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2082Y1 - 브라운관의 반전이재기 - Google Patents

브라운관의 반전이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2082Y1
KR200202082Y1 KR2019950012093U KR19950012093U KR200202082Y1 KR 200202082 Y1 KR200202082 Y1 KR 200202082Y1 KR 2019950012093 U KR2019950012093 U KR 2019950012093U KR 19950012093 U KR19950012093 U KR 19950012093U KR 200202082 Y1 KR200202082 Y1 KR 2002020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t
arm
inverting
carriage
revers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20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8660U (ko
Inventor
추영수
Original Assignee
김영남
오리온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남, 오리온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남
Priority to KR20199500120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2082Y1/ko
Publication of KR9600386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86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20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208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48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over or inverting them
    • B65G47/25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over or inverting them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65G47/902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provided with drive systems incorporating rotary and rectilinear mov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브라운관의 자동적인 반전 및 이재기가 가능한 신규한 구성의 반전이재기를 개시한다.
종래에는 두 컨베이어라인간에 브라운관을 자동적으로 반전이재할 수 없어서 수동작업을 수행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에서는 두 컨베이어라인간에 아이들 포지션을 설치하고 두 컨베이어라인간의 간격의 1/2로 배치된 두 아암을 동시동작시킴으로써 브라운관의 반전이재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브라운관의 반전이재기
제1도는 종래의 반전이재 방법을 보이는 개략도.
제2도는 본 고안 반전이재기의 구성을 보이는 정면도.
제3(a)도 내지 제3(d)도는 본 고안 반전이재기의 작동을 설명하는 순차적 정 면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T1,T2 : 브라운관(Braun tube) P1,P2 : 팔레트(palet)
V1,V2 : 컨베이어 라인(conveyor line) 10 : 아이들 포지션(idle position)
20 : 가이드 빔(guide beam) 30 : 캐리지(carriage)
40 : 반전아암(turning arm) 50 : 파지아암(holding arm)
본 고안은 브라운관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브라운관을 반전(反轉)시켜 이재(移載)하는 신규한 구성의 반전 이재기에 관한 것이다.
브라운관은 취약한 유리재질로 구성될 뿐아니라 후측으로 긴네크(neck)가 연장되므로 브라운관의 제조공정에서는 일반적으로 패널(panel)측을 하측으로 하여 이송된다. 그런데 대전방지(AS;Anti Stactic)막이나 난반사방지(AG;Anti Glare)막등을 패널 표면에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부득이 패널을 상측으로 반전시켜 다시 적재하지 않으면 안된다.
여기서 패널을 상측으로 브라운관을 적재할 수 있는 팔레트(palet)는 일반적인 팔레트와 그 구성이 다르므로 부득이 두 개의 별도의 컨베이어(conveyor) 라인을 구성하여 양 컨베이어라인 간에 브라운관을 반전시키며 이재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런데 이러한 반전이재를 자동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의 구성에는 다음과 같은 난점이 있다. 즉 한 컨베이어라인 라인상에 이재기가 하강한 뒤 브라운관을 파지하여 상승하고, 다른 컨베이어 라인상으로 이재기가 이동한 뒤 다시 하강하여 브라운관을 적재하는 동작이 필요하므로, 이재기의 이동중에 브라운관을 반전시킨다고 하더라도 적어도 4 스트로크(stroke)의 동작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양 컨베이어라인을 동일한 인덱스 타임(index time)으로 작동시킬 수 없게 되므로, 이재되는 컨베이어 라인을 늦은 타이밍(timing)으로 동작시키거나 이을 복수라인으로 구성하지 않으면 자동적인 반전 및 이재는 불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은 생산성이나 설비 배치에 큰 장애를 초래하게 되므로, 종래에는 부득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으로 반전이재하는 수 밖에 없었다.
즉 작업자(W)는 도면 우측의 패널을 하측으로 적재하는 팔레트(P1)의 컨베이어라인(V1)에서 브라운관(T)을 들어낸후 이를 뒤집어 도면 좌측의 패널을 상측으로 적재하는 컨베이어 라인(V2)의 팔레트(P2)상에 적재하게 된다.
