 옆프레임 전체의 좌굴에 의한 중격 하중을 유효하게 흡수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코져 본 고안의 해결수단은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구조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전재로 한다.
즉, 엔진룸의 측벽을 구성하는 휠에이프런에 접합되어 폐단면을 형성하는 옆프레임이 자체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그 옆프레임의 앞부분은 상하로 분기하여 분기 옆프레임이 형성되어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은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구조에 있어서, 아래쪽 분기 옆프레임의 선단으로 부터 옆프레임 후단까지 연설된 제1보강제와 옆프레임의 분기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2보강재를 갖추고 제1보강재를 옆프레임의 내측 벽에 접합하여 차제 전후방향으로 폐단면 을 형성하는 한편, 제2보강제를 휠에어프런에 접합하여 폐단면을 형성하여 옆프레임의 분기부를 3중의 폐단면 구조로 한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고안에서 휠에이프런과 폐단면을 형성하는 옆프레임은 그 내측벽에 제1보강재와 접합되어서 아래쪽 분기옆프레임의 선단으로 부터 옆프레임이 후단까지 2중의 폐단면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그 만곡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옆프레임의 분기부는 제1보강재와는 별개로 제2보강재가 휠에이프런에 접합되어서 3중의 폐단면 구조로 되어 있어, 그 만곡강성이 더욱 크게 되어 있으므로 정면 충돌시에 분기부만으로 좌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코져 한다.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관한 자동차의 차체 앞부분 구조를 표시하는 것이며, (1)은 엔진룸, (2)는 엔진룸(1)과 차실내를 구획하는 대시패널(3)은 엔진룸(1)의 측별을 구성하는 휠에이프런으로서 그 휠에이프런(3)의 상부에서 조향실(4) 및 현가탑(5)이 각각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휠에이프런(3)의 하부에는 그 내면에 접합되어져서 폐단면을 형성하는 옆프레임(6)이 차체 전후 방향으로 연설되어 있다.
옆프레임(6)의 앞부분은 상하로 둘로 갈라진 상태로 분기하여 윗쪽 분기 옆프레임(7)과 아래쪽 분기옆프레임(8)이 형성되어 있다.
아래쪽의 분기 옆프레임(8)은 옆프레임(6) 후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그 옆프레임(6) 후부측으로 부터 앞방향의 하향으로 뻗어 있고, 그 아래쪽 분기 옆프레임(8)의 선단부에서 자폭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아울러 중앙부에 엔진 장착부(9a)를 지닌 앞크로스 멤버(9)의 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한편 윗쪽 분기 옆프레임(7)은 옆프레임(6) 후부와는 다른 부재로서 이루어지며, 또한 그 옆프레임(6) 후부와 대략 동일 선상에 위치하고 있고, 그 윗쪽 분기 옆프레임(7)의 선단부에는 앞범퍼(10)가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더우기 옆프레임(6)의 후부의 자체의 연결봉관통부(11)를 개재하여 아래쪽 옆프레임(도시않음)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특징으로서 옆프레임(6)의 폐단면내에는 아래쪽 분기 옆프레임(8)의 선단으로 부터 옆프레임(6)의 후단까지 연설되는 제1보강재(12)가 배설되어 있음과 동시에 옆프레임(6)의 분기부에 제2보강재(13)가 배설되어 있다.
제1보강재(12)는 그 상하양 측단부가 옆프레임(6)의 내측벽에 접합되어 옆프레임(6)의 폐단면내에 더욱 그 전장에 걸쳐서 자체 전후 방향으로 뻗는 폐단면을 형성하고 있다.
또 제2보강제(13)는 제4도에 표시함과 같이, 2줄의 비이드부(13a), (13a)를 지진 평판으로 이루어지고 옆프레임(6) 내측벽과 반대측의 휠에이프런(3)에 접합되어 비이드부(13), (13a)에서 폐단면을 형성하고 있다.
그래서 옆프레임(6)의 분기부는 옆프레임(6) 자체에 의한 폐단면과 제1 및 제2보강재(12)(13)의한 폐단면으로 3중의 폐단면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위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앞부분 차체의 강도부재인 옆프레임(6)은 종래와 같이 단순히 휠에이프런(3)에 접합되어서 폐단면을 형성하고 있을뿐 아니라 그 내측벽에 제1보강재(12)가 접합되어서 아래쪽 분기 옆프레임(8)의 선단(앞크로스 멤버(9)를 개재하여 엔진 등을 지지하는 지지부에 상당한다)으로 부터 옆프레임(6) 후단 (아래쪽 앞프레임과의 연결측단부)까지 2중의 폐단면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그 만곡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가 있고, 엔진 등을 강고하게 지지하는데 있어 대단히 유리하다.
한편 자동차의 정면 충돌시에는 옆프레임(6) 중 우선 앞범퍼(10)가 부착되어 있는 위쪽 분기 옆프레임(7)의 선단위에 충격 하중이 적용하고, 그 위쪽 분기 옆프레임(7)이 좌굴 변형을 일으킨다.
또한 그때의 위쪽 분기 옆프레임(7) 선단에 작용한 충격하중은 그 위쪽 분기 옆프레임(7)을 개재해서 옆프레임(6) 뒷부분에도 전달되나, 그 옆프레임(6) 뒷부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위쪽 분기 옆프레임(7) 보다도 만곡강성이 크게 되어 있으므로 위쪽 분기 프레임(7)과 동시에 좌굴변형을 일으키는 일은 없다.
그리고 위쪽 분기 옆프레임(7)의 좌굴변형이 끝난후 충격하중은 아래쪽 분기 옆프레임(8)의 선단측에 작용한다.
이때에 아래쪽 분기 옆프레임(8)은 옆프레임(6) 뒷부분과 일체이며, 아래쪽 분기 옆프레임(8)의 기단측(基端側)다시말해 옆프레임(6)의 분기부는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그 분기부에는 응력집중이 생긴다.
이에 대하여 옆프레임(6)의 분기부는 상술한 제1보강재(12)와는 별도록 제2보강재(13)가 휠에이프런(3)에 접합되어서 3중의 폐단면 구조로 되어 있어 그 강성이 더욱 크게 되어 있어서 충격하중에 의하여 분기부만으로 좌굴이 생기는 일은 없고, 아래쪽 분기옆프레임(8) 및 옆프레임(6) 뒷부분이 전체적으로 좌굴변형을 일으키게 된다.
그 결과, 위쪽 분기 옆프레임(7)과 아래쪽 분기 옆프레임(8) 및 옆프레임(6) 뒷부분과의 사이에서 단계적으로 좌굴 변형이 생기는 것과 서로 합쳐서 충격하중을 유효하게 흡수할 수가 있고, 정면 충격시에 있어서의 승차한 사람의 안전을 확보하는데 있어서 대단히 유리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있어서의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구조에 의하면 휠에이프런 폐단면을 형성하는 옆프레임은 그 내측벽에 제1보강재가 접합되어서 아래쪽 분기 옆프레임 선단으로 부터 옆프레임후단까지 2중의 폐단면 구조로 되어있고 또 그 옆프레임의 분기부는 다시 제2보강재가 휠에이프런에 접합되어서 3중의 폐단면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옆프레임의 만곡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정면 충돌시에 분기부만의 좌굴이 생기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고, 옆프레임 전체의 좌굴에 의해서 분기옆프레임에서의 단계적 좌굴과 서로 합쳐서 충격하중을 대단히 유효하게 흡수할 수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엔진룸(1)의 측벽을 구성하는 휠에이프런(3)에 접합되어서 폐단면을 형성하는 옆프레임(6)이 차체전후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그 옆프레임(6)의 앞부분은 상하로 분기되어 분기 옆프레임(7),(8)이 형상되어서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앞부분 자체 구조에 있어서, 아래쪽 분기 옆프레임(8)의 선단으로 부터 옆프레임(6) 후단까지 연설된 제1보강재(12)와 옆프레임(6)의 분기부에 설치되어 있는 제2보강재(13)를 갖추고, 제1보강재(12)는 옆프레임(6)의 내측벽에 접합되어서 차체 전후 방향으로 폐단면을 형성하고 있고, 제2보강제(13)는 휠에이프런(3)에 접합되어서, 폐단면을 형성하고 있어 옆프레임(6)의 분기부는 3중의 폐단면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구조.
KR2019850007995U 1985-05-17 1985-06-29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구조 KR900001827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5-73750 1985-05-17
JP1985073750U JPH019741Y2 (ko) 1985-05-17 1985-05-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4687U KR860014687U (ko) 1986-12-18
KR900001827Y1 true KR900001827Y1 (ko) 1990-03-10

Family

ID=30613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7995U KR900001827Y1 (ko) 1985-05-17 1985-06-29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19741Y2 (ko)
KR (1) KR90000182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14687U (ko) 1986-12-18
JPS61187778U (ko) 1986-11-22
JPH019741Y2 (ko) 1989-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82525A (en) Body structure for motor vehicle
US4466653A (en) Automobile front body structure
KR900001827Y1 (ko)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구조
GB2306922A (en) Vehicle body structure with crash boxes at connection of side sill and rear wheel arch
KR960005857B1 (ko) 차량의 앞부분 차체구조
KR910002799Y1 (ko) 자동차의 앞쪽차체구조
JP2522798B2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支持構造
JPS62113653A (ja) 自動車のカウル構造
KR200215887Y1 (ko) 자동차의 프론트 엔드부 보강구조
KR0115979Y1 (ko) 차량의 센터필러와 루프패널의 결합구조
JP2964494B2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KR200205042Y1 (ko) 차량용 토크박스 보강구조
KR960005406Y1 (ko) 자동차의 카울부구조
KR200224111Y1 (ko) 자동차 프레임의 취부구조
JPH09123943A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KR910002800Y1 (ko) 자동차의 앞부분 차체구조
KR200158283Y1 (ko) 자동차의 카울과 대시 패널부 보강구조
KR200210036Y1 (ko) 차량용 사이드 실 패널 어셈블리
KR200161928Y1 (ko) 자동차 센터필라 보강구조
KR890006020Y1 (ko) 자동차의 후부 차체구조
KR200170651Y1 (ko) 차량 플로어패널의 보강재
KR100299619B1 (ko) 자동차의프론트서브프레임보강구조
KR100339236B1 (ko) 자동차의 충돌 충격 완화 장치
KR100192217B1 (ko) 자동차의 프레임 구조
KR0125686Y1 (ko) 승용차량 프론트 플로어의 측면강도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229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