이러한 반전이재 작업은 상당한 작업강도를 요구하는 작업일뿐아니라 자칫 브라운관(T)을 놓쳐 폭축(implosion)을 일으키는 등의 위험작업이므로 작업자(W)의 기피공정일 뿐아니라, 실제적으로 대형 브라운관(T)의 경우에는 1인의 인력으로는 반전이재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는 AG막이나 AS막의 형성후 브라운관(T)을 다시 뒤집어 이재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발생된다.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고안의 목적은 두 컨베이어 라인을 동일한 인덱스 타이밍으로 동작시키면서 브라운관을 반전시켜 이재할 수 있는 반전이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고안에 의한 반전이재기는 두 컨베이어라인간의 간격의 중앙에 설치되어 패널측을 상측으로하여 브라운관을 일시 지지하는 아이들 포지션(idle position)과, 두 컨베이어 라인을 횡단하는 가이드 빔(guide beam)과, 이 가이드빔을 따라 이동하며 두 컨베이어라인 간격의 1/2의 간격으로 반전아암(turning arm)과 파지아암(holding arm)이 설치된 캐리지 (carriage)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고안 반전이재기의 구체적 특징과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제2도에서 패널을 하측으로 브라운관(T)을 적재하는 팔레트(P1)의 컨베이어 라인(V1)과, 패널을 상측으로 브라운관(T)을 적재하는 팔레트(P2)의 컨베이어 라인(V2)사이에는, 그 간격(2d)의 중앙에 패널을 상측으로 하여 브라운관(T)을 일시지지하는 서포트(support;11)가 구비된 아이들 포지션(10)이 설치된다.
양 컨베이어 라인(V1,V2)의 상부에는 이를 횡단하는 가이드빔(20)이 설치되고, 이 가이드빔(20)상에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해 이를 따라 이동하는 캐리지(37)가 설치된다. 캐리지(30)는 양 컨베이어라인(V1, V2)간의 간격(2d)의 1/2의 간격(d)으로 양단에 반전아암(40)과 파지아암(57)을 구비하고 있다.
먼저 반전아암(47)의 구성을 살펴보면 캐리지(30)에 설치된 승강 액튜에이터(31)에 의해 숭강하는 반전헤드(41)가 설치되는데, 반전헤드(41)에는 개폐 액튜에이터(44)에 의해 개폐되어 브라운관(T)을 파지하는 두 아암(42)이 구비되고, 각 아암(42)의 선단에는 로타리 실린더(rotary cylinder;43) 및 패드(pad;43a)가 구비되어 있다. 로타리 실린더(43)는 유압이나 공압등 작동유체의 공급에 따라 소정의 회전각만큼 회전하는 액튜에이터의 일종인바, 여기서는 브라운관(T)의 반전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므로 그 회전각은 180°이다. 반전아암(40)에서 나머지 부호 45는 안내봉, 그리고 33은 이를 지지하는 리니어 베어링(linear bearing)이다.
한편 파지아암(50)을 살펴보면 이는 캐리지(30)에 안내되어 승강 액튜에이터(32)에 의해 승강하는 승강빔(52)의 하단에 진공등의 부압(負壓)의 공급에 의해 브라운판(T)의 패널 부분을 흡착시키는 흡착컵(suction cup) 방식의 파지헤드(51)가 구비된다.
이와같은 본 고안 반전이재기의 작동을 제3도의 각도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제3(a)도와 같이 캐리지(30)가 도면의 우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반전아암(40)의 반전헤드(41)와 파지아암(50)의 파지헤드(51)가 동시에 하강한다. 그러면 반전헤드(40)의 개폐 액튜에이터(44)가 작동하여 두 아암(47)을 폐쇄시킴으로써 로타리 실린더(43)의 패드(43a)를 우측의 컨베이어 라인(V1)의 팔레트(P1)상의 브라운관(T1)의 패널 양측 부분에 밀착시켜 이를 파지한다.
한편 파지아암(50)의 파지헤드(51)에는 부압이 제공되어 전단계에서 아이들포지션(10)으로 이동해 있던 브라운관(T2)을 흡착파지한다.
그러면 반전아암(40)자 파지아암(50)은 각각 브라운관(T1, T2)을 파지한채 제3(b)도와 같이 상승한뒤, 제3(c)도와 캐리지(30)가 도면의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반전아암(40)의 로타리 실린더(43)가 동작하여 브라운관(T1)을 180° 반전시키게 된다.
캐리지(37)가 1/2 간격(d)만큼 이동하고 나면 제3(d)도와 같이 반전아암(40)과 파지아암(50)이 각각 하강하여 도면 우측의 컨베이어 라인(V1)에 있던 브라운관(T1)은 아이들 포지션(17)상에, 아이들 포지션(10)에 있던 브라운관(T7)은 도면 좌측의 컨베이어 라인(V2)상으로 이재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두 컨베이어 라인(V1,V2)의 중간에 아이들 포지션(10)을 설치하고, 두 컨베이어 라인(Vl,V2)간의 간격(2d)의 1/2의 간격(d)으로 동시동작하는 반전아암(40)과 파지아암(50)에 의해 종래 4 인덱스 타임이 소요되던 브라운관(T1,T2)의 반전및 이재동작을 2 인덱스 타임에 수행되는 것과 동일한 결과로 두 컨베이어 라인(Vl,V2)이 서로 동일한 인덱스 타이밍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따라 본 고안은 브라운관 생산의 자동화와 생산성의 향상에 큰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브라운관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적재하는 두 컨베이어 라인간에 상기 브라운관을 반전시켜 이재하는 장치로서, 상기 두 컨베이어라인(V1,V2)간의 간격(2d)의 풍간에 설치되어 상기 브라운관(V1,V2)을 일시 지지하는 아이들 포지션(10)과, 상기 두 컨베이어 라인(V1,V2)의 상부에 이를 횡단하도록 설치된 가이드 빔 (20)과, 상기 가이드 빔(20)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간격(2d)의 1/2의 간격(d)으로 반전아암(40)과 파지아암(50)이 설치된 캐리지(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의 반전이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아암(40)이, 상기 캐리지(30)에 대해 승강하며 선단에 로타리 실린더(43)가 설치되어 개폐되는 두 아암(42)을 가지는 반전헤드(4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의 반전이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아암(50)이, 상기 캐리지(30)에 대해 승강하며 부압에 의해 상기 브라운관(T1,T2)을 흡착하는 파지헤드(5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의 반전이재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30)의 반전아암(40)과 파지아암(50)이, 상기 한 컨베이어 라인(V1)과 상기 아이들포지션(10)사이와, 상기 아이들 포지션(10)과 상기 다른 컨베이어라인(V2) 사이를 동시에 이동하여 상기 브라운관(T1,T2)을 반전및 이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의 반전이재기.
KR2019950012093U 1995-05-31 1995-05-31 브라운관의 반전이재기 KR2002020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2093U KR200202082Y1 (ko) 1995-05-31 1995-05-31 브라운관의 반전이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2093U KR200202082Y1 (ko) 1995-05-31 1995-05-31 브라운관의 반전이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660U KR960038660U (ko) 1996-12-18
KR200202082Y1 true KR200202082Y1 (ko) 2000-11-15

Family

ID=19414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2093U KR200202082Y1 (ko) 1995-05-31 1995-05-31 브라운관의 반전이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208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3309A (ko) * 2018-02-01 2019-08-09 권용주 고중량 콘크리트 성형물 틸팅 반송장치
KR102205723B1 (ko) * 2019-11-14 2021-01-21 주식회사 씨케이엘 제품 반전 장치
KR20230022724A (ko) 2021-08-09 2023-02-16 곽재곤 이중 적재 이재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3309A (ko) * 2018-02-01 2019-08-09 권용주 고중량 콘크리트 성형물 틸팅 반송장치
KR102027227B1 (ko) * 2018-02-01 2019-11-04 권용주 고중량 콘크리트 성형물 틸팅 반송장치
KR102205723B1 (ko) * 2019-11-14 2021-01-21 주식회사 씨케이엘 제품 반전 장치
KR20230022724A (ko) 2021-08-09 2023-02-16 곽재곤 이중 적재 이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8660U (ko) 1996-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1387A (en) Combination transfer/turnover machine
US4573862A (en) Workpiece transfer device
US4856701A (en) Device for positioning tentering frames into association with a workpiece which is being assembled along a transfer line
US4566837A (en) Automatic work exchanging apparatus
CN110562711A (zh) 应用于自动生产运输线上可翻转及自动传输的装置
KR200202082Y1 (ko) 브라운관의 반전이재기
JP4825080B2 (ja) パレット遠心脱水装置
JP2005153123A (ja) グリッパ装置とそのグリッパ装置を用いたワーク搬送装置
CN219193695U (zh) 一种侧夹式搬运及翻转装置
CN216661545U (zh) 一种抱箱翻转移载机
TWM576536U (zh) a horizontal plate to draw a horizontal plate to a vertical inking mechanism
JPH05185393A (ja) 物品把持装置
JP3578278B2 (ja) ガラス物品の移載装置
CN209577943U (zh) 一种全自动花型叶轮成型机的摆臂机构
KR100213725B1 (ko) 제품 기상 및 회전이송장치
KR102595453B1 (ko) 다종 박스 파지용 팔레타이징 그리퍼
JPH07155874A (ja) 板材加工機におけるワーク供給装置
JPH07227776A (ja) ワーク搬送装置
US3158249A (en) Apparatus for electroplating
GB741059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echanical handling mechanisms or devices
KR950006067B1 (ko) 중형굴삭기의 하부 사이드프레임 자동용접장치
KR200345938Y1 (ko) 소재공급장치
JPH069048A (ja) ワーク把持装置
CN210418346U (zh) 工件清洗篮的搬运装置
US6264023B1 (en) Bottle extractor for hollow glass moulding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